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세계의 고등교육 국제화와 유학생 유치


 구자억 대학원장.jpg

구자억 서경대 대학원장 겸 서경혁신원장


아시아 대학들이 유학생 유치에 발 벗고 나서고 있다. 이렇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유학생을 교육 산업적 관점 즉 수익을 창출하는 대상으로 보게 됐기 때문이다. 영미의 전유물이었던 교육산업이란 단어가 이제 아시아 대학에서도 통용된다. 싱가포르, 말레이시아의 대학들은 유학생 유치를 교육 산업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경향이 강하다. 두 국가 모두 영어를 쓰는 나라다. 반면에 중국대학은 유학생 유치가 대학의 국제화를 촉진한다고 본다.

 

한국도 유학생 유치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학입학 가능인구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외국으로 눈을 돌리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이런 노력의 결과 10만 여명의 외국인이 한국에 유학하고 있다. 적지 않은 숫자다. 그렇지만 질적인 면을 고려하면 한국유학이 얼마나 지속가능성이 있는지 걱정된다. 외국어도 안 되는 학생을 무조건 받아들인다. 수업도 알아듣지 못하는 유학생이 부지기수다. 이런 과정에서 유학생들은 한국에 대해 좋은 점보다는 나쁜 점을 더 기억하기도 한다. 그럼 다른 나라들은 어떤가?

 

많은 나라가 유학생 유치환경을 먼저 만든다. 싱가포르의 경우 글로벌 스쿨하우스정책을 추진했다. 이것은 싱가포르의 대학국제화 전략이다. 이를 통해 외국대학을 유치하고, 유학생 유치환경을 조성했다. 이제 싱가포르국립대(NUS)는 영어로 수업을 하는 국제화가 잘된 학교가 됐다. 외국 유학생이 대단히 선호하는 입학하기 까다로운 대학이다. 그러나 일단 입학하면 그들은 체계적인 교육지도를 받는다. 특히 싱가포르는 외국대학 유치를 통해 유학생을 확보하기도 한다. 싱가포르국립대와 예일대가 설립한 교양대학 학생의 70%는 외국학생이다. 중국 또한 대학의 국제화를 중시한다. 당연히 국제화를 통해 유학생수를 늘려가고 있다.

 

저쟝대(浙江大)140여개의 외국대학과 협력하면서 국제화된 개방형 커리큘럼을 개설하고 있다. 또 영어수업 및 유학생 산학협력프로그램 등을 운영한다. 광동성 지난대(暨南大)는 화교학생을 집중유치하고 있다. 즉 외국에 거주하는 중국인이 모국인 중국에서 유학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든 것이다. 이에 따라 전체학생의 절반이 넘는 유학생이 화교로 채워진다. 싱가포르와 마찬가지로 닝보노팅엄대(宁波诺丁汉大) 등 중국 내 외국대학 캠퍼스나 합작프로그램에는 한국인을 비롯한 많은 외국인이 재학하고 있다. 말레이시아도 마찬가지다. 대표적으로 트위닝 프로그램(Twinning Program)이 한 예다. 대학이 자신의 학교이름으로는 학위를 주지 않지만, 합작한 외국대학의 이름으로 학위를 준다. 당연히 많은 외국유학생이 싼 가격에 이름 있는 대학의 학위를 취득하러 말레이시아로 몰려온다.

 

이제 한국대학들도 새로운 시각을 가져야 한다. 그것은 바로 대학의 국제화 노력이다. 현재 우리대학의 국제화 수준은 하위권이다. 올해 THE 세계대학평가를 보면 한국대학은 국제화항목에서 대부분 100점 만점에 30~40점에 머물렀다. 이런 상태에서 질 높은 유학생을 더 많이 유치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국제화는 대학의 평판과 직결된다. 유학생을 받아드릴 준비가 된 대학인지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현재 엄청난 숫자의 중국학생들이 외국으로 유학을 떠나고 있다. 당연히 지리적, 문화적으로 익숙한 한국은 중국유학생 유치에 유리한 조건이다. 최소 30~40만명 유치도 가능하다.

 

그런데 왜 안 되는가? 한국대학의 질 문제가 가장 크다고 본다. 그렇지만 불가능한 것만은 아니다. 서울 시내 한 대학 미용예술전공에는 한 학기에 100여명의 중국학생이 입학한다. 모두 자원해서 오는 것이다. 이 학교에 유학 오는 이유는 간단하다. 미용분야에서는 아시아 최고라는 인식 때문이다. 또 국제화된 커리큘럼도 한몫한다. 식당만 입소문이 있는 것이 아니다. 대학도 입소문이 중요하다. 바로 이것이 답일 수 있다. 한국대학은 현재 기로에 서있다. 그 기로에서 우리가 할 일은 우리대학의 국제화를 위해 매진하는 일이다.

 


< 원문 출처 >

교수신문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42933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658

서경대학교 컴퓨터공학과 2018학년도 졸업작품 전시회 개최 file

11월 15일(목) 오전 10시 교내 북악관 5층서 중고거래사이트 ‘We Make Deal' 등 60여 편의 작품 선보여 서경대학교 컴퓨터공학과(학과장 박태룡)는 11월 15일(목)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교내 북악관 5층에서 졸업작품 전시회를...

서경대학교 새 홍보영상 공개 file

서경대학교가 지향하는 경영철학과 교육모토, 지향하는 인재상, 교수학습방법 등을 폭넓게 볼 수 있는 텍스트 중심의 홍보영상이 제작돼 공개됐다. 이번에 공개된 홍보영상은 모두 50개 스틸컷으로 만든 런닝타임 3분 28초 짜리로...

[진세근 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 : 漢字, 세상을 말하다] 중국 이야기, 세밀하고 풍부하고 보석 같은 file

4개 성 각각 한글자 한자로 풀어 참고문헌 500개, 시·공간 교차 전문적 관점, 영화 같은 재미 선사 한글자 중국: 중국의 탄생 김용한 지음 휴머니스트 한글자 중국: 중국의 확장 김용한 지음 휴머니스트 정암(定庵) 공자진(龔自...

‘한국 춤’의 진수 목포서 선보인다 file

29일 ‘무작-춤을 만들다’ 공연 시민문화센터 100여명 출연 한국 춤의 다양한 춤사위를 선보이는 의미 있는 공연이 낭만 항구 목포의 가을밤을 달군다. 18일 목포시는 오는 29일 목포시민문화체육센터에서 100여명이 출연해 한국...

[취재파일] 장교 양성의 새 요람…4년제 군사학과 file

장교가 되기 위해서는 통상 각군 사관학교를 거치거나 아니면 학군단, 학사장교 등의 코스를 밟게 됩니다. 가장 확실한 길은 사관학교입니다. 사관학교는 각군 장교단의 주력들을 배출하고 있습니다. 장교 양성의 다크호스가 나타...

[대학내일] 표지모델! 서경대 연기전공 16 이다현 file

다름을 인정할 줄 알고, 새로운 자극을 유연하게 받아들일 준비가 된 사람으로 성장하고 싶어요. 01 화보의 ‘가을가을’한 분위기와 잘 어울려요. 다현씨가 가장 좋아하는 계절은? 가을이요! 하늘이 정말 아름다워서 좋아요. 우울...

[10人10色]'더 맨 블랙' 엄세웅 "차세대 로코킹은 나" file

엄세웅(사진=스타디움) ‘로코킹’ 멀티테이너 배우그룹을 표방한 더 맨 블랙의 ‘퍼플’ 엄세웅이 되고 싶은 목표다. 롤모델은 배우 박서준이다. 관객, 시청자가 자신의 연기를 보고 설렘과 웃음, 달달함을 동시에 느낄 수 있게...

서경대학교 국제비즈니스어학부, 러시아 국립모스크바대학교 러시아어·문화센터와 상호 교류협력 및 발전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11월 15일(목) 오후 6시 교내 본관 8층 컨벤션홀서 ‘러시아 국립모스크바대학교 데이’란 주제로 세미나도 가져 서경대학교 국제비즈니스어학부(학부장 안병팔)는 11월 15일(목) 오후 6시 교내 본관 8층 컨벤션홀에서 러시아 국립...

인문대여! 고개를 들어라, 인문대 반란 <5> 국제비즈니스어학부 일어전공 편 - 주한일본대사관 공보문화원 비서 겸 부번역관 강주연 file

인문학의 사전적 정의는 ‘언어, 문학, 역사, 철학 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그러나 인문학을 전공하는 사람이라면 “인문대는 취직이 안 된다.”, “인문학을 전공해서 어디에 쓸 수 있냐?”라는 말을 한 번쯤은 들었을 것이...

서경대학교, 성북문화재단과 문화예술 교류 협약 체결 file

서경대, 서울시 캠퍼스타운 단위형 2단계 사업대상자로 성북문화재단과 협력하여 지역의 문화예술 경제생태계 조성 예정 양 기관 협약 통해 청년들의 취창업교육, 아동·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역주민 대상 생활예술 사업 등 긴밀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