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세계의 고등교육 국제화와 유학생 유치


 구자억 대학원장.jpg

구자억 서경대 대학원장 겸 서경혁신원장


아시아 대학들이 유학생 유치에 발 벗고 나서고 있다. 이렇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유학생을 교육 산업적 관점 즉 수익을 창출하는 대상으로 보게 됐기 때문이다. 영미의 전유물이었던 교육산업이란 단어가 이제 아시아 대학에서도 통용된다. 싱가포르, 말레이시아의 대학들은 유학생 유치를 교육 산업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경향이 강하다. 두 국가 모두 영어를 쓰는 나라다. 반면에 중국대학은 유학생 유치가 대학의 국제화를 촉진한다고 본다.

 

한국도 유학생 유치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학입학 가능인구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외국으로 눈을 돌리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이런 노력의 결과 10만 여명의 외국인이 한국에 유학하고 있다. 적지 않은 숫자다. 그렇지만 질적인 면을 고려하면 한국유학이 얼마나 지속가능성이 있는지 걱정된다. 외국어도 안 되는 학생을 무조건 받아들인다. 수업도 알아듣지 못하는 유학생이 부지기수다. 이런 과정에서 유학생들은 한국에 대해 좋은 점보다는 나쁜 점을 더 기억하기도 한다. 그럼 다른 나라들은 어떤가?

 

많은 나라가 유학생 유치환경을 먼저 만든다. 싱가포르의 경우 글로벌 스쿨하우스정책을 추진했다. 이것은 싱가포르의 대학국제화 전략이다. 이를 통해 외국대학을 유치하고, 유학생 유치환경을 조성했다. 이제 싱가포르국립대(NUS)는 영어로 수업을 하는 국제화가 잘된 학교가 됐다. 외국 유학생이 대단히 선호하는 입학하기 까다로운 대학이다. 그러나 일단 입학하면 그들은 체계적인 교육지도를 받는다. 특히 싱가포르는 외국대학 유치를 통해 유학생을 확보하기도 한다. 싱가포르국립대와 예일대가 설립한 교양대학 학생의 70%는 외국학생이다. 중국 또한 대학의 국제화를 중시한다. 당연히 국제화를 통해 유학생수를 늘려가고 있다.

 

저쟝대(浙江大)140여개의 외국대학과 협력하면서 국제화된 개방형 커리큘럼을 개설하고 있다. 또 영어수업 및 유학생 산학협력프로그램 등을 운영한다. 광동성 지난대(暨南大)는 화교학생을 집중유치하고 있다. 즉 외국에 거주하는 중국인이 모국인 중국에서 유학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든 것이다. 이에 따라 전체학생의 절반이 넘는 유학생이 화교로 채워진다. 싱가포르와 마찬가지로 닝보노팅엄대(宁波诺丁汉大) 등 중국 내 외국대학 캠퍼스나 합작프로그램에는 한국인을 비롯한 많은 외국인이 재학하고 있다. 말레이시아도 마찬가지다. 대표적으로 트위닝 프로그램(Twinning Program)이 한 예다. 대학이 자신의 학교이름으로는 학위를 주지 않지만, 합작한 외국대학의 이름으로 학위를 준다. 당연히 많은 외국유학생이 싼 가격에 이름 있는 대학의 학위를 취득하러 말레이시아로 몰려온다.

 

이제 한국대학들도 새로운 시각을 가져야 한다. 그것은 바로 대학의 국제화 노력이다. 현재 우리대학의 국제화 수준은 하위권이다. 올해 THE 세계대학평가를 보면 한국대학은 국제화항목에서 대부분 100점 만점에 30~40점에 머물렀다. 이런 상태에서 질 높은 유학생을 더 많이 유치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국제화는 대학의 평판과 직결된다. 유학생을 받아드릴 준비가 된 대학인지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현재 엄청난 숫자의 중국학생들이 외국으로 유학을 떠나고 있다. 당연히 지리적, 문화적으로 익숙한 한국은 중국유학생 유치에 유리한 조건이다. 최소 30~40만명 유치도 가능하다.

 

그런데 왜 안 되는가? 한국대학의 질 문제가 가장 크다고 본다. 그렇지만 불가능한 것만은 아니다. 서울 시내 한 대학 미용예술전공에는 한 학기에 100여명의 중국학생이 입학한다. 모두 자원해서 오는 것이다. 이 학교에 유학 오는 이유는 간단하다. 미용분야에서는 아시아 최고라는 인식 때문이다. 또 국제화된 커리큘럼도 한몫한다. 식당만 입소문이 있는 것이 아니다. 대학도 입소문이 중요하다. 바로 이것이 답일 수 있다. 한국대학은 현재 기로에 서있다. 그 기로에서 우리가 할 일은 우리대학의 국제화를 위해 매진하는 일이다.

 


< 원문 출처 >

교수신문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42933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1178

"2019년 취업률 75% 달성" 취·창업 협약 체결 file

실용·혁신·글로벌 인재 목표 학생 종합 지원 CLC ZONE 운영  서경대는 CREOS 졸업인증제, 취업역량 강화 캠프 등 다양한 취·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올해 개교 70주년을 맞은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지혜와 용...

이철민 서경대 화학생명공학과 교수와 연구진, 3월 30일(금) 오후 7시 35분에 방영된 KBS1 ‘똑똑한 소비자 리포트’ 출연, 신축아파트 곰팡이 농도 측정 통한 하자 실태 ‘진단’ file

서경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위해성평가연구소의 이철민 교수와 연구진이 지난 3월 30일(금) 오후 7시 35분에 방영된 KBS1‘ 똑똑한 소비자 리포트’ 프로그램에 출연했다. 신축아파트에서 발생하고 있는 아파트 하자의 실태를 파악...

우리 학교 대중 홍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 file

지하철 4호선 길음역과 혜화역을 지날 때 듣게 되는 ‘서경대학교’와 ‘서경대학교 공연예술센터’ 하차 안내 전동열차 음성광고, 야구경기장에 가거나 집에서 TV를 볼 때 자주 보게 되는 야구경기장 외야석 펜스에 걸려 있는 ...

KBS 《안녕하세요》 청춘특집 ‘서경대학교’ 편 고민사연 공모 안내 file

서경대학교 학생, 교직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새봄과 함께 신학기가 시작되었습니다. 캠퍼스는 1학년 신입생들을 새로 맞아들이고 봄맞이와 개강 등으로 다시 활력을 되찾아가고 있습니다. 학교 홈페이지와 교내 포스터 게시 등을...

2020년 2학기 기말고사 전, 도전해 볼 만한 공모전, 뭐가 있을까? file

코로나 19의 확산세 속에서 2학기 개강을 맞이하고 대면과 비대면 수업을 병행하며 지내온 지도 2달이 지났다. 중간고사가 막 끝난 시점에서 생긴 ‘여유시간’을 보다 가치있고 알차게 보내려는 학우들이 적지 않다. 촌각도 아껴...

[카드뉴스] 한국판 셜록홈스 안되나…탐정 금지, 합헌결정에도 찬반 팽팽 file

"경찰에게 외면받은 분들 저희에게 오십시오!" 지난달 개봉한 영화 '탐정: 리턴즈'에서 형사 노태수(성동일)와 만화방 주인 강대만(권상우)은 탐정의 꿈을 이룹니다. 대한민국 최초 탐정사무소를 개업하며 미제 사건을 해결하죠. 하...

세대간 멘토링 '인생나눔교실' 발족 file

올해 진행될 신구 세대 간 멘토링 프로그램 '2018년 인생나눔교실' 발대식이 권역별로 열렸다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8일 밝혔다. 발대식에 앞서 올해 인생나눔교실을 이끌 멘토봉사단 214명과 37명의 튜터를 대상으로 한 교육워...

머드 피부미인 만들기 프로젝트 ‘머드뷰티케어’ 인기 file

올해 보령머드축제 기간 800여 명 이용… 중국인 유학생, 동시통역 서비스 보령시는 지난 28일 막을 내린 제22회 보령머드축제의 특별 이벤트인 피부미인 만들기 프로젝트‘머드뷰티케어’에 10일간 800여 명의 관광객들이 이용...

전기차충전소 캠퍼스에 속속…서경대·건국대·광운대·국민대 등 11개 대학 설치 file

충전인프라 확산, 전기차 보급 청신호 전기자동차 보급이 확산되는 가운데, 차량 충전을 위한 시설이 대학가에 잇따라 들어서고 있다. 학내 주차장에 전기차 충전소가 마련된 것으로, 충전 시설을 2기 이상 설치하거나 일정 시...

아시아대학의 유학생 유치와 그 전략 file

세계의 고등교육 ⑥ 국제화와 유학생 유치 구자억 서경대 대학원장 겸 서경혁신원장 아시아 대학들이 유학생 유치에 발 벗고 나서고 있다. 이렇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유학생을 교육 산업적 관점 즉 수익을 창출하는 대상으로...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