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피아노.JPG


. 31번입니다.”


바늘구멍 대입 실기시험 현장 가보니

실용음악간판 걸면 1001 넘어

K팝 열풍에 뽑는 인원 적은 탓

재수·삼수는 기본, 레슨비 눈덩이

 

재학생 취업 어렵다는 것 알지만 하고 싶은 것에 젊음 걸고 싶다

 

수험생 손모(20)씨가 피아노 앞에 앉아 잠시 숨을 고른 뒤 재즈 피아노곡 미쉘 카밀로의 카리브를 연주됐다. 1분 정도 지났을까 3명으로 이뤄진 심사위원석에서 이제, 초견 보겠습니다라는 주문이 떨어졌다. 손씨는 악보에 아무런 음표 없이 코드만 적혀 있는 걸 보고 건반을 눌렀다.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스윙으로 바꿔 해보세요라고 심사위원이 말했다. 곡의 스타일은 재즈에서 스윙으로 바뀌었다. 실기시험은 130초 정도 걸렸다. 지난 10일 서울시 성북구 정릉동 서경대 본관 8층 컨서트홀에서 열린 실용음악과 피아노 전공 실기 시험장. 피아노 전공으로 신입생 4명이 선발되는데 174명이 지원(43.51)했다.

이날 실기 1차시험을 마친 손씨는 재수생이다. 지난해에도 이 대학을 포함해 여러 대학 실용음악과를 지원했는데 고배를 마셨다. 그는 시험장을 나서며 한숨을 쉬었다. “하루 7시간 이상 연습에 매달렸다. 초견 악보를 무리 없이 연주한 거 같은데 결과가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는 일단 2단계 선발(24) 안에 들어야 2차 시험을 볼 수 있다. 그나마 다른 전공에 비하면 사정이 나은 편이다. 이 대학의 실용음악과 보컬전공은 3명 모집에 1863명이 몰려 621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2019학년도 수시모집에서 이보다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대학과 학과는 없다. 문수현(20)씨는 지난 7일 오후 6시쯤 수험생들 틈바구니에 섞여 실기시험을 봤다. 수험생이 많다보니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나흘에 걸쳐 실기시험이 이뤄졌다. 수시전형은 100% 실기시험으로 이뤄진다.

문씨는 바브라 리카의 런던 타운이란 곡을 자유곡으로 선택했는데 이 곡을 고르기 위해 몇 달을 고민해야 했다. 그런 다음 이 곡을 두 달여 집중적으로 연습했다. 시험장에서 내게 주어진 130초에 모든 걸 걸었다고 말했다.

 

경쟁률.JPG  


대입 수시모집 전형이 진행 중인 가운데 실용음악과 입시는 낙타가 바늘귀를 통과하는 것만큼이나 어렵다. 서경대를 비롯해 한양대 에리카(안산) 실용음악과 보컬 전공은 477.51, 단국대 천안 생활음악과 보컬은 201.71이다. 실용음악과 간판을 단 곳의 경쟁률은 4년제 일반대나 전문대를 가리지 않고 기본이 1001을 넘는다. 실용음악과란 클래식 위주의 음대와 달리 대중음악을 교과과정에 담은 학과를 말한다. 피아노·보컬을 비롯해 작곡·싱어송라이터 등의 세부 전공이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오종운 종로학원하늘교육 평가이사는 전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K팝 열풍이 반영된 것이긴 하나 실용음악과 보컬 전공을 둔 대학들이 각각 10명 내외의 소수 인원을 선발하다보니 경쟁률이 높게 나오는 현상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최근 들어 히든싱어나 프로듀스 101, 고등래퍼 등 대중음악을 바탕으로 한 예능프로그램이 인기를 모으면서 실용음악과를 도전하는 지원자들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최근 수시모집 실용음악과 실시시험에서 심사위원을 본 최태완(‘조용필과 위대한 탄생밴드의 건반)씨는 수험생 30명 중 1~2명 정도는 당장 프로로 활동해도 손색없을 정도의 실력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사상 유례 없이 입시 경쟁률이 치열하다보니 고교를 마치고 단번에 실용음악과에 합격하기란 쉽지 않다. 재수나 삼수는 기본이다. 지난해 6021의 경쟁률을 통과한 입시를 서경대 실용음악과 보컬전공 1학년 박라린(24)씨는 5수만에 합격했다. 인문계 고교를 다녔고, 3 때 음악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그는 부모님이 반대하셨다. 그래도 이 길을 가고 싶어 부모님 도움을 받지 않고 온갖 알바를 하며 학원비·레슨비를 스스로 벌었다. 편의점 알바, 당구장 알바, 택배 상하차 알바까지 안 해 본 게 없다. 그래도 포기하지 않고 계속 도전해 지난해 합격했다고 말했다.

입시를 준비하는 시기도 갈수록 낮아져 중학교 단계에서 준비를 하는 학생들도 갈수록 많아지고 있다. 예술 분야 특성화 고교에 진학한 뒤 실용음악과로 가려는 것이다. 이런 덕분에 실용음악과 입시를 준비해주는 실용음악학원이 전국적으로 성업 중이다. 현재 실용음악과 입시학원은 J학원, M학원 등이 대표적이다. 여기엔 수백 명의 학생들이 몰린다. 한 대학의 실용음악과 관계자는 최종 합격도 아니고 1차합격만 해도 학원 홈페이지 등에 합격자 명단을 띄워 홍보할 정도로 학원들의 경쟁도 치열하다고 말했다.

대학들도 입시학원의 움직임에 신경을 쓴다. 입시 곡만 집중적으로 연습해 합격하는 걸 막기 위해서다. 학생들이 선호하는 실용음악과를 졸업하고 학원 강사로 뛰면서 입시 대비를 해주는 사례도 많다. 서경대 음악학부 배장은 교수(재즈 피아노 전공)대학마다 차이가 있긴 하나 실기 시험에서 지정곡을 따로 두지 않고, 자유곡을 연주하게 하며, 초견 악보를 주고 연주해 실력을 보는 것도 이런 이유라며 현재 학생들의 실력이 과거에 비해 전반적으로 나아진 게 사실이나 초견곡을 연주시키면 보면 실력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경쟁이 치열한 만큼 입시비용도 만만치 않았다. 월 학원비는 30~40만원 정도. 학원 강사로부터 직접 레슨을 받거나 학원으로부터 소개받은 사람에게서 레슨을 받을 때 레슨비는 한 번에 30만원이다. 이렇게 되다보면 수시모집을 앞둔 입시철엔 월 200~300만원은 나간다. 올해 실용음악과 보컬을 지원한 한 수험생은 돈도 돈이지만 어느 정도 해야 합격할 수 있는지 좀처럼 가늠하기가 쉽지 않아 답답할 때가 많다. 그래서 계속 도전할 수밖에 없다고 털어놨다.

일단 대학에 들어와도 등록금 부담이 뒤따른다. 실용음악과의 원조격인 서울예술대(전문대) 등록금은 연 892만원(대학 알리미 사이트 기준)이다. 다른 대학 실용음악과도 등록금 액수는 타 계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 어렵게 대학을 다녀도 졸업 이후 취업은 쉽지 않다. 서울예술대 실용음악과 2016년 취업률은 55%였으나 2017년 취업률은 대학알리미 사이트에 집계돼 있지 않다. 박라린씨는 취업이 어렵다는 거 알고 대학에 들어왔다. 젊은 시절 내가 하고 싶은 것에 모든 걸 걸고 싶다고 말했다



< 원문 출처 >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3043785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4179

인문대여! 고개를 들어라, 인문대 반란 <5> 국제비즈니스어학부 일어전공 편 - 주한일본대사관 공보문화원 비서 겸 부번역관 강주연 file

인문학의 사전적 정의는 ‘언어, 문학, 역사, 철학 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그러나 인문학을 전공하는 사람이라면 “인문대는 취직이 안 된다.”, “인문학을 전공해서 어디에 쓸 수 있냐?”라는 말을 한 번쯤은 들었을 것이...

서경대학교, 성북문화재단과 문화예술 교류 협약 체결 file

서경대, 서울시 캠퍼스타운 단위형 2단계 사업대상자로 성북문화재단과 협력하여 지역의 문화예술 경제생태계 조성 예정 양 기관 협약 통해 청년들의 취창업교육, 아동·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역주민 대상 생활예술 사업 등 긴밀 ...

올해의 최우수예술가에 대해 스님·장현수 등 8명 file

올해의 최우수예술가로 선정된 장현수(오른쪽 위부터 시계방향), 강상기, 곽석손, 김재건, 임수정, 서인숙, 오숙자, 대해 스님. [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제공] 영화 '산상수훈'을 연출한 대해 스님(유영의)과 장현수 국립무용단 수석...

사개특위 공청회…검경수사권 조정·공수처 설치 '갑론을박' file

"수사권 분리는 허상"·"檢 수사지휘권 폐지"·"與 법안 어정쩡" "공수처는 정쟁 수단 될 것" vs "검찰개혁 위해 반드시 설치" 팽팽 사개특위 검.경 수사권 조정에 관한 공청회 (서울=연합뉴스) 하사헌 기자 = 14일 오후 국회에서 열...

인문대여! 고개를 들어라, 인문대 반란 <4> 문화콘텐츠학과 편 - 웹툰제작사 ‘투유 드림’ 사원 이가은 file

인문학의 사전적 정의는 ‘언어, 문학, 역사, 철학 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그러나 인문학을 전공하는 사람이라면 “인문대는 취직이 안 된다.”, “인문학을 전공해서 어디에 쓸 수 있냐?”라는 말을 한 번쯤은 들었을 것이다...

성북구, ‘나누는 손길 따뜻한 세상’ 사랑의 김장 담가요 file

성북구, 19일 오전 10시, 구청 바람마당에서 ‘2018 월동기 사랑의 김장 나눔 행사’ 개최 ▲ 2017년 김장나눔행사 모습 서울 성북구와 새마을부녀회가 오는 19일 오전 10시, 구청 바람마당에서 ‘2018 월동기 사랑의 김장 나...

2019 아시아모델페스티벌 ‘페이스 오브 코리아’ 본선 진출자 30명 선정 file

2019 아시아모델페스티벌 페이스 오브 코리아 관련 본선 진출자 최종 30명이 선정됐다. 2019 아시아모델페스티벌 페이스 오브 코리아의 본선대회 진출자 최종 30명이 선정됐다. (사)아시아모델페스티벌조직위원회(회장 양의식)와 (사)...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 학생들이 제작 및 방송에 참여하고 있는 한국직업방송의 생방송 ‘취업이 보인다 X 청년기획단이 간다!’ 31회차 방송분 ‘조향사’ 편, 10월 8일(월) 오전 11시부터 1시간 동안 방영 file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운영위원장 방미영 교수, 이하 ‘청문단’) 학생들이 제작 및 방송에 참여하고 있는 한국직업방송의 생방송 ‘취업이 보인다 X 청년기획단이 간다!’ 프로그램(아나운서 ‘조서연’, PD ‘한아름’)의...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모델연기전공 제4회 정기공연 연극 ‘쥐덫’ 공연 현장을 다녀오다 file

11월 8일~10일 사흘간 교내 북악관 8층 스튜디오서 총 3번에 걸쳐 무대에 올려져 연출 맡은 김재경 군(공연예술학부 16학번 모델연기전공) 인터뷰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모델연기전공 제4회 정기공연 연극 ‘쥐덫’이 지난 11...

[구병두 서경대 교수 교육칼럼] 학령인구 감소 따른 지방대학 몰락을 막아야하는 이유 file

서경대학교 인성교양학부 교수 (사)한국빅데이터협회 부회장 우리나라는 역사상 유례가 없는 짧은 기간에 산업화와 도시화로 소득증대를 가져왔지만 동시에 부의 증대와 도시화는 출산율을 낮춰 인구구조를 약화시켰다. 인구구조의...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