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서경대 반성택 교수.png 

반성택 서경대 철학과 교수


우리가 세계에 흥미로운 뉴스를 제공하는 날이 또다시 다가온다. 매년 수능일에는 한반도 상공의 비행기 운항이 조정되고, 서울대라는 이름이 세계에 휘날린다. 성적이 좋은 순으로 3천여명을 쓸어 담는 그 대학이 세계 대학평가에서 100위권 안에 못 들더라도 SNU는 그날의 세계 뉴스를 장식한다. 한국에서는 이 하루에 일생의 직업, 이와 연계된 돈, 나아가 삶의 동반자가 대략 정해진다고 외국 언론들은 다소 과장하여 전하는 것이다.

해외 토픽 정도의 이러한 뉴스를 낳는 근본 요인은 물론 대학 서열구조이다. 이 오랜 서열구조에서 살아온 선배세대는 상위권 대학 입학이 아주 쓸모있는 밑천임을 체득하여 왔다. 학벌구조로의 성공적 진입은 이룰 수만 있다면 가장 효율적인 투자라고 그들은 이구동성으로 회고한다.

 

서열구조는 여전히 견고한 가운데 1115일은 수험생에게도 출제자에게도 도래하고 있다. 하루의 시험으로 직업도 돈도 대개 결정한다는 것은 수험생에게 큰 부담이지만 출제자에게도 중대한 과제에 해당한다. 50만명이 넘는 수험생들을 순위로 세우되 이유있게 세워야 하는 것이다. 이는 불가능한 일처럼 보이나 그들은 4주간 합숙을 하며 최선을 다한다.

 

그 비법은 평이한 문제부터 이른바 '킬러 문항'까지를 주요 과목에 넣는 것이다. 몇해전까지는 수학과 영어가 일류대 입학 여부를 결정하여 왔다. 그러면서 2014년쯤에 이르러서는 변별력을 위하여 출제되는 영어의 고난이도 문항들이 임계치를 넘었다는 지적이 쏟아졌다. 대졸 영어 원어민도 풀지 못하는 영어 문제가 출제된다는 것이다. 이에 영어 절대평가가 시행되었다. 영어보다 더 중요한 요소인 수학에 대하여도 미적분을 중심으로 너무 어렵다는 비판이 쏟아져 왔지만 수학은 꿋꿋하다. 이는 과학입국을 기치로 근대화를 이룬 이 사회가 수능 수학이 학벌사회 형성과 지속에 미치는 절대적, 파행적 영향력에는 애써 눈을 감고 수학적 사고의 가치는 수용한 결과이다. 수학은 서양 근대에서 과학과 함께 하여 왔지만 수능 수학에서는 중고교 시절 내내 성실하게 축적하는 역량이 결정적이다. 서양 근대가 보여주는 과학의 도전, 혁신 자세보다는 성실한, 꼼꼼한 역량이 수학 성적에 주로 반영되는 것이다.

 

수학 포기는 일류대 포기를 뜻한다. 이를 학원가는 '수포면 대포다'라는 현수막에 담아낸다. 이렇듯 수학의 지배력은 여전한 가운데 영어 절대평가가 시행되며 수험생의 7% 내외가 1등급을 받게 되었다. 영어가 일류대 결정요소에서 밀려난 빈자리를 이제 국어가 이어받은 형국이다. 지난 몇 년간 국어 문제를 보면 숨이 막힌다. 1등급을 받으려면 다른 문제를 다 풀고 킬러 문항에서 승부를 내야 한다. 그런데 고난이도 지문들은 철학, 경제, 과학 등에 대한 일반적 소개가 아니라 전문적 내용을 담고 있다. 악명 높은 지문들은 주로 철학의 몫이다. 칸트의 판단력비판,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 콰인과 포퍼의 분석철학이 킬러 지문을 장식해오고 있다. 학원가에서는 올해 철학 지문은 어느 분야에서 나올지를 예견하며 특강을 개최한다는 소식도 들린다. 프랑스 철학 시험의 한국판인 꼴이다.

 

이 지문들을 보면 특징이 있다. 제시된 지문은 전문가나 읽을 법한 글인데 질문은 평이하다. 난해한 지문을 놓고 이해력을 테스트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이 수학의 고난이도 몇 문제와 더불어 명문대 입학을 결정한다. 지난 9월 모의평가를 전하는 뉴스들은 국어에서 오답률이 가장 높은 5문항 중 4문항이 독서 문제에서 나왔다고 전한다.

 

인문학 위기와 함께 대학의 국문과는 현재 스러져 가고 있지만 대입 국어는 융성하는 인상이다. EBS 교재는 전문적 지문들을 다루며 학생들을 고난도 문항에 대처하도록 돕고 있다. 병 주고 약 주는 식이다. 영어 절대평가제가 비상식적 난이도의 국어 지문으로 돌출하는 형국이다.

 

한 명의 철학교수로서 변별력을 이유로 자행되는 이러한 지문 오용을 고발하고 싶다. 철학의 주요 문헌을 고교를 졸업하고 학문과 직능교육에 진입하는 이들에게 지문으로 제시하여 중대한 시험에서의 생존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부당한 출제라 말하고 싶다. 그것이 변별력을 위한 것이라도 말이다. 전공자도 어려워하는 독서 지문은 더 이상 국어 시험이 아니다. 국어 영역은 자신들이 일류대 진학 여부를 결정한다는 사명감을 내려놓기 바란다. 보다 많은 수험생들에게 높은 등급이 부여됨을 출제자들이 변별력을 이유로 피하기보다는 오히려 국어 교육의 성공으로 인식하기를 바란다




< 원문 출처 >

디지털타임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101202102269640001&ref=naver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824

모델 김기범, 모델캠프 1등해 꿈 이룬 사연은? file

사진=김기범SNS [한국정책신문=최동석 기자] 연습생 출신 한서희가 19세때 클럽에서 방탄소년단의 멤버 뷔와 모델 김기범을 목격했다는 발언이 논란이 일자 모델 김기범에대한 네티즌들의 관심이 뜨겁다. 최근 한서희는 자신의 ...

서경대학교 페미니즘학회 ‘조짐’, 미투(ME TOO) 운동 관련 공개 발제 열어 file

4월 5일(목) 오후 6시 교내 혜인관 309호서 ‘조짐’ 공개 발제 포스터 서경대학교 페미니즘학회(학회장 서민주) ‘조짐’의 미투(ME TOO) 운동 관련 공개 발제가 지난 4월 5일(목) 오후 6시 교내 혜인관 309호에서 열렸다. ‘...

[조정근 서경대 경영학부 교수 조선비즈 국제세무칼럼] 한국 6개 연기금이 맨해튼에서 1600억원 말아먹은 이유 file

조정근 서경대 경영학부 교수 2007년 3월, 우정사업본부 등 한국의 6개 연기금(사학연금, 공무원연금, 지방행정공제회,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은 미국 부동산 투자에 나섰다. 특수목적 합자회사(SPC)의 유한책임사원으로...

대만 중부 영동과기대, 서경대와 형제대학 됐다 file

자오즈양 총장, 서경대와 전방위에 걸친 협력관계 구축 희망 MOU 체결 직후 구체적 교류 방안 협의해 확정 영동대 학생들 서경대서 단기 연수 갖고 이 기간 중 양교 교수들 워크샵 개최키로 학생 교류 시행하고 석·박사 과정 공동운...

서경대학교 뮤지컬학과 정기공연 ‘헤어스프레이’ ‘대성황’…문예홀 전석 매진 - 고품격 문화 예술 선사, 뮤지컬 스타들의 새로운 탄생. file

헤어스프레이 뮤지컬 무대 스틸컷 서경대학교 뮤지컬학과의 2017학년도 2학기 정기공연인 ‘헤어스프레이'가 12월 20일부터 24일까지 열렸다. 공연 전부터 입소문이 자자했던 뮤지컬 헤어스프레이는 김삼일 서경대 뮤지컬학과 교수가...

“머리 다듬고 金따면 다시 오겠다던 약속 지켰네요” file

美 크로스컨트리 선수 랜들 선수촌 미용실서 머리 손질 뒤 여자 팀스프린트 프리 금메달 헤어디자이너들과 기쁨 나눠 ▲ 미국 크로스컨트리스키의 키컨 랜들(왼쪽)이 24일 평창 선수촌 미용실에서 김유정 서경대 교수에게 금메달...

[인터뷰] ‘벤허’ 박민성(서경대 공연예술학부 졸업) “인정사정없는 노래, 올드보이 ‘장도리씬’ 생각날 거예요” file

데뷔 10주년, 이름 바꾸고 첫 무대…흔하지 않은 악역 ‘메셀라’로  ▲ 뮤지컬 ‘벤허(연출 왕용범)’에서 메셀라 역을 맡은 배우 박민성을 서울 흥인동 충무아트센터에서 만났다.(뉴스컬처) ©윤현지 기자 최근 공연계에서 활동...

코로나19 이후, 국내 대학 공간 대관 ‘뉴 노멀’ 주목

쉐어잇㈜, 스쿨쉐어링(School Sharing) 플랫폼으로 대학이 수익과 관리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도록 설계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국내 대학들의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위한 고심이 깊어지고 있...

적성고사, 서경대 시작으로 한신대까지 11개 대학에서 실시

2021학년도 적성고사 실시 대학 분석 및 대비 방법 가천대‧서경대‧한성대 등 11개 대학에서 4,506명 선발 2021학년도 대학입시로 마지막 시행이 될 적성고사는 학생부 교과 성적과 수능시험 평균 등급이 4등급 이하이면서 논술고...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일본에서도 ‘기생충’ 열풍 file

지난해 말 일본 도쿄 시부야에서 열린 영화 ‘기생충’의 기자시사회에서는 보기 드문 광경이 펼쳐졌다. 처음부터 웃음바다를 이뤘던 시사회는 영화가 시작하고 5분여 지난 뒤부터 그야말로 폭소의 도가니였고, 중반부에는 진지...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