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구병두 교수.jpg

서경대학교 인성교양학부 교수/()한국빅데이터협회 부회장


한국인은 타민족에 비하여 유달리 ()’이 많은 민족이라는 사실에 대해서는 자타가 공히 인정한다. 우리 민족은 옛날부터 겸손을 미덕으로 하는 삶을 살아왔기에 자신을 내세우거나 자화자찬(自畵自讚)하는 것을 금기로 여겼다. 그러므로 정은 타민족과는 다른 우리민족의 독특하고 고유한 문화적정서적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심리학자들은 정에 대해 대체적으로 두 가지 의미로 설명하는데, 그것은 성격 특질로서의 정과 대상지향적 정이다. 대상지향적 정을 많이 경험하면, 그 경험은 다시 성격 특질로서의 정으로 일반화되어, 이러한 성격 특질로서의 정은 다시 차후의 대인관계에서 대상지향적 정을 경험하게 된다는 것이다.

정은 한국인의 대인관계에 있어서 친밀감의 정도를 나타내는 가장 대표적인 심리특성 중의 하나이며, 동시에 관여된 두 사람 또는 그 이상의 사람들 간의 친밀한 정도를 나타내거나 기술하는 준거척도가 되기도 한다.


정은 그 자체만으로 대인간의 밀착성을 스스로 지각하게 만드는 데는 충분하지 못하며, 애정이나 사랑과 같이 열정적인 감정 상태라기보다는 오랜 기간 동안 서서히 쌓여져서 자연스럽게 느끼게 된다. 정이 들 수 있는 사건이 많거나 정의 감정이 빈번하게 느껴졌던 기간이 길다고 해도 이를 정이라고 의식하는 특별한 계기가 없으면 두 사람 간의 밀착관계는 정의 관계로 인식되지 않는다.


정은 아주 섬세하고 미묘한 인간관계망을 유지하는데 없어서는 안 될 정서적 특성이라고 보아도 좋을 성 싶다. 정은 남의 어려움이나 고통을 공감하고 공유하는 데에서 싹튼다. 따라서 정이 많은 사람의 성격 특성은 우선적으로 남의 아픔을 자신의 아픔처럼 느끼고 공유하며, 치유하려는 경향성이 높다.


정은 우리민족의 가장 독특한 정서 중의 하나라고 한다면, 이에 상응하는 보다 보편적이고 지속적인 인간관계망의 인과(因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상호성의 법칙은 빼놓을 수 없는 이론이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상대방이 자신의 부탁을 들어주거나 호의를 베풀어 주었을 때, 청탁이나 호의에 대해 보답해야한다는 마음을 갖게 되는 것은 당연하기 때문이다.


패세와 길린(Paese & Gilin)에 의하면 사람들이 원하지 않는 호의조차도 제공받으면 빚진 느낌이 든다는 것이다. 수퍼마켓에서 친절한 판매원이 권하는 공짜 음식을 제공받고 구입하지 않고 자리를 떤다거나 화장품 판매원으로부터 내키지 않는 샘플을 공짜로 제공받고도 시치미를 뗀다는 것은 말처럼 쉽지 않다. 우리 속담에 소금도 먹은 놈이 물켠다거나 가는 것이 있으면 오는 것이 있다(來在去在)’라는 말은 상호성법칙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상호성의 법칙은 정치판에서도 그 위력을 여실히 드러낸다. 주요한 선거(대선, 총선, 지자제 선거 등)에서 승리한 후보자들은 자신의 당선을 도와준 참모들과 후원자들에게 논공행상으로써 보답하는 것도 인지상정(人之常情)이자, 상호성의 법칙과 무관하지 않다. 상호성의 법칙은 사람들과의 관계를 주고받는(give & take) 관계로 설명하는 교환이론(exchange theory)과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정이나 상호성의 법칙은 둘 다 인간관계망을 설명한다. 이를 인간관계와 관련지어 분석해보면, 정은 애정이나 사랑과 같이 열정적인 감정 상태라기보다는 타인을 사랑하고 도우며, 남의 아픔과 어려운 처지에 대해 공감하고 공유하는 심리특성을 지닌다.


반면에 상호성의 법칙은 동적(動的)이며, 정에 비해 물질적인 관계성에 더 비중을 두는 인간관계 이론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 같다. 무엇보다도 정과 상호성의 법칙의 공통점은 주면 되돌아오고, 받으면 되돌려주는 지속적인 상호작용과 상호보완적 특성을 지닌다. 그러기에 정과 상호성 법칙은 좋은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윤활유 역할을 하는 필요조건임은 분명한 것 같다.


< 원문 출처 >

민주신문 http://www.iminju.net/news/articleView.html?idxno=3893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469

서경대학교 현장실습지원센터 현장실습 활성화 방안 모색 및 학생들의 취업경쟁력 강화 위해 취업연계 중점대학 사업 참여 기업 방문, 기업 관계자와 참가 학생 목소리 ‘경청’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현장실습지원센터(센터장 김주연 교수)는 지난 1월 25일, 26일 양일간 취업연계 중점대학 사업 참여 기업과 참여 기업에서 현장실무 경험을 쌓고 있는 학생들의 목소리를 직접 청취하며 현장실습 활성화 방...

국제비즈니스어학부 노어전공 교환학생 료샤 알렉세이 인터뷰 “한국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싶어요.” file

“한국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싶어요.” 료샤 알렉세이 소유진 학생기자: 안녕하세요.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료샤 알렉세이: 안녕하세요. 러시아에서 온 료샤 알렉세이입니다. komsomolsk-on-amur state technical university에서 기...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연기전공 1학년, 연극 ‘오장군의 발톱’ 성황리에 마쳐 file

2019 통합형 공연예술 창의인재 양성 프로그램 일환…첫 공연임에도 완성도 높은 무대 선보여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연기전공 1학년 학생들이 주축이 돼 만든 연극 ‘오장군의 발톱’이 지난 11월 21일(목)부터 23일(토)까지 3...

구자억 서경대 혁신원 원장 중국 CCTV와의 인터뷰 현지서 방영돼 file

6월 17일(토) 낮 12시, 대학의 교육혁신과 구조개혁에 대해 의견 피력…서경대 캠퍼스 전경 소개되기도 6월 17일(토) 낮 12시 중국 CCTV(중국공영채널 중앙방송)에서 구자억 서경대 혁신원 원장의 인터뷰가 특집형태로 방영됐다. 장...

서경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4차 산업혁명 시대 글로벌 문화시장의 차세대 리더 양성 file

영화, 방송, 엔터테인먼트, 문화기획 분야 전문가로 대거 진출…전문지식과 현장실무 연계 교육…전도 유망한 ‘스타학과’로 인기 지식기반 소프트 산업의 꽃인 문화콘텐츠 산업이 지속적인 성장세를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의 한국 블로그]한국×일본, 어떤 화학작용이 일어날까 file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한국과 일본의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지혜를 모아 펼치는 아이돌 육성 프로그램 ‘프로듀스 48’이 화제다. 내가 근무하는 대학에는 중국, 대만, 러시아 등에서 온...

서경대학교 창원지원센터, 학생 창업 지원 비교과 프로그램 진행 file

창업기초이론부터 창의적 프레젠테이션ㆍ스킬 트레이닝까지 서경대학교 창업지원센터(센터장 박일순 교수) 주관으로 지난 3월 23일(금)부터 3월 30일(금)일주일간 비교과 과목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은 오전 9시부터 12시까지 ...

‘대학혁신 학생기획단’ 운영 통한 학생들의 대학운영 참여와 소통 강화 file

서경대는 대학혁신 학생기획단을 통해 학생의 눈높이에서 대학 운영과 혁신에 관한 내용을 진단·개선하고 있다. 매년 공개모집으로 선발하며, 면대면 또는 온라인으로 운영한다. 서경대학교가 ‘대학혁신 학생기획단’을 운영해...

서경대학교, 청운대학교와 대학 간 공유대학 활성화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7월 29일(수) 오후 2시 서경대 유담관 15층 회의실서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7월 29일(수) 오후 2시 서경대 유담관 15층 회의실에서 청운대학교(총장 이우종)와 대학 간 공유대학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서경대학교 인성교양대학, ‘2018 교양과목 공모전’ 시상식 개최··· ‘대상’ 수상한 경영학부 권찬혁 군 등 6명에게 상장과 상금 지급 file

12월 20일(목) 오전 10시, 서경대 본관 7층 인성교양대학장실서 서경대학교 인성교양대학(학장 구자억)은 12월 20일(목) 오전 10시 서경대 본관 7층 인성교양대학장실에서 ‘2018 교양과목 공모전’ 수상자로 선정된 권찬혁 군 외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