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동아일보_180904.jpg

9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함께 이어가요 우정을 미래로라는 슬로건으로 14회 한일축제한마당 2018 in Seoul’이 개최된다. 이 행사는 199810월 당시 김대중 대통령과 오부치 게이조 일본 총리의 한일공동선언이 발단이 됐고, 2005한일우정의 해에 시작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2009년부터는 도쿄에서도 개최되며 많은 한국인과 일본인이 하나가 돼 만드는 최대 규모의 한일교류행사가 됐다. 이 축제는 지방자치단체와 기업, 체험이벤트, 푸드 등의 부스가 설치돼 전통부터 젊은이들에게 인기 있는 코스프레, 케이팝(K-POP), 제이팝(J-POP) 등 한국과 일본의 다양한 퍼포먼스가 펼쳐진다.

 

동아일보_180904(2).jpg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특히 올해 가장 주목할 볼거리로는 지난해 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이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에 등재된 것을 기념해 마련된 조선통신사 재현 행사를 꼽을 수 있다.

 

조선통신사는 1607년부터 1811년까지 양국 관계 개선을 위해 12차례 일본을 방문한 조선의 외교사절단이다. 일행은 정사, 부사, 종사관을 비롯해 악단, 무인, 의사, 역관, 화가 등으로 구성됐고 규모가 클 때는 인원이 500여 명에 달했다. 행렬은 한양에서 부산, 쓰시마섬(대마도), 교토를 지나 에도(현재 도쿄)까지 왕복하는 커다란 행사였다. 사람뿐 아니라 많은 문물이 전해졌고 가는 곳마다 큰 환영을 받았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뒤에서 서로 예의를 갖춰 존중하는 유학자들의 무수한 노력이 있었다. 이번 축제에서는 전통의상을 갖춘 임금, 정사, 부사, 종사관 등이 등장해 조선통신사의 삼사임명식과 국서전달식이 거행될 예정이다. 이날 전해지는 국서는 22일 도쿄에서 열리는 축제에 전달된다.

 

나는 1989년 대학원 강의 문학과 예술을 통해 조선통신사를 알게 됐다. 강의 내용은 조선통신사의 일기, 시문, 회화를 통해 양국 교류를 조명하는 것이었다. 이때가 문득 떠올라서 자료를 모아뒀던 상자를 열었다. 누렇게 변한 자료를 보니 당시 감동이 되살아났다. 끔찍했던 임진왜란 이후 불과 9년 만에 조선과 일본의 관계를 회복시키려 악전고투하며 교류하려던 사람들이 있었다. 그 사실은 대학원 재학 당시 반일적인 공기에 숨이 막힐 것 같던 내게 숨통을 틔워줬다.

 

조선통신사를 알게 된 뒤 내 관심은 조선통신사 이후 시기로 옮겨졌다. 유학자들이 저렇게 고생해 회복시켜 200년을 이어온 선린외교가 왜 단절됐고, 제국주의에 의한 식민지배로 폭주했을까? 일본은 과거 한국에 아직껏 아물지 못한 상처를 남겼다. 일제강점기 35년은 비극이라고 표현할 수밖에 없고, 그 상처는 무척 깊다. 평온은 그곳에 사는 사람들을 무시해 정치가 앞서거나 경제적인 욕심을 낸 순간 너무도 쉽게 망가졌다. 그리고 그 상처는 그럴 때마다 더욱 깊어진다. 나는 화려한 조선통신사보다 그 후 역사의 쓰라린 경험에서 여러 교훈을 얻는다. ‘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의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 등재는 양국 정부가 아닌 부산문화재단과 조선통신사연지연락회의 추진으로 이뤄졌다. 정부가 아닌 민간단체에서 추진해 신뢰와 양보라는 조선통신사의 정신을 오늘에 되살렸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7월 나는 대마도에 가서 이즈하라시에서 하룻밤을 묵었다. 다음 날 아침 남편과 함께 고쿠분지까지 산책했다. 그곳은 조선통신사의 객관이 있던 곳이다. 나는 유일하게 남아있는 대마도 제일의 산문을 지나 잡초가 자란 공터를 바라보며 조선통신사가 숙박했던 화려했던 당시를 떠올렸다. 아마 통역을 통하거나 필담을 나누며 화원에게 그림을 부탁하고 지적인 교류를 나누지 않았을까. 거리에는 한국인 관광객들이 가득했지만 아침 고쿠분지는 고요하기 이를 데 없어 여러 상념에 잠기게 했다. ‘한일축제한마당 2018 in Seoul’은 다시 선린외교를 이뤄냈던 유학자들의 정신으로 되돌아가 한국과 일본의 건설적인 미래를 이어가는 한걸음이 되길 기원한다. 축제 당일 나도 운영위원으로 참가해 한복을 입고 행사장에 있을 것이다. 많은 분들이 찾아와 한국과 일본의 돈독한 우정을 함께 나눠주면 감사하겠다.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 원문 출처 >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3/all/20180904/91822456/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4308

제1회 서경대학교 총장배 인터내셔널 골프챔피언십 성료 file

8~17일 강원도 웰리힐리CC에서 열려…아마추어 골퍼들 수준급 기량 뽐내 중ㆍ고등부 수상 선수들이 트로피를 치켜들며 환호하고 있다. 서경대학교는 올해 수시전형을 통해 새롭게 개설되는 스포츠엔테크놀로지학과를 기념해 서...

육군, 제1회 전력지원체계 소요제안 챌린지 시상식 file

메타버스 기반 예비군훈련장 제안 ‘최우수상’ 18일 계룡대에서 열린 ‘제1회 육군 전력지원체계 소요제안 챌린지 시상식’에서 이상민(왼쪽 넷째) 소령 등 수상자와 관계자들이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육군이 개최한 ‘전...

서울시가 설립하고 서경대학교가 수탁 운영하는 시립양천청소년음악창작센터, AI 기반 음원 제작 플랫폼인 엔터아츠(AIM뮤직)와 상호 교류 및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서울시가 설립하고 서경대학교가 수탁 운영하는 시립양천청소년음악창작센터는 AI 기반 음원 제작 플랫폼인 엔터아츠(AIM뮤직)과 8월 17일(수) 오후 3시 서경대 본관 대회의실에서 상호 교류 및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

김기은 서경대 화학생명공학과 교수칼럼: 바이오연료와 에너지 안보 file

김기은 서경대 화학생명공학과 교수 바이오 연료란 유기물에서 추출하거나 공정을 거쳐 생산된 액체와 기체 연료로 정의되며, 발전과 운송 부분에서 화석에너지원과 비교해 CO₂ 배출을 65-70%까지 줄이면서 동시에 안정적으로...

"한 발짝만 걸으면 북한인데... 몇십 년간 못 갔다니 안타까워요" file

2030 평화통일 교육 '문화콘텐츠로 접근하는 평화 통일' 체험 행사 진행 2030세대를 위한 평화통일 교육인 '문화콘텐츠로 접근하는 평화 통일' 행사가 13~14일 양일간 임진각과 포천 등지에서 진행됐다. 2030세대를 위한 평...

서경대학교, 극동대학교와 양교 군사학과 간 정예 호국간성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극동대학교(총장 류기일)와 8월 11일(목) 오후 3시 30분 교내 본관 3층 대회의실에서 양교 군사학과 간 정예 호국간성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서경대학교에서 김범준 부...

서경대학교, 「2022년 인생나눔교실(수도권)」 기획사업 ‘우리동네 인생나눔교실’ 멘토 선발 및 오리엔테이션 진행 file

멘토 5명 최종 선발···사업계획 및 활동과정, 멘토링 일정, 기타 행정사항 등 안내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문화예술센터(센터장 한정섭)는 ⌜2022년 인생나눔교실⌟수도권 지역의 ‘우리동네 인생나눔교실’ 멘토를 최종...

서경대신문 562호 file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사업단, 지역활성화 프로젝트인 ‘정릉스쿨’ 문화예술 프로그램 운영할 8개 사업팀 선발 file

프로그램 운영비, 사업운영공간 등 지원 예정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단장 김범준)은 서울시 캠퍼스타운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정릉스쿨’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운영할 8개 사업팀을 공모를 통...

[서경대 카드뉴스] 2022학년도 2학기 서경대 수강신청 총정리 file

<관련 공지> 2022학년도 2학기 장바구니 신청 및 수강신청 안내 https://www.skuniv.ac.kr/index.php?mid=notice&document_srl=214962 2022학년도 2학기 비대면수업 교과목 안내 https://www.skuniv.ac.kr/index.php?mid=...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