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 20년간 차세대 영상기술 연구에 몸담은 실무파 연구박사, 행정가로 '인생 2막'


2010년초 게임 분야 혁신을 일궈낸 기업들이 판교로 하나둘 모여들었다. 잘나가는 기업들이 모여들자 중소기업들도 덩달아 일터를 옮기더니, 이내 IT기업, 로펌들까지 몰려들면서 한국판 실리콘밸리가 탄생한다. 이와 동시에 판교지역 부동산 가격은 하늘 높이 치솟고, 버티기 힘든 중소기업들과, 신흥 게임기업들은 이제 다음 지역인 과천을 노린다. 그런데 여기 새로운 다크호스 전라북도문화콘텐츠진흥원(이하 JCCIA) 이름이 거론되고 있다. '왜 일까?'말 그대로 파격적인 지원을 통해 게임 기업들을 모시는 수준이다. 공간임대, 마케팅 지원, 멘토는 물론, 엑셀레이터 연계까지 준비하면서 제대로 밀어줄 테새다.


"20년동안 이 바닥에서 죽지 않고 소위 '좀비'처럼 살아남았습니다. 이유는 딱 하나입니다. 작품 하나 만들고 싶습니다. 세계 시장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작품. 그걸 만들고자 JCCIA에 발을 디뎠습니다." 

JCCIA 최용석 원장은 이번 선임을 거치면서 확고한 신념을 비췄다. 자신이 직접 회사를 운영하면서 겪었던 설움과, 정부 정책을 주도하면서 느꼈던 아쉬운점, 차세대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포인트 등 그간 준비해왔던 요소들을 함께 버무려 '일'한번 내보겠다는 각오다. 그렇다면 그는 어떤 준비를 하고 있을까. 6월 28일 예정됐던 취임식마저 취소하고 현장으로 달려가서 일을 하기 시작한 그를 따라가 이야기를 들어 봤다. 


최용석 교수1 .jpg


최용석 원장은 마당발이다. 원장 선임 전에도 그는 쉬지 않고 뛰었다. 거의 모든 가상현실 분야 굵직한 행사에서 그를 볼 수 있었다. 그는 항상 '사람과 함께'였다. 잘나가는 CEO들은 기본이고 이제 막 기기를 들고 시제품을 선보이는 인디개발팀까지도 그의 주변에 모여든다. 동시에 그는 달변가다. 서글서글한 인상 속에는 날카로운 송곳이 숨어 있다. 웃으며 핵심을 말하고, 웃으며 아픈곳을 찌른다. 그러다보니 그는 가상현실분야를 대표하는 유명인사 중 하나다. 언제까지나 뭔가를 미친 듯이 만들 줄 알았던 인물이기에 그의 행보에 물음표가 찍힌다. 그는 왜 행정가로서 행보를 택했을까. 


정확한 목표, 합리적 투자 우선시돼야 
"누구나 목표는 분명합니다. 대박 한번 내 보자. 그래서 돈을 투자받습니다. 그런데 정작 받는 돈은 쥐꼬리만하죠. 만들 능력이 있어도, 도전해 보고 싶어도 도전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면서 투자한 측에선 제임스카메룬 감독 '아바타'급 결과를 바라니 선과 후가 맞을 리가 있겠습니까. 그렇다면 그 환경을 바꿔야 하지 않을까요." 
최 원장은 아직까지도 우리나라 콘텐츠 산업은 '잠재력의 영역'에 머문다고 봤다. 더 잘할 수 있는 잠재력이 존재하지만 사실 그를 발현해볼 '제대로 된 기회'를 받지 못하면서 한계에 부딪힌다는 지적이다. 때문에 그는 '목표'부터 변경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최용석 교수2.jpg


"지원 과제들을 예로 들면 목표는 인프라구축인데 결과 보고는 '돈'이거든요. 얼마를 썼고, 얼마를 벌었고에만 관심을 둡니다. 걸음마를 떼자고 이야기하는데 100m세계기록을 앞에 두고 초침을 돌리는 일 보다, 잘 걸어가는걸 옆에서 다독이는 사람이 더 필요합니다."
최 원장은 이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전반적인 제도를 개편하겠다고 이야기한다. 제대로된 선발과, 심사 평가 등 과정을 거쳐서 착실하게 단계별로 쌓아나가는 사업을 진행해 나갈 계획이다. 


'콘텐츠 엑셀레이터' 육성 프로젝트 
최 원장은 동시에 스타 육성프로젝트에 돌입할 계획이다. 기업이 꿈틀거리기 시작하면 이를 키워줄 역할, 소위 '엑셀레이터'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그는 말한다. 실리콘밸리에서처럼 단계별 미션을 줘서 기업 잠재력을 이끌어 내고, 이를 투자로 연계하면서 기업을 부스팅해줄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그는 역설한다.


최용석 교수3.jpg


"보통 '기업'들에만 도전하라고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그 결과물을 보고 판단한 다음 투자하죠. 뭔가 이상하지 않습니까? 같이 도전하고 결과물을 나누는 것이 정당한 그림일 것입니다. 그렇다고 그들에게 (돈을) 풀어라고 소리질러도, 심지어 정부 시드 머니를 쓰라고 해도 꿈쩍도 하지 않습니다. 하다못해 발가락이라도 꼼지락거릴 수 있도록 찔러 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는 당분간 자금줄을 쥐고 있는 이들이 움직일 수 있도록 발가락을 찌르는 일을 담당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더 많은 기업들이 '단계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축할 방침이다. 


글로벌 플랫폼 '도전' 
"가상현실 분야를 보면 국내 시장이 진짜 좁습니다. 열린다 열린다하지만 사실 그리 쉬운일이 아니거든요. 그러면 국내에서 통하지 않는다면 해외로 나가는 것은 어떨까요. 양질의 콘텐츠들을 끌어 모은 다음에 여러 개 묶어서 '마음에 드는 것을 고르세요'하도록 하는 장치죠. 이걸 들고 여러 사람들을 찾아다닌다면 반드시 성과는 나올 것입니다."
개인이 작품을 들고 뛰는 것 보다 기관이 직접 뛴다면 분명히 그림은 다를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기관들도 분명히 몇차례나 시도했던 부분이다. 그의 이야기는 뭔가 다르다. 단순히 부스를 내고 찾아오는 사람들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직접 찾아 나서겠다고 그는 말한다. 같은 고충을 겪고 있는 단체와 협업을 한다거나, 핵심 담당자들을 미팅하는 것과 같은 방식이 시도될 예정이다. 


최용석 교수4.jpg


"사실 저희 조직은 타 조직에 비해 아주 젊습니다. 저부터 40대 기관장이고, 멤버들은 게임회사를 비롯 실무를 경험한 멤버들이 태반입니다. 그러다보니 기존 행정기관에서는 시도하기 어려웠던 부분들을 적극적으로 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봅니다. 아직 초기인만큼 구체적인 이야기를 말씀드리기가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대신 조만간 결과물을 들고 인사드릴 기회가 분명히 올 것입니다. 그 때 제대로 다시 한번 말씀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습니다."
최 원장은 1시간 30분동안에 걸쳐 이야기를 쏟아 냈다. 점심 식사도 거르고 진행한 인터뷰였다. 분명 열정만큼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인물이다. 그 열정이 훌륭한 결과물로 찾아오기를 기대해본다. 


Side Story-어글리 코리안의 눈물


최용석 교수5.jpg

최용석 원장은 90년대부터 가상현실 콘텐츠 개발에 매진했던 인물이다. 그는 유니버셜스튜디오나 디즈니에서 만드는 체험 콘텐츠들을 제작해보고 싶었다고 한다. 지금과 달리 당시에는 자료가 전무해 직접 현장을 방문하는 방법 밖에 없었다고 한다.
"백번도 더 갔죠. 또 타고, 또 타고, 몰래 사진도 찍고. 자료가 있어야 흉내라도 내보니까요. 그러다 한날은 걸렸어요. 절 붙잡고 한 1시간 30분동안 욕이란 욕은 다 하더라고요. 다시는 오지말라는 이야기도 들었고요. 어글리저패니즈(그 와중에 최 원장은 일본인이라고 밝혔다) 소리를 듣고 나니까 눈물이 쏟아지더라고요. 한 30분동안 울었죠. 다시는 울지 않겠다. 니들 보다 우리가 더 잘만들 수 있다. 그래서 지금도 이 바닥에서 좀비처럼 살아있습니다. 평생동안 노력할 것이고요."
언젠가 JCCIA에서 세계를 깜짝놀랄 작품이 탄생한다면 디즈니 멤버들에게 어글리양키를 외치기 보다는 악수를 청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원문 출처>

헤럴드경제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80720000628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4607

김동연 “우리만의 리그 만들면 국민의 소리 듣기 어렵다” file

명문대 인맥 공직사회에 쓴소리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달 29일 의료기기 규제혁신의 일환으로 강원도 원주 동화첨단의료기기산업단지 소재 ㈜메디아나를 방문해 기업관계자들로부터 업계의견을 청취하고 있다. 김...

[LAW & JUSTICE] 형사법 학자들, 정부 발표 수사권 조정 합의문 어떻게 보나 file

검찰미래기획단-형사법 아카데미, 수사권조정 세미나 정웅석 교수 “검찰 개혁 아닌 법체계 선택의 문제다” 김성룡 교수 “수사 기본원리에 부합하지 않는 논의” 이경렬 교수 “유사 논의 있던 독일 볼 때 방향 잘못” 이정민 ...

[진세근 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 : 漢字, 세상을 말하다] 糊口<호구>

호구를 순 우리말로 쓰면 ‘입에 풀칠 한다’ 정도 된다. 제대로 된 음식이 아니라 죽(粥)을 먹는다는 얘기다. 송(宋)대 사마광(司馬光)의 저서 『온국문정(溫國文正) 사마광 문집(文集)』 내 <훈검시강(訓儉示康)>에 처음 보인다. “간...

[반성택 서경대 철학과 교수 시론] 인문학 지원사업과 전임교수제 file

지난 6월 말 국회에서 열린 인문학진흥 토론회에 다녀왔다. 객석에서 보니 인문한국(HK)사업, 대학인문역량강화(CORE)사업 관계자들이 대형회의실을 가득 메우고 지원 지속을 거론하고 있었다. 돈 이야기였다. 가을철 예산국회를 앞...

전규열 서경대 경영학부 겸임교수 칼럼:죽을 날 기다릴까, 30년 더 살까…솔개는 직접 선택한다 file

[더,오래] 전규열의 나도 한다! 스타트업(1) 서경대 경영학부에서 벤처창업과 관련한 과목을 가르치는 교수다. ‘평균수명 100세 시대’ 은퇴 후 아무 걱정 없는 편안한 노후생활은 이제 옛말이 됐다. 아무리 노후설계를 잘해도...

‘2018 제8회 서경대학교 음악 콩쿠르’ 개최 file

예선 2018년 9월 1일(토), 본선 2018년 9월 8일(토) 서경대학교 문예관서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9월 1일(예선)과 9월 8일(본선) 두 차례 교내 문예관에서 2018 제8회 서경대학교 음악 콩쿠르를 개최한다. 서경대학교가 주최하고...

서경대 “끊임없는 실용과 혁신으로 대학사회를 바꾸는 대학” file

서경대학교는 ‘실용’과 ‘혁신’, ‘글로벌’의 기치 아래 ‘세계 속의 미래형 실용교육 중심 대학’이 되겠다는 비전을 추구하고 있는 71년 전통의 대학이다. 최근 10년 간 ‘가장 역동적으로 발전한 대학’이라는 평가를 받...

한국창업교육학회 창립…구자억 초대 학회장 선출 file

청소년 및 대학생의 기업가 정신 함양, 창업교육에 대한 인식 확산 및 활성화에 주력 ‘한국창업교육학회’가 출범했다. 초대 회장에는 구자억 서경대 혁신기획처장이 선출됐다. 한국창업교육학회는 8월 30일(목) 오후 3시 30분 ...

공연-영상-음악-미용 분야 교육환경 우수 file

1947년 최초의 정규 4년제 야간 대학으로 출발한 서경대는 실용학문 71년 역사를 자랑한다.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서경대의 노력은 교육부 2주기 대학기본역량진단 평가 결과 자율개선 대학 선정, 교육부 4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

[대입 내비게이션 2019 수시특집: 서경대학교] 일반학생전형, 학생부<60%>+적성고사<40%>로 file

서경대는 국내 최고 수준의 예술대학 및 미용예술대학 9개 학과를 보유하고 한류예술의 전진기지 역할을 하고 있다. 서경대학교는 미래 융복합·초연결 사회를 이끌 인재 양성을 위해 ‘실용’을 기반으로 교육혁신 허브로 탈바꿈...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