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중국 커피업계에 초연(硝煙)이 자욱하다. 커피 전쟁이 발발했기 때문이다. 싸움은 토종 브랜드 럭킨(Luckin瑞幸)』이 걸었다. 상대는 글로벌 최강자 『스타벅스(Starbucks)』다. 외국제품의 독점을 결코 허용치 않는 중국 시장에서 유독 스타벅스 만은 예외였다. 혼자 승승장구했다. 이제 봄날은 갔다.


진세근 교수 칼럼.JPG

럭킨 커피(좌), 스타벅스(우) [출처 : 파즈저우머]


전쟁은 출발부터 살벌했다. 다짜고짜 소송전으로 치고 나왔다. 럭킨의 집행총괄 부사장 궈진이(郭谨一)가 최근 가진 기자회견에서 발표한 내용을 보자. 회견문은 《커피업계에 공정한 경쟁의 기회를 부여하고, 중국 소비자에게 더욱 많은 선택을 주기 위하여》라는 다소 긴 제목으로 발표됐다.


「 “스타벅스는 건물주와의 계약에서 배타성 임대차 조항을 집어 넣었다. ‘커피라는 글자가 들어간 어떤 업체에도 여유 공간을 임대해서는 안 된다는 조항이다. 뿐만 아니다. 커피 자재 및 설비 공급상들과의 계약에서도 배타성 조항은 여전했다. 스타벅스는 이들에게 압력을 가해 럭킨을 포함한 다른 커피업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도록 재갈을 물렸다. 이 같은 행위는 반독점법(反垄断法) 14조와 17조를 정면으로 위반한 행위다. 우리는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하기 위해 진두(金杜) 법률사무소에 소송을 맡겨 전국 법원에서 동시에 스타벅스에 대한 소송을 제기하기로 결정했다.” 」


럭킨의 조치는 전광석화 같았다. 궈진이는 이어 《증권일보》와 가진 단독 회견에서 수많은 커피 관련 공급상들이 스타벅스로부터 압력을 받았지만 공급상들의 이익 보호를 위해 그들의 이름을 밝히지는 않겠다. 다만 재판 과정에서 이들 업체의 이름이 공개될 수는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궈진이는 피해 업체들의 숫자가 상당수에 달한다는 말도 잊지 않았다.


진세근 교수 칼럼 2.JPG

[출처: 럭킨 커피 홈페이지]


진두 법률사무소의 리중셩(李中圣) 변호사도 기자회견 장에서 스타벅스는 일반 카페업계, 그리고 가맹점 형태의 카페업계에서 지배적인 시장 점유율을 갖고 있다고 전제하고 스타벅스는 이 같은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카페 관련 공급상들과 독점 공급계약을 체결하라고 강요했으며, 이들 업체들은 스타벅스의 요구를 거절할 수 없어서 부득이 서명했다고 말했다.


세계적인 시장조사 기관인 《유럽 모니터링》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6년과 2017년 스타벅스의 중국 내 시장 점유율은 각각 57.5%, 58.6%로 나타났다. 연쇄점 커피시장의 점유율만 따져보면 각각 78.8% 80.7%. 점포 수를 봐도 전체 연쇄점 커피시장의 58.6% 61%를 차지했다. 압도적인 지배 구조인 것 분명해 보인다.


「 “중국의 커피 시장은 엄청난 크기다. 경쟁이 공정하고 충분하며, 신속하게 발전하고 있다. 중국 시장에 진출한 지 20, 스타벅스는 중국의 커피 시장이 내적으로 충실해지고 규모가 커지는 것을 지켜보는 행운을 누렸다. 여러 동종업계 동료들과 장기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성과도 이뤘다. 45천 명 직원들과도 서로가 신뢰하는 가족 같은 관계를 맺었다. 우리는 언제나 중국 소비자들에게 모든 사람, 모든 잔, 모든 지역에게 동일하게 우수한 스타벅스 체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


스타벅스는 일단 정면 대응은 자제하는 분위기다. 스타벅스는 《증권일보》에 보낸 회신을 통해 이처럼 온건한 포고문을 날렸다. 확전은 피하겠다는 심산이다. 그러나 내부적으로 단단하게 긴장하는 분위기다. 스타벅스 본사도 이 사태가 간단치 않다고 보고 본사 차원에서의 대응책 검토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타벅스가 긴장하는 이유는 전쟁 발발지가 중국이기 때문이다. 중국은 외국 브랜드가 독점하는 걸 용납한 적이 없다. 콧대 높은 메르세데스 벤츠와 BMW, 그리고 아우디도 중국 현지 합작사를 만들어야 했다. 거부하면 중국 시장을 잃을 각오를 해야 했기 때문이다.


스타벅스만은 예외였다. 홀로 달렸다. 커피라는 기호품이 중국인들의 입맛에 맞지 않았던 덕분이기도 했다. 허나 이제는 세상이 달라졌다. 커피 없이 하루를 보낼 수 없는 중국인들이 폭발적으로 늘었다. 이제 커피 시장은 중국 기업인, 그리고 중국 정부가 그냥 흘러 보낼 수 없는, 매력적인 놀이터로 부상한 것이다.


진세근 교수 칼럼 3.JPG

[출처: 콰이쯔쉰]


럭킨이 앞장 선 것도 스타벅스가 긴장하는 이유다. 럭킨은 션저우 유처집단(神州优车集团) COO 출신 첸즈야(钱治亚)가 지난 해 10월 창립한 신생 업체다. 헌데 상승세가 놀랍다. 11일 베이징(北京)에 상륙한 직후 불과 5개월 사이에 점포수를 525개로 늘렸다. 상상을 초월하는 속도다. 스타벅스가 현재 중국 전역에 갖고 있는 매장은 3000개에 불과(?)하다. 지금 중국 인터넷에서 瑞幸咖啡’ 4글자를 입력하면 358개의 관련 검색어가 뜰 정도도 럭킨은 관심의 대상이다.


스타벅스의 한 관계자는 익명을 전제로 럭킨의 약진 뒤에 중국 정부의 입김이 있다는 의심이 든다. 그렇지 않다면 이처럼 신속하게 확장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라고 푸념하기도 했다.


진세근 교수 칼럼 4.JPG

[출처: edushi.com]


럭킨의 배후에 중국 정부가 있는지 없는지는 별로 중요치 않다. 문제는 앞으로의 중국 커피시장이 더 이상 독점 체제를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독점과 비() 현지화에 엄격한 입장을 일관되게 유지해온 중국 법원이 럭킨의 손을 들어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중국 내 별들이 전쟁이 한국의 커피 시장에도 적지 않은 파장을 가져올지 모른다. 사태 추이와 결과를 찬찬하게 관찰하고 분석해 보기를 한국 커피업계에도 권하고 싶다.


진세근

서경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 원문 출처 >

차이나랩 https://m.blog.naver.com/china_lab/221307083255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462

[서경대 카드뉴스]기말고사 기간 중 자유열람실 24시간 개방 안내 &학술정보관 시설 추가 개방 file

<관련공지> 기말고사 기간 중 자유열람실 24시간 개방 안내 https://www.skuniv.ac.kr/index.php?mid=notice&document_srl=212382 학술정보관 시설 추가 개방 안내 https://www.skuniv.ac.kr/index.php?mid=notice&...

전규열 서경대 경영학부 겸임교수 칼럼:스웨덴은 어떻게 유럽의 실리콘밸리가 됐나 file

스웨덴은 유럽의 실리콘밸리로 불린다. 벤처캐피털 기업 아토미코(Atomico)의 2020년 보고서를 보면 스웨덴의 수도 스톡홀름은 유니콘(기업가치 10억달러 이상의 비상장 스타트업) 기업 수가 인구 10만명당 약 0.8개로 1.4개인 미국의...

서경대학교, ‘디지털 트윈 기반 실감공연 제작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최 file

비교과 워크숍 형식의 3개 과정 진행, 코로나 펜데믹 시대 공연예술 전문인력 역량 강화 지원 2021 문화콘텐츠 R&D 전문인력양성 역량강화 프로그램 포스터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콘텐...

서경대학교 대학혁신추진사업단, 문화콘텐츠학부 민동주 학우 대학혁신지원사업 총괄협의회 ‘혁신인재장학생’ 선발, 장학증서와 장학금 지급 file

서경대학교 대학혁신추진사업단(단장 이석형 교수)은 지난 17일 서경대학교 인문과학대학 문화콘텐츠학부 민동주 학우(16학번)를 대학혁신지원사업 총괄협의회 ‘혁신인재장학생’으로 선발, 장학증서 및 장학금이 수여되었다. 대학혁...

‘서경대학교 2023학년도 신설 및 명칭 변경 학과 알아보기’ 기획시리즈 <1> 아트앤테크놀로지학과 file

서경대학교는 2023학년도에 아트앤테크놀로지학과와 스포츠앤테크놀로지학과를 신설하고 전자공학과와 컴퓨터공학과를 합쳐 전자컴퓨터공학과를 새로이 출범시켰다. 서경대학교의 이번 첨단학과 신설 및 통합은 급감하고 있는 학령인구에 ...

[ 카드뉴스 ] 서경대학교 2022 수시모집 file

<원문출처> 대학저널 http://www.dh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4042

서경대 대학원 경영학과, ‘K-콘텐츠문화경영’ 전공 신설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대학원 경영학과에 ‘K-콘텐츠문화경영’ 전공을 신설하고 2022년 1학기부터 신입생을 모집해 교육하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서경대에 따르면 ‘K-콘텐츠문화경영’ 전공은 한국의 영화, 드라마, K팝, ...

서경대학교, ‘제11회 전국무용경연대회’ 개최 file

4월 16일(토), 17일(일) 양일간 교내 문예홀서 유아부·초등부·중등부·고등부로 나눠 한국무용 등 8개 부문 경연 진행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오는 4월 16일(토), 17일(일) 양일간 교내 문예홀에서 '제11회 전국무용경연대회'...

[2021 서경대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Extra Wall을 활용해 전시 기획하는 ‘오픈월’ file

반수경 오픈월 대표(지역활성화 프로젝트 정릉스쿨) 오픈월은 ‘추가의 벽(Extra Wall)’을 활용해 전시를 기획하는 스타트업이다. 반수경 대표(28)가 2021년 1월 설립했다. 반 대표는 이 아이템으로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4학년 김진 학우, ‘2021 고용노동부 유튜브 영상 공모전’ 대상 수상 file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4학년 김진 학우가 지난 6월 18일(금) ‘고용노동부’가 주최한 ‘2021 국민취업지원제도 유튜브 영상 공모전’에 ‘국취제’라는 작품으로 참가해 ‘대상’을 수상하는 성과를 거뒀다. 해당 공모전은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