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과거 중국 푸젠(福建)성 샤먼(厦门)시에 신촌(新村)이란 마을이 있다. 이 마을의 별칭이 ‘얼나이춘’(二奶村)이다. 얼나이는 ‘첩’이란 뜻이다. 대만 사업가들의 첩이다. 인륜적으로 보면 민망한 노릇이지만 양안 관계로 보면 실익이 많았다. 그러니 중국 당국도 모른 척 눈을 감았을 것이다.

 

중국 광둥(广东)성 선전(深圳)도 비슷했다. 이곳 역시 신촌이란 마을이 있었다. 홍콩 기업가들의 얼나이들이 모여 사는 곳이다. 그러나 이젠 옛 이야기가 됐다. 얼나이야 지금도 있겠지만 집단 거주촌은 사라진 지 오래다. 양안간, 그리고 대륙과 홍콩간 경제력 격차의 역전이 가져온 결과다.

 

진세근 교수 1.jpg 


얼마 전 대만 내정부(內政部)는 ‘양안 간 혼인에 대한 통계’를 발표했다. 통계의 핵심 메시지는 ‘대만 여성과 대륙 남성 커플의 급증’으로 요약할 수 있다. 통계에 따르면 과거에는 양안 커플의 80% 이상이 ‘대만 남성과 대륙 여성’이었다. 혼인 문제에서 대만에 주도권이 있었다는 얘기다.

 

최근 들어 달라졌다. 대륙 남성과 대만 여성의 결합이 급증했다. 지난 해 이미 절반을 넘었다. 홍콩 여성들이 대륙 남성에게 시집가는, 이른바 ‘베이쟈(北嫁) 현상’도 하나의 흐름으로 굳어졌다.

 

대만 연합보(联合报)는 이에 대한 조사자료를 최근 발표했다. 내용을 보자.

 

“2007년까지 대만 남성에게 시집 온 대륙 여성의 누적 숫자는 1만4300명이었다. 지난해에는 7800명으로 급감했다. 10년 전의 절반 수준이다. 10년 전 대륙 총각에게 시집 간 대만 처녀는 370여 명이었다. 지난해에는 820명의 대만 여성이 대륙 신랑을 맞았다.”

 

‘중화 양안 혼인협조 촉진’의 중진밍(钟锦明) 회장은 최근 중국 언론과 만난 자리에서 “옛날에는 대륙이 비교적 낙후했다. 여기에 부정적인 보도 등이 더해지면서 대만인들에게 낮은 평가를 받았다.

 

허나 지금 대륙 경제는 세계를 짓누를 정도다. 점점 더 많은 대만 여성들이 대륙에서 일자리를 찾기 원한다. 이 과정에서 대륙 남성들과 교제하는 기회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건 당연하지 않을까”라고 설명했다.

 

진세근 교수 2.jpg

대만 정치대학 선연(选研)중심 초빙교수 겸 정치학과 교수인 천루휘(陈陆辉)는 “대륙 경제의 굴기 이후 많은 대만 여성들이 대륙에서 일자리를 찾기 원한다. 이 과정에서 대륙 남성을 배우자로 맞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진단했다.

 

거주 분포도 변했다. 과거 양안 커플의 대다수가 대만에 보금자리를 마련했지만 지금은 절반 이상이 대륙을 선택한다. 특히 베이징, 상하이, 항저우(杭州) 같은 대도시 출신의 신랑을 맞은 경우 거의 예외 없이 대륙행을 택한다. 물가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반면 생활 및 교육환경은 대만보다 낫기 때문이다.

 

홍콩도 상황이 비슷하다. 홍콩문화연구기관인 지스후이(集思会)가 지난 달 발표한 ‘홍콩과 내지(內地) 간 결혼에 대한 제 2차 조사보고’에 따르면 지난 20년 간 이뤄진 두 지역 간 혼인은 48만 건이다. 홍콩 내 전체 혼인 건수의 40%를 넘는 규모다.

 

최근 상황을 분석하면 4가지 경향이 뚜렷하다. 즉, ▲대륙 남성과 홍콩 여성간 결혼 급증 ▲신랑·신부의 교육수준 상향 ▲부부 간 연령차 축소 ▲중국 배우자의 홍콩 내 취업 증가 등이다.

 

홍콩특구 설립 후 20년 간 ‘홍콩 신랑+대륙 신부’의 숫자는 40%에서 30%로 줄었다. 반면 ‘홍콩 신부+대륙 신랑’의 규모는 3%에서 10% 이상으로 늘었다.

 

양안 간, 내지와 특구 간 결혼 풍속도의 변화는 중화권 각지에서 긍정적인 경제적 파급효과를 낳고 있다. 양 지역의 가정과 인맥이 섞이면서 경제적 시너지로 발전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래저래 중국은 잠재력이 풍성한 나라다.


<원문출처>


인더뉴스 http://inthenews.co.kr/news/article.html?no=1083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885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2017 지산 밸리 록 페스티벌` 참가, ‘SKU 뷰티살롱’ 운영 file

7월 28일(금)~30일(일) 3일간 이천 지산리조트서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학장 김법준)은 7월 28일(금)부터 7월 30일(일)까지 3일간 이천 지산 리조트에서 개최되는 ‘2017 지산 밸리록 뮤직 앤드 아츠 페스티벌’에 참가해 ‘서...

박은준 서경대 헤어·메이크업 디자인학과 학과장 “미용서비스 종사자들, 학과 커리큘럼 배워 보고 싶어해” file

△서경대는 서울 지역 대학에서 처음으로 미용예술학과를 설립했다. 헤어‧메이크업 분야로 가장 가고 싶은 대학으로 서경대를 꼽는 이들이 많다. 박은준 헤어·메이크업 디자인학과 학과장. 서경대는 서울 지역 대학에서 처음으로...

2020년 2학기 도전해 볼 만한 공모전, 뭐가 있을까? file

코로나 19로 인해 원격수업으로 진행되었던 1학기와 하계방학이 끝나고 2학기 개강을 맞은 지도 2주일이 지났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면서 생긴 ‘여유시간’을 보다 가치있고 알차게 보내려는 학우들이 적지 않다. 이러한 학...

코로나 19 확산세 속 언택트 입학식 및 오리엔테이션 축제, ‘2022학년도 서경대학교 신입생 문화제’ 성황리에 개최 file

서경대학교 제50대 나은 총학생회(총학생회장 김시원, 부총학생회장 정다빈)는 지난 22일(화)부터 24일(목)까지 사흘 간 ‘2022학년도 서경대학교 신입생 문화제’ 행사를 개최했다. 신입생들의 입학을 환영하고 앞으로의 학교생활...

가천·서경대 등 11곳, 마지막 수시 적성고사 실시

2022학년도부터 폐지… 올 4485명 뽑아 / 학생부 60%·적성고사 40% 비율로 반영 2022학년도 폐지가 예정됨에 따라 올해 마지막 수시 적성고사 전형모집이 실시된다. 홍익대(세종)가 올해 해당 전형을 폐지하면서 가천대·서경대·한성...

서경대학교 VR미래융합센터,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과 공동으로 ‘국내 복합문화 테마파크 산업의 미래성장동력 창출 및 발전 방안 모색‘ 주제로 2017 복합문화 디지털 테마파크 산업발전 포럼 개최 file

12월 15일(금) 오후 1시, 한국과학기술회관 제2 중회의실서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VR미래융합센터(센터장 홍성대 교수)는 12월 15일(금) 오후 1시 한국과학기술회관 제2 중회의실(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소재)에서 ‘국내 복합문화...

서경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졸업작품전시회 성료 file

11월 21일(목) 교내 북악관 5층서…컴퓨터공학과 4학년 학생들의 작품 49편 전시돼 △컴퓨터공학과 졸업작품전시회 포스터 서경대학교 이공대학 컴퓨터공학과(학과장 김태영)의 졸업작품전시회가 11월 21일(목) 교내 북악관 5층에서 개...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의 한국 블로그] 희망의 실마리를 찾아준 한 편의 영화 file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우울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나는 한국과 일본의 문화 사이에 존재하는 디아스포라로 두 나라 사람들이 각기 다른 입장에서 논의를 펼치며 서로를 비난하는 기사를 ...

작년 대학 입시경쟁률, '9.3대 1' 최근 5년간 최다…"서강대 26.7대1 경쟁률 1위" file

지난해 전국 대학 입시 경쟁률이 9.3대 1로 최근 5년간 최고 경쟁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입시 최고 경쟁률을 기록한 대학은 서강대로 평균 26.7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21일 종로학원하늘교육이 대학알리미 사이트를 분...

‘서경대 사람들’ 인터뷰: ‘THE LOOK OF THE YEAR’ 한국대표 선발대회 본선 진출한 서경대 공연예술학부 모델전공 14학번 황인해 양, 예술종합평생교육원 모델학 전공 18학번 박준서 군 file

8월 29일(수) 그랜드 워커힐 호텔 씨어터홀에서 열리는 본선대회 참가 예정 ‘THE LOOK OF THE YEAR’, 지젤번천, 이리나 샤크 등 세계적인 톱모델 배출…입상자들에게 로마컬렉션과 보그 잡지 참여, 파리컬렉션서 데뷔 기회...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