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이즈미 지하루 교수 1.jpg

일러스트레이션 박초희 기자 choky@donga.com


‘영화 표현의 해방구’를 슬로건으로 3일 개막한 제19회 전주 국제영화제가 12일 막을 내렸다. 2000년 시작된 영화제는 아시아를 대표하는 독립영화제로 주목을 받았고, 올해는 46개국 246편의 작품이 상영됐다. 나는 이 영화제를 2회째였던 2001년부터 거의 매년 찾아갔다.


올해는 나흘 동안 단편 작품을 포함해 20편의 영화를 봤다. 모두가 재미있었지만 한 작품을 든다면 개막작이었던 ‘야키니쿠 드래곤’이다. 재일 한국인 정의신 감독이 연출한 작품으로 올해 내가 전주에서 본 첫 번째 작품이기도 하다. 

작품의 무대는 1969년부터 1970년대, 고도 경제 성장 시기의 오사카로 이타미 공항 활주로 바로 옆의 국영지에 살고 있는 재일교포 가족의 이야기다. 가난하고 차별받지만 ‘야키니쿠 드래곤’이라는 곱창구이집을 운영하는 서민의 삶이 힘 있게 그려져 있다. 이 영화는 2008년 한국에서 초연됐던 연극을 스크린에 옮겨놓은 것이다.

정의신 감독은 연극 연출가로 알려져 있지만 영화 시나리오도 많이 썼다. 나는 2008년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상연된 연극을 보고 박력 넘치는 무대에 압도당했었다. 무대에서는 실제로 숯불로 곱창을 구웠는데, 그 냄새 속에서, 겨우 구한 2층 자리에서 본 무대는 멋있었다. 지붕을 좋아하는 막내 도키오가 비행기가 지나갈 때마다 소리를 지르는 모습이 가깝게 다가와 그 아픔이 가슴을 저미게 했다. 그 연극이 영화화된 것이라 보기 전부터 기대가 컸다. 영화에는 연극에서 그리지 못했던 활주로 곁을 달리는 장면이나 도키오의 학교 모습이 더해지는 등 무대와 또 다른 느낌이 담겨 있다.

영화에는 네 명의 한국인 배우가 출연했는데, 각자 맛깔난 연기를 선보였다. 재일 한국인 1세 아버지 김용길 역의 김상호는 영화의 중심에 어울리는 절대적인 존재감이 그득했다. 특히 롱테이크로 보여준 일본어 독백 장면은 가슴을 뜨겁게 한다. 서투른 일본어에 용길의 감정이 녹아있어 훌쩍이는 소리가 상영관 곳곳에서 들리기도 했다. 제주도에서 일어난 4·3사건을 피해 일본에 건너와 용길을 만난 어머니 영순 역의 이정은은 빠글거리는 파마머리로 한국어가 섞인 일본어가 절묘했다. 마치 주변에 있을 법한 한국 아줌마 그대로다. 순박한 한국인 청년 오일배 역의 임희철, 첫째 딸 시즈카에게 한눈에 반한 재미있는 한국인 남성 윤대하를 연기한 한동규는 무대에서 활약했던 배우로 극중 감초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배경이 된 1970년대는 일본의 고도 경제 성장기로 공동체가 무너지기 시작한 시기다. 이 시기를 경계로 일본은 크게 변해간다. 규슈 지방에서 자란 나도 초등학생 때에는 시영주택에 살며 동네 사람들과 가족처럼 지냈다. 그런 삶의 모습이 나날이 변해 가던 시절을 기억한다. 당시에는 재일 한국인뿐만 아니라 일본인들도 그 삶이 비슷했다. 

소품으로 예술가 오카모토 다로의 작품인 ‘태양의 탑’이 등장한다. 1970년 인류의 진보와 조화를 부른 오사카 만국박람회의 상징이다. 당시 초등학생이었던 내게도 선망의 대상이었던 그것을 영화를 통해 다시 보니 잃어버린 것과 함께 만감이 교차했다. 일본 사회를 묘사한 작품이지만 한국인의 이야기가 담긴 한국 영화이기도 하다.


또한 새로운 만남도 있었다. 우연히 들어간 전라감영 근처의 한 카페는 마침 오픈 날이었다. 심플하고 세련된 인테리어의 가게로 정성껏 내린 커피와 과자를 내주었다. 앞으로 전주를 찾을 때마다 가고 싶은 가게다. 그 맞은편엔 예스러운 고물상이 있었다. 말수가 적은 할아버지에게 놋수저를 구입했다. 커다란 자루에 담긴 숟가락을 바닥에 쏟고 그중 10개를 골랐더니 덤이라며 한 개를 더 고르라 하셨다. 새로운 가게와 오래된 가게가 함께 어우러져 있는 모습 또한 전주의 매력이다. 

전주에서의 마지막 날엔 비가 내렸다. 전주객사의 툇마루에 앉아 쏟아지는 비와 시원한 바람을 만끽하고 혼자 남부시장을 걸었다. 시장에서 ‘춘몽’이라는 흑백사진관을 발견했다. 비록 흑백필름이 아닌 디지털이었지만, 작가급의 사진을 저렴한 가격으로 얻을 수 있는 풍취가 있는 곳이었다. 시장의 분위기와 사뭇 다른 심플한 인테리어도 눈에 띄는 멋스러움이었다. 

영화제는 내년 스무 살 성인이 된다. 전주의 긴 역사에 녹아들며 하루하루 성숙하는 모습을 내년에도 기대한다.  
 
이즈미 지하루 교수 2.jpg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 원문 출처>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3/all/20180515/90077976/1#csidx028c585304e7b9982f4cfb353293fe7 onebyone.gif?action_id=028c585304e7b9982f4cfb353293fe7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1564

서경대학교 영화영상학과 학생들이 만든 작품 4편, ‘제6회 유럽단편영화제'에 소개된다 file

‘제6회 유럽단편영화제’ 6월 21일(목)~7월 1일(일) 아리랑시네센터 등서 열려…다양한 주제로 유럽의 삶 조명 서경대 영화영상학과 학생 작품 6월 24일(일) 오후 1시 30분 아리랑시네센터 2관서 상영 예정 서경대학교 영화영상학과...

서경대학교, ‘제2회 전국 실용음악 콩쿠르’ 개최 file

예선: 6월 24일(일)까지 동영상 심사, 본선: 7월 7일(토) 서경대 본관 8층 컨벤션홀서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7월 7일(토) 오전 9시 교내 본관 8층 컨벤션홀에서 ‘제2회 전국 실용음악 콩쿠르’를 개최한다. 서경대학교가 주...

‘2018 서경대학교 개교 71주년 기념 음악회’ 개최 file

2018년 6월 20일(수) 오후 8시, 롯데콘서트홀서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학부장 조원경)는 2018년 6월 20일(수) 오후 8시 서울 잠실에 위치한 롯데콘서트홀에서 ‘2018 서경대학교 개교 71주년 기념 음악회’를 개최한다. 금...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무대폐션 전공의 통합형 공연예술 창의인재 양성 코스튬 갈라쇼 ‘HUB’, 뛰어난 루키스타 배출하며 성황리에 종료 file

지난 6월 8일(금) 오후 4시 교내 본관 8층 컨벤션홀에서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무대패션 전공 4학년 학생들의 졸업 패션쇼인 HUB가 열렸다. 의상을 중심으로 한 갈라쇼 형식의 패션쇼인 허브는 ‘마주치다’를 타이틀로 14명...

[NC인터뷰①] 뮤지컬 '프랑켄슈타인' 박민성·민우혁, "연기의 틀을 깨는 과정" file

삼연 뉴 캐스트, 개인 연습통한 캐릭터 구축 ▲ 뮤지컬 ‘프랑켄슈타인’(연출 왕용범)의 앙리 역을 맡은 배우 박민성과 빅터 역을 맡은 배우 민우혁(왼쪽부터)의 인터뷰가 서울 한남동 블루스퀘어에서 이뤄졌다. ©윤현지 기자 ...

모델 김기범, 모델캠프 1등해 꿈 이룬 사연은? file

사진=김기범SNS [한국정책신문=최동석 기자] 연습생 출신 한서희가 19세때 클럽에서 방탄소년단의 멤버 뷔와 모델 김기범을 목격했다는 발언이 논란이 일자 모델 김기범에대한 네티즌들의 관심이 뜨겁다. 최근 한서희는 자신의 ...

이철민 서경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교수, TBS의 ‘김성수의 시시각각Q’에 출연, 현 라돈사태 진단과 해결책 제시, 주목 받아

최근 매스컴을 통해 생활용품에서 라돈이 고농도로 검출되어 국민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는 보도가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와 관련한 보도는 과거에도 있었으며 보도 내용과 형식 또한 놀라울 만큼 유사하다. 서경대학교 화학...

[진화하는 대학 사회공헌] 맞춤형·재능기부로 업그레이드 file

학생 취미·재능·전공분야 살려 … 교육부, 대학평가 지표 반영으로 측면 지원 대학과 대학생들의 봉사활동이 진화하고 있다. 과거 복지센터나 복지시설 지원, 김장 봉사, 독거노인 방문 등 자원봉사가 주를 이뤘다면 최근에는 학...

[진세근 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 귀하신 몸, 푸얼 차<하> file

귀하신 몸, 푸얼 차<하> “우리가 베이징(北京), 상하이(上海), 광둥(广东), 푸젠(福建) 등 각지 소매상에게 파는 가격은 한 병(餠-357g) 당 150 위안(약 2만5000 원)이다. 이들은 여기에 고수차(古樹茶-수백 년 된 차 나무에서 채취한 푸얼 ...

서경대 등 서울 동북 4구 대학, 산학협력단장 포럼 개최 file

▲ 서울 동북4구 산학협력단장포럼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했다. 서울과기대(총장 김종호)가 12일 대학본부 대회의실에서 ‘서울시 동북4구 대학 산학협력단장 포럼’을 개최했다. ‘서울 동북4구 대학 산학협력단장 포럼’은 서울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