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반성택 서경대교수.jpg

▲ 반성택 교수


봄이 한창이다. 올해는 한반도의 봄도 같이 찾아올 듯해 지난 100여 년과는 다르게 봄날을 맞고 있다. 한반도의 20세기는 공동체가 겪을 수 있는 온갖 이야기로 점철돼 있다. 거기에는 식민, 분단, 전쟁 등이 들어 있다. 이는 체험되면서 우리에게 고유한 역사성으로 쌓여만 간다. 우선 식민지로 전락하는 과정이 기이하다. 지배 귀족층이 문서로 넘겼으니 말이다. 이는 일본이 발전소, 비료공장 등을 기반으로 오늘에도 버티는 배경이기도 할 것이다.


식민시대도 남들과는 많이 달랐다. 일본은 대동아공영권을 외치며 동양세계의 해방자를 자처하지만 한반도는 일본이 대신 지켜준다는 공영권에도 들지 못한다. 일본과 한반도는 하나라는 것이다. 우리는 그 시절에 지배를 받은 정도가 아니라 우리라는 존재의 말살을 겪었다. 이어지는 분단도 친청, 친일, 친러 등은 난무하지만 정작 우리는 없는 세기말 조선에서 잉태돼 나타난다. 분단은 외세로 이뤄지나 그 시작은 세기말 조선왕국의 성격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한국전쟁도 다른 전쟁과는 그 양상이 너무도 달랐다. 전선은 남북으로 네 번이나 오르내린다. 주인이 바뀔 때마다 보복할 기회는 이어진다. 이에 전쟁의 실질은 내전과 살육으로 채워진다.


한반도 역사는 이처럼 우리에게 체화돼 우리의 고유한 역사성으로 전이돼 쌓여왔다. 그리고 이 삼켜진 역사성은 한국의 대학들에도 그대로 녹아들어 간다. 전쟁을 겨우 봉합한 이 국가는 초등학교 의무 교육도 제대로 못한다. 대학은 국가가 미치지 못하는 영역이었다. 그 말 많은 대학인 서울대학교도 미국의 유명 사립대학을 나온 영관급 장교가 일본인이 주로 다니는 문리대와 서울 곳곳의 전문학교를 통합해 만든 대학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도 대학은 늘어가며 우골탑이라는 시대적 상징어도 등장한다. 또한 국가가 기능하지 못하는 와중에 사립대는 대거 설립되며 다수를 점한다. 현재의 대학 지형도는 특성화나 설립 취지보다는 국가 기능이 작동하지 않았던 역사성에 기인하는 것이다.


어떤 이들은 영국이나 미국 대학들의 우수한 성과를 보며 이를 대학 발전모형으로 삼고자 한다. 하지만 어떻게 대학, 특히 사립대학이 커왔는지를 생각해 봐야 한다. 영국 사립대학들은 19세기께 영국의 찬란한 역사와 함께 성장하며, 이는 영국 엘리트들이 다른 국가들보다 그나마 상대적으로 정의로웠다는 점에 기인한다. 영국 사립대학들은 오늘날에도 귀족시대의 생산성과 성공을 의식하며 운영된다. 미국의 유명 사립대학들도 역사성을 토양으로 성장해왔다. 종교개혁 시기부터 신대륙으로 이주하기 시작한 미국인들은 가족 동반의 신교도들이 주류였으며 이들은 건너와서 신교 계열의 대학들을 신념으로 세워 후세를 키우고자 한다.


한국 대학들은 우리의 아쉬운 20세기 역사성을 발판으로 등장한다. 국가가 국가답지 못한 역사를 자양분으로 대학이 설립된 것이다. 그러니 대학발전 나아가 사립대학 발전을 원한다면, 대학평가의 그 세밀한 지표에 부응하는 정도보다는 대학이 대학다운 모습을 이끌지 못했던 우리의 역사를 떠올리며 발전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전임교원 확보 정도를 평가하면서 사실상의 비정규직 전임교수를 포함하며 평가하고, 평가지표는 특성화로의 질주를 요구해 가용 교육비 몰아주기를 결과하는 대학평가는 상대평가에 따른 배제 논리를 제공할지 몰라도 대학발전이라는 과녁을 맞힐 수는 없다.


드디어 한반도의 봄이 거론되는 이 시점에, 성급하지만 이 사회가 지정학적 평화 직후의 과제에도 나설 수 있기를 소망한다. 특히 대학의 봄을 맞고 싶다. 실질적인 전임교원이 기준 이상으로 확보돼 있는지 그리고 교육비가 교육과 연구에 실제로 쓰이는지를 관리하면서 한국 대학의 봄이 오기를 소망한다. 양적 성장의 봄은 지난 1990년대 정점을 지나고 이제는 구조조정을 말하는 시점에 대학다운 본질을 구비하는 질적 성장이 역사성에 기반해 이뤄지기를 고대한다.


<원문출처>

한국대학신문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189444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407

[수사권 조정] 학계·법조계 “되레 국민 인권 침해로 이어질 수도” 우려 file

"경찰 내사 장기화 될 경우 피해는 국민에게 돌아와…피해 회복 방안 부족" 김현 대한변호사협회 협회장(왼쪽)과 정웅석 서경대 공공인적자원학부 교수 21일 정부가 발표한 검경 수사권 조정 합의문에 따라 앞으로 1차 수사권·수...

서경대, ‘제16회 KASF 2018 국제미용기능경기대회’서 다수의 최상위권상 수상과 함께 대회종합우수상 수상 쾌거 이뤄 file

미용예술대학 외국인학생반, 역대 최다 137명 참가, 2년 연속 최고 성적 거둬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외국인학생반(지도교수 이지안, 박은준, 최민령, 임희경) 학생들이 ‘제16회 KASF 2018 국제미용기능경기대회’에 참가해 다수...

서경대 평생교육원, 고교생 대상 ‘모델 워킹&포즈 진로체험’ 모집 file

서경대학교 예술종합평생교육원 모델학전공이 오는 7월 27일 ‘모델 워킹&포즈 진로체험’을 실시한다. 2018 하계 진로 체험은 모델을 지망하는 고등학생들에게 모델 워킹 및 포즈 강의 수강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서경대학교, 2018년 교육부 2주기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 통과…자율개선대학 선정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교육부가 실시한 2018년 2주기 ‘대학기본역량진단’ 1단계 평가를 통과했다. 이로써 서경대학교는 정원감축 권고 등을 받지 않고, 교육부의 일반재정 지원을 받는 예비 자율개선대학에 속하게 됐다. 교...

모델들이 주최하는 사진전시회는? 3회 서경대 모델연기전공 사진전 개최 file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모델연기전공의 제3회 사진전시회가 지난 6월 15~16일 양일간 서울 영등포에 위치한 블럭과석공 갤러리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회는 'ESTRELLA - La noche llena de estrella'는 '별이 가득한 하늘'...

서경대학교 영화영상학과 학생들이 만든 작품 4편, ‘제6회 유럽단편영화제'에 소개된다 file

‘제6회 유럽단편영화제’ 6월 21일(목)~7월 1일(일) 아리랑시네센터 등서 열려…다양한 주제로 유럽의 삶 조명 서경대 영화영상학과 학생 작품 6월 24일(일) 오후 1시 30분 아리랑시네센터 2관서 상영 예정 서경대학교 영화영상학과...

서경대학교, ‘제2회 전국 실용음악 콩쿠르’ 개최 file

예선: 6월 24일(일)까지 동영상 심사, 본선: 7월 7일(토) 서경대 본관 8층 컨벤션홀서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7월 7일(토) 오전 9시 교내 본관 8층 컨벤션홀에서 ‘제2회 전국 실용음악 콩쿠르’를 개최한다. 서경대학교가 주...

‘2018 서경대학교 개교 71주년 기념 음악회’ 개최 file

2018년 6월 20일(수) 오후 8시, 롯데콘서트홀서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학부장 조원경)는 2018년 6월 20일(수) 오후 8시 서울 잠실에 위치한 롯데콘서트홀에서 ‘2018 서경대학교 개교 71주년 기념 음악회’를 개최한다. 금...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무대폐션 전공의 통합형 공연예술 창의인재 양성 코스튬 갈라쇼 ‘HUB’, 뛰어난 루키스타 배출하며 성황리에 종료 file

지난 6월 8일(금) 오후 4시 교내 본관 8층 컨벤션홀에서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무대패션 전공 4학년 학생들의 졸업 패션쇼인 HUB가 열렸다. 의상을 중심으로 한 갈라쇼 형식의 패션쇼인 허브는 ‘마주치다’를 타이틀로 14명...

[NC인터뷰①] 뮤지컬 '프랑켄슈타인' 박민성·민우혁, "연기의 틀을 깨는 과정" file

삼연 뉴 캐스트, 개인 연습통한 캐릭터 구축 ▲ 뮤지컬 ‘프랑켄슈타인’(연출 왕용범)의 앙리 역을 맡은 배우 박민성과 빅터 역을 맡은 배우 민우혁(왼쪽부터)의 인터뷰가 서울 한남동 블루스퀘어에서 이뤄졌다. ©윤현지 기자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