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이즈미 지하루 교수1.jpg

일러스트레이션 박초희 기자 choky@donga.com


산이 활짝 웃었다. 개나리, 진달래, 목련 그리고 산수유. 북한산 아래 정릉천을 따라 이어지는 정릉마을에 봄이 왔다.

나는 8년 전 직장을 따라 정릉으로 이사 와 이 동네에 살고 있다. 청수장에 4년, 동방주택에 3년을 산 후 한 번 더 이사했다. 그동안 직장을 오가며, 시장을 오가며, 성당을 오가며 동네를 걸었다. 정릉에는 비탈길과 구불구불한 골목길이 많다. 오래된 집들도 군데군데 남아 있다. 그 가운데에는 유난히 커다란 집, 눈길이 가는 특이한 집들도 있어 호기심이 생기곤 했다. 그곳에는 누가 살았을까? 그곳에 살면서 무엇을 했을까?


그런 궁금증을 풀어주는 전시가 성북동에 위치한 성북구립미술관에서 시작됐다. ‘정릉시대전’이 그것이다. 나는 꽃샘바람이 부는 지난 금요일에 전시를 보러 다녀왔다. 남편에게서 정릉에는 예술가가 많이 살았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긴 했지만 실제로 전시를 보고 리플릿에 있는 지도와 작가가 살던 곳을 대조해 보고서야 그 사실이 확실히 와 닿았다. 

놀랐던 것은 내가 늘 걸어 다니던 길가에 있던 아담한 집이 화가 정영렬(1934∼1988)이 살았던 집이라는 사실이다. 그의 작품은 한지의 소박하고도 단아한 질감이 살아 있다. 그의 집은 정릉시장에서 동방주택으로 이어지는 오르막길에 위치한 구멍가게와 세탁소 근처에 있다. 이젠 세탁소는 문을 닫고 가게만 남아 있고, 집 옆엔 주차장이 덩그러니 만들어져 있다. 

다시 전시를 보고 돌아오며 오랜만에 예전에 살던 곳까지 걸었다. 꽃샘추위로 비는 눈으로 바뀌었고 이중섭(1916∼1956)이 살던 곳에 가까워지자 함박눈으로 변해버렸다. 그가 정릉에 살았던 시기는 1955년 12월부터 생을 마감하던 1956년 9월 6일 직전까지라고 한다. 1년도 안 되는 짧은 기간이었고, 북한산에 가까운 정릉 중에서도 북쪽이라고 한다. 



그가 살던 집은 남아 있지 않지만, 우연히도 그곳은 내가 살았던 집과도 아주 가까웠다. 그가 생을 마감한 1956년 봄에도 눈이 많이 내렸다고 한다. 감성이 풍부하고 가족에 대한 애정을 아낌없이 화폭에 담았던 이중섭. 오늘은 꽃으로 가득한 산동네에 차가운 눈이 내리고 있다. 그러고 보니 정릉에서 그린 작품 ‘돌아오지 않은 강’ 속에도 오늘처럼 함박눈이 내리고 있다. 

이중섭은 화가 박고석(1917∼2002) 집에서 하숙했고, 화가 한묵(1914∼2016)과 함께 살았다고 한다. 이번 전시에는 두 작가의 작품도 소개되어 있다. 박고석은 정릉의 자연을 그렸고, 한묵은 추상화를 그렸다. 아픔 속에서도 봄엔 꽃이 피었을 것이고, 이들이 함께 지내며 예술을 나눴다는 것이 그나마 위로가 됐을 것이다.


그곳에서 정릉천을 따라 내려가다 경국사에 못 미친 곳, 개울가 안쪽에 ‘토지’를 쓴 박경리 작가(1926∼2008)가 딸과 지내며 많은 작품을 남긴 집이 있다. 사위인 김지하 시인의 석방 소식을 들은 곳도 이곳이었다고 한다. 지금은 대안학교가 돼 있다. 재개발 계획으로 변해가는 마을에도 여전히 울긋불긋 봄꽃이 피었고 천변엔 벚꽃이 흐드러져 있다. 


맑고 청정한 자연과 산에서 내려온 맑은 기운이 느껴지는 정릉을 전시를 보고 다시 걸어보니 근현대 예술가들이 생활한 흔적을 아직도 느낄 수 있었다. 비록 이곳에서 그들의 삶이 여유롭진 않았지만 예술을 사랑하며 감성을 지키기 위해 서로 의지하고 힘이 돼가며 작품 활동을 했던 것은 아닐까?

성북구립미술관에서는 오늘부터 ‘거리갤러리’를 개관해 설치미술가 최정화(1961∼)의 ‘숲’ 프로젝트를 선보인다. 내가 갔을 때에는 작품이 한창 설치 중이었는데 인공적인 초록의 숲이 다른 공간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최정화는 국제적으로 활동해 일본에도 꽤 알려진 작가다. 성북동에 살았던 적이 있는 그가 성북초등학교의 어린이들, 성북2동 경로당의 어르신 등 주민들과 함께 작업한 ‘주민참여 공공미술 프로젝트’로 이 작품을 이뤄낸 것이다. 

이번 주말에는 ‘정릉시대전’을 통해 정릉의 문화예술 역사의 향취를 느끼고 야외 전시 ‘숲’을 통해 현대의 성북을 감상하며, 또한 정릉천을 따라 활짝 웃는 산, 정릉마을의 봄을 걸어보면 어떨까. 
  

이즈미 지하루 교수2.jpg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 원문출처 >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list/3/04/20180410/89534157/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582

2024년 서경대학교 인문과학대학·사회과학대학 연합체육대회 ‘인싸체전’ 성황리에 마쳐 file

종합우승 군사학과, 준우승 경영학부 6개 학과 참여, 5월 28일(화)부터 30일(목)까지 3일간 스콘 스퀘어 등서 8개 종목 열전 펼쳐 서경대학교 제34대 ‘새늘’ 인문과학대학생회와 제26대 ‘우연’ 사회과학대학생회가 주최하는 인...

환경공단·환경산업기술원 “기계는 국산화하고, 디지털로 고도화하고” file

'엔벡스 2024' 출품된 환경기술 살펴보니 엔벡스 2024에서 환경공단은 긱종 환경기술과 환경사업을 전시해 관람객의 시선을 끌었다. 서울 코엑스에서 3일부터 사흘 일정으로 열리고 있는 ‘제45회 국제환경산업기술·그린에너지전...

서경대 MFS연구회, 국내 15개 은행 앱(App)평가보고서발표 “금융상품의 다양성통한 국내은행 뱅킹앱 분석” file

5일 서경대학교 금융정보공학과MFS(Mobile Financial Service)연구회(지도교수 서기수)는 다양성 파트에선 얼마나 다양한 상품 가입이 가능한지 15개의 국내은행의 슈퍼앱을 비교 분석한 평가보고서를 발표, 주목을 끌고 있다...

채성준 서경대 군사학과 교수 칼럼:[오늘의시선] 北 오물풍선은 고강도테러의 전주곡 file

南에 공포감 조성 겨냥한 다목적 노림수 인명 살상 등 물리적 도발 가능성 배제 못해  비대칭 전력은 전쟁에서 무력 격차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전술적 수단을 말한다. 이 개념은 앤드루 맥이 베트남전을 모델로 1975년 ‘...

한강에서 부활한 대학가요제… “국민 축제로 키워나갈 터” file

2024한강대학가요제,지난달 25일… 서울시-동아일보 공동 주최로 열려 84개 대학, 264개 팀 열띤 경연 서경대 밴드 ‘펜타클’ 영예의 대상 吳시장 “시민도 함께 즐길 수 있게” 서울 여의도 한강공원 물빛무대에서 지난달 2...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 ‘2024 제2회 SB 스타트업 네트워킹 페스티벌’ 개최 file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은 성북 창업 클러스트 연합체인 성북구청, 고려대, 국민대, 동덕여대, 한성대 캠퍼스타운 사업단과 함께 6월 7일(금) 오전 10시 동덕여자대학교 백주년기념관 1층 대공연장 및 로비에서 ‘2024...

[서경대 MFS] 국내은행 뱅킹앱 분석 ① 다양성 file

국내은행들의 모바일 앱 상품 경쟁 심화.. 전통적인 시중은행뿐 아니라 지방은행, 인터넷전문은행에서도 다양한 금융상품을 선보이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어떤 은행이 가장 다양한 상품을 선보이고 있을까? 서경대 MFS...

한국보육진흥원, '삼성 다양성 존중 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 개최 file

삼성복지재단 후원으로 전국 어린이집 100개소 대상  한국보육진흥원(원장 나성웅)은 지난 31일 서울 용산구 삼성아동교육문화센터 강당에서 ‘삼성 다양성 존중 프로그램’ 원장 및 교사 교육 오리엔테이션을 성공적으로 개최했...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중어전공 이민석(24학번) 학우, 한어교(汉语桥) 세계 중국어 말하기 대회 ‘금상’ 수상 file

서경대학교는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중어전공 이민석 학우(24학번)가 5월 25일 서강대학교 정하상관에서 열린 서울공자아카데미·한어교서울센터 공동 주최 ‘2024년 중국교육부상 한어교 세계 대학생·중고등학생·초등학생 중국어대회(한...

전규열 서경대경영학부교수 : 뉴시안, 전규열 공동대표이사·편집인 선임 file

전규열 뉴시안 공동대표이사  뉴시안은 공동대표이사 겸 편집인으로 전규열 전 공감신문 대표를 25일 선임했다고 밝혔다. 전규열 공동대표는 청와대와 국회, 한국은행과 은행연합회 등 출입기자와 시사저널 객원논설위원으로 활동...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