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이즈미 지하루 교수1.jpg

일러스트레이션 박초희 기자 choky@donga.com


산이 활짝 웃었다. 개나리, 진달래, 목련 그리고 산수유. 북한산 아래 정릉천을 따라 이어지는 정릉마을에 봄이 왔다.

나는 8년 전 직장을 따라 정릉으로 이사 와 이 동네에 살고 있다. 청수장에 4년, 동방주택에 3년을 산 후 한 번 더 이사했다. 그동안 직장을 오가며, 시장을 오가며, 성당을 오가며 동네를 걸었다. 정릉에는 비탈길과 구불구불한 골목길이 많다. 오래된 집들도 군데군데 남아 있다. 그 가운데에는 유난히 커다란 집, 눈길이 가는 특이한 집들도 있어 호기심이 생기곤 했다. 그곳에는 누가 살았을까? 그곳에 살면서 무엇을 했을까?


그런 궁금증을 풀어주는 전시가 성북동에 위치한 성북구립미술관에서 시작됐다. ‘정릉시대전’이 그것이다. 나는 꽃샘바람이 부는 지난 금요일에 전시를 보러 다녀왔다. 남편에게서 정릉에는 예술가가 많이 살았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긴 했지만 실제로 전시를 보고 리플릿에 있는 지도와 작가가 살던 곳을 대조해 보고서야 그 사실이 확실히 와 닿았다. 

놀랐던 것은 내가 늘 걸어 다니던 길가에 있던 아담한 집이 화가 정영렬(1934∼1988)이 살았던 집이라는 사실이다. 그의 작품은 한지의 소박하고도 단아한 질감이 살아 있다. 그의 집은 정릉시장에서 동방주택으로 이어지는 오르막길에 위치한 구멍가게와 세탁소 근처에 있다. 이젠 세탁소는 문을 닫고 가게만 남아 있고, 집 옆엔 주차장이 덩그러니 만들어져 있다. 

다시 전시를 보고 돌아오며 오랜만에 예전에 살던 곳까지 걸었다. 꽃샘추위로 비는 눈으로 바뀌었고 이중섭(1916∼1956)이 살던 곳에 가까워지자 함박눈으로 변해버렸다. 그가 정릉에 살았던 시기는 1955년 12월부터 생을 마감하던 1956년 9월 6일 직전까지라고 한다. 1년도 안 되는 짧은 기간이었고, 북한산에 가까운 정릉 중에서도 북쪽이라고 한다. 



그가 살던 집은 남아 있지 않지만, 우연히도 그곳은 내가 살았던 집과도 아주 가까웠다. 그가 생을 마감한 1956년 봄에도 눈이 많이 내렸다고 한다. 감성이 풍부하고 가족에 대한 애정을 아낌없이 화폭에 담았던 이중섭. 오늘은 꽃으로 가득한 산동네에 차가운 눈이 내리고 있다. 그러고 보니 정릉에서 그린 작품 ‘돌아오지 않은 강’ 속에도 오늘처럼 함박눈이 내리고 있다. 

이중섭은 화가 박고석(1917∼2002) 집에서 하숙했고, 화가 한묵(1914∼2016)과 함께 살았다고 한다. 이번 전시에는 두 작가의 작품도 소개되어 있다. 박고석은 정릉의 자연을 그렸고, 한묵은 추상화를 그렸다. 아픔 속에서도 봄엔 꽃이 피었을 것이고, 이들이 함께 지내며 예술을 나눴다는 것이 그나마 위로가 됐을 것이다.


그곳에서 정릉천을 따라 내려가다 경국사에 못 미친 곳, 개울가 안쪽에 ‘토지’를 쓴 박경리 작가(1926∼2008)가 딸과 지내며 많은 작품을 남긴 집이 있다. 사위인 김지하 시인의 석방 소식을 들은 곳도 이곳이었다고 한다. 지금은 대안학교가 돼 있다. 재개발 계획으로 변해가는 마을에도 여전히 울긋불긋 봄꽃이 피었고 천변엔 벚꽃이 흐드러져 있다. 


맑고 청정한 자연과 산에서 내려온 맑은 기운이 느껴지는 정릉을 전시를 보고 다시 걸어보니 근현대 예술가들이 생활한 흔적을 아직도 느낄 수 있었다. 비록 이곳에서 그들의 삶이 여유롭진 않았지만 예술을 사랑하며 감성을 지키기 위해 서로 의지하고 힘이 돼가며 작품 활동을 했던 것은 아닐까?

성북구립미술관에서는 오늘부터 ‘거리갤러리’를 개관해 설치미술가 최정화(1961∼)의 ‘숲’ 프로젝트를 선보인다. 내가 갔을 때에는 작품이 한창 설치 중이었는데 인공적인 초록의 숲이 다른 공간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최정화는 국제적으로 활동해 일본에도 꽤 알려진 작가다. 성북동에 살았던 적이 있는 그가 성북초등학교의 어린이들, 성북2동 경로당의 어르신 등 주민들과 함께 작업한 ‘주민참여 공공미술 프로젝트’로 이 작품을 이뤄낸 것이다. 

이번 주말에는 ‘정릉시대전’을 통해 정릉의 문화예술 역사의 향취를 느끼고 야외 전시 ‘숲’을 통해 현대의 성북을 감상하며, 또한 정릉천을 따라 활짝 웃는 산, 정릉마을의 봄을 걸어보면 어떨까. 
  

이즈미 지하루 교수2.jpg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 원문출처 >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list/3/04/20180410/89534157/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364

육군, 제1회 전력지원체계 소요제안 챌린지 시상식 file

메타버스 기반 예비군훈련장 제안 ‘최우수상’ 18일 계룡대에서 열린 ‘제1회 육군 전력지원체계 소요제안 챌린지 시상식’에서 이상민(왼쪽 넷째) 소령 등 수상자와 관계자들이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육군이 개최한 ‘전...

서울시가 설립하고 서경대학교가 수탁 운영하는 시립양천청소년음악창작센터, AI 기반 음원 제작 플랫폼인 엔터아츠(AIM뮤직)와 상호 교류 및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서울시가 설립하고 서경대학교가 수탁 운영하는 시립양천청소년음악창작센터는 AI 기반 음원 제작 플랫폼인 엔터아츠(AIM뮤직)과 8월 17일(수) 오후 3시 서경대 본관 대회의실에서 상호 교류 및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

김기은 서경대 화학생명공학과 교수칼럼: 바이오연료와 에너지 안보 file

김기은 서경대 화학생명공학과 교수 바이오 연료란 유기물에서 추출하거나 공정을 거쳐 생산된 액체와 기체 연료로 정의되며, 발전과 운송 부분에서 화석에너지원과 비교해 CO₂ 배출을 65-70%까지 줄이면서 동시에 안정적으로...

"한 발짝만 걸으면 북한인데... 몇십 년간 못 갔다니 안타까워요" file

2030 평화통일 교육 '문화콘텐츠로 접근하는 평화 통일' 체험 행사 진행 2030세대를 위한 평화통일 교육인 '문화콘텐츠로 접근하는 평화 통일' 행사가 13~14일 양일간 임진각과 포천 등지에서 진행됐다. 2030세대를 위한 평...

서경대학교, 극동대학교와 양교 군사학과 간 정예 호국간성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극동대학교(총장 류기일)와 8월 11일(목) 오후 3시 30분 교내 본관 3층 대회의실에서 양교 군사학과 간 정예 호국간성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서경대학교에서 김범준 부...

서경대학교, 「2022년 인생나눔교실(수도권)」 기획사업 ‘우리동네 인생나눔교실’ 멘토 선발 및 오리엔테이션 진행 file

멘토 5명 최종 선발···사업계획 및 활동과정, 멘토링 일정, 기타 행정사항 등 안내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문화예술센터(센터장 한정섭)는 ⌜2022년 인생나눔교실⌟수도권 지역의 ‘우리동네 인생나눔교실’ 멘토를 최종...

서경대신문 562호 file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사업단, 지역활성화 프로젝트인 ‘정릉스쿨’ 문화예술 프로그램 운영할 8개 사업팀 선발 file

프로그램 운영비, 사업운영공간 등 지원 예정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단장 김범준)은 서울시 캠퍼스타운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정릉스쿨’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운영할 8개 사업팀을 공모를 통...

[서경대 카드뉴스] 2022학년도 2학기 서경대 수강신청 총정리 file

<관련 공지> 2022학년도 2학기 장바구니 신청 및 수강신청 안내 https://www.skuniv.ac.kr/index.php?mid=notice&document_srl=214962 2022학년도 2학기 비대면수업 교과목 안내 https://www.skuniv.ac.kr/index.php?mid=...

[인터뷰] 방미영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 운영위원장 "청년의 '집단 지성' 믿는다, 현장에서 보고 느끼라“ file

문화농활-문화어활 창안, 지역경제 활성화 교두보 역할 "청년들에게 필요한 것은 기회, 실패해도 자신의 콘텐츠 만들라“ 지난 7월 18일부터 21일까지 3박 4일간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전곡리 어촌계에서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의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