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 319일부터 46일까지, 328일엔 멘티기관 상대로 사업설명회 열어

- 올해 군부대, 아동시설 등 46개 멘티기관 찾아 600여 회 멘토링 실시 예정


[첨부 1] 인생나눔교실 군부대 멘토링.png

▲인생나눔교실 군부대 멘토링 모습

사진제공한국문화예술위원회


      “향기가 나지 않는 향기는 없을까?” 멘토의 아리송한 질문에 어리둥절한 멘티들은 이내 퀴즈라도 풀 듯 골똘히 생각에 잠겼다. 잠시 뒤, “꿈 향기....” 얼굴표정이 환해지는 멘토선생님. 그러자 다른 학생들이 너도 나도 대답을 하기 시작했다. 행복, 사랑, 믿음, 소망···. 그 가운데 외로움의 향기라고 하는 답이 들렸다. 선생님의 목소리였다. 모두 탄성을 지렀다. 향기 없는 향기, 즉 사람의 향기는 이처럼 어렵게 고민하는 것과는 달리 쉽게 나왔다. 사람의 향기를 알았으니 나는 어떤 향기가 나는 사람인지 알고 싶어자연스럽게 이야기를 하기 시작했다.(2017 인생나눔교실 멘토링 사례집 중에서)

 

      주덕중학교 김은경 교사는 방향제를 만드는 게 목표가 아니라 사람의 향기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현재 학교 수업체계에서는 쉽지 않다학생들이 얼마나 많은 지식을 알고 있는가를 중시하는 자유학기제 수업과는 달리 인생나눔교실은 과정 자체를 중시한다. 즉 대화나 경청, 배려 등등 아이들의 인성을 키우는 프로그램이어서 좋다라고 전했다.

 

      앞의 글은 지난 20178월 충주의 한 중학교에서 이루어진 인생나눔교실멘토링 현장의 모습을 소개한 것이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가 주관하는 인생나눔교실은 인문적 소양을 갖춘 은퇴 인력 및 인문·예술 전문가를 멘토 봉사단으로 선발해 군부대, 지역아동센터, 중학교, 보호관찰소 등을 찾아 인생 경험과 지혜를 나누고 소통하는 인문학 멘토링 프로그램이다. 양주 나사로청소년의 집에서 만난 강은실(가명) 양은 인생나눔교실에 참여하면서 어떤 일에 몰입하는 즐거움을 알게 되었다라며 이곳에서 나가면 계속 그림도 그리고 싶고, 사진도 찍고 싶다라고 말했다.

 

     인생나눔교실은 단순한 멘토링 활동이 아닌 세대·계층·개인의 다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멘토링을 진행함으로써 상호 변화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센터장 김범준 부총장)는 멘토링을 진행할 수도권 지역 멘티기관을 모집한다. 올해는 4월부터 12월까지 46개 멘티기관에서 총 600여 회의 멘토링을 진행할 예정이다.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는 이를 위해 총 43천여 만 원의 예산을 확보하고 튜터와 멘토 모집을 마쳤다.

 

      사업의 총 책임자인 한정섭 교수는 인생나눔교실 멘토링 활동의 시작은 귀 기울여 듣는 것이다. 우리는 멘티라 불리울 아동·청소년·청년들은 물론 멘토로 활동할 은퇴세대의 목소리에 얼마나 진정성있게 귀를 기울이고 있었는가에 대해 다시 한 번 성찰하며 멘토링에 접근하고 있다.”멘토와 멘티가 인생이라는 키워드를 가지고 서로 공감하고 소통하는 활동은 그 어떤 곳에서도 경험해볼 수 없는 멋진 시간이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인생나눔교실의 멘티기관 모집은 319일부터 46일까지이다. 328일엔 멘티기관을 상대로 한 사업설명회를 개최해 사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보다 많은 멘티기관을 발굴할 계획이다. 자세한 사항은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02-940-2932)로 문의하면 된다.


[첨부 2] 2018 인생나눔교실 멘티기관 모집 공고_웹용.jpg




<관련 기사>

대학저널 http://www.dh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9548

베리타스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11326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society/ngo/837776.html

이뉴스투데이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71368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4137

서경대학교에서 제100회 전국체전 스쿼시경기 열린다 file

서경대학교 수인관에서 10월 4일(금)부터 8일(화)까지 5일간 제100회 전국체전 및 제39회 전국장애인체전 스쿼시경기가 개최된다. 대한체육회가 주최하고 서울특별시, 서울시교육청, 서울시체육회가 주관하는 이번 대회 스퀴시경기는 전...

최은진 양(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과 4년), 보훈무용예술협회 ‘2017 올해의 예술상’ 대학부문 수상자로 선정돼 file

최은진 양(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과 4년)이 보훈무용예술협회 ‘2017 올해의 예술상’ 대학부문 수상자로 선정됐다. 보훈무용예술협회는 11월 27일(월), ‘2017 올해의 예술상’ 수상자 12명을 선정, 발표했다. 최은진 양은 심사위원들...

「코로나 19 언택트 속 센터 100% 활용하기」 <5> <취업지원센터> 편 file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코로나 19의 확산 및 장기화로 비대면 수업이 계속되면서 재학생들이 대학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서경대학교 각 센터에서는 코로나 펜데믹이라는 전례없는 상황에서도 재학생들이 큰 공백없이...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무용예술학과 제17회 창작발표회 및 제20회 쇼케이스 개최 file

5월 23일(목) 오후 7시 교내 문예관 문예홀서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무용예술학과(학과장 전순희)의 제17회 창작발표회 및 제20회 쇼케이스가 5월 23일(목) 오후 7시 교내 문예관 문예홀에서 개최된다. 무용예술학과 특성화 방안의 ...

[진세근 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漢字, 세상을 말하다] 涅槃<열반>

열반은 범문(梵文) ‘니르바나’의 음역이다. 일체의 번뇌를 불어서(Blow) 끄다(Out)는 의미를 담고 있다. 열반은 니원(泥洹)이라고도 한다. 무위(無爲), 자재(自在), 불생불멸(不生不滅) 등의 의미를 갖는다. 중국 진(晉) 때 출간된 『...

[구자억 서경대학교 혁신기획처장 겸 서경혁신원장 인터뷰] 급변하는 국제정세, 대한민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다 file

개개인의 역량을 키우는 혁신교육, 미래사회 적합인재 육성에 주력 최근 이뤄지고 있는 남북관계의 변화는 사뭇 드라마틱하다. 지난 평창올림픽에서의 화해모드 조성 이후, 특사단 방북과 친서 전달, 4월 말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코로나 19 언택트 속 센터 100% 활용하기』 <6> <외국인학생지원센터 편> file

지난해 초부터 계속되고 있는 코로나 19의 확산 및 장기화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가 일상의 삶이 멈춰지고 언택트로 경제나 사회 생활이 크게 위축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학들도 코로나 19 확산 방지를 위해 수...

[진세근 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 중국, 제조(製造)에서 지조(智造)로 간다 file

중국 광시성(广西省) 남단 도시 둥싱(东兴)을 아는 한국인은 많지 않다. 둥싱은 중국 대륙 남단 한 모퉁이에 조용히 박혀 있는 작은 도시다. 둥싱은 간단한 도시가 아니다. 우선 의외로 우리나라와 가깝다. 전남의 끝단 도시 고흥(高興...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 ‘2018 인생나눔교실’ 수도권 멘티기관 모집 file

- 3월 19일부터 4월 6일까지, 3월 28일엔 멘티기관 상대로 사업설명회 열어 - 올해 군부대, 아동시설 등 46개 멘티기관 찾아 600여 회 멘토링 실시 예정 ▲인생나눔교실 군부대 멘토링 모습 사진제공: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향...

달아오르는 평창 동계올림픽 열기, 대학가도 '후끈' file

자원봉사부터 문화올림픽 구현까지…다양한 방법으로 올림픽 응원 '2018 제23회 평창 동계올림픽대회'(이하 평창 동계올림픽)를 앞두고 사회 각계의 응원이 이어지고 있다. 대학가에서도 이에 못지않은 열기가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