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이즈미의 블로그.jpg
일러스트레이션 박초희 기자 choky@donga.com

“지금 한국어로 얘기하신 것 맞죠?”

일본의 작은 도시에서 전화를 마친 내게 한 여인이 호기심 가득한 눈빛을 반짝이며 건넨 말이다.

나는 지난 연말연시를 고향인 규슈(九州)의 사가(佐賀)현 다케오(武雄)시에서 지냈다. 다케오는 온천과 도서관, 우주과학관, 다케오신사(神社), 커다란 녹나무를 제외하면 특별한 게 거의 없는 시골이다. 이런 곳에서도 한국인 관광객을 자주 만난다. 고향땅에서 한국인을 만나면 대단히 반갑고 기쁘다.

그러나 이번 여정에서 놀람과 반가움을 안겨준 것은 한국인이 아니라 일본인이었다. 고향의 작은 가게에서 쇼핑을 하다 한국에서 걸려온 전화를 받고 통화를 마치자 점장이 호기심 어린 눈빛을 반짝이며 말을 걸어왔다.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다는 이 아주머니는 마치 커밍아웃을 하듯이 부끄러운 미소를 지으며 내게 말을 걸었다.

그는 오래전 일본에서 한류가 절정이었을 때부터 한국어를 배웠다. 당시에는 다케오에 한국어교실이 있었지만 현재는 한 시간 거리의 사가시에 가서 한국어를 배운다. 좀처럼 늘진 않지만 계속 한국 드라마를 보며 조금씩 단어를 알아가는 것만으로도 기쁘다고 하며 빙그레 미소를 지었다. 

한국으로 돌아오기 위해 탔던 리무진 택시에서도 놀라운 상황이 벌어졌다. 조용한 택시에서 딸과 한국어로 대화할 때 침묵이 깨졌다. 택시기사님이 우리의 대화를 듣자마자 지금 보고 있다는 사극 드라마 ‘육룡이 나르샤’에 대해 말했다. 이제 드라마가 종방에 가까이 가고 있는데,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 실제 역사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등에 대해 물었다. 

기사님은 한국 역사 드라마를 좋아하고 특히 ‘주몽’이나 ‘해신’ 같은 드라마는 몇 번이고 반복해서 봤다고 했다. 특히 탤런트 채시라의 연기가 훌륭하다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송일국을 좋아하는 부인을 위해 도쿄의 대표적인 코리아타운 신오쿠보에 가서 브로마이드를 구입해 선물했다며 자랑을 늘어놓기도 했다. 결국 공항에 도착하는 한 시간 동안 한국의 역사와 드라마에 대한 이야기, 여러 가지 질문이 우리에게 쏟아졌다. 한국 역사에 대해 너무나 자세히 알고 있어 오랜 시간 한국에서 생활한 나조차도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들을 던지는 바람에 깜짝 놀랐다.

일본에서는 2016년부터 다시 한류가 시작되고 있다는 언론 보도가 있었다. 하지만 내가 만난 이들은 2000년대 중반부터 한국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한류 붐이 지나간 2010년 이후에도 여전히 관심을 가져온 사람들이었다.

지난해 11월 한국관광공사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인이 즐겨 찾는 해외여행지에서 한국의 순위가 계속 하락했다. 2014년 5위를 기록했으나 2016년 겨우 10위에 그쳤다. 한국을 찾지 않는 이유는 ‘한류 이외에 흥미를 가질 만한 새로운 것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31.4%로 가장 많았다. 실제로 한국을 찾는 일본인은 줄어들었다. 하지만 한류는 여전히 매력적이다. 

교환학생으로 1년 동안 한국에 체류하고 이제 귀국을 앞둔 일본인 유학생들에게 물어봤다. 학생들은 케이팝을 좋아해서 한국어를 배웠고 한국에 왔다. 서울에서 아이돌을 따라다니는 시간이 많았고 매우 만족스러웠다고 했다. 유학생들이 한국 아이돌의 콘서트에 가는 것이 삶의 보람이며 즐거움이라고 했다. 이들에게 음악, 드라마, 화장품 등의 한류는 여전히 매력적이다.

한류를 향유하는 일본인이 여전히 많다는 것을 잊지 말았으면 한다. 한동안 일본에서 한류가 죽었다고 생각하는 의견이 있었지만, 실제로는 하나의 문화, 장르 등으로 자리를 잡았다. 한류 아닌 새로운 무언가를 찾아 내놓는 것보다 아직까지도 한류를 좋아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 한국적인 섬세함을 모색하는 건 어떨까.

이즈미 교수.jpg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 원문출처 >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3/all/20180130/88421904/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406

'더룩오브더이어' 모델 컨테스트 한국대표 선발 file

8월 29일 한국본선… 수상자 이탈리아 본선대회 진출 ‘더룩오브더이어(THE LOOK OF THE YEAR)’에 진출할 한국대표를 뽑는 본선대회가 8월 29일 그랜드 워커힐 호텔 씨어터홀에서 펼쳐진다. 이 대회는 우리나라 만14~23세의...

제5회 서경대학교 예술종합평생교육원 패션쇼 성료 file

12월 7일(금) 오후 7시 서경대 본관 8층 컨벤션홀서 서경대학교 예술종합평생교육원(이하 서경대 예교원)의 제 5회 정기패션쇼 <Scentist: 예술에 향기를 입히다>가 12월 7일(금) 오후 7시, 서경대학교 본관8층 컨벤션홀에서 개최...

10년 만에 돌아오는 뮤지컬 ‘스프링 어웨이크닝’, 오는 7월 무대로 file

2009년 한국 초연, 2011년 재연 당시(뮤지컬해븐 제작) 강렬한 메시지, 파격적인 연출로 큰 화제를 모았던 뮤지컬 <스프링 어웨이크닝>이 오는 7월 8일, 동국대학교 이해랑예술극장에서 10년 만에 막을 올린다. 이번 작업은 공연...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 ‘2018 복합외상피해자 대상 문화예술 치유 프로그램 지원사업’ 사전통합 및 문화예술교육 워크숍 참여 전문예술강사 복합외상피해자 시설에 파견해 문화예술교육도 file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센터장 김범준)는 8월 9일(목)부터 10일(금)까지 양일간 호텔 뉴브(서울시 강남구 선릉로 소재)에서 열린 ‘2018 복합외상피해자 대상 문화예술 치유 프로그램 지원사업’ 사전통합 및 문화예술교육 워크숍에 ...

실용음악 열풍 왜? SKY 나와 대기업 가도 답 없지 않나 file

“SKY 나와서 대기업 다니는 게 인생의 정답이라고 생각하나요. 50·60대 기성세대들도 살아보니 그건 아닌 거 같다고 느끼지 않습니까. 요즘 아이들도 남에게 보여주는 삶을 살기보다 본인이 만족한 삶을 살고 싶어합니다." 장...

달아오르는 평창 동계올림픽 열기, 대학가도 '후끈' file

자원봉사부터 문화올림픽 구현까지…다양한 방법으로 올림픽 응원 '2018 제23회 평창 동계올림픽대회'(이하 평창 동계올림픽)를 앞두고 사회 각계의 응원이 이어지고 있다. 대학가에서도 이에 못지않은 열기가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지역활성화 프로젝트 ‘정릉아카데미(2학기)’ 참여자 모집 file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지역활성화 프로젝트 ‘정릉아카데미(2학기)’ 참여자 모집 포스터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캠퍼스타운 사업단(총괄 한정섭 교수)에서 ‘정릉아카데미(2학기)’ 참여자를 모집한다. ‘정릉아카데미’는 서경대...

서경대학교에서 제100회 전국체전 스쿼시경기 열린다 file

서경대학교 수인관에서 10월 4일(금)부터 8일(화)까지 5일간 제100회 전국체전 및 제39회 전국장애인체전 스쿼시경기가 개최된다. 대한체육회가 주최하고 서울특별시, 서울시교육청, 서울시체육회가 주관하는 이번 대회 스퀴시경기는 전...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무용예술학과 제17회 창작발표회 및 제20회 쇼케이스 개최 file

5월 23일(목) 오후 7시 교내 문예관 문예홀서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무용예술학과(학과장 전순희)의 제17회 창작발표회 및 제20회 쇼케이스가 5월 23일(목) 오후 7시 교내 문예관 문예홀에서 개최된다. 무용예술학과 특성화 방안의 ...

서경대학교, 3년 연속 콘텐츠 창의인재동반사업 플랫폼기관 선정 2021 창의인재 동반사업 창의교육생(영화 시나리오 및 드라마 대본 작가) 모집 file

영화 <백두산>, <신과 함께>, <부산행> / 드라마 <종이의 집>, <이태원 클라쓰> 등 흥행 영화 및 드라마 제작자/프로듀서 군단, 최강 멘토진으로 참여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주관하는 2021 콘텐츠 창의...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