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손짐작으로 터득하고 마음으로 느껴야...


이종철 골프 심리학 1.JPG

PGA투어 CJ@나인브릿시에서 스콧 브라운의 4번홀 아이언 임팩트


[골프타임즈=이종철 프로] 장자 천도편에 나오는 윤편의 일화이다.


제나라 환공이 대청 위에서 책을 읽고 있었다. 윤편이 대청 밑에서 수레바퀴를 깎고 있다가 환공에게 물었다.


대왕께서 읽고 있는 책은 무엇입니까?”

성인의 말씀이니라

그 성인은 살아 있습니까?”

이미 돌아가셨느니라

그렇다면 대왕께서 읽고 계신 책은 옛사람의 찌꺼기일 것입니다.”


환공이 벌컥 화를 내면서 말하였다.


아니 수레바퀴나 만드는 네놈이 감히 나한테 시비를 건단 말이냐. 합당한 설명을 하지 못한다면 죽음을 면치 못할 것이다.”


그러자 윤편이 대답하였다.


제가 평소에 하고 있는 경험을 통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수레바퀴를 깎을 때, 너무 많이 깎으면 바퀴살을 꽂기에 헐겁고, 덜 깎으면 빡빡해서 들어가지 않습니다. 그것을 정확하게 깎는 일은 손짐작으로 터득해야하고 오로지 마음으로 느낄 수 있을 뿐입니다. 입으로는 설명할 수가 없는 노릇입니다. 그래서 제 자식에게 깨우쳐 줄 수 없고, 제 자식도 그것을 전수받을 수 없기 때문에, 여지껏 70이 넘도록 제가 손수 수레바퀴를 깎고 있는 것입니다. 옛 성인들의 책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성인들도 그들의 온전한 깨달음을 책에 전하지 못하고 세상을 떴을 것입니다. 그러니 대왕께서 읽고 있는 책들은 옛 사람들의 찌꺼기일 뿐이라고 말씀드린 것일 뿐입니다.”


이 일화는 말과 글 그리고 지식에 대한 부정적 측면을 신랄하게 꼬집는다. 인간의 말과 글은 위대한 자산으로서 그 가치를 높게 평가받기도 하지만, 그 기능을 살펴보자면 전하고자 하는 뜻을 온전하게 전달하지 못하는 한계도 존재한다. 이러한 말과 글의 부정적 기능은 인간관계에서의 모든 오해뿐만 아니라 잘못된 지식전달을 야기하기도 한다.


가령, 우리는 골프스윙을 가르치고 배울 때 국면별로 백스윙, 톱스잉, 다운스윙, 임팩트, 피니시라는 명칭을 쓴다. 얼핏 보기에는 스윙을 논할 때 당연한 용어인 듯 보이지만 사실 이러한 용어들은 리듬감 있고, 감각적인 스윙동작을 만드는데 거추장스럽기 짝이 없다. 왜냐하면 그 용어에 얽매인 골퍼는 스윙을 세분화시켜 각 국면별로 동작의 목표를 만들게 되는데, 결국 그러한 노력은 스윙의 리듬감을 없애고 자연스러움을 깨트리기 때문이다. 그리고 머릿속은 생각할 것이 많아져 더욱 복잡해져만 갈 것이다.


어느 골퍼가 묻는다. “임팩트 때는 어떻게 힘을 주어야 하나요?” ‘임팩트라는 것은 공과 클럽헤드의 부딪히는 현상을 나타내는 말일 뿐, 그 순간 특별히 어떻게 힘을 주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임팩트라는 용어에 집착하는 골퍼라면 그 순간 어떤 특별한 동작을 해야 하는 것으로 착각할 수도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그 순간만큼은 최대한 힘이 빠질수록 좋다라고 이야기할 수도 있다.


또 어느 골퍼는 백스윙할 때, 혹은 다운스윙할 때 어깨를 어떻게 돌려야 하나요?”라고 질문한다. 물론 스윙 중에는 몸이 돌아가는 현상이 일어난다. 하지만 몸을 돌린다.’라는 말에 집착하는 골퍼라면 이 또한 스윙의 자연스러움을 만들어 낼 수 없는 함정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골프스윙은 몸이 돌아가는 현상과 함께 클럽헤드의 조화로운 움직임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이렇듯 말과 글로 전달된 스윙은 자칫 그 본질을 덮는 가림막이 되기도 한다. 사실 골프에서 필요한 운동감각은 윤편의 일화에서처럼 지식으로 전달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경사진 그린에서의 퍼팅을 연상해보자. 퍼팅 스트로크가 조금만 세다면 공은 홀 위쪽으로 지나갈 것이고, 조금만 약하게 친다면 공은 홀 아래로 흐를 것이다. 공이 홀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적당한 세기의 힘 조절이 필요할진데 상황마다 다른 이것을 어찌 말과 글로 표현할 수 있겠는가?


이러한 감각의 개발은 지식으로 전달받을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누구 것을 따라해서 터득되는 것도 아니다. 수레바퀴를 깎는 것처럼 자신의 손짐작으로 터득해야하고 오로지 마음으로 느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골퍼는 수많은 시도와 시행착오를 경험해야 하고, 비로소 자신만의 방식을 완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골프라는 세상에서도 말과 글은 유용한 도구로서 정보전달의 순기능을 하지만, 때로는 현상의 본질을 망각시키는 역기능이 존재하며, 때로는 정작 중요한 핵심을 전달하지 못하는 부족함을 들어낸다.


골프를 배움에 있어 지식과 이론에만 매여 있거나, 골프의 본질을 망각한 골퍼라면 자칫 오늘도 헛된 연습만 반복할 수 있다. 배움에 목마른 골퍼들은 이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원문 출처>

골프타임즈 http://www.thegolf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275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085

[MODU가 주목하는 대학] 실용가치 기반 ‘현장중심’ 교육 실현…세상을 바꿀 변화와 혁신 선도, 서경대학교 file

학생들의 취·창업 전폭 지원하는 현장중심 교육 서경대학교는 창조적인 탐구인·세계적인 교양인·실천하는 전문인이라는 교육목표 아래 실용가치에 기반한 ‘현장중심’ 교육으로 변화와 혁신을 선도하는 CREOS형 인재를 육성하...

서경대학교 교수학습원 주최 ‘S-Learning Contest’ 성황리에 끝나···‘대상’ 수상자 인터뷰 file

<1> ‘우수강의 수필 공모전’ ‘대상’ 메이크업디자인학과 김민주 학우 <2> ‘프레젠테이션 뽐내기 공모전’ ‘대상’ 컴퓨터공학과 강희정, 오정은, 황유현 학우 서경대학교 교수학습원(원장 이지나 교수)이 1월 한 달 동안 ...

서경대, ’2022년 인생나눔교실‘ 수도권지역 ‘멘토 발대식’ 시작으로 인문멘토링 본격 시동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문화예술센터(센터장 한정섭 교수)는 ‘2022년 인생나눔교실’ 수도권 지역 ’인생삼모작 인생나눔학교‘의 일환으로 진행된 ’멘토 발대식‘을 지난 6일 성황리에 마쳤다. ’인생나눔교실‘은 문화체육관광...

서경대학교 창업지원센터, ‘2021학년도 서경대학교 창업 아이템 경진대회’ 개최 file

‘셀퍼스’ 등 3개 팀 수상자로 선정···Co-Working Space 통한 창업공간도 제공 2021학년도 서경대학교 창업아이템 경진대회 모습 서경대학교 창업지원센터(센터장 김국희 교수)는 지난 12월 24일(금) 서경대학교 학생들의 우수...

에스디지유스·서경대 청문단,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 위한 MOU 체결 file

"대학생 서포터즈 운영 및 콘텐츠 개발 등 상호 협력하기로 결정" <원문출처> 프라임경제 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no=568799

서경대학교,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학교(UNSW)와 환경유해인자-건강영향 모니터링 기술개발 위한 국제 공동연구 업무협약(MOU) 체결 file

 서경대학교(총장 직무대행)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공동으로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학교(University of New South Wales)와 환경유해인자 관련 건강영향 모니터링 기술 개발을 위한 국제 공동연구 업무협약(MOU)을 4월 2...

서경대 사회봉사센터 '사랑나눔 봄 김장' 행사 file

서경대학교 김장 봉사 지난 21일 길음종합사회복지관은 서경대학교 사회봉사지원센터 사회봉사단과 함께 ‘사랑 나눔 봄 김장’ 행사 진행을 통해 지역 내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 및 반찬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아동·청소년 가...

"한 발짝만 걸으면 북한인데... 몇십 년간 못 갔다니 안타까워요" file

2030 평화통일 교육 '문화콘텐츠로 접근하는 평화 통일' 체험 행사 진행 2030세대를 위한 평화통일 교육인 '문화콘텐츠로 접근하는 평화 통일' 행사가 13~14일 양일간 임진각과 포천 등지에서 진행됐다. 2030세대를 위한 평...

[구자억 서경대학교 혁신부총장 기고] ‘취업’보다 ‘창업’ 중심으로 교육 바꿔야 미래 있다

스타트업이 중요한 세상이 되었다. 스타트업 중 10억달러 이상의 가치를 지닌 유니콘 기업은 전 세계적으로 800곳에 달한다. 가장 큰 유니콘 기업은 틱톡을 개발한 바이트댄스(Byte dance)로 1400억달러의 가치가 있다. 우리나라의...

[아틀리에산책] 순수한 시선으로, 경계를 허무는 - 이승진 작가 file

YTN 아트스퀘어 초대전을 진행 중인 이승진 작가를 서울시 중구 한 작업실에서 만났다. 따뜻한 색채의 그림이 작업실 한쪽 벽면에 가득하다. 작가가 그려낸 동물의 얼굴을 한 인물, 동화풍의 캐릭터 묘사는 귀여운 상상을...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