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대입박람회 서경대 홍보 브로슈어에 게재 '학벌론' 눈길

학벌보다 자신만의 꿈 꾸는 게 중요


김동연 부총리 1.jpg

가장 힘들었던 인생의 암흑기에 나를 담금질하고 세상을 보는 눈을 키워 준 기반이 학교였다.”


야간학교였던 옛 국제대(서경대학교)를 졸업한 김동연(사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자신만의 학벌론을 제기했다. 명문대 같은 학벌보다는 스스로가 무엇을 하고 싶은지 깨닫는 것과 사회를 바꾸겠다는 의지가 더 중요하다는 뜻이다.


13일 기재부에 따르면 김 부총리는 13일부터 16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18학년도 정시 대학입학정보박람회’에서 배포한 서경대 홍보 브로슈어 이 같은 글을 게재했다.


그는 젊은 시절, 나를 짓누르는 환경이 너무도 싫어 세상을 뒤집고 싶었다낮에는 직장, 저녁엔 대학, 밤에는 고시공부를 해 나를 둘러싼 환경에 대한 반란을 시작했다고 전했다. 이어 내가 진정으로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를 찾는 반란과 주위의 불합리한 것들에 대한 변화를 만들고 싶었다학교(서경대)는 반란을 생각하고 열정을 갖게 했던 터전이었고 지금도 유쾌한 반란을 일으키려는 젊은이들에게 단단한 터전을 만들어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음은 2018학년도 정시 대학입학정보박람회 참가자들에게 배부된 '2018 서경대 홍보브로슈어'에 실린 김동현 경제부총리 글 전문을 소개한다.


내게 서경은 [반란의 터전]이다.

 

타는 목마름이 있었다. 젊은 시절, 나를 짓누르는 환경이 너무도 싫었다. 세상을 뒤집고 싶었다. 나를 둘러싼 환경에 대한 반란의 시작은 직장생활 3년차에 한 대학입학이었다. 낮에는 직장, 저녁엔 대학, 밤에는 고시공부를 했다. 많이 힘들었다. 그래도 가졌던 낙관적인 생각과 눈 먼 열정이 나를 지탱시켜 주는 힘이었다.


두 번째 반란은 나 자신에 대한 반란이었다. 내가 진정으로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 모르겠다는 회의에서 비롯됐다. 나 자신의 틀을 깨는 시도였다. 첫 번째보다 훨씬 힘든 반란이었다. 익숙한 것들과의 결별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하고 싶은 일을 찾고 조금씩 자기중심이 잡혀지기 시작했다. ‘눈 뜬 열정을 알게 됐다.

 

세 번째 반란은 사회에 대한 반란이었다. 주위의 불합리한 것들, 사회의 여러 문제들에 관심을 갖고 작은 변화를 만들고 싶었다. 긴 공직생활을 하는 이유는 사회변화에 대한 기여가 됐다. 겉으로 보이는 현상적인 문제가 아니라 가려져 있는 진짜 문제에 대한 태클이었다. ‘킹 핀(King Pin)’을 찾아 쓰러뜨리고 싶었다.

 

반란은 현실을 극복하고 변화시키려는 가장 적극적인 의지의 표현이다. 환경, 자기 자신, 사회에 대한 반란은 각각 남이 낸 문제, 내가 낸 문제, 사회가 낸 문제를 푸는 것이다. 남이 시켜서가 아니라, 내가 하고 싶어서 하는 일이어서 유쾌한반란이다.


서경은 반란을 생각하고 열정을 갖게 했던 터전이었다. 가장 힘들었던 인생의 암흑기에 나를 담금질하고 세상을 보는 눈을 키워 준 기반이었다. 세월이 한참 지난 지금도 나는 유쾌한 반란을 꿈꾼다. 남이 시키는 일이나, 해야 할 일보다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싶다. 서경은 유쾌한 반란을 일으키려는 젊은이들에게 단단한 터전을 만들어줄 것이다. 20대 초반의 내게 그러했듯이 말이다.


<관련 기사>

서울경제 http://www.sedaily.com/NewsView/1OOU986XMP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424

서경대학교, 신입생 전원 대상 건강한 학교생활 돕기 위한 ‘SKU F-CARE 프로그램’ 운영 ··· 위험군 놓인 학생 파악, 개인상담 · 심리적 개입 등 통해 선제적 조치 file

서경대학교(최영철 총장)는 신입생 전원을 대상으로 건강한 학교생활을 하는데 정서적으로 어려움을 가진 학생들을 파악하고 돕기 위한 SKU F-CARE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SKU F-CARE 프로그램은 ‘다면적 인성검사(MMPI-2...

서경대학교, 취업역량 강화 캠프 운영, 성과 내 file

서경대학교 취업지원센터(센터장 김주연 교수)가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취업역량 강화 캠프를 운영해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 취업역량 강화 캠프는 학년별로 예술대학을 제외한 모든 단과대학과 학과를 대상으로 운영하고 있다. 캠...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외국인 유학생 한국생활 조기 적응 및 취업 지원 위한 ‘실무역량 강화 캠프’ 운영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미용예술대학이 외국인 유학생 신·편입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생활의 조기 적응과 전공분야의 다양한 진로 및 진출분야의 현장실무를 경험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인 ‘외국인 유학생 실무역량 강화 캠프’...

국제비즈니스어학부 노어전공, 평창올림픽 러시아 선수단 입국 환영 행사 참가. file

노어전공학생들이 선수단을 기다리면서 한국문화원과 주한러시아협회, 민주러쉬 사람들과 단체사진을 찍었다. 2월6일 화요일 16시에 인천공항에서 개최된 러시아 입국 환영행사에 서경대학교 국제비즈니스어학부 노어전공 11명의 학생과...

선수촌의 헤어디자이너들 : “머리 다듬은 선수중 금메달리스트 나온다면 영광이죠” file

커트·스타일링 등 ‘공짜’ 男선수들 ‘투 블록 컷’ 선호 “선수들 만족땐 피로 사라져” ▲ 여자 크로스컨트리스키에 출전하는 스웨덴의 에바 안데르손이 8일 평창선수촌 내 미용실에서 헤어 스타일링 서비스를 받고 있다. 8일...

[기고]아름다운 노년을 이끌 ‘2등주의’

인생은 흘러가는 것이 아니라 채우고 또 비우는 과정의 연속이라고 한다. 무엇을 채우느냐의 따라 가치가 달라진다. 이런 이유로 필자도 노년에 접어들었지만 매일 2개의 일간지를 정독하고 있다. 시시각각 변하는 사회문화 현상을...

[조현정 서경대 미용예술학과 2년 기고] '상대와의 첫 번째 스킨십' 아름다운 손 관리법 file

서경대 미용예술학과 2학년 조현정 남녀노소 누구나 미용에 신경을 쓰는 추세지만 자주 사용하는 손 관리에 대해서 소홀한 경우가 대다수다. 그러나 손은 빠르게 노화가 진행되는 만큼 나이 들어보이기 쉽다. 그렇다면 손 노화...

서경대, 2018 전기 학위수여식 file

서경대는 8일 서경대 문예관 문예홀에서 캐서린 하퍼 영국 치체스터대학교 부총장 등 교내외 인사와 학부모 등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8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고 이날 밝혔다. 이날 학위수여식에서는 박사 22명...

[평창 아리아리] 팔 다친 선수 머리 감겨주고…문전성시 평창선수촌 미용실 가보니 file

한국 루지 남자 더블의 박진용(25·경기도체육회)은 지난해 10월 훈련 도중 팔꿈치를 다쳐 뼛조각이 떨어져 나갔다. 경기도 문제이지만 인간 생활의 기본인 청결 유지가 고민이다. 팔을 제대로 뻗지 못해 매일 아침 머리를 감을 ...

서경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대학생활 적응 및 진로탐색 지원 브릿지 프로그램' 운영 file

서경대가 외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서경대학교는 최근 외국인 유학생 지원 업무를 담당하는 외국인 학생지원과를 외국인 유학생 지원센터로 확대, 개편하고 ‘대학생활 적응 및 진로탐색 지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