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김범준 교학부총장, 김준 대외협력부총장 등 서경대 방문단, 대만 내 3개 유력 대학과 1개 예술공연전문고교 순회 방문


대만 대학들, “대만 내 한류 열망 크다. 서경대와의 학생 파견 및 교류 적극 검토할 것


SMFNCKIWI 등이 연습생 뽑아가는 예술공연고교도 서경대 미용예술학부, 실용음악학과에 학생 보내고 싶다고 관심 표명


20172학기 현재 서경대학교 미용예술학부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 가운데 대만 학생은 단 한 명도 없다. 대학 전체로 보면 교환학생 5명이 있을 뿐이다. 미용예술학부 유학생 가운데는 중국 학생이 90% 이상으로 압도적이다. 나머지는 베트남(10), 홍콩(6), 말레이시아(3), 마카오싱가포르(2), 일본몽골미얀마카자흐스탄(1) 순이다.

 

이런 판도에 변화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다. 대만 유학생들을 서경대학교 미용예술학부 혹은 실용음악학과로 유치할 수 있는 길이 열렸기 때문이다. 계기는 1025일부터 30일까지 엿새 동안 진행된 ‘4개 대만대학 순회방문이다. 참여자는 김범준 교학부총장, 김준 대외협력부총장, 진세근 외국인학생지원센터장이다.

 

대만 순회방문의 첫 기착지는 대만 남부 소도시 타이난(臺南)이다. 타이베이(臺北) 타오위안(桃園)공항 부근 고속철 정거장에서 평균 시속 300km의 고속철도를 타고 1시간반 정도를 달려야 만날 수 있는 옛 도시다. 중국 푸젠(福建)성과 대만을 중심으로 세력을 굳힌 객가(客家)의 전통이 강하게 남아 있는 곳이기도 하다.

 

객가는 중국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분포돼 있다. ‘중국의 유대인으로 불릴 정도로 부지런하고 이재에 밝다. 중국의 국부 쑨원(孫文), 개혁개방의 설계사 덩샤오핑(鄧小平), 싱가포르의 국부 리콴유(李光耀), 홍콩 최대 재벌 리카싱(李嘉誠) 등이 모두 객가 출신이다.

 

타이난에는 중신(中信)금융관리학원(CTBC)이 있다. 금융재무회계기업관리 전문 대학이다. 중국 최대 ATM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는 중국신탁(中國信託)이 설립했다. 스광쉰(施光訓) CTBC 총장과 서경대학교 김준 부총장은 공동 교육과정 마련 후 중국 동반진출계획을 이전부터 줄곧 논의해왔다. 이번 방문은 이 논의를 좀더 구체화시키기 위한 심층 협의에 그 목적이 있다. 학생 교류 문제도 깊이 있게 논의했다.

 

다음 목적지는 대만 중부에 있는 타이중(臺中)이다. 인구 200만 명으로 동남부 가오슝(高雄)과 규모 2위를 다투는 대도시다. 이곳에 자리 잡은 링둥(嶺東)과기대학은 학생 1만 명 규모다. 자오즈양(趙志揚) 총장과 옌전(嚴貞) 부총장 겸 패션대학장이 지난 4월 서경대학교를 방문해 교육 프로그램 및 교수학생 교류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상태다. 지난달에도 링둥대 패션학과 학생 10여명이 서경대를 찾아 하루 동안 신부화장과 무대화장에 대한 특강을 듣기도 했다.

 

이번 링둥대 방문은 링둥과기대학 개교 53주년을 맞아 장타이셩(張臺生) 법인 이사장이 특별히 김범준 교학부총장과 김준 대외협력부총장을 초청해 이뤄졌다.

 

그러나 이번 방문이 친선 도모만 목적은 아니다. 공동학위 프로그램 실시와 교수 및 학생 교류 문제를 구체적으로 논의했을 뿐 아니라 영동대 학생들의 정기적인 서경대 단기연수 문제까지 구체적으로 토의했다.

 

셋째 방문지는 대만 수도 타이베이(臺北) 부근 신베이(新北)의 예술전문고교인 좡징(莊敬) 고급공업가사 직업학교다. 미용과(애완동물미용 포함), 조리관리과, 표현예술과, 복장예술과, 아동보육과, 음악과, 3D 만화과 등 실용적인 전공만 설치돼 있다. 한국 엔터테인먼트 회사인 SM, FNC, 키위 등이 1년에도 몇 차례씩 현지 오디션을 진행해 유망주를 뽑아가는 곳이기도 하다. 9월에도 SM10명이 뽑혔고, 11월에도 한국 엔터테인먼트 회사들의 현지 오디션이 예정돼 있다. 그만큼 쟁쟁한 유망주들이 많다는 얘기다. 대만 스타들 가운데에도 좡징 출신이 상당수 포진돼 있다. 학교 공연장에서 관람한 좡징 여학생들로 구성된 대만 걸스데이의 공연은 한국 걸그룹 뺨치는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린슈궤이(林淑貴) 교장, 저우전총(周振聰) 교감, 왕위린(王玉麟) 교무과장 등은 서경대학교 미용예술학과 소개자료를 보곤 우리 학생들을 꼭 보내고 싶은 대학이다. 이 자료를 학생들에게 소개한 뒤 학생들의 단기 연수부터 한번 추진해 보겠다고 말했다. 린 교장은 특히 서경대학교 실용음악학과로 우리 학생들을 보낼 수 있다면 학생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각별한 관심을 나타냈다. 서경대 실용음악학과는 20191학기부터 외국인 유학생 모집이 가능하다.

 

마지막 방문지는 신베이에 있는 싱우(醒吾)과기대학이다. 재학생 1만 명 규모의 중견대학인 싱우는 기업관리재무금융유통관리 등 금융 분야뿐 아니라 관광요리여행표현예술패션디자인디지털디자인유행음악 등 폭넓은 전공을 확보한 대학이다. 싱우대학은 특히 한류에 빠져 있는 대만 소비층을 겨냥해 한국의 미용실용음악디자인영상영화와의 긴밀한 교류를 희망하고 있다. 서경대와의 교류가능 면적이 상당히 넓은 셈이다. 천이원(陳義文) 부총장은 당장에라도 서경대와의 각종 교류 사업을 전개할 용의가 있다고 말하고 빠른 시일 내에 서경대학교를 답방해 구체적인 협력 분야를 토론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4대 대만대학 순회방문에서 확인한 핵심 메시지는 3가지다.

 

첫째, 대만은 중국 못지 않은 한류의 소비시장이라는 점이다. 한류를 재료로 한 각종 교육 콘텐츠를 수출할 수 있는 유망한 시장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현지에서 만난 대만 교육계 지도자들은 한결같이 대만인들이 한국 문화를 매우 사랑한다. 대만 TV를 켜보면 한국 드라마나 예능프로그램을 고정 방영하는 프로그램이 많다는 사실에 놀라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한류에 대한 선호는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는, 보편적인 현상이라는 것이 대만 교육계 인사들의 공통적인 지적이다.

 

둘째, 대만의 실용교육 수준이 무섭게 성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좡징 고교나 싱우대학에서 확인한 실용 교육의 수준은 한국과의 격차를 거의 느낄 수 없을 정도였다. 오히려 풍부한 자금을 바탕으로 장비나 환경 면에서는 한국을 압도하는 느낌을 줄 정도다. 다만 감각과 안목에서 아직 부족할 뿐이다. 그러나 이 부분도 신속하게 성장하는 추세다.

 

셋째, 한국 대학들의 대만 내 노출빈도가 낮은 수준이라는 점이다. 대만에 대한 무관심이 빚은 결과다. 서경대학교가 앞으로 대만을 대상으로 한 각종 교류에 적극 나설 경우 대만 내 한류 교육콘텐츠 공급 분야에서 주도권을 잡기가 상대적으로 수월할 수 있는 이유다.


이번 대만 순회방문을 계기로 대만에 대한 관심과 교류, 그리고 협력을 적극 추진해 나간다면 가까운 시일 내에 서경대학교 미용예술학과 혹은 실용음악학과에서 한류를 공부하는 대만 학생들을 볼 수 있을 지도 모른다.


대만1.jpg

김범준 교학부총장과 장타이셩 링둥과기대 재단 이사장이 

양교의 협력과 교류를 다짐한 뒤 악수하고 있다.


대만3.jpg

싱우대학 정문 부근 전경. 멀리 전광판에 서경대 방문을 환영하는 글씨가 보인다.


대만4.jpg

싱우대학 공연연습실. 공연실 한쪽에는 10여개 규모의 독립된 탈의실이 남녀별로 갖춰져 있다.


대만5.jpg 대만6.jpg

좡징고교에 붙어있는 대형 영화포스터. 

이 영화에 출연한 주연을 비롯한 상당수의 배우들이 모두 좡징고교 출신이다. 


대만7.jpg

CTBC 교내에 설치된 24시간 영어방송국 스튜디오


대만8.jpg

CTBC 본관 건물. 

건물과 건물을 오갈 때 골프카트 차량에 타고 이동할 정도로 교정이 널찍하다.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0417

한국헌법학회, 한국형 지방재정조정제도 학술 심포지엄

[천지일보=명승일 기자] 김관영·심상정 의원, 한국헌법학회(회장 고문현)가 주최하고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위원장 송재호)가 후원한 ‘한국형 지방재정조정제도 모색’ 학술 심포지엄이 최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강당에서 ...

[진세근 서경대 겸임교수 칼럼 : 漢字, 세상을 말하다] 開闢<개벽>

개벽은 개천벽지(開天闢地)의 줄임 말이다. 하늘을 열고 땅을 쪼갠다는 말이다. 새로운 천지를 연다는 의미다. 개벽의 원래 의미는 여러 가지다. 첫째, 천지창조다. 후한서(後漢書)에 “역신(逆臣) 동탁(董卓)이 황실을 뒤엎고 법전을...

"미래에도 사람-약사의 역할이 존재" - 최용석 서경대 교수 '시대 맞는 새로운 역할 변화’'주문 file

인공지능 등 새로운 기술이 나타나도 사람을 위해 서비스하는 약사는 없어지지 않고 새로운 역할을 가질 것이라는 전망이 제시됐다. 경기지부(지부장 최광훈)는 13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제13회 경기약사학술대...

[반성택 서경대 교수 시론] 한반도의 봄과 대학의 봄 file

▲ 반성택 교수 봄이 한창이다. 올해는 한반도의 봄도 같이 찾아올 듯해 지난 100여 년과는 다르게 봄날을 맞고 있다. 한반도의 20세기는 공동체가 겪을 수 있는 온갖 이야기로 점철돼 있다. 거기에는 식민, 분단, 전쟁 등이...

서경대 등 서울소재 대학에서 2학기에 운영되는 ‘공유대학 플랫폼’…남은 과제 산적 file

강좌 약 10% 공유 1차 목표…30%까지 확대 논의 교육부, “성공하려면 이용 학생 확보가 관건…정부 지원할 것” 실무진, “실효성에 의문…시범운영 통해 문제점 보완해 나가야” [한국대학신문 이하은 기자] 오는 2학기부터 서...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 학생들, 한국직업방송 ‘생방송-취업이 보인다’ 제작 및 리포터로 활동 file

'청년기획단이 간다'코너 3월부터 1년간 맡아 진행 7회차 방송분 '플로리스트' 편, 4월 30일(월) 오전 11시부터 1시간 동안 방영돼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운영위원장 방미영 교수, 이하 ‘청문단’) 학생들이 제작 및 ...

[진세근 서경대 겸임교수 칼럼] 시진핑이 '저질과의 전쟁'을 선포한 이유 file

요즘 쓰레기가 화두다. 원인은 다양하지만 핵심은 중국이다. 중국이 쓰레기 수입을 거부했기 때문이다. ‘먹고 살만 해졌으니 쓰레기를 안 받는 것이겠지’라고 한가하게 생각할 일이 아니다. 단순히 ‘그런 지저분한 물건 취급 안...

서경대 등 서울 소재 23개 대학, 오는 2학기 학점교류 본격 시행 file

서울총장포럼, 세계 최초 공유대학 플랫폼 첫 공개 ▲서울총장포럼에 참석한 23개 대학 총장들과 김상곤 교육부총리를 비롯한 교육부 관계자들. 한명섭 기자 8일 서울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열린 제11회 서울총장 포럼에서 세계최초...

서경대학교 언어문화교육원, 교육부 산하 국립국제교육원 공모사업 ‘2018 주요 국가 학생 및 토픽 우수자 초청 연수’ 위탁기관으로 선정돼 file

26개 국 30명의 외국 학생, 7월 10일부터 11일 간 본교서 연수교육 참여 서경대 학부 및 대학원생 대상 연수 진행 도우미 및 홈스테이 가정 모집  서경대학교 언어문화교육원(원장 안병팔 교수)이 최근 교육부 산하 국립국...

‘서경대 사람들’ 인터뷰 : 김승준 서경대 제27대 너울 무적 이공대학 정 학생회장 file

“임기를 마치고 시간이 흘렀을 때 ‘그래도 그때 일했던 학생회장만한 사람은 없었다.’라고 학우들이 기억하는 사람으로 남았으면 좋겠습니다.” 너울 무적 이공대학 정 학생회장 김승준 군 계절의 여왕인 5월을 맞아 캠퍼스...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