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반성택(본지 논설위원 / 서경대 철학과 교수)

반성택 철학과 교수.jpg

스마트폰 사용은 편한데 그 이외는 너무나 불편하다. 빵집보다 많아 보이는 대리점을 거리에서 보며 전화기를 사러 어디로 갈지가 우선 망설여진다. 마침내 골라 들어가도 사실 몇 종류에 불과한 기종에 대한 온갖 유형의 가격 리스트를 대하며 이른바 합리적 소비는 계산 가능한 수준을 넘어섰다고 느껴진다. 그리고는 많은 이들이 선택한다는 요금제와 가격을 조언 받고 구매를 하게 된다.


참 불편하고 부당하다는 생각이다. 돈 내는 내가 그 복잡한 요금체계와 가격구조를 몸소 알려고 노력해야 하는 것이다. 대다수는 그럴 수 없으니 적당히 선택하고 돌아선다. 호갱이 되고 싶지는 않다. 하지만 누구나 쉽게 호갱으로 전락하는 구조가 널려있다. 그 복잡한 가격 정책 때문이다. 휴대전화의 핵심적 마케팅 전략은 가격구조를 복잡하게 해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이 불가능에 가깝도록 하는데 있다. 그리고는 대책 없이 대리점의 이른바 전문가 조언을 받아들여 요금제를 선택한 이후, 이에 따른 모든 결과는 온전히 나의 몫이다. 혹시 선택한 요금제에서 내가 조금이라도 벗어나면 징벌적 수준의 요금을 각오해야 한다.


휴대전화를 둘러싼 복잡한 가격 구조는 합리적 소비를 사실상 불가능하게 만들고 나의 어쩌지 못해 내린 선택에 나를 대강 맞추도록 한다. 가격 정책이 나를 지배한다. 편리한 전화기를 불편하게 판매하는 것이다. 현대 문명의 핵심인 스마트폰 사용은 우리를 현대적 인간으로 이끌지만, 그 가격 구조는 우리에게 합리적 소비로의 길을 사실상 차단한다. 합리적 소비가 차단되는 그만큼 그들의 이익은 올라간다.


이렇게 복잡한 가격 구조가 합리적 소비를 가로막듯이, 대학 구조개혁평가에서도 이러한 추이는 발견된다. 평가는 평가 대상의 합리적인 발전을 이끌어야내야 한다. 평가기준 및 지표가 합리적 발전을 낳도록 설계돼야 한다. 그런데 그간의 대학평가 지표는 발전계획, 특성화계획에서 교육과정 및 비교과지원까지를 망라하며 발전의 핵심 요인에 대한 투명한 접근을 저해한다. 이러한 전방위적인 평가지표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이나, 하지만 우리나라의 대학발전을 현재 단계에서 어렵게 만드는 핵심적인 요소가 무엇인지를 생각하면 저러한 백과사전식 평가는 발전을 견인하기에는 너무나 허술하다.


우리는 오늘날 누가 뭐래도 자본주의 시대에 살고 있다. 대학교육이 제대로 되려면 무엇보다도 좋은 교수를 뽑고 그리고 교육비가 합리적으로 쓰여야 한다. 이에 대한 실질적인 평가지표는 그간 사실상 없었다고 보인다. 무엇보다도 전임교수 관련 평가에서 전임교수의 정의 자체가 지난 10여 년 간 이완돼 온갖 유사 유형을 전임교원으로 인정한 상태에서 평가가 진행된다. 무늬만 전임교수를 양산하는 평가가 진행된다. 전임교원의 정의 자체가 후퇴한 상태에서의 평가는 교원의 지위와 수준을 향상시켜 대학발전을 결과할 수 없다. 본질에서 비껴간 평가 정보를 양산해 현재를 투명하게 보지 못하게 한다. 평가지표가 대학발전을 실질적으로 견인하지 못하는 것이다. 또한 교육비 관련 평가지표도 그 전반적인 합리성을 평가하려는 척도로의 근본적 전환이 있어야 한다.


적합한 평가지표 도입이 대학발전의 핵심적 요인이듯이, 누구나 소망하는 정치발전도 실은 선거제도의 합리성에 걸려있다. 지금은 그래도 정당별 득표율과 의석수의 상당한 괴리에 대한 문제의식이 확산돼 있다. 너무나 어수룩한 선거제도를 지난 수십년 간 유지해 오면서 우리가 정치발전을 우리의 성숙한 시민의식에서 구하는 것이 더 이상은 타당하지 않을 것이라는 인식이 점차 깊어진 것이다. 대통령 직선제에 결선투표를 도입해 민주성과 더불어 사회통합의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한다. 아울러 국회 의석수가 득표 비율대로 가급적 정해져서 시민들이 촛불시위에 나서지 않고서도 나의 목소리가 더해진 정당이 그 의석수만큼 발언하고 주장하고 다투는 모습이 의회에서 나타나야 한다.


누구나 대략 짐작한다. 내가 온갖 정치적 이슈에 대해 갖는 의견이 사회 전체에서 어느 정도 비율로 대변되는지 말이다. 이게 상당한 격차로 어긋날 때 사람들은 거리로 나설 수밖에 없다. 시민들이 선거제도와 이에 따른 의석수 구성에서 ‘호갱’이라 스스로 여길 때 광화문에 나서는 것이다. 선거제도가 우리의 정치적 의지를 충실히 담아낼 때, 민주주의와 사회통합이라는 서로 다른 방향의 가치를 사회 현실로 담아낼 수 있다.


<원문 출처>

한국대학신문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180584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445

서경대학교 뷰티테라피&메이크업학과 제3회 졸업전시회 성황리에 열려 file

12월 2일(금)부터 3일간 대학로 서경대 공연예술센터 skon gallery서 뷰티테라피&메이크업 학과 졸업전시회 홍보 포스터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뷰티테라피&메이크업학과의 제3회 졸업전시회가 12월 2일(금)부터 4일(일)까...

[서경대 MFS] 글로벌 모바일 금융서비스 전쟁 file

서경대학교 MFS 연구회 정희정 연구원 서경대학교 MFS(Mobile Financial Service) 연구회는 금융정보공학과 서기수 교수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연구모임으로 세계적으로 급변하는 핀테크시장의 흐름과 동향파악을 통해서 국내...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사업단 지역상생분야 워크숍 <Happy Birthday 아이디어톤> 참여자 모집 file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이 오는 12월 15일 성북구 지역사회 문제를 발굴하고 해결할 수 있는 지역상생 워크숍 <Happy Birthday 아이디어톤>을 개최하며, 5일부터 참여자를 모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이디어톤은 ...

[서경대 카드뉴스] 서경대학교 12월 행사들을 알아보자 file

서경대학교 연구정보 환경보건센터, ‘2022년 전문가 초청 세미나 및 자체평가회의’ 개최 file

12월 1일(목)~12월 2일(금), 대전 유성호텔 별관 1층 다모아홀서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연구정보 환경보건센터(센터장 이철민 교수)는 12월 1일(목), 2일(금) 이틀간 대전 유성호텔 별관 1층 다모아홀에서 ‘2022년 전문가 초청...

서울시가 설립하고 서경대학교가 수탁 운영하는 서울시립청소년음악센터, 양천문화재단과 상호 교류 및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서울시가 설립하고 서경대학교가 수탁 운영하는 서울시립청소년음악센터는 양천구 양천문화재단과 12월 6일(화) 오후 2시 양천문화재단 회의실에서 상호 교류 및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서울시립청소년음...

서경대학교 취창업지원센터 ‘직무역량중심 취업전략시리즈: 제3회 「2022 SKU Career Challenge Campus」‘ 프로그램 성료 file

11월 23일부터 12월 6일까지 2주간, 총 6개 School, 33개 Program 통해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취업 교육 및 실습 제공 직무 맞춤 아카데미 AI, Big Data, App, Web 개발 분야에 대한 현직자 집중 교육 및 토크콘서트, ...

서경대 모델학전공 사진전… 앵글에 담은 사계 file

사진=서경대학교 예술교육원 모델학전공은 제2회 사진전을 열었다. ‘사계’ 가을(秋)中.왼쪽부터 모델 최인철, 진예현, 홍효재, 이오인, 최수아. 탱고와 대중예술의 경계를 넘나드는 일은 더 이상 새로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종...

언리얼 엔진 기반 메타버스 뮤지컬 '몽유도원도' 시연회 성황리 종료ᅠ업그레이드된 2차 시연회 12월 16일 개최 예정 file

'2021 문화콘텐츠 R&D 전문인력 양성(예술ᄋ과학 융합 프로젝트)사업'의 일환 가상공연장 및 <몽유도원도> 콘텐츠, 2022 문화기술 성과전시회 출품 예정 ᅠ 언리얼 엔진 기반 메타버스 뮤지컬 <몽유도원도>의 시연회가 11월...

서경대학교, 인도 CMR대학교와 교육 및 연구 분야 협력관계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12월 9일(금) 오후 2시 교내 본관 3층 대회의실서 ᅠ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12월 9일(금) 오후 2시 교내 본관 3층 대회의실에서 인도 CMR대학교와 양교의 교육 및 연구 분야 협력관계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