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서울 지역 11개 대학이 수시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의 서류와 면접 과정에서 학부모의 직업을 노출하고 지원자를 평가한 사실이 최근 국정감사를 통해 밝혀졌다. 서울대를 비롯한 서울 소재 8개 대학의 ‘학종’ 선발 비율이 과반을 넘는 점을 감안할 때 학생 능력보다 부모의 직업이나 경제력이 영향을 미친다면 교육을 통한 계층간 이동은 더욱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대학 수시전형이 수천 가지가 넘는다고 한다. 따라서 학생만 노력 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저학년 때부터 부모의 도움과 경제력이 뒷받침이 돼야 좋은 생활기록부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입시제도가 복잡할수록 정보력과 경제력이 떨어지는 지방 출신 학생의 비율이 줄어든다는 서울대 통계도 있다. 학생 실력보다 주변환경, 즉 정보력과 경제력이 작용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 개천에서 용이 나기 어려운 구조라는 평가다.


171729-55883-sample.png

© 사진=연합뉴스


학생 실력보다 부모의 경제력이 입시에 영향 미쳐 

 

물론 대학 입시에서 지역균형선발이나 사회적 배려자 전형 등 사회적 불평등 해소를 위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는 것은 긍정적인 면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계소득을 기준으로 저소득층, 중산층, 상류층으로 구분하는데, 계층간 이동을 결정하는 것이 ‘교육’이다. 물론 최상위 부자로 이동하려면 창업이나 자본시장에서 성공해야 한다. 저소득층도 노력하면 계층이동이 가능한 사회가 돼야 희망이 있는 공정한 사회로 가는 것이다. 

 

최근 서울대 연구소가 발간한 ‘개천에서 용이 나오기 어렵다’는 내용의 논문은 우리사회에 소득불평등이 얼마나 심화됐는지를 느끼게 해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사회 경제적 환경 요인, 즉 아버지의 직업과 학력이 기회불평등에 영향을 준다. 특히 2001년 10%대였던 기회불평등도가 2014년에는 40%대로 증가했다. 이 말은 최저환경에서 2001년에는 1~2명이 기회불평등으로 피해를 봤다면, 2014년에는 4명 가까이 성공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기회불평등이 해를 거듭할수록 심화돼 ‘개천에서 용이 나기 어렵다’는 것이 연구결과로 입증된 것이다. 이 논문은 1990년대 초반까지는 공교육 중심의 평준화된 교육체계와 빠른 경제 성장으로 소득불평등 수준은 낮았고, 세대간 계층 상승 기회는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이후 높은 불평등과 양극화로 교육을 통한 계층이동의 희망이 사라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최근 유행했던 ‘엄마의 정보력과 아빠의 무관심, 할아버지의 재력이 아이의 대학을 결정한다’는 얘기처럼 결국 계층이동의 사다리가 주변환경인 ‘수저’'에 의해 결정되는 구조가 형성되고 있다는 것이다.

 

80년대 학력고사 세대(일명 386세대)는 가난해도 공부만 잘하면 명문대학 입학은 물론이고 고시를 통해 누구나 계층이동이 가능했다. 물론 서열화라는 부작용은 있었지만 지금 수시전형처럼 최소한 공정성 논란은 없었다. 또한 지금처럼 수천 가지 입시전형도 없었고, 사회분위기에 편승해 개천에서 용이 난 사례가 언론의 좋은 기사거리가 됐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 다양한 입시전형은 기회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있는 모양새다. 저학년부터 준비해야 하는 대학입학 전형은 하루하루 생활하기도 빠듯한 저소득층에게는 그림에 떡이며, 뒤늦게 철들어 공부한다고 해도 따라가기 어려운 시스템인 것이다. 부모의 경제력과 정보력이 계층이동의 기반이 되면서 소득불평등은 점점 더 심화되고 있는 것이다. 

 

가난한 부모 밑에서 공부해도 노력하면 누구나 성공할 수 있는, 희망이 넘치는 공정한 사회를 위해 계층이동의 사다리가 복원돼야 하는 이유다.

 

미국 프린스턴대 앨런 크루거 교수는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나 부자가 된 청년 개츠비(소설 ‘위대한 개츠비’의 주인공) 이름에서 연유한 ‘위대한 개츠비 곡선’' 이론을 통해 경제적 불평등을 비판하고 있다.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난 주인공 제이 게츠비는 성공의 야망을 품고 육군 장교가 돼 한 여인을 만난다. 그러나 그녀는 부유한 남자와 결혼하면서 개츠비를 떠나고, 개츠비는 부정한 방법으로 돈을 모아 다시 옛 사랑을 찾지만 상류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모략에 의해 총에 맞아 죽는다는 내용이다. 

 

개츠비가 살던 시대는 경제대공황 직전으로 상위 1%가 미국 전체소득 중 21%를 차지하는 소득 불균형이 극심한 때였다. 개츠비 곡선은 경제적 불평등 정도가 심하면 심할수록 부모의 부(富)가 자식에게 대물림 될 가능성이 높고, 부모가 가난하면 자식도 가난해질 확률이 높아진다는 즉 부모세대의 소득이 자식세대의 소득에 미치는 것을 경고하고 있다.


171729-55884-sample.png

서울대학교 전경 © 시사저널 최준필


개천에서 용 나오려면 공교육 활성화해야

 

부모의 경제력이 자녀의 계층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일까? 그 원인은 높은 민간 교육비 부담률에서 찾을 수 있다. 매년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득 수준과 지역에 따라 학생 1인당 사교육비 차이가 무려 8배까지 벌어져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수준과 지역에 따라 사교육비 자체 격차가 심화되면서 사교육이 계층을 공고히 하는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우리나라 정부의 교육비 부담비율은 65%이다. 민간비율은 35%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13%보다 민간 부담률이 3배 가까이 높은데 원인이 있다. 핀란드처럼 복지와 교육 수준 둘 다 높은 나라의 민간 부담률보다는 무려 12배나 높다는 것이다. 무너진 교육 사다리가 복원돼 희망의 상징이 되기 위해 공교육에 활성화 돼야 하는 이유다.

 

유럽 선진국인 덴마크나 노르웨이처럼 가난한 부모 밑에서도 노력만 하면 계층이동이 가능하게 되려면, ‘공교육’이라는 풍부한 개천이 살아있어야 용(龍)도 나올 수 있는 것이다.


원문출처 : http://www.sisapress.com/journal/article/171729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352

모델 김기범, 모델캠프 1등해 꿈 이룬 사연은? file

사진=김기범SNS [한국정책신문=최동석 기자] 연습생 출신 한서희가 19세때 클럽에서 방탄소년단의 멤버 뷔와 모델 김기범을 목격했다는 발언이 논란이 일자 모델 김기범에대한 네티즌들의 관심이 뜨겁다. 최근 한서희는 자신의 ...

서경대학교 페미니즘학회 ‘조짐’, 미투(ME TOO) 운동 관련 공개 발제 열어 file

4월 5일(목) 오후 6시 교내 혜인관 309호서 ‘조짐’ 공개 발제 포스터 서경대학교 페미니즘학회(학회장 서민주) ‘조짐’의 미투(ME TOO) 운동 관련 공개 발제가 지난 4월 5일(목) 오후 6시 교내 혜인관 309호에서 열렸다. ‘...

서경대 공연예술학부, 4월 27일~29일 사흘간 연극 ‘매직 타임’ 무대에 올려 file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학부장 장지연) 학생들이 4월 27일(목)부터 4월 29일(토)까지 사흘간 교내 북악관 8층 스튜디오에서 연극 ‘매직 타임’을 무대에 올렸다. 공연예술학부 연기, 무대기술, 무대패션 전공 학생들의 콜라보...

대만 중부 영동과기대, 서경대와 형제대학 됐다 file

자오즈양 총장, 서경대와 전방위에 걸친 협력관계 구축 희망 MOU 체결 직후 구체적 교류 방안 협의해 확정 영동대 학생들 서경대서 단기 연수 갖고 이 기간 중 양교 교수들 워크샵 개최키로 학생 교류 시행하고 석·박사 과정 공동운...

“머리 다듬고 金따면 다시 오겠다던 약속 지켰네요” file

美 크로스컨트리 선수 랜들 선수촌 미용실서 머리 손질 뒤 여자 팀스프린트 프리 금메달 헤어디자이너들과 기쁨 나눠 ▲ 미국 크로스컨트리스키의 키컨 랜들(왼쪽)이 24일 평창 선수촌 미용실에서 김유정 서경대 교수에게 금메달...

서경대학교 뮤지컬학과 정기공연 ‘헤어스프레이’ ‘대성황’…문예홀 전석 매진 - 고품격 문화 예술 선사, 뮤지컬 스타들의 새로운 탄생. file

헤어스프레이 뮤지컬 무대 스틸컷 서경대학교 뮤지컬학과의 2017학년도 2학기 정기공연인 ‘헤어스프레이'가 12월 20일부터 24일까지 열렸다. 공연 전부터 입소문이 자자했던 뮤지컬 헤어스프레이는 김삼일 서경대 뮤지컬학과 교수가...

[인터뷰] ‘벤허’ 박민성(서경대 공연예술학부 졸업) “인정사정없는 노래, 올드보이 ‘장도리씬’ 생각날 거예요” file

데뷔 10주년, 이름 바꾸고 첫 무대…흔하지 않은 악역 ‘메셀라’로  ▲ 뮤지컬 ‘벤허(연출 왕용범)’에서 메셀라 역을 맡은 배우 박민성을 서울 흥인동 충무아트센터에서 만났다.(뉴스컬처) ©윤현지 기자 최근 공연계에서 활동...

이석형 서경대 혁신기획처장, “혁신지원사업 통해 취업·창업 역량 강화 학교 확 바꿀 것” file

△서경대 대학혁신지원사업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총 3년간 진행된다. 사업단 혁신기획처장은 이석형 산학협력 단장이 맡았다. 서경대 대학혁신지원사업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총 3년간 진행된다. 이를 위해 서경대는 총장 ...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일본에서도 ‘기생충’ 열풍 file

지난해 말 일본 도쿄 시부야에서 열린 영화 ‘기생충’의 기자시사회에서는 보기 드문 광경이 펼쳐졌다. 처음부터 웃음바다를 이뤘던 시사회는 영화가 시작하고 5분여 지난 뒤부터 그야말로 폭소의 도가니였고, 중반부에는 진지...

서경대, 수시모집 경쟁률 22.02대 1로 전국 4년제 대학 중 9위 file

실용음악학과 보컬전공은 602.00대 1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경쟁률 기록 예술대학 전체 경쟁률도 68.51대 1로 매우 높아 화학생명공학과(36.33대 1), 문화콘텐츠학과(34.25대 1), 컴퓨터공학과(28.22대 1) 토목건축공학과(25.92대 1) 등...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