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서울 시내 한 사립 초등학교에서의 학교폭력 사건으로 시끌시끌하다. 학교폭력은 어제오늘의 일도 아니지만 연간 2만건 수준에서 줄지 않고, 질적으로도 나빠지고 있다.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을 만든 지 13년이 지났지만 제 구실을 못하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가장 큰 문제는 이 법이 학교와 교사에게 면죄부를 주고 있다는 점이다. 학교폭력 예방 현장의 사령관은 학교와 교사인데, 이들에게는 학교폭력을 예방하지 못해도, 발생한 사건을 잘 처리하지 못해도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조항이 없다. 국공립 학교는 인사권을 통해 암묵적인 좌천이라도 가능하지만 사립학교에는 이 또한 무용지물이다. 학교폭력 예방 교육을 학기마다 실시하도록 하고 있으나, 처리 절차나 피해 학생에게 출석이 인정되는 등 기초 조항조차 아는 교사가 거의 없다. 매년 실태조사 대상에서 교사는 제외돼 있어 공식적인 통계조차 존재하지 않는다. 화해나 중재 금지령을 내리는 교육청 장학사도 있고, 모든 결정에 중립을 표방하며 학부모가 과반인 ‘학폭위’에 책임을 전가하고 ‘강 건너 불구경’하는 것을 합법화하고 있다. 

임성은 교수님.jpg
임성은
서경대 교수·행정학

그다음 문제는 가해자에게 면죄부를 주고 피해학생에게 전학을 반강제 하고 있다는 점이다. 가해자에게 내리는 최고의 징계인 퇴학이나 ‘강제 전학’은 빈도가 낮아 사실상 불가능한 수준이다. 한 교실 또는 같은 학교 내에 가해자와 피해자가 공존할 수밖에 없는데 접촉금지와 같은 조치가 실효성이 있을 리 만무하다. 사회봉사나 서면사과, 몇 시간 교정교육으로 해결될 사항이었다면 애시당초 학교폭력의 가해자가 되지 않았을 것이다. 피해자는 조사과정과 학폭위 석상, 그리고 주변 학생들 시선으로부터 계속해서 상처를 받을 수밖에 없고, 보복의 위험도 배제할 수 없어 그들이 선택할 수 있는 최선책은 자신이 전학을 가는 것이다.  

또 다른 문제는 언어폭력에 대해 면죄부를 주고 있는 점이다. 언어폭력은 학교폭력에 포함하고 있으나 신체폭력보다 징계 강도가 약하기 때문이다. 신체폭력은 외형적으로 크게 보이지만, 피해자가 자살을 했다거나 생명을 잃은 사례는 거의 없다. 사건 이후 등교도 대부분 정상적이다. 반면, 놀림이나 따돌림 같은 언어폭력이나 비신체폭력은 상처가 1년 내지 평생 트라우마로 남을 만큼 오랫동안 지속된다. 자살로 이어지기까지 하고, 우리나라의 높은 청소년 자살률이 학교 부적응과 연계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럼에도 학교폭력을 처리함에 있어서는 크게 달라지지 않고 있다.  

캐나다에서 왕따(Bullying)에 대응하는 기본 원칙이 ‘무관용’(Zero Tolerance)이라고 한다. 처음이라거나 장난, 놀릴 의도가 없었다는 호소는 관용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절대로 같이 비웃거나 동조하지 말고, 놀림의 당하는 편에 서라, 놀림을 당하면 맞서지 말고 의기소침해하지 말라, 문제는 괴롭히는 사람에게 있기 때문’이라고 교육을 한다고 한다. 덮는 게 최상이라는 문화의 변화, 학폭위원의 전문성 보강이 필요하다. 가해자에게 피해자가 용서하지 않는 한 강제전학을 기본 조치로 바꿀 필요도 있다. 교사와 학교의 책임도 엄중히 추가해야 한다. 사람 중심의 정부가 해야 하는 최우선적이고 중요한 과제일 수 있다. 

임성은 서경대 교수·행정학 


<원문 출처>
세계일보 http://www.segye.com/newsView/20170814002514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1722

[진세근 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 : 漢字, 세상을 말하다] 和睦<화목> file

漢字, 세상을 말하다 인도네시아는 300여 종족이 모인 다민족 국가다. 언어도 400종이 넘는다. 국가 통합이 쉬울 리 없다. 어느 종족의 언어도 아닌, 말레이어 계통의 믈라유어(語)를 국가어로 채택한 이유다. 통합과 화목(和睦...

국내 대학 최대 규모의 언택트 패션 갈라쇼 ‘HUB(허브) 11‘ 유튜브 스트리밍 방식으로 공개 file

코로나 19 여파로 공연내용 유튜브 ‘서경대학교 무대패션 전공’ 채널 통해 공개 9월 6일(월) 오후 2시부터 스트리밍 예정  지난 6월 4일(금) 서경대학교 본관 8층 컨벤션홀에서 진행되었던 국내 대학 최대 규모의 언택트...

[반성택 서경대 교수 시론] 한반도의 봄과 대학의 봄 file

▲ 반성택 교수 봄이 한창이다. 올해는 한반도의 봄도 같이 찾아올 듯해 지난 100여 년과는 다르게 봄날을 맞고 있다. 한반도의 20세기는 공동체가 겪을 수 있는 온갖 이야기로 점철돼 있다. 거기에는 식민, 분단, 전쟁 등이...

새 학기, 동기나 선후배들과 밥 약속을 잡는다면? file

같이 밥을 먹는 것은 관계 형성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족도 밥을 같이 먹어야 식구가 된다”는 격언은 그같은 의미를 단적으로 나타내주는 말이다. 새 학기가 시작되면서 친해지고 싶은 동기나 선후배들과 "같이 밥 ...

2차 국가장학금 신청, 잊지 말고 신청하자! file

서경대학교를 비롯해 전국 대학교의 대학생들 대부분은 국가장학금 혜택을 받고 있다. 국가장학금은 대학생의 등록금 부담 완화를 위해 소득과 재산이 일정 수준(학자금 지원 8구간) 이하인 대학생 가운데 성적 기준 등을 충족한 ...

서경대학교·리드베터골프아카데미코리아 산학협력 체결 file

신재광 교수(오른쪽)와 로빈 사임스 리드베터골프아카데미코리아 원장이 협약서를 들어보이고 있다. 서경대학교 경영문화대학원 레포츠경영전공은리드베터골프아카데미코리아와 산학협력체결 협약식을 가졌다 지난 23일 유담관 11층 대회...

[대입 내비게이션 - 2019 정시 특집] 비실기학과는 수학능력시험 성적 100%로 선발 file

서경대학교 서경대학교(정한경 교무처장·사진)는 ‘실사구시’ ‘교육보국’의 정신으로 명분보다는 실리를 추구하는 ‘실용 중심의 창의 인재’를 키우는 열린 교육에 주력하고 있다. 서경대는 전형 간소화를 위해 정원내의 경우 1...

서경대 군사학과 채성준 교수 저서 ‘스파이 세계와 영화: 역사를 바꾼 스파이 이야기’ 개정판 출간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군사학과 채성준 교수가 ‘스파이세계와 영화: 역사를 바꾼 스파이 이야기’의 개정판을 출간했다. 그의 저서 ‘스파이세계와 영화: 역사를 바꾼 스파이 이야기’ 초판은 2021년 8월 도서출판 동문사에서 ...

[서경대 MFS] 핀테크 대출(Loan) 사례 – LendingClub file

서경대학교 MFS(Mobile Financial Service) 연구회는 금융정보공학과 서기수 교수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연구모임으로 세계적으로 급변하는 핀테크시장의 흐름과 동향파악을 통해서 국내 금융시장의 발전에 조금이라도 기여하기 ...

서경대 경영학부 전규열 교수 ‘우수봉사자’로 구청장 표창 수상 file

10여년간 독거노인 도시락 배달 봉사 등 서경대 경영학부 전규열 교수 성북구는 6일 성북구청에서 ‘2018 성북구 자원봉사자 대회’를 개최하고 한 해 동안 이웃과 사회를 위해 봉사활동을 한 자원봉사자들을 격려하는 시간을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