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이즈미.jpg
3월, 신학기가 시작됐다. 나는 대학에서 일본어와 일본문화를 가르치고 있다. 매년 1학년 일본전공 강의실에서는 ‘아이우에오(あいうえお)’부터 시작한다. 알다시피 ‘아이우에오’는 한국어의 ‘가나다’에 해당하는 일본어 학습의 첫걸음이다. 어학은 문자 쓰기, 읽기, 발음하기, 리듬을 몸에 익히는 것부터 시작한다.

아직 쌀쌀한 강의실에서 ‘아이우에오’라는 내 목소리에 힘차게 따라하는 학생들의 목소리가 이어진다. 반짝반짝 빛나는 1학년 학생들의 눈동자를 보고 있자니 박찬욱 감독의 작품 ‘아가씨’(2016년)가 생각났다. 특히 당시 신인이었던 김태리 배우의 눈망울이 생각난다. 신입생들과 똑같은 눈을 하고 있었다.

나는 이 영화에서 일본어 대사 번역과 배우들의 일본어 지도를 담당했다. 촬영 시작 6개월 전인 2015년 1월부터 일본어 교육은 시작됐다. 기초교육, 대사교육, 그리고 영상과 일본어 대사의 확인, 후시(後時)녹음까지 포함해 작업들은 상영 직전까지 이어졌다.

박 감독과의 작업은 마치 실험과 같았다. 일본어 네이티브가 아닌 한국인 배우에게 일본인 또는 일본어를 모국어 수준으로 말하게끔 연기를 시키는 것이었다. ‘아가씨’의 일본어 대사는 1930년대의 것으로 현대 일본인도 사용하지 않는 난해하고 고풍적인 것이었다. 대부분 처음 일본어를 학습하는 배우에게 네이티브 수준의 일본어 대사를 익히게 한다는 것은 ‘극한직업’과도 같은 작업이었다. 어디까지 리얼리티를 끌어올릴 수 있는지가 승부 지점이었다. 

이즈미1.jpg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타협을 허락하지 않는 감독에게 내가 주장한 것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일대일로 개인지도를 해야 한다. 둘째, 일본어 대사가 있는 모든 배우를 지도해야 한다. 셋째, 가능한 한 ‘아이우에오’를 익히고, 한국어 발음을 쓰지 않으며, (모국어의 간섭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히라가나 표기로 대사를 써 읽게 한다. 넷째, 배우에 따라 어려운 발음이 있으면 그에게 맞춰 일본어 대사를 다소 수정한다.

한국인에게 일본어는 배우기 쉬운 언어다. 일본어와 한국어의 어순이 같고, 공통된 한자어가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비슷하기에 차이를 인식하기 어렵고 방심하기 쉽다. 발음에 한국어에는 없는 ‘악센트’와 ‘박(拍)’이 있기 때문이다. ‘박’이란 ‘음절 한 개의 길이에 해당하는 시간적 단위’다. 예를 들어 ‘토쿄(東京)’는 2박이 아니라 4박 ‘토오쿄오’이고, 장음의 현상이 일어나 ‘토∼쿄∼’가 된다. ‘오사카(大阪)’도 3박이 아니라 ‘오∼사카’의 4박이 된다. 영화 대사에서는 특히 박 수가 중요하다. 음성은 후시녹음으로 수정할 수 있는데, 이때 박이 맞지 않으면 입 모양과 대사가 맞지 않아 고칠 수 없기 때문이다. 

‘아가씨’에서는 시나리오의 일본어 대사에 박과 악센트를 표기했다. 감정에 열중하면 박이 흐트러져서 되풀이하며 지도했다. 어디가 어떻게 틀린지를 묻는 배우에게 잘 설명하지 못해 진땀을 흘린 적도 많았다.

감각적으로 대사를 인지하는 하정우 배우와 김민희 배우, 논리적으로 이해하려는 조진웅 배우, 어학 소질이 뛰어난 김태리 배우는 타고났다는 느낌이었다. 일본어를 아는 문소리 배우는 원문 호흡에 맞춰 함께 의논하며 일본어 대사를 수정하기도 했다. 김해숙 배우는 직전에 일본어 대사가 바뀌어도 전혀 흔들림이 없어 연기자로서의 기개에 압도당했다.

한국에서는 임진왜란과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하는 드라마나 영화에서 자주 일본어 대사가 등장한다. 하지만 한국 내수용으로 제작된 작품에서는 주연급이 아니라면 일본인 역할이어도 일본어가 너무 서툴러 보기 힘든 경우가 있어 유감스러웠다.

물론 ‘아가씨’의 일본어가 완벽했던 것은 아니다. 모국어의 간섭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었고, 일본인에게는 다소 이질감이 느껴졌을 것이다. 그러나 완벽에 가까워지기 위해 배우들도 스태프도 피나는 노력을 해 국제적인 영화로 만들어진 것은 확실하다.

‘아가씨’는 내 인생의 전환점이 된 작품이다. 타협을 허락하지 않는 박 감독의 자세, 혼신의 힘을 다해 연기하는 배우들, 그리고 최선을 다하는 스태프, 최고를 지향하는 현장에서 배운 것은 헤아릴 수 없이 많다.

나는 학생들에게 오늘도 자세하고 철저하게 지도한다. 발음도 꽤 까다롭게 가르치고 있다. 내게 있어 교단도, 영화 제작 현장도 전쟁터처럼 치열하다. ‘아가씨’에서 얻은 경험과 에너지는 지금도 교육현장에서 고스란히 투영되고 있다.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원문 출처>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3/all/20190319/94621681/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544

서경대학교 헤어디자인학과 이·미용 봉사팀 ‘아르케’, 2022년 농촌재능나눔 봉사활동 실시 file

서경대학교 헤어디자인학과의 11명의 학생들로 구성된 이·미용 봉사팀 ‘아르케’(대표 정현광 학생)는 진용미 학과장과 김선혜, 김유정 등 소속 교수진과 함께 지난 7월 11일부터 14일까지 나흘간 인천 옹진군 영흥면에서 2022...

논술우수자전형 신설… ‘특성화 명문 종합대학’ 부상 file

[2023 대학 가는 길] 서경대학교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2023학년도 수시모집에서 입학정원 1309명 중 정원 내 862명을 선발한다. 올해 전형의 특징은 ▲이공대학 소프트웨어학과 정원이 기존의 80명에서 120명으로 40명 ...

[전문가칼럼] 효율적 시장에서의 효율적인 투자전략 file

우리가 대학교에서 ‘투자론’이라는 과목을 배울 때 반드시 듣게 되는 이론이 있다. 바로 효율적 시장가설이라는 말이 있다. 효율적 시장 가설(EMH : Efficient Market Hypothesis)이란 가격은 상품에 대해 얻을 수 있...

서경대학교, 성북경찰서와 학생 생활 안전 위한 상호 협력 합의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8월 29일(월) 신임 인사차 본교를 방문한 정영오 성북경찰서장과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2학기 전면 대면수업을 앞두고 학생들의 안전한 학교생활을 위해 양 기관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서경대, 3년 연속 ‘정부초청 외국인 장학생(GKS) 한국어 연수과정 운영 대학’ 선정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가 교육부 산하 국립국제교육원이 주관하는 ‘정부초청 외국인 장학생 (GKS: Global Korea Scholarship) 한국어 연수과정’의 운영 대학으로 2020년, 2021년에 이어 2022년 3년 연속 선정됐다. 정부초청...

대학, 지역과 상생·협력을 도모하다!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사업 알아보기 file

서경대학교를 비롯한 서울의 여러 대학들은 대학과 지역이 상생·협력을 도모하고 함께 자원을 공유하며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해 살아 움직이는 창업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캠퍼스타운 조성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ICT 문화융합 ...

[라이프 트렌드&] 우영우 고래, AI 세종대왕 … 광화문광장에서 만나보세요 file

광화담·광화벽화·광화수 등 실감형 콘텐트 ‘광화시대’ 즐기는 방법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건물 외벽을 기역자 형태로 둘러싸고 있는 초대형 LED 스크린 ‘광화벽화’에서는 고래를 비롯한 다양한 실감형 콘텐트를 감상할 수...

[구자억 서경대학교 혁신부총장 기고] ‘취업’보다 ‘창업’ 중심으로 교육 바꿔야 미래 있다

스타트업이 중요한 세상이 되었다. 스타트업 중 10억달러 이상의 가치를 지닌 유니콘 기업은 전 세계적으로 800곳에 달한다. 가장 큰 유니콘 기업은 틱톡을 개발한 바이트댄스(Byte dance)로 1400억달러의 가치가 있다. 우리나라의...

2차 국가장학금 신청, 잊지 말고 신청하자! file

서경대학교를 비롯해 전국 대학교의 대학생들 대부분은 국가장학금 혜택을 받고 있다. 국가장학금은 대학생의 등록금 부담 완화를 위해 소득과 재산이 일정 수준(학자금 지원 8구간) 이하인 대학생 가운데 성적 기준 등을 충족한 ...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 서울신용보증재단 성북지점과 ‘Green 성북 캠페인‘ 운영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관내 소상공인 경영 컨설팅 및 시설개선 등 지원키로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단장 김범준)은 서울신용보증재단 성북지점과 8월 22일 서울신용보증재단 성북지점회의실에서 ‘Green 성북 캠페인’ 운영...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