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임성은 교수님.jpg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한 지 한 달이 됐다. 탈권위, 소통 행보 등이 비교적 호평 받고 있다. 하지만 역대 대통령들은 빠짐없이 임기 초 반짝 인기를 누리다 인사 실패나 측근 비리 등이 터지면서 위기를 겪는 시행착오를 반복했다. 그러지 않기 위해서는 새 대통령이 유념해야 할 점이 있다. 바로 국정농단 사건에서 되새겨야 할 것들이다.


첫째, 국정농단 사건은 지시받은 사람은 있으나 지시한 사람은 없다는 점이다. 또 그런 취지로 지시한 것이 아닌데 이해 혹은 전달이 잘못된 것이라는 점이다. 그런 점에서 지시사항을 명확히 문서로 남기는 것이 필요하다. 비서실이나 부처에서 전화나 비공식적으로 오고가는 지시사항까지 투명하게 처리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주요 현안일수록 은밀한 곳에서 독대하거나 소수가 결정하는 관행이 개선돼야 한다. 이런 관행으로 지시 주체가 불분명해지고, 전달 과정에서 내용 역시 왜곡될 가능성이 있다. 그동안 인사가 호평은 있으나 추천자까지 밝히지는 않았다. 검찰 개혁이나 세월호 사건 재조사 등을 지시하면서 누구와 어떻게 결정했는지는 여전히 알기 어렵다. 추측과 억측, 가짜뉴스의 부작용을 줄이려면 좀 더 획기적으로 공개해도 좋다.

 

셋째, 세월호 피해자 파악처럼 여러 단계를 거치는 과정에서 효용도 없이 지체만 되는 현상이다. 북한 미사일 발사 이후 신속한 대응을 시간 단위로 공개한 것은 전에 비해 향상된 것임은 틀림없다. 그럼에도 미사일 발사와 인지 시점에서 대통령 보고와 사후 조치까지 1시간 소요된 것을 감안하면 만족하긴 어렵다. 외국 사례를 참조하면 보고는 단계별로 하지 않고, 보고 대상자 전원에게 한꺼번에 메일이나 문자 등 통신망으로 신속 보고한다. 단계별로 추가 보완사항이 많지 않으므로 시간 지체를 막기 위함이고, 덧붙이거나 수정할 내용은 추후 처리하는 식이다. 재난상황에서 우리나라도 도입을 검토할 대목이다.

 

마지막으로 기록에 남지 않는 비공식 보고를 선호하는 공무원과 정치인의 관행이다. 화상회의를 기피하고, 전자결재를 하면서도 대면보고를 우선하는 것은 기록에 남기면 안 되는 보고사항이나 특별사항이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권력실세의 관심사항이라거나, 대통령 또는 친인척 등 개인적 지시사항 등 어떤 흔적도 남기지 않는 일처리가 능력의 척도로 인정받기 때문이다. 이런 일처리 문화에서는 또다시 오류를 되풀이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을 논하는 정보화 시대에 여전히 아날로그 시대에서나 있음직한 시행착오를 범하지는 말아야 한다. 대통령을 못 믿어서라기보다는 쉽게 드러나지 않는 이런 관행들이 적폐에 해당될 만큼 뿌리가 깊어서이다. 이런 것들의 개선은 대통령 집무실을 광화문으로 옮기는 것보다 중요할 수 있다. 어찌 보면 국무총리가 오랜 기간 광화문 청사에 근무하면서 공간과 투명성, 혹은 소통과의 연관성은 크지 않다는 것을 이미 증명해 보이고도 있기 때문이다. 선진국일수록 투명성과 예측가능성이 높다.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우리나라의 관련 지표는 최하위권을 맴돌고 있다. 새 대통령이 일하는 방식의 변화를 이어가며, 정말 달라진 대한민국을 만들었으면 좋겠다. 그 지표는 이민 갔던 국민이 다시 돌아와서 살고 싶은 대한민국이 아닐까.

 

임성은 서경대 공공인적자원학부 교수

 


<원문 출처>

국민일보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762754&code=11171314&cp=nv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1944

[구병두 서경대 교수의 교육칼럼] ‘체면’과 사양지심(辭讓之心) file

  서경대학교 인성교양학부 교수 (사)한국빅데이터협회 부회장 ‘체면’은 우리 민족의 심리특성에서 빼놓을 수 없는 현상(現狀) 내지 개념 가운데 하나이다. 즉, 체면은 한국인의 여러 가지 심리특성인 눈치, 정(情), 한(恨), 핑...

서경대학교 컴퓨터과학과, 인프라닉스(주) 송영선 대표 초청, 특강 개최 file

9월 5일(수) 12시 서경대 북악관 107호서, ‘클라우드 컴퓨팅산업 동향’ 주제로 서경대학교 컴퓨터과학과(학과장 민미경)는 클라우드 서비스 전문 기업인 인프라닉스(주)의 창업자인 송영선 대표이사를 초청, 지난 9월 5일(수) 12시 ...

진세근 서경대 문화콘텐츠학부 겸임교수 칼럼 : [漢字, 세상을 말하다] 懲罰<징벌> file

세상에 징벌만큼 다양한 것도 드물다. 징벌은 실수나 범죄를 저지른 자에게 강제되는 정서적, 육체적, 경제적 처벌이다. 절대 권력일수록 징벌은 혹독했다. 중국 고대의 절대 왕권은 징벌을, 자연 법칙으로 포장하기를 좋아했다...

“미세먼지 특별법 시행···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 2019 미세먼지 대응 국제 컨퍼런스 file

2019 미세먼지 정책설명회 및 미세먼지관리 우수사례 발표 세계맑은공기연맹, 환경일보 주최···2월21‧22일 킨텍스 개최 '2019 미세먼지 대응 국제컨퍼런스' 포스터 [환경일보] 이광수 기자 = 오는 2월15일부터 미세먼지 특별법이 ...

서경대학교, 문화예술분야 지역사회 공헌 활동으로 주목 받아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가 코로나 19의 확산 및 장기화 등 어려운 환경 가운데에서도 지역사회의 교육격차 해소 및 인재 양성,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공헌 활동을 이어가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서경대학교는 지난 2011년...

서경대학교 영화영상학과 학생들이 만든 작품 4편, ‘제6회 유럽단편영화제'에 소개된다 file

‘제6회 유럽단편영화제’ 6월 21일(목)~7월 1일(일) 아리랑시네센터 등서 열려…다양한 주제로 유럽의 삶 조명 서경대 영화영상학과 학생 작품 6월 24일(일) 오후 1시 30분 아리랑시네센터 2관서 상영 예정 서경대학교 영화영상학과...

서경대 인생나눔교실- 年 640회 인생경험 들려주는 45인의 멘토들 file

은퇴 공직자-교수 등 ‘인생나눔교실’… 보호관찰소-부대 등 찾아 무료 조언 “젊은이들 이해하는 계기 됐지요” 초창기부터 인생나눔교실에 참여하고 있는 조재경 고무신학교 대표가 24일 오후 서울 강남구의 한 호텔에서 열린 ...

[취재파일] 장교 양성의 새 요람…4년제 군사학과 file

장교가 되기 위해서는 통상 각군 사관학교를 거치거나 아니면 학군단, 학사장교 등의 코스를 밟게 됩니다. 가장 확실한 길은 사관학교입니다. 사관학교는 각군 장교단의 주력들을 배출하고 있습니다. 장교 양성의 다크호스가 나타...

[뷰티칼럼] 겨울철 피부 처짐 '슈링크 리프팅'으로 회복 file

언제부턴가 선명하게 눌린 베개자국이 일정한 시간 후에도 사라지지 않는다면 피부탄력이 떨어진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피부가 탄력을 잃는 것은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생산하는 피부를 구성하는 세포 기능이 약해졌기 때문...

[대입 내비게이션] 실기학과, 모집 군별 전공 분할해 선택 폭 넓어 file

서경대는 1947년에 창학했다. 사진은 지난 9월 1일에 개최된 개교 70주년 기념 KBS 열린 음악회 모습. [사진 서경대] 서경대학교(정한경 교무처장·사진)의 강점은 ‘실용’ ‘혁신’ ‘글로벌’로 집약된다. CREOS형(창의적이고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