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김종훈 교수님.jpg

<사진> 김종훈 교수가 서경대 유담관에 있는 그의 연구실에서 포즈를 취했다.


서경대학교 나노융합공학부 김종훈 교수와 공동개발로 진행한 디아메스코의 인슐린 자동주입기 핵심기술이 지난 421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19회 장영실 국제 과학문화상 시상식에서 의료기기 · 바이오기술 부문 대상을 차지했다. 인슐린 자동주입기 기술은 심박 측정을 통해 정밀 주입이 가능한 세계 최고의 초정밀도 기술이 요구되는 CGMS(차세대 플렛폼 센싱기술 도입)의 독점 기술이다. 511() 서경대 홍보실의 장겨울 학생기자가 김종훈 교수를 교내 유담관 15층에 있는 그의 연구실에서 만나 수상 소감과 기술개발 과정 등을 들어봤다.

 

장겨울 학생기자: 교수님께서 개발하신 핵심기술이 상을 받았을 때 어떠하셨는지 수상소감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김종훈 교수: ‘장영실 국제과학문화상은 제가 직접 받은 상은 아니지만, 먼저 제가 개발한 기술이 공인 받은 것에 대해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더 큰 기쁨은 디아메스코의 수상과 발전입니다. 디아메스코는 제가 교수생활을 하기 전부터 오랜 기간 지원을 해오고 있는 기업입니다. 디아메스코에게 제가 개발한 기술을 전수하고, 이 업체가 제 기술을 사회와 인류에게 유익한 방향으로 사용함으로써 보다 훌륭한 기업으로 발전하게 된 데 대해 큰 기쁨을 느꼈습니다.

 

장겨울 학생기자: 기술개발을 위해 어떤 과정과 경험(실험)들을 하셨는지 구체적으로 듣고 싶습니다.

 

김종훈 교수: 기술개발은 드라마처럼 하루아침에 발견되는 것이 아니며, 우연히 해결되지도 않습니다. 이번 핵심기술은 ‘11~12이라는 상당히 오랜 기간을 거쳐 일궈진 기술입니다. 또한 오랜 시간 속에서, 많은 실패가 있었습니다. 사람들은 실패를 실패그 자체로만 보지만, 저는 실패를 많이 해본 사람으로서 조금 다르게 생각합니다. 그 동안의 실험과정 중의 실패는 노력 없이 생겨난 실패가 아닌, 성공과 마찬가지로 열심히 이루어낸 또 다른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기술도 실패 끝에 얻은 좋은 결과이기에, 이 기술이 세상에 더 큰 영향을 끼치기를 기대하는 마음이 큽니다.

 

장겨울 학생기자: 공동개발은 어떻게 진행이 되었나요?

 

김종훈 교수: 제가 만드는 센서 기술과 같은 계열 안에서 연구하는 영국 캐임브리지대학의 김종민 교수와 진행을 함께 했습니다. 김종민 교수는 이번 기술과 관련된 연구를 위해 수없이 많은 국내외 논문들을 찾으면서, 제가 쓴 논문의 기술이 다른 기술들보다 가장 큰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저와 같이 공동개발을 하자며 연락을 해왔습니다.

 

장겨울 학생기자: 기술개발 수상과 관련하여 본교 학생들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으신가요?

 

김종훈 교수: 저는 학생들에게 자신감을 가져라.” 라고 말해 주고 싶습니다. 우리 학생들이 공부와 연구를 하면서 자신이 제대로 하고 있는 것인지, 자신의 수준이 낮은 것은 아닌지고민하고 상담할 때가 많습니다. 그러나 제가 실습현장에서 만나는 다른 학교 나노공학 전공 학생들을 보면서 우리 서경대 학생들이 그들과 실력 차이가 거의 없을 정도로 우수하다는 생각을 자주 하곤 합니다. 그 만큼 지금 우리 학교 학생들은 전문적인 커리큘럼에 맞춰 전공공부를 잘 따라가고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 자신감과 자부심을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자신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대해 자신감과 자부심을 가질 때 연구 과정과 결과도 달라진다고 생각합니다. 자신감과 자부심을 가지고 연구에 임하면, 그렇지 않았을 때보다 더 많은 도전을 가능하게 하고 더 수준 높은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나는 젊고 강한 도전정신과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어떤 것이든 해낼 수 있다.’라는 생각으로 열심히 노력하는 학생들이 되어 주었으면 좋겠습니다.

 

장겨울 학생기자: 교수님 연구에 대한 앞으로의 개인적인 비전이나 계획은 어떻게 되시나요?

 

김종훈 교수: 매 순간 치열하게 경쟁하는 기술개발 시스템과 환경 속에서도 흥미롭고 가치 있는 실험들을 하고 싶습니다. 또한 제어관련 기술, 3D 프린팅, 디자인 기술, 그리고 신소재관련 기술 등을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끊임없이 발전 가능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싶습니다. 그 과정 하나 하나가 쉽지 않겠지만 연구에 몰입하는 즐거움과 설레임으로 해낼 수 있을 거라 믿습니다. <홍보실=장겨울 학생기자>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089

서경대학교, ’서경대와 함께하는 마을교육활동 Make-up Artist Challenge‘ 운영 file

성북구 관내 중·고등학생 40명 선발, 8월 9일(수)부터 12일(토)까지 4일간 운영 메이크업 관련 기초지식부터 트렌드 분석, 시연, 체험, 진로설정까지 ‘다양’ 서경대학교(총장 직무대행 김범준) 문화예술센터(센터장 한정섭)는 성북...

[2022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 케이브콘 운영하는 스타트업 ‘케이브’ file

박제상 케이브 대표 -강다니엘 콘서트 외 90여개 콘서트 온라인 송출 -80% 이상이 아시아 및 북미지역 해외 접속자   [한경잡앤조이=이진호 기자]케이브는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 케이브콘을 운영하는 스타트업이다.박제...

[골프소식] 신재광 서경대 교수, 한국골프학회 우수심사위원상 수상 file

신재광(오른쪽) 교수가 우수심사위원상을 수상하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신재광 서경대학교 스포츠앤테크놀로지학과 교수가 ‘2023년 한국골프학회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에서 우수심사위원상을 수상했다. 시상식은 지난달 28일...

서경대학교, ‘2022년 인바운드 기술창업자 육성프로그램 「IM Workshop & Demo Day 프로그램」’ 개최 file

12월 22일(목), 23일(금) 양일간 서울 여의도 Glad Hotel서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지난 12월 22일(목), 23일(금) 양일간 서울 여의도 Glad Hotel에서 '2022년 인바운드 기술창업자 육성 프로그램 「IM Workshop &a...

서경대학교, 프랑스 브르타뉴 국제 무역 EMBA대학교와 협약 file

서경대학교(총장 직무대행)는 프랑스 브르타뉴 캥페르에 위치한 국제 통상·경영 5년제 국제무역대학교인 EMBA(Ecole de Management Bretagne Atlantique)와 3월 23일(목) 언어문화교류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EMBA는 1...

[2022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3D 그래픽을 활용한 메타버스형 웹 콘텐츠 제작하는 ‘타미디자인랩’ file

이연재 타미디자인랩 대표 -초고해상도의 3D 콘텐츠 웹상에서 구현 -3D와 AR 활용해 인터랙티브한 사이트 구성 [한경잡앤조이=이진호 기자] 타미디자인랩은 3D 그래픽을 활용한 메타버스형 웹 콘텐츠를 제작하는 스타트업...

서기수 서경대 금융정보학과 교수 칼럼: [서기수 교수의 성공투자 법칙⑥] 중앙은행 기준금리 파헤치기 file

<지난 호에 이어서> 일반인들이 돈이 필요해서 은행에 달려가 대출을 요청하면 심사를 거쳐서 대출이 실행된다. 물론 신용대출도 있고 담보를 설정해서 진행되는 담보대출도 있게 되는데 은행에서 대출을 실행할 때 재원은 ...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멘토스팀(지정빈, 윤지환, 김민재, 손정현, 박진우) 전국청소년통일댄스퍼포먼스대회에 출전해 ‘금상’(2등) 차지 file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실용무용전공 재학생들이 지난 4월 8일(토) 전주 풍남문 광장 야외 특설무대에서 열린 전국청소년통일댄스퍼포먼스대회에 참가해 ‘금상’(2등)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다. 올해로 제10회를 맞이한 전...

한기영 서경대 공공인재학부 교수 칼럼: 뜨거웠던 월드컵의 감동을 되새기며 file

당연하다고 생각한 모든 것들에 대한 모든 것의 도전  나라 안팎으로 비통한 소식들과 다사다난했던 일들이 끊이지 않았던 올 한해였다. 그래도 조금은 마음을 추스르고 다가올 새해의 새로운 희망을 품을 수 있게 된 까닭으...

서경대학교 영화영상학과 영화제 '제34회 PREMIERE OF PASSION' 성황리에 개최···상영작 5편 감독과의 인터뷰 file

지난 6월 16일(금) 오후 4시 아리랑시네센터에서 40여 개 작품 중 엄선된 5개 작품 선봬 <제34회 PREMIERE OF PASSION 공식 포스터> 서경대학교 영화영상학과(학과장 장민용 교수)는 성북문화재단과 협력하여 지난 6월...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