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170321_동아일보_임성은 교수님.jpg

 임성은 서경대 공공인적자원학부 교수



‘4차 산업혁명은 다보스포럼의 주제가 될 정도로 글로벌 이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4차 산업혁명이 무엇이냐는 기초적인 질문부터 육성 대상과 지원 방법, 정부의 역할론까지 다양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사실 용어만 다를 뿐 그동안 정부는 신성장 동력이라는 이름으로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10년 이상 예산과 인력을 투입해 왔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 때문에 제대로 된 효과를 보기 어려웠다.

 

우선 전통산업 혹은 굴뚝산업처럼 지원해 왔다는 점이다. 산업단지를 조성하듯이 창업공간을 지원하고, 투자금을 지원할 때는 담보를 우선으로 삼았다. 더 본질적인 문제는 효과가 미미한데도 정부 예산과 조직은 계속 확대돼 왔다는 점이다. 성과 미흡에도 공무원이 징계를 받고 좌천을 당했다는 소식은 듣지 못했다.

 

이런 결과가 나타난 큰 원인은 정부와 공무원들이 성과보다 연공서열을 우선시하기 때문이다. 성과는 평가하기가 어려워 불공정 시비가 많지만 연공서열은 매우 공정하고 합리적이며 예측 가능하다는 친절한 설명까지 뒤따른다. 성과보다 투입에 따른 산출물을 성과로 혼동하기도 한다.

 

100억 원을 투입하여 산업단지 부지 조성을 완료하면 그것이 성과이고 최고의 점수를 주고 승진을 시키는 방식이다. 분양이 얼마나 되었는지, 얼마나 적정한 기업을 선정했는지, 분양받은 기업이 활동을 하고 성과를 내는지에 대해선 알려고 하지 않는다.

 

인사권자의 관심도 없고, 제도적 평가기준도 없다. 대통령이 직접 지시한 전봇대 규제도 없앴고 푸드 트럭도 제도화했지만, 실제로 주변에서 푸드 트럭은 보기 어렵고 전봇대는 여전히 남아있다. 그 시점에 서류 보고만 받을 뿐 사후 성과에 관심이 없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려면 공무원과 정부의 평가체계를 성과 위주로 재편해야 한다. 어떻게 하면 4차 산업혁명이 제 궤도에 오를 수 있는지, 고용과 부가가치가 증대되는지에 초점을 맞춰 일하는 목표가 전환되도록 유도해야 한다. 평가 기준에 중요한 요소는 상사의 의중이나 서열이 아니라 철저히 현장, 고객의 의견이어야 한다.

 

임성은 서경대 공공인적자원학부 교수



<원문 출처>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3/all/20170321/83418818/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445

서울 성동구, 서경대와 ‘자치법규 선진화 본격 추진’ file

서울 성동구의회 의원연구단체 ‘성동구 조례 연구회’(이하 연구회)가 성동구 조례 제·개정을 위해 본격적인 조례연구에 돌입했다. 이번 연구는 고용필 대표의원을 비롯해 남연희·이영심·장지만·박성근·전종균 의원 6명이 주도적으...

행안부, 대한민국 안전기술대상 및 연구개발대상 시상 file

안전산업 분야 기업 및 연구자 등 산업 발전 공헌자 대상 25건 시상 13일 경기 킨텍스에서 개막한 '2023 대한민국 안전산업 박람회(K-SAFETY EXPO)' 현장에서 대한민국 안전기술대상 및 재난안전 연구개발 대상 수상작 15건...

[사고] ‘2023 아시아투데이 금융대상’ 신한금융그룹·미래에셋증권 선정 file

오는 22일 서울 여의도 CCMM빌딩서 시상식 개최  1일 서울 여의도 아시아투데이 본사에서 열린 금융대상 시상식 관련 심사에서 심사위원들이 토론을 벌이고 있다. 왼쪽부터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 최승재 세종대 법학...

한국행정법학회, 22일 '국가체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행정법학적 대응' 학술대회 file

한국행정법학회(회장 김용섭)는 22일 오후 1시 30분 세종시 조치원읍 홍익대 세종캠퍼스 세종관에서 '국가체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행정법학적 대응'을 주제로 제59회 학술대회를 연다. 이번 세미나는 대전세종연구원, 홍익...

경기도교육청, 국회서 '학생 창업상태계 조성 논의' 토론회 개최 file

경기도교육청이 ‘학생도 창업, 고교도 산학협력 할 수 있다’는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고등학교 산학협력의 실질적 방안을 모색하고, 학생 창업생태계 조성을 논의하기 위한 취지다. 토론회는 6일 오전 국회의원회관에서...

서경대학교 문화예술센터, 2023년 성북구 「인생상상 멘토링」 사업 본격 시동 file

9월부터 12월까지 6개 멘티그룹, 6명 멘토가 총 54회차에 걸쳐 인문·예술 멘토링 진행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 문화예술센터(센터장 한정섭)는 2023년 성북구 ⌜인생상상 멘토링⌟ 의 ‘멘토 오리엔테이션’을 마무리하...

발로 뛰는 지성언론, 서경대 신문 572호입니다. file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한국무용전공 재학생들 '2023 제18회 보훈전국무용경연대회‘ 본선에 참가해 '대상(장관상)’, ‘금상’ ‘은상’ 수상 등 우수한 성적 거둬 file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한국무용전공 재학생들이 지난 7월 9일(일) 상명아트센터 대신홀에서 열린 (사)보훈무용예술협회 주최 ‘2023 제18회 보훈전국무용경연대회’ 본선 ‘수상자의 밤’에 참가해 ‘대상(장관상)’, ‘금상’, ‘은상...

서경대학교, 「2023년 인생나눔교실(수도권)」 인생삼모작 인생나눔학교 ‘네트워킹 데이’ 성료 file

인생나눔교실 중간 성과 공유 및 참여자 간 네트워킹 진행 멘토별 멘티 유형 세분화한 맞춤형 인문사례 탐구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 문화예술센터(센터장 한정섭)는 ⌜2023년 인생나눔교실⌟ 수도권 지역의 ‘인생삼모작 인생...

성북구·서경대, 9일부터 나흘간 '마을교육활동' 실시 file

대학 우수자원 활용해 교육과정 개발, 청소년 진로탐색 메이크업 기초부터 전문과정까지 이론 및 실무교육 제공  성북구가 오는 9일부터 12일까지 나흘간 서경대학교 구내 청소년 40명을 대상으로 '마을교육활동'을 실시한...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