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반성택 교수.jpg

                                                                      ▲반성택(서경대 철학과 교수 / 한국대학신문 논설위원)

 

여론조사의 계절이 또 왔다. 응답률이 낮은 상태에서도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열심히 일한다. 오차 범위를 제시하고 그 뜻을 지역별, 세대별, 직업별로 분석한다. 그런데 여론조사 뉴스에는 공통점이 하나 있다. 어느 시점에서의 결과를 주로 전하며, 후보자들의 지난 1년가량의 지지율 추이를 이따끔 곁들여 전하는 식으로 뉴스가 이어지는 것이다.

 

오늘 우리는 이렇게 현재 시점의 여론조사 결과를 대하지만 과거 중요한 시기의 결과를 떠올려 보면 일정한 추이를 발견할 수 있다. 2002년 대통령선거 여론조사들은 40대 초반을 전후로 정치적 견해가 달라진다고 보여준다. 이 분수령은 10년이 지난 2012년 선거에서는 50대 초반으로 넘어왔으며, 요새는 전문가들이 50대 초반과 후반을 분리해 분석해야 할 필요를 느낄 정도에 이르렀다.

 

인간은 역사적 존재이다. 이는 그런데 우리가 시간 속에서, 또한 공동체의 역사 속에서 그저 살아간다는 밋밋한 의미만은 아니다. 지금의 나를 만들어온 것은 지난 시간 속에서 내가 살아오며 실제로 체험한 시대와 그때의 여러 공유되는 앎에 주로 기인한다는 점을 인간의 역사성은 담아낸다. 추운 밤, 군대에서 야간근무를 마치고 먹는 라면은 이러한 시간을 보냈던 이들에게 복무 지역, 시기에 관계없이 사실상 하나의 느낌과 앎을 부여한다. 마찬가지로 1976년 고교 평준화 이후의 교실 모습도 이와 유사했다. ‘평준화된’ 교실을 함께하고 졸업한 이들에서는 참깨 장수도 탄생하고 판사도 나오고 중고차 대리점에서 일하는 회사원도 있다. 이들은 친구다. 그리고 이들은 그런 시간과 체험이 전하는 앎의 공유자에 해당한다.

 

이러한 인간의 역사성이 여론조사에는 녹아들어 있다. 그런데 현재 시점의 여론조사와 독법에 이는 초점화되지도 거론되지도 않곤 한다. 사회 변화가 선진국에 비해 빠르고 또한 우리 사회가 유행과 조류에 민감하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세대 간의 상이한 역사 현장 체험과 인식을 담아내는 작업이 여론조사 분석에서 긴요할 것이다. 이런데도 현재 의견을 언론은 보여주려 한다. 마치 우리가 유력 정치인의 언행이나 실수 하나하나에 스마트폰 시대에 실시간으로 반응해야 비로소 정치적 인간이기라도 하는 듯이 말이다. 여론조사 기관과 언론은 우리를 역사적 존재로 여기지 않으면서 여론을 보여주려 하는 근원적 오류를 감수하면까지 공론을 전한다고 나서는 그야말로 스스로가 설정한 사명감에 젖어있다.

 

이렇듯 여론조사는 초점화하지 않지만 여전히 존재하는 공동체 개인의 역사성은 주로 20세 전후에 그 윤곽을 잡는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고등교육은 사회의 방향성 정립 및 시민의 역사성 형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교육 하면 사람들은 대개 입시, 서울대 문제 등을 떠올리지만 교육은 실은 성적표보다는 교육현장에서 살아간 체험 및 그곳에서의 앎을 각 개인에게 길게 그리고 깊게 남긴다. 우리 각자가 그곳에 실존하였던 것이다. 이는 역사성의 이름으로 축적된다.

 

이러하기에 교육은 현재를 전하는 여론조사의 토대를 가능하게 만드는, 공동체의 실제로 장기적이고 기초적인 부문이다. 지금 시대의 교육은 좋은 직업을 쟁취하기 위한 제도화된 인증 경기장으로 전락해 있고 실제로 그렇게 작동한다. 여론조사의 몰역사성, 교육의 직업교육화를 놓고 변화를 이 시대가 착수해야 한다.

 

 

<원문 출처>

한국대학신문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169494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985

방재홍 회장(서경대 겸임교수), ‘고려대 글로벌비즈니스 과정'서 ‘평판관리의 의미와 방향’ 강연 file

방재홍 회장 "평판은 자본이 될 수 있다, 평판이 돈이고 자본이고 금이다" 방재홍 서울미디어그룹 회장(왼쪽에서 다섯 번째)의 ‘평판관리 의미와 방향’에 대한 강의가 끝난 후 기념촬영을 하는 고려대 글로벌 비즈니스 과정 원...

서경대, ㈜에이블씨엔씨(미샤)와 산학협력을 통한 동반성장 및 미용산업의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4월 11일(화) 오후 4시 교내 본관 대회의실(3층)에서 ㈜에이블씨엔씨(대표 서영필, 이하 ‘미샤’라 함)와 산학협력을 통한 동반성장 및 미용산업의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 체결에 ...

서경대학교, 안암초등학교와 소프트웨어 영재 아카데미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최근 서울 안암초등학교(교장 송영미)와 소프트웨어 영재 아카데미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주요 협약내용은 △서경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소프트웨어 영재 교육 관련 전문지식, 경험, 역량 및 자...

서경대학교, 영화 ⌜지니어스⌟ 시사회에 재학생 100명 초청…개교 70주년 기념행사 일환. 함께 영화 보며 소통하는 자리 가져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개교 70주년을 기념해 4월 10일(월) 오후 7시 청량리 롯데시네마에서 열린 영화 ⌜지니어스⌟ 시사회에 재학생 100명을 초청, 함께 영화를 보며 소통하는 자리를 가졌다. 영화나 예술 관련 학과가 많은 ...

서경대학교,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와 사물인터넷(IoT) 전문기술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4월 7일(금) 오전 11시 교내 본관 3층 대회의실서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4월 7일(금) 오전 11시 교내 본관 3층 대회의실에서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와 사물인터넷(IoT) 전문기술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

강서·양천·목동 에르모소 미용학원, 제4회 서경대 스타킹대회 위촉식 참가 file

4월 1일, 한국업스타일 전문가협회에서 주관하는 제4회 스타킹 월드뷰티콘테스트 위촉식이 서경대학교 유담관에서 개최됐다. 강서·양천·목동 에르모소뷰티아카데미 김소연 원장이 제4회 스타킹대회의 심사위원장으로 위촉됐다. 김 원장...

[임성은교수기고]총리 후보부터 공개하라 file

임성은 | 서경대 교수·공공인적자원학부 차기 대통령이 처한 상황은 경제적 불황, 미·중 갈등 심화, 여소야대 등 어느 것 하나 쉬운 게 없다. 그보다 더 신경 써야 할 것은 측근 비리, 친·인척 비리로부터 자신의 방어다. ...

무명에서 무티의 프리마돈나로…"타고난 사람 아니예요" file

서울무대 데뷔 소프라노 여지원, 무티와 함께 '베르디 콘서트' 선보여 리카르도 무티와 한 무대 서는 여지원 (서울=연합뉴스) 이재희 기자 = 소프라노 여지원이 3일 오전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에서 열린 &apos;무티 베르디...

중국 미용전문대 졸업생들, 서경대로 몰려온다 file

후베이과기직업학원, 서경대와 ‘전문대 3년-본과 2년 연계 (3+2) 교육 프로그램’ 협약서 체결 중국학생들, 3년 과정 졸업한 뒤 서경대 본과 3학년 진학 협약 기간은 5년, 합의할 경우 연장 가능 과기학원, “미용 외 다른 전공으...

[발언대] 한국판 千人계획이 필요하다 file

구자억 서경대 인성교양대학장 중국 항저우에 있는 저장대학 부총장 쑹융화(宋永華)는 영국 리버풀대 부총장으로 있다가 2009년 천인계획에 의해 중국에 초빙됐다. 쑹 교수는 영국 사상 최연소 공대 교수로 유명하다. 중국엔 이런...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