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정웅석 교수.jpg

                                                                                      [서경대 정웅석 교수]

 

최근 주요 이슈 중 하나가 검찰개혁이다. 작년 현직 검사장 뇌물 비리 등 검찰 내부 비리가 연이어 발생하는 등 국민의 신뢰도도 매우 낮다. 외부에서 검찰 비리를 조사해야 한다거나 자의적 검찰권 행사 방지를 위해 시민통제장치를 부가하는 등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검찰의 공과를 면밀히 따지고, 현 형사사법제도의 문제점을 신중히 검토하여 올바른 방향으로 개혁해야 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그 누구도 반대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사와 기소를 분리하자는 주장에는 선뜻 동의하기 어렵다. 선진국 사례도 마치 대부분 국가에서 경찰이 수사하고 검찰은 기소권만 행사하는 것처럼 잘못 알려져 있다.

독일·프랑스·일본 검찰 모두 검찰이 수사도 하고 수사지휘도 한다. 물론, 각 나라 형사소송법에 명확히 규정되어 있다.

최근 뉴스를 보면, 독일 검찰이 최순실 일가의 자금세탁을 수사한다거나 덴마크 검찰이 정유라의 구속기간 연장을 청구하고 법원이 인용하였다거나 프랑스 검찰이 르노 배출가스 조작 의혹과 대선 유력후보인 프랑수아 피용의 횡령 혐의를 수사한다는 등의 보도를 접할 수 있다.

이런 상황인데도 독일과 프랑스에서는 검찰이 수사를 하지 않는다는 엉뚱한 주장이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사실, 선진국 검찰이 우리 검찰과 다른 점은 `수사·기소 분리`가 아니라 수사지휘권이 강화되어 있다는 것이다.

프랑스는 경찰의 직무평가를 고등검사장이 하고, 독일은 경찰을 `검찰의 수사요원`이라고 표현할 정도이며, 일본은 경찰의 징계소추권을 검사에게 주고 있다. 결국 수사·기소 분리 주장은 선진국 어디에도 없는 `경찰 수사독점`일 뿐이다.

그렇다면 이들 나라는 왜 검사의 수사지휘를 강조하는가. 수사는 한번 잘못되면 바로잡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수사의 결론을 최종 결정하는 검사가 경찰의 수사가 제대로 진행되도록 지도·감독하는 건 당연하지 않은가. 그것을 보장해 주기 위해 각국은 다양한 제도를 두고 있다.

작년, 무학산 살인사건에서 경찰은 혐의자를 구속하려 하였으나 검찰의 지휘로 억울함이 밝혀지고 진범이 붙잡혔다는 언론 보도가 있었다. 경찰의 수사결과가 수사지휘로 바로잡히고 있는 상황에서, 경찰 수사가 어떻게 되든 검사는 더 이상 간섭하지 말라고 하는 게 과연 국민을 위한 것인지 생각해 보아야 한다.

우리나라는 과거 독재정권의 인권 탄압을 경험한 이후 다른 나라에 없는 특이한 제도인 영장실질심사제도를 두고 있다.

만일 경찰이 수사권을 독점할 경우, 구속영장실질심사 때 경찰이 들어가 삼성 측 변호사와 법리 다툼을 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진다.

과연 이것이 타당한가. 영장실질심사를 통해 수사단계에서 재판에 준하는 심리가 이루어지는 우리나라 법 체계와 논리적 모순이 발생함을 쉽사리 알 수 있다.

나아가 수사·기소 분리로 인해 검사가 경찰 수사에 관여하지 못한 채 수사기록만 검토하고 재판에 임한다면 중요한 사안에서 피고인 측 변호사와 제대로 법리적 다툼을 벌일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분명히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검찰개혁은 필요하다. 그렇다고 충분하고 심도 있는 논의 없이 대선후보들의 입맛에 맞도록 사법제도를 고쳐서는 안 된다.

충분한 논의 없이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한 후 경찰비리가 발생하면, 수사권을 떼어서 다시 검찰에 가져다줄 것인가? 국회 비리가 만연하다고 하여 국회 권한을 분리해 사법부에 줄 수는 없지 않은가?

검찰개혁을 위해 반드시 명심해야 할 점은 국민의 인권을 침해하지 않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 무엇인지 치열하게 고민하는 것이다. 어설픈 개혁은 비극을 부른다.

[정웅석 서경대 교수·한국형사소송법학회 부회장]

 

<원문 출처>

매일경제 http://news.mk.co.kr/column/view.php?year=2017&no=82227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372

[서경대 카드뉴스] 2023학년도 2학기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공연 file

<홍보실 = 이세인 학생기자>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한국콘텐츠진흥원 주관 ‘2023년 원캠퍼스 구축 운영 사업’ 선정 file

국내 최초의 버추얼 프로덕션 전문 기업 ㈜엑스온스튜디오 참여 챗GPT 등 인공지능 언어모델 챗봇 활용해 학부생들이 직접 제작한 XR뮤지컬 연내 선보일 예정 ▲ 엑스온스튜디오 내부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학부장 강신) 컨...

한국행정법학회, 22일 '국가체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행정법학적 대응' 학술대회 file

한국행정법학회(회장 김용섭)는 22일 오후 1시 30분 세종시 조치원읍 홍익대 세종캠퍼스 세종관에서 '국가체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행정법학적 대응'을 주제로 제59회 학술대회를 연다. 이번 세미나는 대전세종연구원, 홍익...

서기수 서경대 금융정보학과 교수 칼럼:디지털 금융 관련 법령 정비가 시급하다 file

서기수 교수의 디지털금융 이야기② 서기수 서경대학교 금융정보공학과 교수. 필자는 언론 인터뷰나 기사관련 문의를 통해서 최근 이슈와 트렌드를 간접적으로 느끼고는 한다. 최근에도 모 신문사 기자의 연락에 같이 고민한...

서경대학교, ‘정부초청 중국 한국어과 대학생 방한연수’ 사업 위탁기관 2021년~2023년 3년 연속 선정 file

23년 8월부터 24년 1월까지 6개월간 중국 대학 한국어과 우수 장학생 50명 대상 한국 문화 · 역사 및 K콘텐츠 체험 연수 진행 8월 18일(금) 관련 기관 관계자 참석한 가운데 입교식 가져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가 교육...

[서경대 카드뉴스] 서경대x교보문고 제휴혜택 이용 방법 안내 file

<관련 문의사항> 학술정보관 전화번호 02-940-7036 문의 이메일 20230064@skuniv.ac.kr <홍보실=안희진 학생기자>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한국형 Green NCAP 평가기술 개발’ 사업 선정 file

김호현 나노화학생명공학과 교수 등 연구진 , “자동차 실내 공기질 환경친화도 평가·등급화 기술 개발해 국내외 제도화에 기여할 것” 서경대학교(총장 직무대행 김범준)가 국토교통부가 주관하고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이 추진하는...

발로 뛰는 지성 언론, 서경대신문 570호입니다. file

서경대학교, 「2023년 인생나눔교실(수도권)」 기획사업 ‘우리동네 인생나눔교실’ 멘토 선발 및 오리엔테이션 진행 file

사전 ‘사업 설명회’ 통해 자발적 참여 동기 부여 및 사업 이해도 높여 6월 말부터 5개월간 멘티기관 방문해 165회차 멘토링 본격 진행 예정 ▲「2023 인생나눔교실(수도권)」기획사업 '우리동네 인생나눔교실' 사업설명회 ...

서경대학교, 「2023년 인생나눔교실(수도권)」 인생삼모작 인생나눔학교 ‘네트워킹 데이’ 성료 file

인생나눔교실 중간 성과 공유 및 참여자 간 네트워킹 진행 멘토별 멘티 유형 세분화한 맞춤형 인문사례 탐구 서경대학교(총장 김범준) 문화예술센터(센터장 한정섭)는 ⌜2023년 인생나눔교실⌟ 수도권 지역의 ‘인생삼모작 인생...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