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光化門, 굴곡의 역사에서 본 따스한 빛[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jpg


산과 물, 그리고 그 중심에 5대 궁궐이 자리 잡은 아름다운 도시 서울. 그 중심의 빛을 비추는 문, ‘광화문(光化門)’을 바라보면 난 만 가지 생각이 교차한다.

 

1993년 나는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18891961)의 한국관(韓國觀)을 주제로 석사논문을 썼고, 그 과정에서 광화문과 특별한 인연을 맺었다. 1922년 동아일보에 야나기가 기고한 장차 잃게 된 조선의 한 건축을 위하여라는 제목의 기고에 충격을 받았다. 그는 일제가 조선총독부 건물을 경복궁 안에 건설하면서 광화문을 철거하려 한 데 반대의 목소리를 광화문이여! 광화문이여!’로 마치 사람들에게 호소하듯이 목소리를 높인 것이다. 작지만 결코 작지 않은 일본인의 양심 고백이 내 가슴속의 확고한 희망으로 자리 잡았다.

 

대학원 재학 당시 나는 청와대 부근 팔판동에 살고 있었다. 이화여대 도서관에 하루 종일 틀어박혀 보내다가, 늦은 밤 경복궁 앞 정류장에서 내려 궁궐 담장을 따라 집으로 걸어갔다. 차 한 대 없는 텅 빈 길을 혼자 걷다 보면 시간과 공간을 넘어서 만 가지 생각 속에 잠겼고, 그 상념 속에 만 가지 풍경이 펼쳐졌다.

 

최근 경복궁과 광화문 인근의 역사적 상징성을 조망하는 전시 광화문 600: 세 가지 이야기가 서울역사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다. 이 전시들을 다녀오면서, 학창 시절에 상상했던 풍경이 되살아났다. 당시의 꿈과 지금의 전시들이 마치 전편과 후편처럼 이어지는 묘한 느낌도 받았다.

 

서울역사박물관의 한양의 상징대로 육조거리전시에서는 광화문 인근 조선시대 관청 거리의 모습이 문헌과 그림, 유물, 영상들을 통해 되살아났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광화문 공간으로 보는 한국 현대사에서는 역동의 근현대사 사건들의 사진 등이 전시돼 있다. 나는 한국의 1970년대까지는 겪어 보지 못했지만, 1980년대 이후 일어난 일들을 떠올리며 흥미롭게 볼 수 있었다. 특히 이곳의 숨은 하이라이트는 8층에서 보는 광화문 일대의 풍경이다. 계속 이어지는 발굴 현장을 엿볼 수도 있으니 박물관을 가면 꼭 올라가 보기 바란다.

 

국립고궁박물관의 고궁연화(古宮年華), 경복궁 발굴·복원 30주년 기념 특별전은 경복궁 30년의 발굴 결과를 공개하는 자리다. 기존 전시와는 달리 영상과 기록 등으로 구성된 독특한 전시다. 특히 디자인 면에서 돋보였는데, ‘사람과 사람’ ‘시간의 연속’ ‘중첩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로 전시 공간에 사계절을 역순으로 표현했다. 난 전시실 중간에 설치된 발굴에 직접 참여한 전문가들의 인터뷰 영상에 귀 기울이며 한참 동안 앉아 있었다. 보고 듣는 동안 입체적으로 발굴 현장의 이야기를 체험할 수 있어 함께 현장을 답사하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jpg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전시장의 한쪽 면에는 톱과 망치 같은 도구들과 궁궐 건축에 사용된 도구들이 주인공이 돼 자리하고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 영상에선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모두가 활짝 웃으며 사진을 찍는다. 영상은 겨울에서 가을 그리고 봄으로, 눈송이도 빗방울도 꽃잎도 아래에서 위로 모두 거꾸로 올라간다. 시간은 희망이 그득했던 가장 아름다웠던 순간을 향해 거꾸로 되돌아간다. 그것을 바라보는 나도 역시 꿈이 넘쳤던 학창 시절로 되돌아간다. 근정전이 나타나 빛이 돌더니 곧 우주로 변한다. 그리고 수많은 이름들이 별처럼 빛나며 쏟아진다. 발굴 작업에 참여한 모든 사람의 이름이란다. 이름의 별똥비를 바라보는 순간 만나보지 못했지만 이 한 사람 한 사람에게 감사하지 않을 수가 없다. 묻혀진 기억의 땅속에서 보이지 않는 것을 찾아내 우리에게 보여주는 일련의 작업들에 경의를 표하고, 현장에서 묵묵히 일하는 분들께 감사한다.

 

일제강점기에 사라질 뻔한 광화문은 1922년 경복궁의 동측에 이축됐다가, 6·25전쟁 때 소실된다. 1968년 철근 콘크리트로 복원됐고, 이후 조선총독부 건물이 해체되며 본래 위치를 찾아 2010815일에 현재 모습으로 되살아났다.

 

광화(光化), 빛이 사방을 덮고 가르침이 만방에 미친다.’ 유교 경전인 서경(書經)의 한 구절이다. 올 음력설은 펑펑 쏟아지는 하얀 눈송이들과 함께 맞았다. 아마도 서설이리라. 이제 곧 따스한 광화문의 빛을 받아, 꽃이 활짝 피는 봄이 하루빨리 오기를 바라 본다.

 

<원문출처>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220203/111564682/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199

지역인재 육성…장학생 1000명 넘었다 file

신탄진농협, 35년간 지속 전개 조합원 학비 부담 경감 등 노력 대전 신탄진농협 민권기 조합장(오른쪽)이 1000번째 장학금 수혜자인 김성태 학생의 부친 김주현 조합원(가운데)에게 장학증서와 축하 꽃다발을 전달하고 있다. ...

서경대 대학원 경영학과, ‘K-콘텐츠문화경영’ 전공 신설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대학원 경영학과에 ‘K-콘텐츠문화경영’ 전공을 신설하고 2022년 1학기부터 신입생을 모집해 교육하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서경대에 따르면 ‘K-콘텐츠문화경영’ 전공은 한국의 영화, 드라마, K팝, ...

서경대 밴드 ‘화월’, 2022 리멤버 대학가요제 ‘은상’ 수상 file

서경대학교 실용음악학부 학생들로 구성된 밴드 ‘화월’이 지난 3월 27일(일) 오후 경기도 김포 아라뱃길 아라마리나 문화광장에서 열린 ‘2022 REMEMBER 대학가요제’ 본선에 올라 영예의 ‘은상을 수상했다. 보컬 김유...

알찬 대학생활을 위해 꼭 필요한 ‘학사 · 장학 · 취업 · 공모전 · 대외활동 관련 정보’ 어디서 얻지? - 실속 있는 대학생활을 위한 정보찾기! file

새 학기가 시작된 지 어느덧 한 달이 지났다. 코로나 19의 확산 및 장기화로 대면활동이 위축되었던 지난 학기들과는 달리 이번 학기부터는 대면 방식으로 진행되는 수업이 많아져 캠퍼스가 낯선 신입생을 비롯한 저학년 학우들...

[서경대 카드뉴스] 중간강의평가의 모든 것 file

<관련 공지> 2022학년도 1학기 중간강의평가 시행안내 https://www.skuniv.ac.kr/index.php?mid=notice&document_srl=209484

서경대, ’2022년 인생나눔교실‘ 수도권지역 ‘멘토 발대식’ 시작으로 인문멘토링 본격 시동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문화예술센터(센터장 한정섭 교수)는 ‘2022년 인생나눔교실’ 수도권 지역 ’인생삼모작 인생나눔학교‘의 일환으로 진행된 ’멘토 발대식‘을 지난 6일 성황리에 마쳤다. ’인생나눔교실‘은 문화체육관광...

전규열 서경대 경영학부 겸임교수 칼럼: 핀테크·이커머스로 창업 강국 된 인도네시아 file

2021년 기준 세계에서 5번째로 많은 스타트업을 창업(2197개)한 나라. 세계 4위 인구 대국이면서, 2020년 세계은행(WC) 기준 구매력지수에서 경제 규모 세계 7위인 나라, 바로 인도네시아다. 코트라(KOTRA)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

서경대 2023학년도 학제 개편 및 학생 정원 조정 file

2023학년도 신입생부터 적용 시대변화와 사회수요에 선제적 대응···대학 경쟁력 강화 위해 개편 ‘드라이브’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일부 단과대학을 통합해 명칭을 바꾸거나 새로이 단과대학 및 학과를 신설하는 등 학제...

서경대학교 부설 디자인연구소, ‘2022 디자인 학습윤리 글로벌 컨퍼런스(ICDLE 2022)’ 개최 file

4월 9일(토) 오후 1시~5시, 서경대 본관 8층 컨벤션홀서 서경대학교 부설 디자인연구소(소장 김지인)는 4월 9일(토)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서경대 본관 8층 컨벤션홀에서 ‘디자이너와 디자인 윤리’라는 주제로 ‘2022 디자인...

플립 러닝-PBL 도입 등 ‘수업 혁신’… 스마트 인프라 대폭 보강 미래교육 대응 file

서경대(총장 최영철)가 위드 코로나 시대를 맞아 첨단 교육혁신 모델을 창출하고 안전하고 건강한 캠퍼스 환경 조성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서경대 캠퍼스 내에 있는 모든 건물 입구에서는 감염병 관리시스템이 작동한다...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