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 미래인재 양성 위한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 4차 산업혁명과 비대면 원격교육에 필요한 새로운 교육환경 구축

- 다양한 학생지원 시스템 개선과 코로나·미래 교육환경 변화 대응한 교육의 질 개선

- 대학과 지역사회 및 산업체 상생 산학협력 체제 구축  


서경대학교 전경.jpeg


서경대학교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간 진행된 1주기 대학혁신지원사업(1유형)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며 실용과 혁신에 강한 강소 대학으로서의 위상을 과시하고 있다.


서경대학교는 ‘CREOS형 인재를 양성하는 글로벌 실용교육 중심 대학’이라는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대학혁신지원사업의 목표를 ‘SKU-DNA 혁신을 통한 CREOS형 실용인재 양성’으로 설정하고, ‘SKU-DNA’ 전략을 수립, △교육 △산학 △기타혁신 분야에서 다양한 사업을 추진,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기존 교육에서 벗어나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새로운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과 주입식 교육에서 탈피해 학생 스스로 생각하고 문제해결을 할 수 있는 능력 배양, 4차 산업혁명과 비대면 원격교육에 필요한 새로운 교육환경 구축 등에서 대학혁신의 성과가 적지 않다. 또한 비교과, 학생 상담, 심리적 지원을 통한 다양한 학생지원 시스템의 개선과 코로나·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한 교육의 질 개선, 대학과 지역사회 및 산업체 상생 산학협력 체제 구축 등도 눈여겨 보아야 할 성과 사례다. 


서경대학교는 혁신 전공역량 강화, 혁신 교양역량 강화, 융복합역량 강화, SKU-DNA 인프라 조성, 산학협력 및 지역사회 친화적 취창업 역량 강화, 혁신발전 연구 강화 및 통합 성과관리 시스템 구축 등 1주기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체계적인 로드맵을 수립하고 본격적인 수행에 나섰다.


가장 먼저 PBL(문제중심학습) 교수법 기반 교과목 및 교육 콘텐츠 개발에 적극 힘쓰며 학생 스스로의 문제해결능력 함양에 초점을 맞춘 혁신 전공역량 강화에 팔을 걷어 부쳤다. 주된 골자는 국제적 수준의 표준화된 뷰티테라피 교육운영을 중심에 둔 국제 CIDESCO(세계피부미용위원회) 학교 인증 및 자격증 과정 도입이었으며 국내를 넘어 세계를 호령할 Global Frontier 전문가 배출에 매진했다.


이와 함께 추진된 혁신 교양역량 강화 전략은 SKU-6C 기반 혁신교양교육과정 및 지원체제 구축, 학생 수요 비교과 프로그램 활성화 및 상담시스템 도입, 창의적 교수법 지원체제 등으로 이뤄졌다. 요약하면 학생들의 인문학적 소양·사고·교양·인성 제고와 교육과정 질 향상에 심혈을 기울였다.


특히 교수법 혁신과 교수역량 기반의 맞춤형 지원에 힘을 기울였다. ‘티칭이노베이션랩’을 설치해 교원들이 학습자 중심 교육과 교수-학생 상호작용 중심 교육을 실천할 수 있게 도왔으며 생애단계별 교수법 지원 시스템 구축, 새로운 형태의 혁신적인 교수법 개발, 언택트 시대 하이브리드 교수법 세미나 개최, 티칭이노베이션 스페이스 구축, 강의품질관리제도 도입, 교수법 인증제 도입 등을 바탕으로 교원의 역량 개발 및 발전을 이끌었다.


아울러 융복합역량 강화 전략으로서 대학의 특성화 과목(공연예술·미용예술)을 융합한 ‘Style Tech’ 융합전공을 신설하고 학생이 쇼(Show) 현장을 직접 제작할 수 있는 ‘통합형 공연예술 창의인재 양성 프로그램(HUB)을 운영해 실무 중심의 폭과 깊이를 더했다.


허브((HUB)는 서경대 대학혁신지원사업의 대표적인 프로그램 중 하나다. 서경대학교의 강점인 뷰티, 패션, 공연, 음악 및 문화예술 분야와 융복합 전공이 어우러져 공연예술학부, 뮤지컬학과, 미용예술대학, 무용예술학과, 광고홍보콘텐츠학과, 음악학부, 융합대학 소속 16개 학과(부) 및 전공이 콜라보를 매년 10개 무대를 선보였으며 15개 이상의 브랜드를 론칭했다. 참가자와 스태프만 연간 600명에 달했다. 


미래형 융복합 교육공간(Living Lab, Smart Class) 구현도 융복합역량 강화의 일환이다. 나아가 융복합 프로그램 운영을 필두로 산업체 요구와 학생의사를 반영하며 맞춤형 취창업 활성화를 실현시킨 ‘SKU-DNA 인프라 조성’도 빼놓을 수 없는 키포인트다.


관련 산업계 데이터를 분석해 학생들의 사회진출 역량 증대와 진로지도를 지원하는 Medici Platform(학생역량 포트폴리오 관리시스템), ID Lab(Ideation Lab), Smart Class, Faculty Lounge 등이 대표적인 일례다.


더불어 서경대는 지역사회와의 상생 발전을 위한 산학협력 및 지역사회 친화적 취창업역량 강화 영역도 놓치지 않았다. 지역 사회·산업과의 연계 강화 및 상생 발전 플랫폼 구축, 산업수요 맞춤형 학생실무 역량 강화, 그리고 전주기적 취창업 지원의 구체화를 추진했으며 CREOS, SKON, Dream, Design Thinking, Lean canvas 등 학생 취창업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Camp 프로그램과 Global 역량 강화를 위한 ‘Global Challenge Program’ 등을 운영해 호평을 받았고 적지 않은 성과를 거뒀다. 특히 Global Challenge Program은 글로벌 기업 대표 및 관계자들과의 지속적인 Networking을 통해 학생참여형 산학협력 프로젝트 관리 및 커뮤니케이션 역량 강화는 물론 IR Pitching, IR Deck 작성 코칭 등의 프로그램을 이수하여 글로벌 기업이 요구하는 실무역량을 배양하는 기회가 됐다. Global Challenge Program 참여 학생 중 일부를 대상으로 국제이주기구 70주년 기념 행사를 함께 진행할 계획이다.


기타혁신 부문에서는 교육혁신센터, 교육품질•성과관리센터를 신설하여 교내 교원역량 강화 방안을 개발하고, 교육만족도 조사 및 평가방법의 다양화를 통한 효율적 성과관리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지속적인 수요조사 및 성과분석 환류 체계를 구축하였다.


서경대는 대학혁신지원사업 프로그램 홍보 및 학생 소통을 위해 ‘학생기획단’을 구성, 운영하였다. 학생기획단 학생들은 대학혁신지원사업을 통해 마련된 교육 인프라 활용 방법, 참여형 프로그램 홍보 등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홍보 채널이 되었으며, 지난 7월 진행된 ‘2021 학생주도혁신 7개 대학 공유포럼–학생이 만드는 대학혁신’에 참가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발맞춘 맞춤형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해 발표한 바 있다.


그리고 주기적으로 교육전반에 걸친 운용성과를 검토, 점검하고 향후 발전 방향성을 모색하는 ‘혁신발전연구 강화 및 통합성과 관리체제 구축’이라는 로드맵의 대미도 빈틈없이 살피고 세밀하게 시사점과 지향점을 도출했다.


서경대는 1주기 3개년 동안 5개의 성과포럼을 진행하는 등 다양한 대학혁신지원사업 프로그램 성과확산을 위해 노력했으며 4차 산업학명 시대를 선도하는 글로벌 창의융합형 실용인재 양성을 목표로 대학혁신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혁신지원사업 마지막 해인 21년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2주기 대학혁신지원사업 수행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대학혁신지원사업은 학령인구 감소의 위기 심화와 4차 산업혁명 등 미래 사회 변화 요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대학이 스스로 혁신해 교육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2019학년도부터 2021학년도까지 1주기 사업이 진행되었으며 2022학년도부터 3년 동안 2주기 사업이 시작된다. 


<관련기사>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pan/site/data/html_dir/2021/12/13/2021121300616.html

스마트경제 http://www.dailysmart.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530

교수신문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82333

대학저널 http://www.dh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0909

베리타스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00503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1741

서경대학교 컴퓨터공학과 2018학년도 졸업작품 전시회 개최 file

11월 15일(목) 오전 10시 교내 북악관 5층서 중고거래사이트 ‘We Make Deal' 등 60여 편의 작품 선보여 서경대학교 컴퓨터공학과(학과장 박태룡)는 11월 15일(목)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교내 북악관 5층에서 졸업작품 전시회를...

서경대학교 박은정, 임성은, 김국희, 조영아 교수, 복식고증 통한 서울시 전통문화행사 재연방안 연구수행 file

우리 고유의 의복으로 뛰어난 아름다움과 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한복. 그러나 한복은 활동하기 불편하고 특별한 날에 차려입는 옷이라는 인식 때문에 한복수요가 급감하면서 국내 한복 산업은 점차 쇠퇴일로에 있다. 여기에...

SW챌린지 공모전 시상...최우수상 최상희 서경대 학생 file

최상희 서경대 학생이 반려동물을 위한 펫 AR카메라 애플리케이션으로 '2018 SW챌린지 공모전' 최우수상을 받았다. 한국SW산업협회(회장 조현정, 이하 협회)는 19일 수산아이앤티 대회의실에서 '2018 SW 챌린지 공모전 시상식'을 ...

[반성택 서경대 교수 칼럼:디지털인문학] 大入 공정성에 중산층은 없는가 file

반성택 철학과 교수 조국 전 장관을 둘러싼 사회적 논란이 뜨겁더니 이제 그 열기가 대학입시 문제로 옮겨졌다. 학종의 공정성이 논란거리로 등장하였다. 그런데 현행 대입제도에서 학종의 공정성이 문제되는 바탕은 그 제도 자...

서경대, 라오스 여성직업능력개발 공무원 초청연수 개최 file

5월 21일~27일 4일간 서경대 뷰티샵서 김선혜 미용예술대학 헤어·메이크업디자인학과 교수, 미용분야 심화교육과정 진행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헤어·메이크업디자인학과(학과장 진용미) 김선혜 교수가 5월 23일(화)부터 5월 26일(금)...

[반성택 서경대 철학과 교수의 디지털인문학] 청문회에 없는 '모범시민' file

반성택 서경대 철학과 교수 국회 청문회 때마다 답답하다. 부동산 투기, 위장 전입 등의 7대 결격 사유 정도는 쉽게 넘어서는 모범시민이 후보자 자리에 없어서가 아니다. 후보자들도 지금보다 부조리했던 지난 시절을 살아오며...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 교육부 주최 제11회 방과후학교 대상 지역사회연계·협력부문 장려상 수상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예술교육센터는 지난 12월 18일(수) 더케이호텔 서울에서 열린 '제11회 방과후학교 대상' 시상식에서 지역-대학-학교의 적극적인 연계·협력을 실천하여 방과후학교 활성화 및 지역사회의 관심과 참여동기를...

65회 매경테스트 대상 김형준씨…동아리 대상은 서울시립대 file

◆ 경제신문은 내친구 ◆ 지난 5월 열린 제65회 국가공인 경제·경영 이해력 인증시험인 매경TEST(매테)에서 영예의 대상은 서울시립대에 재학 중인 김형준 씨(사진)가 차지했다. 김씨는 "취업 준비와 함께 그동안 공부했던 전공 ...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 서울시 금천구 청소년 뮤지컬 ‘레미제라블’ 7기 입학식 성료 file

서경대 예술교육센터 ‘금천 청소년 뮤지컬 레미제라블 7기’ 단원으로 청소년 60명 선발 11월18일(월)~12월3일(화) ‘금천 청소년 뮤지컬 레미제라블 7기’ 아역배우 8명 모집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예술교육센터는 서울시 금...

올해 마지막 대입적성고사…11개 대학 4485명 선발 file

교육부 대입개편 따라 2022학년부터 폐지 내신 3~5등급 중위권 학생이 주요 수요자 대학별 출제…시험과목·문항·시간 제각각 대학별 고사인 대입적성고사전형이 올해를 끝으로 폐지된다. 앞서 교육부가 2018년 8월에 발표한 2022학년...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