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진세근 교수.jpg

중국 역사에서 명군(名君)은 몇 명쯤 될까? 그 숫자를 정확히 알 순 없겠지만 명군의 정의만큼은 분명하다. 중국 역사가들이 꼽은 명군의 조건은 네 가지다.


첫째, 나라를 세우거나 천하를 통일한 군주다. ()시황제(始皇帝), () 태조(太祖) 한 광무제(光武帝), () 문제, () 고종, () 태조 등이다.


둘째, 최고의 성세(盛世)를 이룩한 군주다. 한 문제, 한 무제, 당 태종, 당 현종, 명 성조(成祖), 청 성조(聖祖)쯤 된다.


셋째, 국가가 기울어가고 사직이 흔들리는 쇠망기에, 탁월한 지도력으로 나라를 다스려 국가를 중흥시킨 군주다. 한 선제(宣帝), 당 헌종(憲宗)이 여기에 해당한다.

 

넷째, 국가를 창건하지도, 성세를 이끌지도, 중흥을 이루지도 못했지만 중흥의 기틀을 다진 군주다. () 명제(明帝), () 효문제(孝文帝), () 문제(文帝), () 무제(武帝), 주 세종(世宗)이 꼽힌다.


영웅들의 눈에 가장 끌리는 군주는 아마도 창업 군주일 것이다. 하늘의 뜻을 받아 백성을 일으켜 구악(舊惡)을 일소하고, 혁명 정부를 세우는 것만큼 매력적인 일이 또 있을까.


이게 아니라면 성세 군주쯤은 되고 싶을 것이다. 이처럼 역사 위에 우뚝 설 일도 드물기 때문이다. 이것도 아니라면 내리막길을 내닫는 국가의 수레바퀴를 멈춰 세우고, 재등정을 성공시킨 업적은 어떤가? 성세 못지않은 매력적인 목표임에 틀림없다.


문제는 이 세 가지 목표가 오늘의 세상에서는 뜬구름 같다는 점이다. 치밀하게 조직되고, 촘촘하게 외부와 연결된 국가를 뒤집고 새 국가를 세우는 일이 어디 가능한 노릇인가? 성세나 중흥은 또 어떤가? 대통령 혼자 힘으로 될 일이 아니다.


남은 선택지는 하나, 중흥의 기초를 놓는 일이다. 지도자 혼자만 제대로 깨어 있으면 할 수 있는 일이다. 욕먹을 각오하고, 사욕(私欲)을 공적인 욕구로 승화시킨다면 못할 것도 없다. 이게 현대적 의미의 개국이고, 진정한 개벽(開闢)이라고 믿는다.


개벽은 개천벽지(開天闢地)의 줄임 말이다. 하늘을 열고 땅을 쪼갠다는 말이다. 새로운 천지를 연다는 의미다.


조선의 백성에게 개벽은 소망과 동의어였다. 동학의 후천(後天) 개벽사상이 그렇다. 양반 중심의 사회가 끝나고 백성들이 바라는 새로운 세상, 즉 후천이 열릴 것이라고 동학은 얘기했다. 선천(先天) 시대에 억눌린 사람들이 참다운 자유와 평등을 얻게 될 세상이 후천이다. 살아 있는 이 땅에서 일궈낼 세상이다.


원불교를 개창한 소태산(少太山) 박중빈 대종사는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는 개교 법어를 내걸었다. 물질문명만 발전하고 정신문명이 뒤처지면 제대로 된 문명이 될 수 없으니 정신문명을 일으켜, 정신과 물질이 하나 되는 완전한 문명을 이루자는 말씀이다.


정신개벽을 이루는 방법으로 원불교는 삼대력(三大力)을 제시했다. 정신수양으로 얻는 수양력, 사리탐구로 얻는 연구력, 노동으로 얻는 취사력이다.


대통령 후보들이 어떤 군주를 꿈꾸는 지, 우린 모른다. 분명한 건 과욕을 품으면 진다는 점이다. 선거에서 승리해도 마찬가지다. 역사에서 혼군’(昏君·나라를 망친 어리석은 군주)으로 기록될 것이니 결국은 지는 셈이다.


후보들에게 제안한다. 창업, 성세, 중흥 같은 과욕은 내려놓으시라. 대신, 중흥의 초석 놓기에 집중하시라. 대권(大權)이 아니라 대임(大任)에 주목하시라.


<원문출처>

경북일보 http://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88489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4453

[2021 서경대 캠퍼스타운 스타트업 CEO] 아이와 지구를 지키는 국민 약병 ‘ZZUP’ file

최혜미 ZZUP 대표 쭙(ZZUP)은 영유아 전용 친환경 약병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최혜미 대표(34)가 2020년 4월에 설립했다. 쭙은 약을 잘게 나눠 영유아에게 투약하는 친환경 실리콘 약병을 개발했다. 쭙이 개발한 약병은 ...

서경대학교 교수학습원, 강의 질 향상 위한 우수강의 교원 선발 file

서경대학교 교수학습원(원장 이지나 교수)은 우수강의 교원 선발지침을 개정하고 2022학년도 1학기 10명의 우수강의 교원을 선발했다. 우수강의 교원 선발은 교수(Teaching) 질 향상의 일환으로 강의를 위해 노력한 교원을 격려하고자...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뷰티테라피&메이크업학과 학생들, ‘2021년 제3회 제주국제아로마페어’에 참가해 전공역량 강화하고 봉사소양 키운다 file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뷰티테라피&메이크업학과(학과장 김은숙 교수)는 ‘코로나 블루, 아로마로 회복하다’라는 주제로 10월 29일부터 10월 31일까지 3일간 제주도 서귀포에서 진행되는 ‘2021년 제3회 제주국제아로마페어’에 ...

서경대학교, 2021년 대학기본역량진단 ‘일반재정지원대학’ 선정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가 교육부가 주관하는 ‘2021년 대학기본역량진단’ 가결과 발표에서 ‘일반재정지원대학’으로 선정됐다. 대학기본역량진단은 2015년 1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를 전신으로 대학의 적정 규모와 교육의 질을 ...

서경대학교, ‘2021 Lean Canvas 창업캠프’ 개최 file

11월 25일(목), 26일(금) 이틀간 비대면 실시간으로 성황리에 진행 Lean Cavnas 9 Block Matrix를 활용, 초기 스타트업에 필수적인 핵심요소 통해 비즈니스모델 수립하는 기회 가져 서경대학교 교육혁신처 창업지원센터(센터장...

진세근 서경대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아침광장] 승복할 것인가, 패배할 것인가 file

진세근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우리는 반대말이란 개념에 흔히 속는다. 전쟁의 반대말은 평화인가? 아니다. 일상(日常)이다. 남자의 반대말은 여자인가? 물론 아니다. 전쟁과 평화, 남자와 여자 모두 마주 보고 ...

서경대, 문화예술교육 사회적경제 활성화 나서 file

‘2020 문화예술교육 체인지 업業 교육과정’ 성료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예술교육센터는 최근 ‘문화예술교육 체인지 업業’ 교육과정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교육과정은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한국문화예술교육진...

진세근 서경대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아침광장] 대권(大權)이 아니라 대임(大任)이다 file

중국 역사에서 명군(名君)은 몇 명쯤 될까? 그 숫자를 정확히 알 순 없겠지만 명군의 정의만큼은 분명하다. 중국 역사가들이 꼽은 명군의 조건은 네 가지다. 첫째, 나라를 세우거나 천하를 통일한 군주다. 진(秦)시황제(始皇帝...

KBS 전국노래자랑 서울특별시 성북구 편’ 4월 22일(토) 서경대학교 스콘스퀘어서 개최 file

대한민국의 대표 장수 TV 프로그램인 ‘KBS 전국노래자랑’의 ‘서울특별시 성북구 편’ 녹화방송 공연이 4월 22(토)일 오후 2시 30분 서경대학교 스콘스퀘어(구 초록운동장)에서 개최된다. 개그맨 김신영의 사회로 3,000여 명...

음악창작에 새로운 길을 연 버추얼(Virtual) 싱어송라이터 에이미문, 서울시가 설립하고 서경대학교가 수탁 운영하는 서울시립양천청소년음악창작센터의 ⌜AI 싱어송라이터부문⌟ 홍보대사로 나선다 file

메타버스 플랫폼 ‘로블록스’와 ‘제페토’에서 활동 중인 AI 싱어송라이터 에이미문(Aimy Moon)이 서울시가 설립하고 서경대학교가 수탁 운영하는 시립양천청소년음악창작센터의 홍보대사[AI싱어송라이터부문]로 위촉돼 청소년 음...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