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이해성 협동조합 소셜아트고래 대표(지역활성화 프로젝트 정릉스쿨)


이해성 협동조합 소셜아트고래 대표(지역활성화 프로젝트 정릉스쿨).jpeg

협동조합 소셜아트고래는 생활예술이나 지역 연계 문화예술교육 등의 활동을 위해 설립된 비영리 단체다. 극단 고래의 공동대표이자 작·연출을 담당하는 이해성 대표(53)가 2021년 3월 설립했다.

극단 고래는 창립 이후 10년 간 예술의 사회적 치유를 고민해 온 극단이다. <고래> <살> <사라지다> <빨간시> <불량청년> <비명자들1> <비명자들2> <굴뚝을 기다리며> 등 다양한 레퍼토리의 작품을 보유하고 있다. 50명에 달하는 극단 고래 단원들은 지난 10년간 쉬지 않고 공연을 지속해왔다.

시민 참여 낭독공연 꾸준히 진행


극단 고래는 시민들이 참여하는 프로그램도 꾸준히 운영해 왔다. 대표적인 사업이 낭독공연이다. “극단 고래는 몇 년 전부터 꾸준히 시민 낭독공연을 진행해왔습니다. 지난해에는 경희의료원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비대면 ‘나를 알아가는 연극치료’ 낭독극 프로그램을 진행했습니다.”

소셜아트고래 역시 극단 고래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낭독공연을 진행한다. 올해는 서울 정릉에 연습실 겸 공연장을 새롭게 열어 정릉 주민들을 대상으로 낭독공연 참여자를 모았다.

“문화예술에 대한 욕구를 가진 정릉 시민들을 모집했습니다. 20대부터 60대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시민 배우들이 모여 극단 고래의 연출 코칭을 받고 있죠. 공연을 준비하는 과정을 통해 시민 배우들은 연대 의식과 지역에의 소속감 등도 키울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 대표는 낭독극이 “코로나19 유행 이후 코로나 블루에 시달리고 있는 정릉 주민들에게 치유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고령화 추세에 맞춘 ‘시니어극단’ 창립 고민


소셜아트고래는 장기적으로는 한국 사회 고령화 추세에 맞춘 ‘시니어극단’ 창립을 고민하고 있다. “일본에는 이미 유료 회원제 민간 시니어극단이 다수 활동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훈련된 인력들은 프로 극단 무대에 서기도 합니다. 한국 사회에도 이미 이런 욕구를 가진 경제적 여유가 있는 시니어 세대가 출현했다고 생각합니다. 전문 극단들이 공연만으로 지속적으로 운영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시민극단을 육성하고 지원하는 방식은 전문 극단의 생존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외에도 소셜아트고래는 ‘대학생 연극 페스티벌’ 상설화, 아카데미, 출판, 지역 활동 주체 발굴을 위한 네트워크 사업, 지역 생활예술 연구사업, 취약계층을 위한 일자리 창출과 사회서비스 제공 사업 등도 계획하고 있다.

이 대표는 “소셜아트고래가 지역 연계형 공공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건강한 지역 문화예술생태계를 위해서는 ‘후원이나 지원’의 개념이 아닌 ‘공유’적 사고가 필요하죠. 정릉에 터를 잡은 극단으로서의 책임감과 주인의식을 가지고 낭독극을 발판으로 삼아 다양한 주민 연계형 문화예술프로그램을 기획할 계획입니다.”

설립일 : 2021년 3월
주요사업 : 문화예술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문화예술 관련 서적 출판, 문화행사 대행업
성과 : 정의연 ‘기림제’ 행사의 하나로 ‘빨간시’ 시민공연, 서울문화재단 지역극장 모델로 선정,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비대면 예술 콘텐츠 제작 사업 선정


<원문 출처>

매거진 한경 https://magazine.hankyung.com/job-joy/article/202111159710d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074

[MODU가 주목하는 대학] 실용가치 기반 ‘현장중심’ 교육 실현…세상을 바꿀 변화와 혁신 선도, 서경대학교 file

학생들의 취·창업 전폭 지원하는 현장중심 교육 서경대학교는 창조적인 탐구인·세계적인 교양인·실천하는 전문인이라는 교육목표 아래 실용가치에 기반한 ‘현장중심’ 교육으로 변화와 혁신을 선도하는 CREOS형 인재를 육성하...

2022학년도 서경대학교 제50대 ‘나은’총학생회 김시원 정학생회장 · 정다빈 부학생회장 당선자 인터뷰 file

지난 2021년 11월 29일(월)부터 12월 3일(금)까지 닷새간 진행된 2022학년도 서경대학교 총학생회 투표 결과 총원 3,656명 중 찬성 1,873표(76.64%), 반대 571표(23.36%), 투표율 66.85% (2444명)로 제50대 ‘나은’ 총학생회를 이끌 ...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사업단,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한 온라인 ‘데모데이(Demoday)’ 성료 file

IR피칭 통한 캠퍼스타운 우수 기업 소개···투자유치 및 파트너 발굴 기회 제공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캠퍼스타운 사업단(단장 김범준)은 서울시 캠퍼스타운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2021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데모데이...

서경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경영컨설팅 전문가(MCP) 2기 실무자 과정 성료 file

“경영컨설팅전문가협회(MCPA) 설립, 중소·중견 기업 글로벌 진출 위한 다양한 사업도 전개” 서경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소장: 한문성 교수)는 지난 11월 20일부터 12월 11일까지 4주간(주말(토/일) 50시간) 진행된 경영컨설팅 ...

[2022 정시 입학정보] 서경대학교 file

‘실용’과 ‘혁신’으로 새로운 가치 창출 창의융합형 실용인재 양성에 역량 집중 서경대 본관 전경 내년에 건학 75주년을 맞는 서경대학교는 2만5천여명의 동문을 배출하며 서울의 중심 대학을 넘어 전국 규모의 명문 강소...

서경대학교 영화영상학과 ‘제31회 Premiere of Passion’ 개최 file

12월 17일(금) 오후 3시 본관 8층 컨벤션홀서 다양한 주제의 6개 작품 상영 예정 코로나 감염 예방 위해 영화영상학과 재학생에 한해 대면 방식 진행 서경대학교 영화영상학과(학과장 장민용 교수)는 12월 17일(금) 오후 3...

성북구 ‘2021 올해의 SNS’ 기초자치단체 유튜브 부분에서 영예의 대상을 받으면서 화제 속에 진행되고 있는 서경대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의 성북구 알리기 프로젝트 <성북구에서 살아남기> 시리즈 여덟 번째와 아홉 번째 영상 업로드 돼 더 큰 관심 끌어 file

성북구가 ‘2021 올해의 SNS’ 유튜브 분야에서 대상을 수상하면서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이하 청문단, 운영위원장 방미영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교수) 의 성북구 알리기 프로젝트가 더욱 주목받고 있다. 성북구가 수상한 ‘...

전규열 서경대 경영학부 겸임교수 칼럼:‘혁신기술’ 앞장선 홍콩의 스타트업 file

‘경제 자유도’ 평가 24년간 세계 1위, 2020년 세계 디지털 경쟁력 평가 디지털 기술 분야 세계 2위, 스마트폰 사용자 전 국민의 80% 이상, 6시간 이내에 세계 어느 나라도 갈 수 있는 접근성, 외국인 창업자가 30% 이상인...

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학생 4인 '기업(氣-UP!) 영상·아이디어 공모전' 대상 수상, "만약에 기업이 없다면"…MZ세대의 역발상 file

경총·매경 기업(氣-UP!) 공모전 영상 부문 대상에 서경대팀 기업없는 세상 모습 상상해 기업 소중함 호소력있게 전달 라디오 방송·수채화 기법… 참신성 돋보이는 수작 많아  한국경영자총협회와 매일경제가 공동 주최한 `...

서울 주요 대학, 등록금比 장학금 비교해봤더니 file

▲ 서울지역 대학 등록금 대비 장학금 지급률 서울시립대, 서울과기대, 성균관대 순 서울지역 종합대학을 기준으로 등록금 대비 장학금 지급률을 분석한 결과 서울시립대, 서울과기대, 성균관대 순으로 장학금을 많이 지급하는...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