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인서울’ ‘수도권향한 뜨거운 열기수도권 경쟁률 타 지역 압도

전년 대비 하락’, 학령인구 감소 탓올해 전망도 어두워


대학박람회를 기다리고 있는 학생들 _ 2019년.jpg

지난해 실시된 2020학년 대입에서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대학은 어디였을까. 수시모집·정시모집을 모두 포괄하는 전체 대입에서 정원 내 기준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인 대학은 서강대였다. 서강대는 올해 23.221의 경쟁률을 보이며, 한 해 전에 이어 2년 연속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대학에 이름을 올렸다. 이어 한양대(서울), 중앙대(서울) 등의 경쟁률이 타 대학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상위 3개 대학만 봐도 알 수 있듯 서울권 주요대학과 수도권 내 대학들을 향한 수험생들의 지원 열기가 전반적으로 뜨거웠다. 학령인구 감소로 전년 대비 다소 경쟁이 줄어든 양상이었지만, 서울·경기·인천 등에 자리한 대학들의 평균 경쟁률은 101을 웃돌았다.

 

지난해 대입 경쟁률, 서강대·한양대·중앙대 순전형설계영향력 = 최근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신입생 충원 현황을 기반으로 지난해 대입에서 대학들이 기록한 경쟁률을 조사한 결과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대학은 서강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원 외 모집을 제외하고 정원 내 모집만을 기준으로 집계한 결과다. 정원 외는 대학마다 모집 규모에 편차가 크며, 다양한 수험생을 배려하는 차원에서 실시되는 것이기에 통상 경쟁률은 정원 내를 기준으로 따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캠퍼스별 현황을 별도 공시한 대학은 본·분교 체제인 경우 별도 현황, 통합캠퍼스 체제인 대학은 통합 현황을 기준으로 경쟁률을 계산했다.

 

2020학년 서강대는 1576명 모집에 36601명이 지원, 23.22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한 해 전인 2019학년에도 서강대는 1582명 모집에 45347명이 지원해 28.661의 경쟁률을 기록, 전국에서 가장 경쟁률이 높은 대학이라는 타이틀을 차지한 바 있다.

 

서강대 다음으로는 한양대(서울)의 경쟁률이 20.951로 높았고, 중앙대가 20.291로 뒤를 이었다. 지난해 대입에서 201이 넘는 경쟁률을 기록한 대학은 이들 세 대학뿐이었다. 일반대가 아닌 각종학교로 분류되는 탓에 통계에서는 빠졌지만, 한국예술종합학교(한예종)21.61로 높은 경쟁률을 자랑하는 곳이었다.

 

이외에도 경쟁률이 높은 대학은 대부분 수도권내에 위치한 곳이었다. 서경대 19.821 건국대(서울) 19.621 성균관대 19.431 동국대(서울) 17.671 한양대(ERICA) 17.161 경희대 16.591 가천대 15.871 등 상위 10개 대학 가운데 수도권 밖에 위치한 대학은 없었다.

 

상위 20위로 범위를 넓혀도 수도권 내 대학들의 강세는 계속됐다.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GIST(광주과학기술원)와 을지대를 제외한 모든 대학이 수도권 내에 캠퍼스를 둔 곳이다. 과학기술원은 워낙 모집인원이 적고, 이공계 인재 양성을 위한 정부의 전폭적 지지를 받는 곳이기에 경쟁률이 높을 수밖에 없으며, 을지대는 수험생에게 인기가 많은 의료·보건 계열에 특화된 대학이기에 불리한 위치에도 불구하고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것으로 풀이된다.

 

물밀 듯 몰려오는 수험생들로 기쁨의 비명을 지른 대학들과 달리 모집인원보다 적은 인원이 지원해 경쟁률 11을 채우지 못한 대학도 존재했다. 영산선학대는 50명 모집에 6명이 지원해 0.121의 경쟁률을 기록하는데 그쳤고, 중앙승가대 경쟁률도 0.341로 낮았다. 이외에도 대전가톨릭대를 비롯해 수원가톨릭대와 광주가톨릭대가 11을 밑도는 경쟁률을 기록했으며, 목포가톨릭대는 정확히 11의 경쟁률을 보였다. 이들 대학은 모두 종교인을 양성하기 위해 세워진 소규모 대학으로 일반 수험생과는 거리가 멀다는 점에서 낮은 경쟁률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수험생 선호도가 높은 서울대와 고려대(서울), 연세대(서울) 가운데 상위 20개 대학에 이름을 올린 것은 13.81의 경쟁률을 보인 연세대(서울) 뿐이었다. 고려대는 8.031, 서울대는 6.311로 경쟁률이 다소 낮게 나타났다.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인문·자연계열 학생들이 주로 지원하는 학생부종합전형·학생부교과전형·논술전형 가운데 일반적으로 가장 경쟁률이 높은 논술전형의 유무에 따라 경쟁률이 엇갈린 것으로 보인다. 이들 세 대학 가운데 논술전형이 있는 것은 연세대(서울)뿐이다.

 

이들 세 대학의 사례처럼 대학이 전형을 어떻게 설계했는지에 따라 경쟁률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논술전형이 있는 대학은 상대적으로 없는 대학에 비해 경쟁률이 높게 나오는 경우가 많다. 적성고사전형도 논술전형처럼 전반적인 경쟁률이 높아지는 데 있어 큰 도움이 된다. 정시모집에서는 가군·나군보다 다군에서 모집을 실시하는 대학의 경쟁률이 높게 형성된다.

 

이처럼 전형에 따라 경쟁률의 수준이 다르게 나타나기에 대학별 경쟁률은 대입에서 활용하기 어려운 지표다. 전반적인 수험생 선호도를 살피는 선에서만 참고하고, 수시모집 지원 전에는 개별 대학의 전형과 모집단위별 경쟁률을 필히 살펴야 한다.

 

편차 큰지역별 경쟁률수도권 1~3싹쓸이’ = 경쟁률이 높은 대학들 중 태반이 수도권 내 자리한 대학인 것에서 알 수 있듯 지역을 기준으로 경쟁률을 재집계한 결과 편차가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서울내지 인수도권이란 말이 왜 존재하는지를 증명하듯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내 대학들을 향한 열기가 뜨거웠다. 역량이 뛰어난 대학들이 수도권에 집중 분포돼 있는 것도 영향을 미쳤겠지만, 대학이 지닌 역량 이상으로 소재지가 미친 영향은 상당했다.

 

전국 17개 시·도를 기준으로 캠퍼스 소재지까지 분리 계산해 경쟁률을 집계한 결과 서울의 경쟁률이 단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2335명을 모집한 서울권 대학에는 무려 1001809명의 지원자가 몰려 13.851의 경쟁률을 보였다. 이어 인천이 10.941, 경기가 10.741 순이었다. 지역 경쟁률이 101을 넘긴 것은 이들 세 지역 외에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오종운 종로학원하늘교육 평가이사는 수도권 대학의 경쟁률과 비수도권 대학의 경쟁률을 비교하면, 수도권이 2배 정도 차이를 보일만큼 높다고 했다.

 

반면, 지역 대학들은 다소 고전하는 양상이다. 알 수 없는 이유로 제주대가 대학알리미 통계에서 누락된 탓에 제주국제대만이 남게 된 제주를 제외하면, 전남의 경쟁률이 5.121로 가장 낮았다. 경남은 5.31, 경북은 5.621의 경쟁률을 보이는 등 51에서 61 수준의 경쟁률을 보이는 지역이 많았다.

 

편차가 큰 지역별 현황과 달리 설립유형에 따른 편차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립대가 13.251로 가장 높고, 국립대법인이 6.481로 가장 낮은 등 차이가 없는 것은 아니었지만, 대학 수가 워낙 적어 유형에 따른 영향이 있다고 보긴 어려웠다. 현존하는 공립대는 서울시립대가 유일하며, 국립대법인은 서울대와 인천대 2개교뿐이다.

 

다만, 어느 정도 유의미한 수를 지닌 사립대와 국립대를 기반으로 보면, 사립대가 다소 경쟁률이 높은 모양새다. 사립대는 9.321로 국립대의 7.031 대비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서울권 주요대학을 비롯해 지역별로 선호도 높은 대학들이 대부분 사립대학이기에 생긴 현상으로 보인다.

 

전년 대비 하락세, 학령인구 감소 탓지역 소재 대학 경쟁률 하락 전망 = 대학들의 경쟁률을 전년과 비교하면, 하락세가 완연했다. 통계에 포함된 전국 200개 대학이 기록한 경쟁률은 8.841로 한 해 전 기록한 9.381 대비 하락했다. 모집인원은 한 해 전과 큰 차이가 없었지만, 지원자는 18만여 명 감소한 데 따른 것이다.

 

전체 지원자가 줄다 보니 상대적으로 인기가 많은 대학들도 경쟁률 하락을 피하지 못했다. 서강대를 비롯해 한양대(서울중앙대·서경대·건국대(서울) 등 가장 경쟁률이 높은 대학들도 한 해 전과 비교하면 모두 경쟁률이 낮아졌다. 지역별 경쟁률도 마찬가지다.

 

이처럼 경쟁률이 낮아진 이유는 학령인구 감소인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고3은 한 해 전과 비교했을 때 7만여 명 가까이 줄었다. 대학들의 모집인원은 큰 차이가 없는 반면, 대입 지원자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고3 수는 줄어든 탓에 전반적인 경쟁률 하락을 피할 수 없었다는 얘기다. N수생이 예상을 깨고 늘어나는 모습을 보였지만, 3 수에 비해 적어 수험생이 줄어드는 것을 막기는 어려웠다.

 

문제는 학령인구 감소가 올해도 이어진다는 점이다. 지난해보다는 정도가 덜하지만, 올해도 고3 수가 63000명 이상 줄었기에 올해 대학들의 경쟁률 전망은 어둡다고 봐야 한다. 특히, 상대적으로 수험생 선호도가 낮은 지역 소재 대학들이 충분한 경쟁률을 확보하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2019학년-2020학년 전국 대학 경쟁률 상위 20개 대학.jpg


2019학년-2020학년 전국 대학 경쟁률 하위 20개 대학.jpg

2019학년-2020학년도 전국 시&도별 대학 경쟁률.jpg

2019-2020학년 설립유형별 대학 경쟁률.jpg

2019-2020학년 전국 대학 경쟁률.jpg


<원문 출처>

한국대학신문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234594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179

서경대, 제 1회 한국 가요 - 프랑스 샹송 경연대회 연다 file

서경대 한불문화예술연구소(CFCSK)가 제 1회 <한국 가요 - 프랑스 샹송 경연대회>를 오는 12월 29일 개최 한다고 30일 밝혔다. 본 경연대회 참가 자격은 대한민국과 프랑스 대학생 혹은 어학기관에서 양국 언어를 배우는 학생...

[진세근 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 : 漢字, 세상을 말하다] 和睦<화목> file

漢字, 세상을 말하다 인도네시아는 300여 종족이 모인 다민족 국가다. 언어도 400종이 넘는다. 국가 통합이 쉬울 리 없다. 어느 종족의 언어도 아닌, 말레이어 계통의 믈라유어(語)를 국가어로 채택한 이유다. 통합과 화목(和睦...

‘서경대학교 2020 생활문화디자인전공 졸업작품전’ 개최 file

‘제26막 제30장展'을 주제로, 텍스타일 제품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의 작품 29편 출품 10월 28일(수)부터 11월 1일(일)까지 5일간, 대학로 서경대 공연예술센터서 ‘제26막 제30장展'을 주제로 한 서경대학교 디자인학부(학부장 박...

'서경대학교 2020 시각정보디자인전공 졸업작품전' 개최 file

10월 21일부터 25일까지 5일간 대학로 서경대 공연예술센터서 다양한 분야의 독특하고 인상적인 예비 졸업생의 작품 29점 선보여  서경대학교 2020 시각정보디자인전공 졸업작품전 서경대학교 디자인학부(학부장 박혜신 교수) 시각...

[교육이 미래다] ‘교육혁신처’ 신설, 현장 중심의 체험 교육 통해 실무형 인재 육성 file

서경대학교가 글로벌 대학 평가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서경대는 ‘2019년 QS 아시아 대학 순위 평가’에서 500위권에 진입하는 등 글로벌 대학 평가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서경대는 실용중심 교육을 위한...

서경대학교, SBS 새 드라마 ‘펜트하우스’ 촬영장소 협찬 file

본교 재학생 40명 조·단역으로 출연···매회 엔딩 시 본교 로고와 교명 적힌 방송 자막 바도 노출돼 서경대학교가 SBS 새 월화 드라마 ‘펜트하우스’의 촬영 장소로 사용돼 대학가와 방송가의 주목을 받고 있다. ‘펜트하우스...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 ‘2020 인생삼모작 인생나눔학교 포럼’ 개최 file

'2020 인생삼모작 인생나눔 학교 포럼'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예술교육센터(센터장 한정섭 교수)는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박종관)가 주관하는 「인생나눔교실」의 수도권지역 ‘2020 인생...

서경대, 코로나 블루 극복 위한 ‘학생 건강·마음 돌봄 프로그램’ 운영 심리상담센터 file

코로나 19로 대학생활에 어려움 겪고 있는 학생 위한 온라인 지원 프로그램 개설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진로심리상담센터(센터장 민미희 교수)가 코로나 19의 확산 및 장기화로 캠퍼스 생활과 학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

서경대학교 인성교육센터, ‘서경人 인성공모전’ 성황리에 마쳐 file

차혜민 학우(영화영상학과 20학번)의 ‘영어발표’가 최우수상 차지···우수상 3명, 입선작 6명 선정 코로나 19 장기화 속 언택트 시대에 맞는 학생들의 인성역량 강화 위해 실시 ▲ 서경人 인성 공모전’ 포스터 서경대학교 인성교...

운동장 천막서…킨텍스 빌려서…코로나가 바꾼 대입실기 풍경 file

서경대 실용음악과 보컬전공 수시전형에 지원한 한 수험생이 16일 서울 성북구 서경대 풋살장에서 노래를 부르고 있다 지난 16일 오전 서울 성북구 서경대의 풋살경기장에 기타를 둘러매고 악보를 든 학생들이 하나둘씩 모여들었...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