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2021학년도 적성고사 실시 대학 분석 및 대비 방법
가천대서경대한성대 등 11개 대학에서 4,506명 선발


2021학년도 대학입시로 마지막 시행이 될 적성고사는 학생부 교과 성적과 수능시험 평균 등급이 4등급 이하이면서 논술고사에 자신 없는 수험생들이 수시 모집에서 서울과 수도권 대학으로 진학할 수 있는 유일의 기회이자, 희망이 아닐 수 없다. 더욱이 사교육의 도움 없이 학교 공부만으로도 대비가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중하위권 학생들이 선호하는 전형 중 최고이다.


그러나 적성고사는 올해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치르게 될 2022학년도 대학입시부터 폐지된다. 이는 교육부가 2018817일 발표한 2022학년도 대학입시제도 개편 방안<과제 10 지필고사 개선>에 담겨져 있는 적성고사는 학생부 교과 성적 실질 반영 비율이 낮게 설정해 수시 모집의 취지와 표준 전형 체계에 혼란을 주고 있다는 지적을 받아온 문항 유형이 수능시험과 유사하다는 이유 때문이다. 한편, 적성고사 실시 전형은 분류상 학생부교과 전형에 해당한다.


이에 2021학년도 수시 모집에서 적성고사로 대학에 진학하고자 하는 수험생들은 마지막 시행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고, 지금까지 시행된 대학별 적성고사 문제와 출제 경향 등을 바탕으로 좀 더 확실하게 대비했으면 한다. 특히 고등학교 교육과정이 바뀌었다는 점을 염두에 둔다면 ‘EBS 수능특강을 적극 활용하여 대비했으면 한다.


가천대서경대한성대 등 11개 대학에서 실시


2021학년도 수시 모집에서 적성고사는 홍익대(세종)가 적성고사 전형을 폐지함에 따라 가천대서경대한성대 등 11개 대학에서 실시한다. 이들 대학의 전체 모집 인원은 4,506(대학별 2021학년도 수시 모집요강 기준)으로 2020학년도에 12개 대학에서 4,789명을 선발했던 것보다 1개 대학 283명이 줄어든 것이 된다.


대학별 모집 인원의 변화를 살펴보면, 홍익대(세종)가 적성고사 전형을 폐지함으로써 2020학년도에 모집했던 168명을 선발하지 않게 된 것을 비롯해, 한국산업기술대가 2020학년도에 355명을 모집했던 것을 255명으로 100명을 감원하여 선발하고, 이어 을지대(경기) 62, 고려대(세종) 30, 수원대 22, 서경대 15, 삼육대와 평택대가 각각 4명을 감원해 선발한다.


반면, 가천대는 2020학년도에 1,074명을 모집했던 것을 1,122명으로 증원해 선발하고, 한신대는 2020학년도에 304명을 모집했던 것을 364명으로 증원해 선발한다. 성결대도 2020학년도에 283명을 모집했던 것을 297명으로 증원해 선발한다. 이에 비해 한성대는 2020학년도와 동일한 380명을 선발한다.


2021학년도 수시 모집에서 적성고사 전형(이하 적성 전형)으로 선발하는 대학별 모집 인원은 가천대가 1,122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수원대 574, 고려대(세종) 400, 한성대 380, 한신대 364, 서경대 356, 을지대(경기) 351, 성결대 297, 한국산업기술대 255, 삼육대 234, 평택대 173명 등으로 선발한다.


2021학년도 적성 전형은 대학별 모집 인원에 있어서의 변화뿐만 아니라 을지대(경기)가 적성고사 문항수를 2020학년도에 국어영어 각 20문항과 수학 15문항으로 전체 55문항으로 출제했던 것을 국어 문항을 15문항으로 줄여 전체 50문항으로 축소해 출제하는 변화를 보였다. 또한 을지대(경기)가 그 동안 적성 전형으로 선발했던 사회기여자 및 배려 대상자 전형과 특성화고교 졸업자 전형을 학생부종합 전형으로 변경하는 변화와 함께 평택대가 학생부 반영에서 출결상황을 배제하고 교과 성적만을 반영하는 변화를 보이기도 하였다. 이밖에 학생 선발 방법 등은 2020학년도와 크게 다르지 않게 실시한다.


내신과 수능 4등급 이하 수험생의 서울수도권 대학 진학의 기회


2021학년도 수시 모집에서 적성고사 시험일은 서경대가 1011일로 가장 빠르고, 어 수원대 자연계 모집단위 1017, 수원대 인문계 모집단위 1018, 삼육대 1025, 을지대 1031, 한성대 111, 성결대 117일로 수능시험 이전에 실시한다. 그리고 123일 수능시험 이후에는 평택대가 125일에 실시하고, 이어 한국산업기술대 126, 고려대(세종) 1212, 가천대 1213, 한신대 121920(20일은 지원자 수에 따라)에 실시한다.


학생 선발 전형 가짓수는 수원대가 세 가지로 적성일반 전형과 국가보훈 대상자 전형, 사회배려 대상자 전형으로 선발하고, 가천대서경대한국산업기술대는 두 가지 전형으로 선발한다. 가천대는 적성 우수자 전형과 농어촌(적성) 전형으로 선발하고, 서경대는 일반학생전형과 농어촌 학생 전형으로, 한국산업기술대는 적성 우수자 전형과 농어촌 학생 전형으로 선발한다. 나머지 대학들은 모두 한 가지 전형으로 선발하며, 전형명에 적성이 들어 있다.


학생 선발 방법은 적성고사 실시 대학 전체가 학생부 교과 성적 60% + 적성고사 40%로 선발한다. 그런데 합격생들의 입시 결과를 보면 60% 반영하는 학생부 교과 성적보다는 40% 반영하는 적성고사가 합격의 당락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것은 학생부 교과 성적의 등급별 점수 차가 크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학생부 교과 성적이 7등급 이하로 낮아도 합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은 아니다. 학생부 교과 성적이 6등급 이하인 수험생들은 적성고사 실시 전형에 지원할 것인지, 말 것인지 부터 고려할 필요가 있다.


참고로 수원대의 학생부 교과 성적의 등급별 점수를 보면, 1등급 100, 2등급 99.5, 3등급 99, 4등급 98.5, 5등급 98, 6등급 97, 7등급 92, 8등급 82, 9등급 50점으로 1등급에서 5등급까지는 등급 간 점수 차가 0.5점이지만, 이하 등급에서는 등급 간 점수 차를 크게 두고 있다. , 5등급과 6등급은 1, 6등급과 7등급은 5, 7등급과 8등급은 10, 8등급과 9등급은 32점으로 등급 간 점수 차를 크게 두고 있다. 이는 수원대 적성고사의 한 문항당 배점인 3점과 4점보다 낮은 등급 간 점수 차이다. 등급 간 점수 차를 총점으로 환산하여 보더라도 학생부 교과 성적 총점이 600점이어서 5등급까지 등급 간 점수 차인 3점과 적성고사 한 문항당 점수 차가 같다. 이는 적성고사 한 문항으로 학생부 총점 기준의 한 등급을 만회할 수 있다는 것이 된다.


하지만, 학생부 교과 성적 6등급 이하는 적성고사 한 문항으로 한 등급을 만회할 수가 없다. 이에 학생부 교과 성적이 6등급 이하인 수험생들은 적성고사로 낮은 학생부 성적을 얼마만큼 만회할 자신이 있는지 냉정히 따져보고 지원 여부를 정했으면 한다. 적성고사에서 거의 만점에 가까운 점수를 받겠다는 각오와 함께. 그렇지 않다면 지원 자체를 신중히 검토해 봤으면 한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고려대(세종)와 평택대 간호학과에서만 적용한다. 고려대(세종)는 국어 3등급 이내, 수학 3등급 이내, 영어 2등급 이내, 사회/과학탐구 2과목 합 6등급 이내 중 한 가지를 충족하면 된다. 다만, 자연계 모집단위에서는 수학 영역 형과 과학탐구 영역을 지정하는 경우가 있다. 평택대 간호학과는 국어수학(/)영어탐구(1과목) 2개 영역 등급 합 6등급 이내이어야 한다.


수능시험보단 쉬운 객관식 시험으로 고교 교육과정 위주로 출제


적성고사(고려대(세종)는 학업능력고사로 표기)는 객관식 시험으로 논술이나 심층면접에 비해 대비가 어렵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능시험보다 쉽게 출제돼 조금만 노력해도 어느 정도 성적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쉬운 만큼 경쟁이 치열하므로 대학별 출제 경향과 기출 및 예상 문제 등을 반드시 숙지하고 대비해야 한다. 또한 많은 분량의 문제를 주어진 시간에 최대한 정확히 많이 풀어야 하기 때문에 시중에 나와 있는 교재나 동영상 강의 등을 통해 주어진 시간 내에 정확히 빨리 답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필요가 있다. 다만, 이때 유의해야 할 점은 2021학년도 대학입시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출제되므로 바뀐 교과서와 비교해 살펴봐야 한다는 것이다. 이 점을 잊지 않았으면 한다.


출제 영역은 대부분의 대학이 수능시험과 같이 국어(언어)수학(수리)영어 영역으로 출제하면서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연계해 출제하고 있어 수능시험과 함께 대비해도 도움이 된다. 다만, 난이도가 수능시험의 7, 80% 수준 정도이므로 지나치게 어려운 문제는 피해 대비하는 것이 좋다. 가천대는 적성고사 출제 방향에 대해 평소 학교 교육과 수능시험을 충실하게 준비한 학생들이 합격할 수 있도록 한다고 밝히고 있다. 특히 전년도 수능시험 80%의 난이도 수준으로 고등학교 교과과정에서 90% 내외로 출제하고, 교과과정을 응용한 문제로 10% 내외로 출제한다고 밝히고 있다. 이에 고등학교 수업과 수능시험 준비로 대비가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대학별 출제 영역은 가천대와 을지대(경기)가 국어수학영어 영역으로 출제하고, 고려대(세종) 인문계 모집단위가 국어영어 영역, 고려대(세종) 자연계 모집단위가 수학영어 영역으로 출제하며, 나머지 대학들이 국어수학 영역으로 출제한다.


전체 출제 문항수는 서경대와 고려대(세종)40문항으로 가장 적게 출제하고, 이어 가천대성결대을지대(경기)평택대는 50문항, 나머지 대학들은 60문항으로 출제한다. 시험 시간은 고려대(세종)80분으로 가장 길고, 그 다음으로 한국산업기술대 70분이고, 나머지 대학들은 60분으로 동일하다.


적성고사 이렇게 대비하라!


첫째, 대학별 평가 요소와 출제 유형을 정확히 알고 대비하라. 대부분 대학들은 국어와 수학 영역으로 출제하나, 가천대고려대(세종)을지대(경기)는 영어 영역을 추가하여 출제한다. 다만, 고려대(세종)의 경우 인문계 모집단위는 수학 대신에 국어와 영어 영역으로 출제하고, 자연계 모집단위는 국어 대신 수학과 영어 영역으로 출제한다. 출제 경향은 대학별로 크게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희망 대학이 어떤 영역으로 어떻게 출제하는지 등을 기출 문제나 예시 문제를 통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대비하는 것이 좋다.


둘째, 수능시험이 아닌 적성고사 방식으로 문제를 풀어라. 적성고사 문제를 푸는 방식은 수능시험과 다르다. 예를 들면, 수능시험 국어 영역에서 시 문제가 제시된다면 시의 전체적인 의미와 배경 등을 파악해서 풀어야 한다. 그러나 적성고사 국어(언어) 영역에서는 주어진 시를 읽고 핵심적인 단어 1, 2개만을 찾아 답을 유추하는 방식으로 풀어야 한다. 적성고사의 문제풀이 방식으로 문제를 풀 수 있도록 대비해야 한다.


또한 수능시험 수학 영역에서는 고등학교 수학의 여러 주제들이 섞인 복합적인 문제들이 출제되지만, 적성고사 수학 영역에서는 중고등학교 교과서수준의 기본적인 문제들이 출제된다. 따라서 수학의 기본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자습서 등을 활용해 대비해도 도움이 된다.


셋째, 기출 문제의 유형을 익혀라. 대학별 기출 문제의 유형을 익히고, 관련 예상 문제나 모의고사를 통해 문제 해결 능력을 키워야 한다. 특히 고교 교육과정과 EBS 수능특강 교제와 연계되는 문제들이 다수 출제되고 있으므로 기출 및 예시 문제를 교과서와 연관시켜 익히는 연습을 병행했으면 한다.


넷째, 답을 추론하는 방식을 익히고 시간 안배에 유의하라. 그 동안 적성고사를 실시한 대학에 합격하지 못한 상당수 수험생의 실패 원인은 무작정 문제만 풀었지, 답을 추론하는 방식을 제대로 익히지 못함과 함께 시간 안배에 실패한 데서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적성고사에서 좋은 점수를 받기 위해서는 답을 추론하는 훈련과 시간 안배 훈련이 필수적이다.


다섯째,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는 과감히 뛰어넘어라. 적성고사는 문제풀이 시간이 매우 짧다. 따라서 잘 모르거나,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는 과감히 뛰어넘고 다음 문제를 풀어야 그래도 나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많은 분량의 문제를 주어진 시간에 최대한 정확히 많이 풀어야 하기 때문에 시중에 나와 있는 교재나 동영상 강의 등을 통해 주어진 시간 내에 정확히 빨리 답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필요가 있다.


<원문 출처> 

대학저널 http://www.dh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3323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4177

경남도 첨단 디지털 물류 육성 전략 마련 newfile

물류 인증제·도서산간 통합물류 서비스 구축 등 13개 과제 제안 경남도는 지난 7일 오후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경남 디지털 물류플랫폼 전략 및 물류 실태조사 연구 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최종보고회는 경...

[서경대 MFS] 가장 빠른 ‘슈퍼앱’ 보유 은행은…하나·우리은행 공동 1위 newfile

[은행 경쟁력 평가] ① 신속성 5대 은행 은행을 방문하지 않고도 다양한 금융업무를 비대면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대다. 입출금부터 송금, 대출, 보험사 및 카드사, 증권사 서비스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뱅킹앱은...

2024년 서경대학교 인문과학대학·사회과학대학 연합체육대회 ‘인싸체전’ 성황리에 마쳐 file

종합우승 군사학과, 준우승 경영학부 6개 학과 참여, 5월 28일(화)부터 30일(목)까지 3일간 스콘 스퀘어 등서 8개 종목 열전 펼쳐 서경대학교 제34대 ‘새늘’ 인문과학대학생회와 제26대 ‘우연’ 사회과학대학생회가 주최하는 인...

환경공단·환경산업기술원 “기계는 국산화하고, 디지털로 고도화하고” file

'엔벡스 2024' 출품된 환경기술 살펴보니 엔벡스 2024에서 환경공단은 긱종 환경기술과 환경사업을 전시해 관람객의 시선을 끌었다. 서울 코엑스에서 3일부터 사흘 일정으로 열리고 있는 ‘제45회 국제환경산업기술·그린에너지전...

서경대 MFS연구회, 국내 15개 은행 앱(App)평가보고서발표 “금융상품의 다양성통한 국내은행 뱅킹앱 분석” file

5일 서경대학교 금융정보공학과MFS(Mobile Financial Service)연구회(지도교수 서기수)는 다양성 파트에선 얼마나 다양한 상품 가입이 가능한지 15개의 국내은행의 슈퍼앱을 비교 분석한 평가보고서를 발표, 주목을 끌고 있다...

채성준 서경대 군사학과 교수 칼럼:[오늘의시선] 北 오물풍선은 고강도테러의 전주곡 file

南에 공포감 조성 겨냥한 다목적 노림수 인명 살상 등 물리적 도발 가능성 배제 못해  비대칭 전력은 전쟁에서 무력 격차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전술적 수단을 말한다. 이 개념은 앤드루 맥이 베트남전을 모델로 1975년 ‘...

한강에서 부활한 대학가요제… “국민 축제로 키워나갈 터” file

2024한강대학가요제,지난달 25일… 서울시-동아일보 공동 주최로 열려 84개 대학, 264개 팀 열띤 경연 서경대 밴드 ‘펜타클’ 영예의 대상 吳시장 “시민도 함께 즐길 수 있게” 서울 여의도 한강공원 물빛무대에서 지난달 2...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 ‘2024 제2회 SB 스타트업 네트워킹 페스티벌’ 개최 file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은 성북 창업 클러스트 연합체인 성북구청, 고려대, 국민대, 동덕여대, 한성대 캠퍼스타운 사업단과 함께 6월 7일(금) 오전 10시 동덕여자대학교 백주년기념관 1층 대공연장 및 로비에서 ‘2024...

전규열 서경대경영학부교수 : 뉴시안, 전규열 공동대표이사·편집인 선임 file

전규열 뉴시안 공동대표이사  뉴시안은 공동대표이사 겸 편집인으로 전규열 전 공감신문 대표를 25일 선임했다고 밝혔다. 전규열 공동대표는 청와대와 국회, 한국은행과 은행연합회 등 출입기자와 시사저널 객원논설위원으로 활동...

[서경대 MFS] 국내은행 뱅킹앱 분석 ① 다양성 file

국내은행들의 모바일 앱 상품 경쟁 심화.. 전통적인 시중은행뿐 아니라 지방은행, 인터넷전문은행에서도 다양한 금융상품을 선보이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어떤 은행이 가장 다양한 상품을 선보이고 있을까? 서경대 MFS...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