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구병두 서경대학교 인성교양학부 교수.jpg
서경대학교 인성교양대학 교수
(사)한국빅데이터협회 부회장

우리나라 노인인구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1960년대만 하더라도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2.9%에 불과하던 것이 1970년대 3.1%, 1980년대 3.8%, 1990년대 5.1%, 2000년대 7.2%로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다.

그러다가 2018년 고령사회(노인인구가 전체인구의 14% 이상)로 접어들었으며, 이러한 노인인구 추이를 감안하면 2026년경에는 초고령 사회(노인인구가 전체인구의 20% 이상)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노인인구 증가는 인구구조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노인인구 증가는 생산가능인구가 그만큼 줄어들고 있다는 방증이다. 우리나라는 1960년대부터 시작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하여 소득증대를 실현했다.

반면에 산업화와 도시화와 더불어 실시한 ‘산아제한정책’으로 말미암아 인구구조는 더욱 악화됐다. 그 결과 2019년 지금, 안타깝게도 인구절벽현상을 목전(目前)에 두고 있다.

의학기술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평균수명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우리나라의 평균수명은 전통적인 경제선진국 유럽이나 북미에 비하여 결코 뒤지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나라 노인들은 농경사회에서 태어나 대부분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힘든 시절을 보낸 세대이다. 그러기에 우리나라 노인들의 신체 나이는 선진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다.

급격한 고령화로 인한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는 노인 빈곤문제를 비롯한 노인 부양에 따른 재정적 부담이 점점 커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는 경제성장을 전반적으로 둔화시켜 해를 거듭할수록 낮은 경제성장률을 갱신하고 있다.

핵가족 보편화에 따른 노인소외와 빈곤 문제로 유래 없는 노인자살률 증가, 청장년 세대와 노인세대 간의 일자리 경쟁으로 인한 갈등 등 일찍이 경험해보지 못한 사회적 부작용이 사회 곳곳에서 야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또한 이촌향도(離村向都)현상으로 인해 농촌의 고령화현상은 심화되고, 농촌의 노동력부족으로 도농 간의 빈부격차는 더욱 커져가고 있다.

이처럼 심각한 고령화현상의 해결방안으로는 출산장려정책이 급선무이다. 출산장려를 위해서는 양육시설 확충, 출산장려금 지원, 육아휴직 보장, 육아와 가사의 남녀분담이 이루어지고, 양성평등의 가치관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출산장려도 중요하지만 새로 태어난 아이들이 생산가능인구에 편입되어 경제활동을 하고 국가 발전에 기여하려면 적어도 20년이 걸린다는 사실을 감안해야한다. 지금이라도 국가부채를 줄이고 과감한 이민 장려정책을 펼치며, 좀 더 강력한 수출드라이브 정책으로 비전을 제시하지 못한다면 우리나라는 더 이상 미래도 희망도 없을 것이다.

작금은 우리나라 산업발전에 주역을 맡았던 베이비붐 세대들이 은퇴하고 있다. 그들은 아직도 일할 수 있는 능력(노하우)과 건강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므로 부족한 노동력을 베이비붐 세대로 매울 수 있는 노동정책도 아울러 병행해야 할 것이다. 고령화 사회의 노동력 부족은 정년연장과 퇴직 후 노인의 재취업장려를 통한 노인 일자리 확보, 여성인력 활용 및 외국인 노동자 유입을 통해 노동력을 확보해 나가야할 것이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고령화 문제에 대해 개인은 물론 역대 정부에서도 적절히 대처하지 못했다. 그로 인해 우리나라 노인들은 OECD국가 가운데 가장 불행하다. 얼마 전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노인 10명 중 6명은 노후대책을 마련하지 못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노인복지지원금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그들은 평생 동안 가족을 위해 헌신하였지만 정녕 자신들은 노후대책을 제대로 준비하지 못해 비참한 노년기를 보내고 있다.

비록 늦은 감은 있지만 지금부터라도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연금제도, 노인 장기요양보험, 각종복지시설 안정망 확보, 노후설계에 대한 사전 교육을 실시하여 은퇴 이후의 삶을 위해 연금과 저축 등 다양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원문출처>

민주신문  http://www.iminju.net/news/articleView.html?idxno=42923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4060

이제 창업형 대학이 대세다. file

[세계의 고등교육] 구자억 서경대학교 대학원장, 한국창업교육학회장 세상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1990년대 초 486컴퓨터로 작업을 하던 때가 엊그제 같다. 그런데 컴퓨터가 스스로 학습하는 딥러닝 상황까지 도달하였다. 일각에서...

멋진녀석들 백결·의연부터 다원·예나까지… 'K스쿨' 대본리딩 열기 후끈 file

세계 최초 8K 뮤지컬 영화 ‘K스쿨’ 리딩 현장이 공개됐다. ‘K스쿨’ 남자주인공 레이 역의 멋진녀석들 백결(왼쪽)과 수아 역의 우주소녀 다원 제작사 강 컨텐츠는 지난 14일 시나리오 리딩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K스쿨’은...

학과 안내 <6> 사회과학대학 군사학과 file

서경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군사학과는 통일한국의 미래를 이끌어갈 사전문가 및 전문 직업군인을 양성하기 위해 군사 정책 및 전략에 필요한 전문지식을 배양하고 과학기술이 지배하는 미래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군사력 응용 능...

[구병두 서경대 교수의 교육칼럼] 고령화 문제, 그대로 둘 것인가? file

서경대학교 인성교양대학 교수 (사)한국빅데이터협회 부회장 우리나라 노인인구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1960년대만 하더라도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2.9%에 불과하던 것이 1970년대 3.1%, 1980년대 3.8%, 1990...

[진세근 서경대 겸임교수 칼럼] 己任(기임)

漢字, 세상을 말하다 천하위공(天下爲公)은 공자(孔子)의 철학이다. 천자(天子)가 자식 아닌, 현인(賢人)에게 양위해야 천하가 공평하고 태평하게 된다는 얘기다. 이때 나온 인재등용 원칙이 선현여능(選賢與能)이다. 지혜와 능력을 갖춘...

박진경 서경대 무용예술학과 대학원생, 제54회 전국신인무용경연대회서 ‘동상’ 수상 file

한국무용 창작부문 참가···‘비운의 왕후’로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과 대학원에 재학 중인 박진경(한국무용 16학번) 원생이 제54회 전국신인무용경연대회에서 ‘동상’을 수상했다. 박진경 원생은 6월 29일(목)과 7월 6일(목) 상명대 ...

서경대학교, 「2021년 인생나눔교실」 ‘삼삼오오 인생나눔활동’ 수도권지역 중장년세대 자기주도 인문활동그룹 모집 file

7월 15일(목)부터 7월 30일(금)까지 약 2주간 수도권지역 내 ‘세대 간 소통’ 인문활동을 주도적으로 실천할 10개 중장년세대 중심 활동그룹 모집  ‘삼삼오오 인생나눔활동’(수도권) 활동그룹 모집 포스터 서경대학교(총장 ...

서경대학교 학술정보관, 『나는 나로 살기로 했다』의 김수현 작가 초청, ‘2018 저자와의 만남’ 개최 file

10월 31일(수) 오후 3시 교내 유담관 학술정보관 L층 학술세미나실서 서경대학교 학술정보관(관장 조홍범 교수)은 10월 31일(수) 오후 3시 교내 유담관 학술정보관 L층 학술세미나실에서 ‘2018 저자와의 만남’을 개최한다. 금번 ‘...

제19회 대한민국 의정 대상-소비자 선호-소비자 선호 브랜드 대상 시상식 file

9월 28일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열려 제19회 대한민국 의정 대상 & 소비자 선호 브랜드 대상 시상식이 지난 9월 28일 오후 3시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열렸다. 이 시상식은 '연합매일신문'과 '대한민국 소비자 선호...

서경대 캠퍼스타운 사업단, ‘정릉인 매핑(Mapping)’ 시작으로 지역상권 활성화 시동 file

정릉지역 상점의 특색을 온·오프라인으로 소개하는 대학-지역 연계 프로젝트 추진 대학과 지역이 함께 노력해 코로나 블루 극복, 지역경제 활성화 및 상생 실현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캠퍼스타운 사업단(총괄 한정섭 교수)은...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