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오래] 전규열의 나도 한다! 스타트업(3)

 

서경대 경영학부에서 벤처창업과 관련한 과목을 가르치는 교수다. ‘평균수명 100세 시대은퇴 후 아무 걱정 없는 편안한 노후생활은 이제 옛말이 됐다. 아무리 노후설계를 잘해도 남은 40년을 버티기에는 역부족인 시대가 된 것이다. 평소 자신의 취미나 오랫동안 익혀온 전문성을 살려 창업으로 연결해 성공한 우리 주변 이웃의 창업 성공 이야기가 100세 시대에 인생 2막을 준비하는 시니어들에게 희망의 나침반이 됐으면 한다. <편집자>

창업을 돈이 많은 사람이나 경력이 많은 사람만 할 수 있다는 고정관념을 버려야 할 것 같아요. 저 같은 가정주부도 했잖아요. 대신 시작만 하면 잘 될 거란 생각보다 오랜 시간 노력이 필요하다는 각오로 시작하라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전규열 교수 인터뷰 1.JPG

청소하던 중 떠오른 아이디어로 사업화에 성공한 생활용품 전문 기업 '리빙스텝'의 정은경 대표(44). [사진 전규열]

청소하던 중 떠오른 아이디어에서 힌트를 얻어 사업화에 성공한 생활용품 전문 기업 리빙스텝정은경(44) 대표의 이야기다. 정 대표는 생활 속 불편함을 개선하려고 스타트업에 뛰어들었다. 3년 전 평범한 주부였던 정 대표는 부착만으로도 쉽게 곰팡이 제거가 가능한 청소용 매직시트를 발명하면서 1인 창조기업은 시작됐다.

정 대표는 아이 키우느라 10년간 다니던 회사를 그만둔 일명 경단녀였다. 중간에 취업을 알아봤지만 고용 제의가 와도 출퇴근 시간이 맞지 않아 거절하는 등 쉽지 않았다. 그래서 시작한 것이 1인 창조기업이다.

이런 정 대표가 아이디어를 사업으로 확장할 수 있었던 계기는 2015년 열린 특허청이 주최하고 한국여성발명협회가 주관하는 생활발명코리아였다.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상품화가 쉬운 생활발명을 발굴하고 출원, 디자인, 시제품제작을 지원해 지식재산 기반의 여성창업을 촉진하는 사업이었다. 특히 평소 떠오르는 생각을 메모해두던 습관이 큰 도움이 됐다.

매직시트는 화장실, 베란다의 곰팡이와 묵은 때를 청소하기 위해 세제를 적신 휴지를 뭉쳐 청소 부위에 올려놓거나 팔이 아플 정도로 문질러야만 할까? 라는 불편과 고민에서 시작됐다. 시트를 붙여 곰팡이를 제거해야겠다는 것이 정 대표의 아이디어였다.


전규열 교수 인터뷰 2.JPG

매직시트는 욕실 곰팡이 제거를 포함한 찌든때, 기름때, 실리콘 곰팡이 등을 액상세제를 적셔 붙이는 것 만으로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다. [사진 리빙스텝 홈페이지]

 

리빙스텝은 정 대표를 비롯해 직원 1명을 둔 소기업이다. 창업진흥원이 발행한 2017년 창업백서에 따르면 창업 당시 1인 기업이 32.7%, 2인 기업이 25%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3~5인 기업은 37.7%로 전체 창업기업의 10개 중 9개가 5인 이하의 소규모 창업이었다. 결국 평균 인원 2.7명에서 창업을 시작한다는 것이다. 정 대표처럼 소규모 스타트업에서 시작한 것이다. 결국 창업은 1인 창조기업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정 대표가 1인 창조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기반은 창업진흥원의 도움이 컸다. 창업 초기 서울시 여성창업보육센터, 여성벤처협회에서 사무실 임대를, 창업진흥원에서 아이디어 시제품부터 마케팅, 유통, 수출지원을 해 주었다.

특히 제조업체라 MD(상품기획자)와 스타트업의 매칭이 절실한 상황이었다. 그런데 창업진흥원에서 유통지원 프로그램을 연결을 해주어서 판매 채널을 늘릴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필리핀에 간접수출을 할 수 있었던 것도 수출지원프로그램 덕분이었다.

결국 정 대표는 1000만원의 종잣돈으로 시작한 리빙스텝은 창업 첫해인 2016년에는 연구개발로 매출이 없었으나 20175200만원 올해 18000만원 내년에는 5억원 매출을 목표로 하는 등 급성장하게 되었다.


소비자 조사와 신제품 개발 위해 전시회 활용

전규열 교수 인터뷰 3.JPG

2017년 세계여성발명대회에서 참석한 귀빈들을 대상으로 매직시트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 전규열]


다른 1인 스타트업 기업들처럼 정 대표도 상품에 대한 소비자 반응은 전시회를 통해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비용도 적게 들고, 가격 형태 등의 소비자 반응도 바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성공한 스타트업 대표의 공통점이었다.

창업 2, 3, 5, 7년 차로 올라갈수록 기술개발비용 즉 R&D 자금지원이 절실하다. 하지만 제조업체라 관련 경력이 없다 보니 지원을 받을 수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모든 정부의 스타트업 지원이 청년과 4차산업, AI 등 하이테크에 집중되어 있고, 로우테크 즉 생활밀착형 제조업 스타트업에 대한 지원과, 창업 연차별 경력지원 프로그램이 적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부가 최근 3년간 국내 창업 활성화를 위해 100조 원을 예산을 쏟는 등 청년취업난 해결을 위해 창업 활성화에 모든 지원을 하고 있다. 정작 일자리 창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40~50대 중장년층을 위한 창업 지원은 열악한 상황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16년 신생 창업기업 대표자 주요 연령층은 40대가 30.3%50대가 25.8%로 조사됐다. 30대는 22.3%, 20대 이하는 6.6%였다. 창업기업 5년 생존율 역시 40, 50대가 30% 안팎을 기록해 16.2%를 기록한 20대 이하의 생존율보다 두배 가까이 높았다.

청년 창업자 대부분은, 정부의존에 쏠려 경험 부족으로 실패하는 경우가 많지만, ·장년 창업자는 경험이 있어 더 견디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원은 여전히 청년창업 활성화에 집중되어 있다.


한국여성벤처협회 지원으로 성장 기회 마련

전규열 교수 인터뷰 4.JPG

매직시트가 2017년 세계여성발명대회에서 금상()을 받았으며동 대회에서 리빙스텝이 터키특허청장상을 받았다. [사진 전규열]


한국여성벤처협회는 여성 1인 창조기업의 발굴과 전략적인 육성을 위해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여성특화 1인 창조기업 비즈니스센터지정을 받아 지난해 7월 정식 오픈했다. 여성 1인 창조기업과 3개월 이내 창업이 가능한 예비 창업자가 대상이다.

입주비용 일부 지원. 여성특화교육 및 여성벤처 CEO 멘토링 등 네트워킹, 선택형 사업비 지원(특허출원, 전시회, 홈페이지 제작 등), 선도벤처연계 창업지원사업 등 창업 및 R&D 정부과제 연계, 한국여성벤처협회 회원 혜택(법률, 회계 등 전문서비스 할인, 판로 개척) 등이다.

정 대표는 욕실에서 샤워한 후에 머리카락을 쉽게 청소할 순 없을까? 음식물쓰레기를 버릴 때 손에 묻지 않고 버리는 방법은 없을까? 등 청소할 때마다 가진 관심이 기반이 됐다. 지금은 매직시트만 판매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현실화한 제품을 선보일 계획이다.

정 대표의 목표는 경단녀가 편하게 일할 수 있는 회사를 만드는 것이다.

 

전규열 교수 인터뷰 5.JPG


< 원문 출처 >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3007058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089

서경대학교, ‘학습부진 Raise me up’ 프로그램 운영 통해 재학생 학업 적응력 향상 도모 file

학습부진 학생들을 위한 심리 지원 통해 자신감 회복과 동기 강화 도와 서경대학교 (총장 최영철)는 2020학년도 학사경고자 및 장기결석자, 성적하위 10%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이고 학습동기 및 학업...

전규열 서경대 경영학부 겸임교수 칼럼:멋진 노래 만들었다면 두드려라 '셀바이 뮤직' file

[더,오래] 전규열의 나도 한다! 스타트업(11) 유튜브와 SNS 같은 1인 미디어가 미디어 시장의 대세로 떠오르면서 누구나 대중음악인이 될 수 있는 시대가 열리고 있다. 그러나 작곡가를 꿈꾸는 사람들은 좋은 곡을 써 놓고도 ...

[진세근 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漢字, 세상을 말하다] 涅槃<열반>

열반은 범문(梵文) ‘니르바나’의 음역이다. 일체의 번뇌를 불어서(Blow) 끄다(Out)는 의미를 담고 있다. 열반은 니원(泥洹)이라고도 한다. 무위(無爲), 자재(自在), 불생불멸(不生不滅) 등의 의미를 갖는다. 중국 진(晉) 때 출간된 『...

『코로나 19 언택트 속 센터 100% 활용하기』 <6> <외국인학생지원센터 편> file

지난해 초부터 계속되고 있는 코로나 19의 확산 및 장기화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가 일상의 삶이 멈춰지고 언택트로 경제나 사회 생활이 크게 위축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학들도 코로나 19 확산 방지를 위해 수...

「코로나 19 언택트 속 센터 100% 활용하기」 <5> <취업지원센터> 편 file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코로나 19의 확산 및 장기화로 비대면 수업이 계속되면서 재학생들이 대학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서경대학교 각 센터에서는 코로나 펜데믹이라는 전례없는 상황에서도 재학생들이 큰 공백없이...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무용예술학과 제17회 창작발표회 및 제20회 쇼케이스 개최 file

5월 23일(목) 오후 7시 교내 문예관 문예홀서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무용예술학과(학과장 전순희)의 제17회 창작발표회 및 제20회 쇼케이스가 5월 23일(목) 오후 7시 교내 문예관 문예홀에서 개최된다. 무용예술학과 특성화 방안의 ...

아시아 대학혁신, 외국대학유치로 시작한다 file

세계의 고등교육 ⑧ 아시아대학의 국제화 아시아 대학들이 약진하고 있다. 그중에서 싱가포르, 홍콩, 중국대학의 약진은 괄목할만하다. 2018년 QS 세계대학평가 결과를 보면 싱가포르국립대 아시아 1위, 세계 11위, 난양공대 세계 ...

서경대학교에서 제100회 전국체전 스쿼시경기 열린다 file

서경대학교 수인관에서 10월 4일(금)부터 8일(화)까지 5일간 제100회 전국체전 및 제39회 전국장애인체전 스쿼시경기가 개최된다. 대한체육회가 주최하고 서울특별시, 서울시교육청, 서울시체육회가 주관하는 이번 대회 스퀴시경기는 전...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 학생들이 제작 및 방송에 참여하고 있는 한국직업방송의 생방송 ‘취업이 보인다 X 청년단이 간다!’14회차 방송분 ‘성우’ 편, 6월 4일(월) 오전 11시부터 1시간 동안 방영돼 file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운영위원장 방미영 교수, 이하 ‘청문단’) 학생들이 제작 및 방송에 참여하고 있는 한국직업방송의 생방송 ‘취업이 보인다 X 청년기획단이 간다!’ 프로그램(아나운서 ‘조서연’, PD ‘한아름’)...

[진세근 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 중국, 제조(製造)에서 지조(智造)로 간다 file

중국 광시성(广西省) 남단 도시 둥싱(东兴)을 아는 한국인은 많지 않다. 둥싱은 중국 대륙 남단 한 모퉁이에 조용히 박혀 있는 작은 도시다. 둥싱은 간단한 도시가 아니다. 우선 의외로 우리나라와 가깝다. 전남의 끝단 도시 고흥(高興...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