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동아일보_180904.jpg

9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함께 이어가요 우정을 미래로라는 슬로건으로 14회 한일축제한마당 2018 in Seoul’이 개최된다. 이 행사는 199810월 당시 김대중 대통령과 오부치 게이조 일본 총리의 한일공동선언이 발단이 됐고, 2005한일우정의 해에 시작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2009년부터는 도쿄에서도 개최되며 많은 한국인과 일본인이 하나가 돼 만드는 최대 규모의 한일교류행사가 됐다. 이 축제는 지방자치단체와 기업, 체험이벤트, 푸드 등의 부스가 설치돼 전통부터 젊은이들에게 인기 있는 코스프레, 케이팝(K-POP), 제이팝(J-POP) 등 한국과 일본의 다양한 퍼포먼스가 펼쳐진다.

 

동아일보_180904(2).jpg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특히 올해 가장 주목할 볼거리로는 지난해 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이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에 등재된 것을 기념해 마련된 조선통신사 재현 행사를 꼽을 수 있다.

 

조선통신사는 1607년부터 1811년까지 양국 관계 개선을 위해 12차례 일본을 방문한 조선의 외교사절단이다. 일행은 정사, 부사, 종사관을 비롯해 악단, 무인, 의사, 역관, 화가 등으로 구성됐고 규모가 클 때는 인원이 500여 명에 달했다. 행렬은 한양에서 부산, 쓰시마섬(대마도), 교토를 지나 에도(현재 도쿄)까지 왕복하는 커다란 행사였다. 사람뿐 아니라 많은 문물이 전해졌고 가는 곳마다 큰 환영을 받았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뒤에서 서로 예의를 갖춰 존중하는 유학자들의 무수한 노력이 있었다. 이번 축제에서는 전통의상을 갖춘 임금, 정사, 부사, 종사관 등이 등장해 조선통신사의 삼사임명식과 국서전달식이 거행될 예정이다. 이날 전해지는 국서는 22일 도쿄에서 열리는 축제에 전달된다.

 

나는 1989년 대학원 강의 문학과 예술을 통해 조선통신사를 알게 됐다. 강의 내용은 조선통신사의 일기, 시문, 회화를 통해 양국 교류를 조명하는 것이었다. 이때가 문득 떠올라서 자료를 모아뒀던 상자를 열었다. 누렇게 변한 자료를 보니 당시 감동이 되살아났다. 끔찍했던 임진왜란 이후 불과 9년 만에 조선과 일본의 관계를 회복시키려 악전고투하며 교류하려던 사람들이 있었다. 그 사실은 대학원 재학 당시 반일적인 공기에 숨이 막힐 것 같던 내게 숨통을 틔워줬다.

 

조선통신사를 알게 된 뒤 내 관심은 조선통신사 이후 시기로 옮겨졌다. 유학자들이 저렇게 고생해 회복시켜 200년을 이어온 선린외교가 왜 단절됐고, 제국주의에 의한 식민지배로 폭주했을까? 일본은 과거 한국에 아직껏 아물지 못한 상처를 남겼다. 일제강점기 35년은 비극이라고 표현할 수밖에 없고, 그 상처는 무척 깊다. 평온은 그곳에 사는 사람들을 무시해 정치가 앞서거나 경제적인 욕심을 낸 순간 너무도 쉽게 망가졌다. 그리고 그 상처는 그럴 때마다 더욱 깊어진다. 나는 화려한 조선통신사보다 그 후 역사의 쓰라린 경험에서 여러 교훈을 얻는다. ‘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의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 등재는 양국 정부가 아닌 부산문화재단과 조선통신사연지연락회의 추진으로 이뤄졌다. 정부가 아닌 민간단체에서 추진해 신뢰와 양보라는 조선통신사의 정신을 오늘에 되살렸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7월 나는 대마도에 가서 이즈하라시에서 하룻밤을 묵었다. 다음 날 아침 남편과 함께 고쿠분지까지 산책했다. 그곳은 조선통신사의 객관이 있던 곳이다. 나는 유일하게 남아있는 대마도 제일의 산문을 지나 잡초가 자란 공터를 바라보며 조선통신사가 숙박했던 화려했던 당시를 떠올렸다. 아마 통역을 통하거나 필담을 나누며 화원에게 그림을 부탁하고 지적인 교류를 나누지 않았을까. 거리에는 한국인 관광객들이 가득했지만 아침 고쿠분지는 고요하기 이를 데 없어 여러 상념에 잠기게 했다. ‘한일축제한마당 2018 in Seoul’은 다시 선린외교를 이뤄냈던 유학자들의 정신으로 되돌아가 한국과 일본의 건설적인 미래를 이어가는 한걸음이 되길 기원한다. 축제 당일 나도 운영위원으로 참가해 한복을 입고 행사장에 있을 것이다. 많은 분들이 찾아와 한국과 일본의 돈독한 우정을 함께 나눠주면 감사하겠다.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 원문 출처 >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3/all/20180904/91822456/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3942

실용음악 열풍 왜? SKY 나와 대기업 가도 답 없지 않나 file

“SKY 나와서 대기업 다니는 게 인생의 정답이라고 생각하나요. 50·60대 기성세대들도 살아보니 그건 아닌 거 같다고 느끼지 않습니까. 요즘 아이들도 남에게 보여주는 삶을 살기보다 본인이 만족한 삶을 살고 싶어합니다." 장...

전규열 서경대 경영학부 겸임교수 칼럼:비영리단체 행사 맡아 매출 5억…틈새 뚫은 이 회사 file

[더,오래] 전규열의 나도 한다! 스타트업(4) “비영리단체에서 오랜 시간 행사 기획 파트에서 일하다 대행사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절실히 하게 됐습니다. 그것도 친환경적인 방식과 비영리단체의 생리를 이해하는 대행사가요. 그렇...

학과 안내 <17> 예술대학 공연예술학부/ 모델연기전공 file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공연예술학부는 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해 연기와 무용을 중심으로 한 공연예술에 대한 이론과 실무능력을 배양하고 예술사의 현대적인 재창조와 현대예술의 미래지향적인 탐구를 통해 각 개인의 과학적이고 지적인...

인문대여! 고개를 들어라, 인문대의 반란 <2> 아동학과편 -을지로푸르니하나금융어린이집 김지연 원장 file

인문학의 사전적 정의는 ‘언어, 문학, 역사, 철학 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그러나 인문학을 전공하는 사람이라면 “인문대는 취직이 안 된다.”, “인문학을 전공해서 어디에 쓸 수 있냐?”라는 이야기를 한 번쯤은 들었을 것...

서경대학교, 한국무역보험공사와 무역보험분야 관련 연구 및 취창업 지원 등 교육관련 사업의 추진 등 산학협동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10월 12일(금) 오전 11시 서경대 본관 3층 대회의실서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한국무역보험공사(사장직무대행 부사장 강병태)와 10월 12일(금) 오전 11시 서경대 본관 3층 대회의실에서 무역보험분야 관련 연구 및 취창업 지원을...

서경대 등, 예술과 공학의 장벽 없는 ‘카멜레온 서페이스 展’ 개최 file

문체부, 한국콘텐츠진흥원 지원사업으로 오는 11일 진행돼 서경대 - ㈜유잠스튜디오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이화여대는 11일 경기 안산시 소재 한양대 ERICA 캠퍼스 라이언스홀에서 CHAMELEON SURFACE 展: Kinemathèque를...

세종대왕납시오! 세종문화예술상 file

이재익 서경대 교수 미술교육부문 수상 종즉위600주년,한글반포572돌을 맞아 서울시와 (사)한국지역산업문화협회가 주최한 세종대왕납시오! 세종문화예술상이 선정됐습니다. 세종으뜸한국인부문에는 방탄소년단이 선정됐습니다. 전세계 k-...

전기차충전소 캠퍼스에 속속…서경대·건국대·광운대·국민대 등 11개 대학 설치 file

충전인프라 확산, 전기차 보급 청신호 전기자동차 보급이 확산되는 가운데, 차량 충전을 위한 시설이 대학가에 잇따라 들어서고 있다. 학내 주차장에 전기차 충전소가 마련된 것으로, 충전 시설을 2기 이상 설치하거나 일정 시...

[반성택 서경대 교수의 디지털인문학] 수능 지문 誤用을 고발한다 file

반성택 서경대 철학과 교수 우리가 세계에 흥미로운 뉴스를 제공하는 날이 또다시 다가온다. 매년 수능일에는 한반도 상공의 비행기 운항이 조정되고, 서울대라는 이름이 세계에 휘날린다. 성적이 좋은 순으로 3천여명을 쓸어 담...

학과 안내 <16> 예술대학 공연예술학부/연기전공 file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공연예술학부는 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해 연기와 무용을 중심으로 한 공연예술에 대한 이론과 실무능력을 배양하고 예술사의 현대적인 재창조와 현대예술의 미래지향적인 탐구를 통해 각 개인의 과학적이고 지적인...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