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구병두 서경대 교수1.jpg

서경대학교 인성교양학부 교수 (사)한국빅데이터협회 부회장

4차 산업혁명은 세계경제포럼 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b) 회장이 2016년 세계경제포럼의 주제로 정한 뒤,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4차 산업혁명시대를 이끌어갈 주력 산업은 대체로 빅데이터분석, 블록체인, 인공지능, 로봇공학, 사물인터넷, 무인운송수단(무인항공기, 무인자동차), 3D 프린터, 나노기술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들 가운데 빅테이터분석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핵심 분야라 하여도 지나친 표현이 아닐 것 같다. 빅데이터가 다양한 가치를 생성하면서 사람들은 정보시대의 ‘원유’에 비유하는 데에서도 중요한 산업임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주력산업 가운데 하나인 빅데이터가 지니는 속성은 부피(volume), 속도(velocity), 다양성(variety), 변산성(variability), 진실성(veracity), 시각화(visualization), 가치(value) 등을 들고 있으며, 이를 7V라고도 한다. 빅데이터는 그 자체로는 가치가 없으며 빅데이터의 가치는 진실한 자료의 분석, 그 자료 분석에서 얻게 되는 정보와 통찰에 달려있다. 빅데이터 활용의 선두 주자는 기업이다. 특히 검색과 전자상거래 기업은 방대한 고객 데이터를 분석해 다양한 마케팅에 활용하고 있다.

SNS의 하나인 Twitter에는 하루에 약 5억 개의 트윗이 올라온다고 한다. 또 Facebook을 사용하는 사람은 매달 2억 명에 달하며, YouTube의 하루 평균 동영상 재생건수는 40억 회에 이른다고 하니 데이터 생성량이 어마어마하다. 그리고 디지털 세계에서의 정보량은 2년마다 두 배로 늘어나는데 2020년까지 44제타바이트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1제타바이트(zetabyte, ZB)는 1,000엑사바이트이고, 1엑사바이트(exabyta, EB)는 미국 의회도서관 인쇄물(2000년도 기준으로 장서 1,900만권, 기타자료 3,300만 편)의 10만 배에 해당하는 정보량이다. 제타가 1021임을 감안하면 상상하기 어려운 양이며, 디지털 세계가 크기를 짐작할 수 없을 정도로 거대하고 기하급수적으로 팽창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엑사바이트는 1018이고, 요타바이트는 1024이다. 이런 어마어마한 데이터 정보량 단위가 디지털 세계에 존재한다는 것이 빅데이터의 미래가 어떻게 전개될지를 예언해준다.

빅데이터의 선두주자 구글은 데이터의 양이 많을수록 얻을 수 있는 정보의 질이 좋아진다는 것을 인터넷 검색을 통해서 실천하고 있는 기업이다. 어떤 정보와 통찰을 획득하느냐에 따라 잠재적 가치는 무궁무진하다. 또 온라인 쇼핑몰의 선구자인 아마존(Amazon.com)도 빅데이터 활용의 역사가 깊다. 아마존은 고객의 도서구매 데이터를 분석하여 특정 책을 구매한 사람이 다음에 읽을 것으로 예상되는 책을 추천하면서 할인쿠폰을 지급한다.

전형적인 데이터 분석을 토대로 한 마케팅 방법이다. 아마존은 이러한 데이터분석 경험에 기반 하여 현재 하드웨어를 빌려주는 클라우드(cloud)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비정형 빅테이터 처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DB)를 새로 개발하는 등 빅데이터 관련 기업의 입지를 굳히고 있다.

공공부문에 활용한 사례로 맥킨지(McKinsey)는 빅데이터 주도의 건강관리가 제대로 시행된다면 3,000억 달러에서 4,500억 달러까지 건강관리 지출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미국 건강관리 예산의 약 12퍼센트에서 17퍼센트 정도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엄청난 가치이다. 미국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경제선진국들은 자국의 이익을 위해서 자신들이 보유하고 있는 귀중한 데이터들을 활용하여 여러 산업분야의 부가가치를 증대시키고 있다.

우리나라도 값진 자료를 가지고 있으면서 개인정보보호법이라는 장벽에 가로막혀 ‘21세기의 원유’인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4차 산업혁명시대를 선도하지 못하면 그동안 우리가 주도해온 IT산업도 ‘성쇠의 반전(reversal of fortune)’을 겪게 될 것이 분명하다.

유발 하라리(Yuval Noah Harari)는 ⌜호모 데우스(Homo Deus)⌟(2017)의 마지막 장에 ‘데이터교’를 다루면서 미래사회에는 데이터교도들이 인간의 지식과 지혜를 믿지 않고 빅데이터와 알고리즘을 더 신뢰하게 될 것이라는 그의 주장을 새겨들어야 할 때가 아닌가싶다.


<원문 출처>

민주신문 http://www.iminju.net/news/articleView.html?idxno=37280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748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한일 예술적 교감 형상화한 권진규와 센노 리큐[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서울 성북구 동선동의 권진규 아틀리에에서 검은색 찻잔을 본 순간 나는 생각이 멈췄다. 그 찻잔은 일본의 다인(茶人) 센노 리큐(千利休·1522∼1591)가 사랑했던 ‘구로라쿠다완(黑樂茶碗)’이었기 때문이다. 자세히 들여다보고 싶...

서경대학교, ‘2021년 취업연계 중점대학’ 2차년도 사업 성공적 수행 file

학생·기업 만족도 높아···취업경쟁력 강화 및 취업률 제고 ‘기대’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교육부와 한국장학재단이 주관하는 국가근로장학사업인 ‘2021년 취업연계 중점대학’의 2년차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고 밝혔다...

[진세근 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 : 漢字, 세상을 말하다] 霧霾<무매> file

비(雨)와 안개(霧)가 없다면 중국 문인들이 시(詩)를 쓸 수 있었을까? 쓸쓸함, 그리움, 실연, 그리고 소생(蘇生)은 비와 안개 아니면 전달할 길이 막막했을 것이다. “좋은 비 시절을 알아/봄이 되니 때맞춰 내린다./어둠 틈타 ...

[인문학의 위기-냉엄(冷嚴)한 현실 (中)] 시스템의 붕괴…"한국의 마이클 센델은 없다" file

인문교양 과목 '전임교원' 개념 부재한 대학 당국..."앞으로도 한국판 센델은 없을 것“ ▲ 지난 2020년 6월 4일 한국비정규교수노동조합 소속 조합원들이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강사법 시행령 공포 1년을 맞아 강사재임용 절...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메이크업디자인학과, 성북구청 지원으로 ‘K-뷰티 메이크업 전문가 양성 아카데미’ 교육 실시 file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미용예술대학(학장 윤영란 교수) 메이크업디자인학과(학과장 주영주 교수)는 성북구청의 지원으로 ‘2022년 K-뷰티 메이크업 전문가 양성 아카데미’ 교육을 9월 24일(토) 개강식과 함께 시작했다. ‘2022년...

서경대학교 현장실습지원센터가 운영 중인 ‘국가근로장학 취업연계 중점대학’ 프로그램에 참여해 ‘실무경험 쌓고 취업도 앞당기자!’···‘국가근로장학 취업연계 중점대학’ 프로그램 참여 학생 릴레이 인터뷰 <5>‘마케팅 관련 분야’ file

코로나 19 펜데믹이 2년째 지속되면서 구직활동과 같은 여러 사회활동이 크게 위축되었고 침체된 경제마저 회복세가 더디기만 하다. 기업들도 공개채용을 줄이거나 아예 폐지하고 상시채용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이 마저도 경력자만...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 「2018 인생나눔교실」멘토링 프로그램 진행 및 수도권지역 신규유형 멘티기관 모집 file

지난 4월부터 군부대, 자유학기제 중학교, 지역아동센터, 보호관찰소 등 찾아가 멘토링 실시 사업의 긍정적 효과 확산을 위해 멘티기관 유형 확대 모집 중 인문 멘토링이 꼭 필요한 멘티를 새롭게 발굴하여 효과적인 활동을 도모...

경찰-대학 손잡고 보이스피싱 피해예방 나선다 file

서울성북경찰서는 11일 고려대학교, 국민대학교, 서경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한성대학교 대학생들의 보이스피싱 범죄 가담, 보이스피싱으로 인한 금전적 피해 등을 예방하기 위한 업무협약식을 체결했다.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해 ...

서경대학교, 골프교습가 로빈 사임스 초청 강연 개최 file

서경대학교 경영문화대학원 레포츠경영전공은 오는 23일 레드베터골프아카데미 코리아 CEO이자 골프교습가인 로빈 사임스 원장을 초청해 ‘골프스윙의 생체역학’을 주제로 강연을 개최한다. 강연은 서경대학교와 레드베터골프아카데...

서경대학교, ’협업·소통·공감의 ‘허브(HUB) 12’, 국내 최초 실험적 실용 무대 선보인다 file

-CODE: COllaborative DEsign’ 주제로 12월 3일(금) 오후 4시 서경대 본관 8층 컨벤션홀서 옴니채널 형태로 진행  -16개 전공의 학생, 교수진, 문화예술가 등 총 302명이 참여해 모두 10개의 환상적인 스테이지 연출  ...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