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중국 광시성(广西省) 남단 도시 둥싱(东兴)을 아는 한국인은 많지 않다. 둥싱은 중국 대륙 남단 한 모퉁이에 조용히 박혀 있는 작은 도시다.


둥싱은 간단한 도시가 아니다.


우선 의외로 우리나라와 가깝다. 전남의 끝단 도시 고흥(高興)과 자매 도시다. 둥싱에 가면 쭉 뻗은 8차선 도로에 고흥대로(高兴大道)’라는 도로 표지판이 붙어 있는 걸 볼 수 있다. ‘고흥은 중국어로 하면 즐겁다라는 형용사다. 그래서 도로 이름도 즐거운 도로가 됐다. 둥싱 시민들이 이 길을 좋아하는 이유다.


진세근 교수 칼럼.jpg

둥싱 시내 [출처: 바이두바이커]


둥싱은 베트남과 코를 맞대고 있는 국경 도시이기도 하다. 둥싱에서 다리 하나만 건너면 베트남 북단 마을 몽카이다. 둥싱 시민들은 몽카이를 중국식으로 망제(芒街)라고 부르면서 친근하게 대한다. 위치 덕분에 둥싱은 국경 무역의 중심 도시가 됐다. 경제 규모는 우리나라 대도시에 견줄 만 하다.


둥싱 북쪽에 상급 도시가 팡청강(防城港)이다. 둥싱은 팡청강의 부속 도시다. 팡청강과 둥싱을 장황하게 설명하는 이유는 이 지역의 중국 핵 발전의 새로운 메카로 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진세근 교수 칼럼 2.jpg

[출처: 셔터스톡] 


2018 524.


팡청강의 전 언론은 핵 발전 기사를 1면 머리기사로 소개했다. 중국이 자체 개발한 제 3세대 핵발전 기술이 적용된 화룽(华龙) 1호 핵 발전 설비가 팡청강 제2기 핵발전소에 성공적으로 탑재됐다는 소식이다. 영국의 핵 발전 기술자들까지 몰려와 밤을 새면서 설비 안착 과정을 지켜봤다. 그리고 사흘 뒤 영국 기술자들은 중국의 핵 발전 기술자들과 노하우 교류를 위한 심층 세미나를 진행했다. 이전과는 확연하게 달라진, 핵 발전 선진국으로서의 중국의 위상을 보여 주는 장면이다.

 

팡청강 핵 발전소 얘기를 더 진행하기 전에 중국의 핵 발전 기술이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를 시기적으로 살펴보자.


진세근 교수 칼럼 3.jpg

다야완 [출처: 바이두 바이커]


다야완(大亚湾)은 광둥(广东)성 선전(深圳)시 북부에 있는 해안 지역이다. 중국의 핵 발전소 건설이 이 곳에서 태동됐다.

 

다야완 핵 발전소 설비의 국산화율은 1%에도 못 미쳤다. 심지어 일상적인 재료, 즉 철근과 콘크리트조차 수입해야 했다. 단지 실험용 보일러만이 중국제였을 뿐이다.”

 

중국의 1세대 핵발전소 기술자인 궁광천(广臣) 청강 핵발전소 유한공사 부사장의 회고다.


당시는 개혁개방의 거센 물결 속에 주(珠江) 삼각지(珠三角) 지역 경제개발건설이 신속하게 진행되던 때였다.


1978 5, 구무(谷牧) 부총리를 수행해 유럽 순방을 마치고 돌아온 광둥성(广东省)의 왕취앤궈(王全国) 서기는 유럽에서 시찰했던 핵 발전소 모습을 떨칠 수 없었다. 광둥성 대야완에 꼭 핵 발전소를 짓고 싶었다. 이 때부터 왕 서기는 중앙 정부에 핵 발전소 건설의 필요성을 역설하기 시작했다.


1981년 마침내 중앙 정부는 11개 부처 연석회의를 열었다. 왕 서기의 핵 발전소 건설제안을 중앙 정부차원에서 본격 검토하기 위해서였다. 왕 서기는 광둥성 서기를 그만두고 다야완에 내려가 핵 발전소를 건설하는 책임을 맡겠다고 청원했다. 광둥성 최고 권력자 자리를 내놓고 건설현장 책임자를 맡겠다고 나서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마침내 최고지도자 덩샤오핑(邓小平) 고개를 끄덕여 동의를 표시했다.


진세근 교수 칼럼 4.jpg

덩샤오핑 [출처: 중궈칭녠왕]


그러나 현실은 녹록치 않았다. 우선 40억 달러의 공사비가 문제였다. 당시 중국의 연간 수출액은 2064천만 달러에 불과했다. 보유 외화는 16700만 달러였다.


왕 서기는 독특한 제안을 했다. ‘빚을 내서 건설하고, 전기 팔아 빚 갚기전략이다. 일단 은행에서 돈을 빌려 핵 발전소를 건설한 다음, 생산된 전력은 홍콩 등 부자 동네에 팔아 그 돈으로 빚을 갚겠다는 복안이다. 이 계획은 대성공이었다. 건설 후 국가계획위원회의 투자항목을 살펴보면 다야완 핵 발전소 건설에 들어간 투자액은 ‘0’ 위안으로 기록돼 있다. 은행 빚으로 건설하고, 전기 팔아 그 빚을 고스란히 갚았기 때문이다.


건설 과정은 험난함으로 점철돼 있다. 수많은 연구보고서, 셀 수 없는 협상, 몇번이 밤샘 토론을 거쳐 마침내 1985 29일 광둥 핵발전 합영유한공사가 출범했다.


진세근 교수 칼럼 5.jpg

[출처: 셔터스톡]


1987 87일 다야완 핵 발전소 반응로 설치를 위한 시멘트 양생 작업이 시작됐다. 중국 핵 발전의 첫 삽이 떠지는 순간이다.


핵심 설비는 물론 시계, 내화벽돌 그리고 나사못 하나에 이르기까지 전부가 수입에 의존했다. 수입품 물량이 워낙 많다 보니 선전시 관세청 관리가 다야완에 상주하며 수입품을 챙겨야 했다. 당시 중국은 핵 발전 분야에서 초등학생에 불과했다.


1986년 다야완은 전국적으로 100여 명의 인재를 모집해 프랑스와 영국으로 연수를 보냈다. 짧게는 수년에서 길게는 십 수년에 걸친 장기 연수다. 1인당 연수비가 평균 130만 프랑에 이른 것으로 집계됐다. 성인 남자 한 명의 체중에 해당하는 금값에 해당하는 액수다. 당시 이들 연수생이 황금인(黃金人)’으로 불린 이유다. 1994 56일 다야완 핵발전소가 마침내 상업 운행에 들어갔다.


다야완이 초석을 닦았다면 1997년에 시작된 링아오(岭澳) 1기 핵발전소는 중국 핵 발전사의 도약을 의미한다. 국산화율이 30%에 육박했기 때문이다. 링아오 2기에 이르러 국산화율은 64%를 기록했다.


2차 도약은 2009년 광둥 핵발전 합영유한공사의 후신인 중광허(中广核)핵발전설비 국산화 연합연구중심을 발족한 것이 계기가 됐다.


진세근 교수 칼럼 6.jpg

양장 핵발전소 [출처: 바이두바이커]


연구중심이 설계한 양장(阳江) 핵발전소는 중국 핵 발전 기술의 발전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양장 1, 2호 발전소는 2세대 기술인 CRP1000을 사용했다. 3, 4호에는 CRP1000+ 기술이 적용됐다. 그리고 5, 6호에는 3세대 기술인 ACRP1000이 사용됐다. 5, 6호 발전설비의 국산화율은 86%에 달한다.


천잉젠(陈映坚) 중광허 사장은 “CRP1000 20대를 제작하는 데 2000억 위안을 투자했다이 덕분에 전체 관련 기업이 공동 발전하는 데 큰 힘이 됐다고 소개했다.


현재 중광허는 관련 87개 기업과 함께 핵 발전설비 연구중심을 꾸리고 5400개 부품상과 함께 핵 발전 생태계를 꾸리는 작업에 착수했다.


이런 노력이 모여 태어난 것이 바로 5월 출범한 팡청강 2기 핵 발전소인 셈이다.


진세근 교수 칼럼 7.jpg

팡청강 발전소 [출처: 바이두바이커]


이제 중국은 시선을 해외로 돌리고 있다. 가격은 낮은데 효율은 뛰어난, 이른바 가오싱자비’(高性价比-높은 가성비)를 앞세워 동유럽, 아프리카, 동남아 시장을 활발하게 개척 중이다.


동유럽 핵 전문가들은 중국의 핵 발전소 기술은 ①열효율이 높고 ②인력에 의한 현장 점검이 가능하며 ③연료교체시기를 혁신해 연료 비용 절감은 물론 사용 후 처리비용을 줄일 수 있고 ④핵 발전 수명을 현재의 40년에서 60년까지 연장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전했다.


중광허의 허위(贺禹) 이사장은 하룽 1호 핵발전 설비 한 세트를 수출하면 여객기 200대를 수출하는 것과 같은 이익을 남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 5400개 부품업체의 해외 진출의 발판을 마련해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진세근 교수 칼럼 8.jpg

[출처: 셔터스톡]


최근 중국은 영국 정부와 인재교육협정을 체결했다. 영국 대학생을 중국에 보내 핵 기술자로 교육시키는 협정이다. 외국에 유학생을 보냈던 1986년 시절과는 정반대의 현상이 일어난 것이다.


중국은 이제 제조(製造)에서 지조(智造)의 단계로 진화 중이다. , 제품을 생산하는 국가에서 지혜 곧 소프트웨어를 생산하는 국가로 승격됐다는 얘기다. 핵 발전소 건설 중단 발표 우리나라의 풍경과는 사뭇 대비되는 모습이다.


핵 발전은 필요악이다. 그렇다면 우리에게 필요 없다고 기술까지 사장시킬 필요가 있을까. 발전소 하나 수출이 여객기 200대 수출과 맞먹는다면 우리의 미래 먹거리를 위해 이처럼 좋은 기회는 없다. 현명한 취사와 선택이 필요한 시점이다.

 

진세근

서경대학교 문화콘텐츠학부 겸임교수


< 관련 기사 >

차이나랩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hina_lab&logNo=221310225663#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742

톱 헤어 디자이너 - 프로젝트 라빠헤어 홍대 3호점 준 디자이너 file

디자이너라면 누구나 꿈꾸는 하이퍼포머. 매출은 물론 고객의 마음까지 사로잡은 하이퍼포머 디자이너들을 만났다. 프로젝트 라빠헤어 홍대 3호점 준 디자이너 살롱: 프로젝트 라빠헤어 홍대 3호점 미용 경력(나이): 디자이너 경력 ...

[디지털인문학] 대학입시와 서열화 file

반성택 서경대 철학과 교수 반성택 서경대 철학과 교수 대학을 둘러싸고 두 담론이 등장해 있다. 입학자 감소와 대학입시이다. 대개 수요가 감소하면 가격이 내린다는데, 줄어드는 지원자에도 불구하고 한 단계 상위권 대학으로...

‘제2회 서경대학교 전국 모노로그 콘테스트’ 본선대회 개최 file

대회 참가자 206명 중 예선 통과한 80명 기량 겨뤄 1등 문재웅(한영고 졸업), 2등 고주연(영락고 3학년), 3등 윤정주(보정고 졸업) 차지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8월 11일(토) 교내 북악관 북악홀에서 ‘제2회 서경대학교 전국...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 ‘2018 복합외상피해자 대상 문화예술 치유 프로그램 지원사업’ 사전통합 및 문화예술교육 워크숍 참여 전문예술강사 복합외상피해자 시설에 파견해 문화예술교육도 file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센터장 김범준)는 8월 9일(목)부터 10일(금)까지 양일간 호텔 뉴브(서울시 강남구 선릉로 소재)에서 열린 ‘2018 복합외상피해자 대상 문화예술 치유 프로그램 지원사업’ 사전통합 및 문화예술교육 워크숍에 ...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 ‘성북구와 함께하는 서경대학교 뮤지컬 드림캠프’ 결과발표회 개최 file

8월 14일(화) 12시 30분 서경대 컨벤션홀서 ‘뮤지컬 앙상블’ 과정 체험 통해 무대 기회 제공 등 자아실현 계기 마련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센터장 김범준)와 성북구청(구청장 이승로)은 지난 7월부터 ‘성북구와 함께하는 서...

서경대학교 경영학부 4학년 이승열 군, ‘제23회 키움증권 대학생 주식 모의투자대회’에 참가해 1위 차지 부상으로 300만 원의 장학금과 키움증권 인턴십 기회, 아시아 금융시장 탐방 등의 혜택 받아 file

국내 308개 대학, 5,761명의 대학생 참가… 치열한 경쟁 끝에 우승의 영예 안아 서경대학교 경영학부 4학년 이승열 군이 키움증권이 주최한 '제23회 키움증권 대학생 주식 모의투자대회'에 참가해 1위를 차지했다. 이승열 군은...

[인물탐구] 김낙순 마사회장 ① 경력: 자수성가한 ‘조직의 달인’, 마사회 혁신 위한 긍정 변수 file

마사회 취임 초기부터 ‘개혁성’ 강한 인사 및 정책 단행, ‘낙하산 논란’ 조기 해소 ‘탈권위 리더십’으로 마사회 젊은 직원들과 ‘소통 능력’ 발휘 전형적인 ‘자수성가형 리더’인 김 회장, 일반 국민 눈높이 맞춘 마사회...

서경대학교 ‘2018 여름 코딩영재교실’ 개최 file

서경대 인근 소재 초등힉교 학생들 대상, 코딩 개념 알려 주고 HTML 프로그래밍으로 개인 홈페이지 구축하는 등 실습 진행 2018년 8월 6일(월)~9일(목) 4일간, 서경대 북악관 6층 실습실서 서경대학교 데이터컴퓨팅센터(센터장 민...

[Who Is ?]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file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생애 김동연은 문재인 정부의 첫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다.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성장과 혁신성장을 중심으로 한국경제 정책을 책임지고 있다. 가난한 집 소년 가장에서...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센터, 서울시 관내 중·고등학교 학생들 대상 4차 산업혁명과 창의융합 관련 진로체험 교육 성황리에 진행 file

7월 30일(월)부터 8월 3일(금)까지 5일간 교내 본관 8층 컨벤션홀 등서 미용예술, 실용음악, 공연예술 분야로 나눠 다채롭게 이루어져 서울시 관내 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과 창의융합 관련 진로체험 교육이...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