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2001년 3월까지만 해도 하이난(海南)은 중국 남단의 한갓진 섬나라에 불과했다. 화산 지대여서 온천이 풍부한 게 유일한 장점이었다. 평지가 많고 물가가 싼 덕분에 골프장이 곳곳에 들어섰다. 골프장과 온천이 있는 곳에 빠지지 않는 것이 있다. 환락가다. 하이난은 거의 '공인된' 환락 지역으로 변했다.


진세근 교수 칼럼1.jpg

[출처:셔터스톡]


사우디 왕족들이 쾌락을 찾아 밀려든다는 바레인에 빗대 '중국의 바레인'으로 부르는 사람도 있었다. 오죽하면 하이난다오를 '海南島'가 아닌 害男島', 즉 '남자를 해치는 섬'이라고 부르는 유머가 유행했을까.


그 해 4월1일, 반전이 일어났다. 하이난에 전 세계 기자들이 몰려들었다. 한 사고가 이유였다. 24명의 승무원을 태운 미 해군  EP-3 에어리스 정찰기가 남중국해 상공에서 첩보활동을 벌이다 이를 요격하기 위해 출동한 중국의  F-8 전투기와 충돌한 후 하이난다오 남단 산야(三亚) 동북쪽 링수이(陵水) 공군 기지에 비상 착륙하는 충격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보다 결정적인 사건은 2002년 4월에 시작됐다. 중국판 다보스 포럼인 보아오(博鳌) 포럼이 이곳에서 열렸다. 포럼에는 국가 주석 혹은 총리가 반드시 참석했다. 하이난 동해안 중간 지대에 위치한 외진 어촌 보아보가 일약 세계적인 유명세를 탔다. 보아오라는 이름은 '물고기가 많고 살지다'는 뜻이다. 이름 그대로 보아오는 지금 '살진 도시'로 변신했다. 본격 개발의 시동은 2010년에 와서야 걸렸다. '하이난다오 국제관광섬' 계획이 국무원 비준을 받았다. 그러나 진정한 변화는 올해 시작됐다. 하이난 전체를 거대한 놀이 동산으로 바꾸는 거대한 작업이다. 국가 차원의 대단위 프로젝트다. 역동하는 하이난을 직접 찾아가 보자.


"용광로 같았다"


중국 매체들은 5월 초의 하이난 모습을 이 한 마디로 정의했다. 섬 전체가 에너지로 펄펄 끓는 듯 하다는 얘기다. 우선 '인재 1백만 명 하이난 입도(入島) 계획'을 보자. 중국 전역은 물론 저 세계 인재 1백만 명을 하이난으로 유치하겠다는 초대규모 플랜이다. 가장 먼저 손댄 프로젝트가 무비자 입국 대상국의 확대다. 5월 1일부터 무비자 대상국을 기존 26개 나라에서 59개 나라로 2배 이상 늘렸다.


이건 시작에 불과했다. 앞으로 빠른 시간 내에 하이난다오 전체를 '무비자, 자유무역 특구'로 개조할 계획이다. 그러니 할 일이 산더미처럼 쌓였다. 고위 공무원 차이융(蔡勇)은 "하루를 사흘로 늘여서 산다"고 털어놨다. 그만큼 눈코 뜰 새 없이 뛰고 있다는 뜻이다. 그런데도 '닭 피를 맞은 것처럼' 전혀 피로를 못 느낀다고 했다. '닭 피를 맞다'는 말은 과거 의료 수준이 낮았던 시절, 기력 회복을 위해 닭 피를 수혈했던 민간 요법에서 유래된 말이다. 수많은 부작용 탓에 지금은 금지된 요법이지만 언어 안에는 아직 살아 있다.


진세근 교수 칼럼2.jpg  

[출처:셔터스톡]


하이난 성 정부는 11개의 당정 시찰단을 조직해 전국 11개 자유 무역구에 파견했다. 앞선 노하우를 체득하기 위한 속성 전략이다. 더욱 놀라운 모습이 있다. 중앙 정부 49개 부처 혹은 부문이 모두 하이난다오에 내려와 현장 지도를 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마디로 국가 전체가 나서서 하이난의 환골과 탈태를 진두지휘하고 있는 셈이다.


하이난 정부도 죽을 맛이다. "살 한 꺼풀 벗겨내는 심정으로 뛰고 있다"는 한 공무원의 말이 엄살로만 들리지 않는다. 재정, 교통, 공업, 교육 등 전 방위에 걸쳐 각자 계획을 짜고 몸으로 뛰고 있는 형편이다. 자연 혁신안이 한 둘이 아니다. ^면세한도액 상향(5천 위안→1만 6천 위안→5만 위안)^하이난 대학을 세계 일류 수준으로 개편^여객운송 개혁^신세대 에너지 차량 운행^해상운동 확대 등 굵직굵직한 것들이 즐비하다. 특히 면세 한도 5만 위안 확대는 전국적으로도 전례 없는 파격이다. 중앙 정부가 얼마나 하이난 개발을 중요시하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진세근 교수 칼럼3.jpg

[출처:셔터스톡]


가장 눈길을 끄는 대목은 놀이 중심의 관광문화 창설이다. 하이난섬 전체를 거대한 놀이 동산으로 바꾸는 것이나 진배 없기 때문이다.


첫째, 국제관광소비센터 건설이다. 하이난 현대관리연구소의 왕이우(王毅武) 원장은 "그냥 단손한 국제쇼핑센터가 아니다. 쇼핑과 놀이가 결합된, 새로운 문화센터를 창조하겠다는 것이 기본적인 구상이다"라고 설명했다.


둘째, 크루즈 산업 창설이다. 중국 유일의 크루즈 전용항을 섬 남단 산야(三亚) 부근 평황다오(凤凰岛)에 건설한다. 현재 2기 공사가 진행 중이다. 완공 되면 연간 이용자 수가 연인원 200만 명을 가볍게 넘어설 전망이다.


셋째, 경마 사업이다. 중국 최대의 경제특구라는 위상에 걸 맞는 시도다. 현재 세계 최대의 경마 시장은 홍콩이다. 하이난은 홍콩을 넘어서는, 세계 최대의 경마시장을 목표로 잡았다. 그 탓에 홍콩은 바짝 긴장한 상태다.


진세근 교수 칼럼4.jpg

[출처:셔터스톡]


계획은 차질 없이 진행 중이다. 하이난 루이쩌(瑞泽) 회사와 신장 한혈마(新疆 汗血马) 문화산업 유한책임공사가 공동 출자해 산야 부근에 마술(馬術)체육경마공원을 건립하고 말(馬)문화 박물관과 말문화관광특구도 조성한다. 하이난의 농공·무역 전문회사인 뤄뉴산(罗牛山)은 광저우이마(广州一马)와 손잡고 북단 하이코우(海口)시에 뤄뉴산 국제말문화산업랜드를 조성키로 했다. 단순히 경마 공원을 꾸미는 데서 벗어나 말에 대한 모든 것을 체험하는, 말문화 종합타운을 건성하겠다는 복안이다. 말 문화산업에 참여 제한은 없다. 중국 내 다른 지역의 기업은 물론 해외 기업의 참여도 환영한다는 입장이다.


중국 옛말에 '시세를 관찰하는 자는 지혜롭고, 대세를 제어하는 자는 승리한다(察势者智 驭势者赢)'는 말이 있다.


"대담하게 시도하고, 대담하게 부딪히고, 자주적으로 바꾼다(大胆试 大胆闯 自主改)"


하이난다오 공무원들이 입버릇처럼 하는 말이다. 이런 정신이라면 능히 시세를 관찰하고 대세를 제어할 수 있지 않을까. 그렇다면 승리는 떼어 놓은 당상일 공산이 크다. 세계가 하이난다오를 주목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원문 출처>

차이나랩 https://m.blog.naver.com/china_lab/221276993685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0980

서경대 문화콘텐츠 학부, 순창서 신개념 농촌봉사활동 file

서경대 문화콘텐츠학부 학생 20여명이 순창에서 새로운 개념의 농촌봉사활동에 나서 눈길을 끌었다. 순창군 제공 서경대학교 문화콘텐츠 학부 20여명의 학생들이 순창에서 새로운 기념의 농촌봉사활동에 나서 눈길을 끌고 있다. 군...

서경대학교, 「최근 신설 및 변경된 학과(부) · 전공 알아보기」 기획시리즈 <7> 이공대학 ‘물류시스템공학과’ file

서경대학교는 최근 사회적 트렌드를 반영하고 대학 특성화에 맞는 창의융합형 혁신교육을 통해 우수한 학생을 유치하고 사회 수요와 시대 요구에 부응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일부 학과(부) 및 전공의 명칭을 신설하거나 변경했...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X성북TV’의 성북구 알리기 프로젝트 ‘성북구에서 살아남기’ 시리즈 네 번째 영상 ‘성북구 보문동편’ 성북구청 공식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 돼 ‘큰 인기’ file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 유튜브 영상 '성북구 보문동편' 스틸컷(1)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이하 청문단, 운영위원장 방미영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교수)이 어느덧 네번째 성북구 공식 유튜브 영상을 업로드했다. 해...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과 이성욱 학생, ‘제6회 평화통일 전국무용경연대회’ 대상(통일부 장관상) 수상 file

서경대학교는 무용예술학과 4학년에 재학 중인 이성욱 학생이 지난 3월 14일 목포시민문화체육센터 공연장에서 열린 ‘제6회 평화통일 전국무용경연대회’에서 대상인 통일부 장관상을 수상했다고 15일 밝혔다. 이성욱 학생은 규정부...

2020 서경대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 활동보고 file

2013년 3월에 창단한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이하 청문단)은 서경대 홍보실 산하 학생단체로 학생들의 능동적 참여로 8기 임원진을 중심으로 대외활동을 활발하게 이어가고 있다. 최근 코로나 19로 인한 언텍트 시대를 맞...

서경대학교의 자치기구 알아보기  file

서경대학교 내에는 학교의 발전과 학생들의 보다 나은 학교생활을 위해 노력하는 자치기구가 있다. 총학생회, 학생복지위원회, 동아리총연합회, 졸업준비위원회, 서경신문사 등이 그것. 이들 자치기구는 학생들의 자치활동에서부터 시작...

서경인 인터뷰: 코로나 19, 경기침체 속 취업에 성공한 우효재 학우(산업경영시스템공학과 14학번, 2020년 하반기 CJ 대한통운 취업) file

청년실업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고 코로나 19의 확산 및 장기화로 취업의 문턱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이러한 어려운 시기에 서경대학교 산업경영시스템공학과의 우효재 학우(14학번)는 지난 2020년 하반기, CJ 대한통운 입사에...

[진세근 서경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경마만 한다고? 천만에! 하이난다오(海南島)의 환골탈태 file

2001년 3월까지만 해도 하이난(海南)은 중국 남단의 한갓진 섬나라에 불과했다. 화산 지대여서 온천이 풍부한 게 유일한 장점이었다. 평지가 많고 물가가 싼 덕분에 골프장이 곳곳에 들어섰다. 골프장과 온천이 있는 곳에 빠지지 ...

평창올림픽 메이크업 팀 ‘종로한복사랑캠페인’ 재능기부 file

[한강타임즈 윤종철 기자] 지난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 행사에서 헤어ㆍ메이크업을 담당했던 팀이 우리 전통 문화를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알리고 있는 ‘종로한복사랑캠페인’에 재능기부로 동참해 눈길을 끌고 있다. 지난 24일 종...

한국광기술원, 메타버스 환경 광고·커머스 지원 실시간 객체 인식 솔루션 개발 file

한국광기술원(원장 신용진)은 전성국 공간광정보연구센터 박사팀이 김명하 서경대 교수, 영상기술 전문업체 카이(대표 김영휘) 등과 공동으로 환경에서 광고와 실시간 상거래서비스가 가능한 실시간 객체 인식 솔루션을 개발했다고 29일...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