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대학교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과거 중국 푸젠(福建)성 샤먼(厦门)시에 신촌(新村)이란 마을이 있다. 이 마을의 별칭이 ‘얼나이춘’(二奶村)이다. 얼나이는 ‘첩’이란 뜻이다. 대만 사업가들의 첩이다. 인륜적으로 보면 민망한 노릇이지만 양안 관계로 보면 실익이 많았다. 그러니 중국 당국도 모른 척 눈을 감았을 것이다.

 

중국 광둥(广东)성 선전(深圳)도 비슷했다. 이곳 역시 신촌이란 마을이 있었다. 홍콩 기업가들의 얼나이들이 모여 사는 곳이다. 그러나 이젠 옛 이야기가 됐다. 얼나이야 지금도 있겠지만 집단 거주촌은 사라진 지 오래다. 양안간, 그리고 대륙과 홍콩간 경제력 격차의 역전이 가져온 결과다.

 

진세근 교수 1.jpg 


얼마 전 대만 내정부(內政部)는 ‘양안 간 혼인에 대한 통계’를 발표했다. 통계의 핵심 메시지는 ‘대만 여성과 대륙 남성 커플의 급증’으로 요약할 수 있다. 통계에 따르면 과거에는 양안 커플의 80% 이상이 ‘대만 남성과 대륙 여성’이었다. 혼인 문제에서 대만에 주도권이 있었다는 얘기다.

 

최근 들어 달라졌다. 대륙 남성과 대만 여성의 결합이 급증했다. 지난 해 이미 절반을 넘었다. 홍콩 여성들이 대륙 남성에게 시집가는, 이른바 ‘베이쟈(北嫁) 현상’도 하나의 흐름으로 굳어졌다.

 

대만 연합보(联合报)는 이에 대한 조사자료를 최근 발표했다. 내용을 보자.

 

“2007년까지 대만 남성에게 시집 온 대륙 여성의 누적 숫자는 1만4300명이었다. 지난해에는 7800명으로 급감했다. 10년 전의 절반 수준이다. 10년 전 대륙 총각에게 시집 간 대만 처녀는 370여 명이었다. 지난해에는 820명의 대만 여성이 대륙 신랑을 맞았다.”

 

‘중화 양안 혼인협조 촉진’의 중진밍(钟锦明) 회장은 최근 중국 언론과 만난 자리에서 “옛날에는 대륙이 비교적 낙후했다. 여기에 부정적인 보도 등이 더해지면서 대만인들에게 낮은 평가를 받았다.

 

허나 지금 대륙 경제는 세계를 짓누를 정도다. 점점 더 많은 대만 여성들이 대륙에서 일자리를 찾기 원한다. 이 과정에서 대륙 남성들과 교제하는 기회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건 당연하지 않을까”라고 설명했다.

 

진세근 교수 2.jpg

대만 정치대학 선연(选研)중심 초빙교수 겸 정치학과 교수인 천루휘(陈陆辉)는 “대륙 경제의 굴기 이후 많은 대만 여성들이 대륙에서 일자리를 찾기 원한다. 이 과정에서 대륙 남성을 배우자로 맞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진단했다.

 

거주 분포도 변했다. 과거 양안 커플의 대다수가 대만에 보금자리를 마련했지만 지금은 절반 이상이 대륙을 선택한다. 특히 베이징, 상하이, 항저우(杭州) 같은 대도시 출신의 신랑을 맞은 경우 거의 예외 없이 대륙행을 택한다. 물가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반면 생활 및 교육환경은 대만보다 낫기 때문이다.

 

홍콩도 상황이 비슷하다. 홍콩문화연구기관인 지스후이(集思会)가 지난 달 발표한 ‘홍콩과 내지(內地) 간 결혼에 대한 제 2차 조사보고’에 따르면 지난 20년 간 이뤄진 두 지역 간 혼인은 48만 건이다. 홍콩 내 전체 혼인 건수의 40%를 넘는 규모다.

 

최근 상황을 분석하면 4가지 경향이 뚜렷하다. 즉, ▲대륙 남성과 홍콩 여성간 결혼 급증 ▲신랑·신부의 교육수준 상향 ▲부부 간 연령차 축소 ▲중국 배우자의 홍콩 내 취업 증가 등이다.

 

홍콩특구 설립 후 20년 간 ‘홍콩 신랑+대륙 신부’의 숫자는 40%에서 30%로 줄었다. 반면 ‘홍콩 신부+대륙 신랑’의 규모는 3%에서 10% 이상으로 늘었다.

 

양안 간, 내지와 특구 간 결혼 풍속도의 변화는 중화권 각지에서 긍정적인 경제적 파급효과를 낳고 있다. 양 지역의 가정과 인맥이 섞이면서 경제적 시너지로 발전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래저래 중국은 잠재력이 풍성한 나라다.


<원문출처>


인더뉴스 http://inthenews.co.kr/news/article.html?no=10831



List of Articles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칼럼: 요절한 남편 평생 사랑, 이중섭의 아내[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file 홍보실 2022-10-07 52744

‘모델들이 만드는 특별한 패션쇼’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모델연기전공 졸업공연 ‘성료’ 7개 스테이지 구성, 유수 브랜드와 협업 하에 완성도 높은 무대 선보여 file

6월 23일(토) 서경대 본관 8층 컨벤션홀서 6월 23일(토) 오후 5시 서경대 본관 컨벤션홀에서 열린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모델연기전공(주임교수 강신)의 제3회 졸업공연(패션쇼)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이번 공연은 역동적인 봄을...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의 한국 블로그]일본에 건너간 ‘택시운전사’ file

내 생일은 6월 6일, 현충일이다. 그리고 이날은 아버지의 기일이기도 하다. 그래서 6월은 나와 아버지를 생각하고, 아버지를 추모하는 달이며 한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 이들을 추도하는 달이다. 내 아버지는 지방공무원이셨고, ...

1천억 위안 투자하는 중국 大‘學’崛起 … 한국 대학 시사점은? file

중국 雙一流 정책 어디까지 왔나 “교육이 흥해야 국가가 흥하고 교육이 강해야 국가가 강해진다” 시진핑 국가주석은 지난달 2일 개교 120년을 맞은 베이징대(총장 린제화)를 찾아 이와 같이 말했다. ‘과학과 교육으로 국가를...

[수사권 조정] 학계·법조계 “되레 국민 인권 침해로 이어질 수도” 우려 file

"경찰 내사 장기화 될 경우 피해는 국민에게 돌아와…피해 회복 방안 부족" 김현 대한변호사협회 협회장(왼쪽)과 정웅석 서경대 공공인적자원학부 교수 21일 정부가 발표한 검경 수사권 조정 합의문에 따라 앞으로 1차 수사권·수...

서경대, ‘제16회 KASF 2018 국제미용기능경기대회’서 다수의 최상위권상 수상과 함께 대회종합우수상 수상 쾌거 이뤄 file

미용예술대학 외국인학생반, 역대 최다 137명 참가, 2년 연속 최고 성적 거둬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외국인학생반(지도교수 이지안, 박은준, 최민령, 임희경) 학생들이 ‘제16회 KASF 2018 국제미용기능경기대회’에 참가해 다수...

서경대 평생교육원, 고교생 대상 ‘모델 워킹&포즈 진로체험’ 모집 file

서경대학교 예술종합평생교육원 모델학전공이 오는 7월 27일 ‘모델 워킹&포즈 진로체험’을 실시한다. 2018 하계 진로 체험은 모델을 지망하는 고등학생들에게 모델 워킹 및 포즈 강의 수강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서경대학교, 2018년 교육부 2주기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 통과…자율개선대학 선정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교육부가 실시한 2018년 2주기 ‘대학기본역량진단’ 1단계 평가를 통과했다. 이로써 서경대학교는 정원감축 권고 등을 받지 않고, 교육부의 일반재정 지원을 받는 예비 자율개선대학에 속하게 됐다. 교...

모델들이 주최하는 사진전시회는? 3회 서경대 모델연기전공 사진전 개최 file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모델연기전공의 제3회 사진전시회가 지난 6월 15~16일 양일간 서울 영등포에 위치한 블럭과석공 갤러리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회는 'ESTRELLA - La noche llena de estrella'는 '별이 가득한 하늘'...

서경대학교 영화영상학과 학생들이 만든 작품 4편, ‘제6회 유럽단편영화제'에 소개된다 file

‘제6회 유럽단편영화제’ 6월 21일(목)~7월 1일(일) 아리랑시네센터 등서 열려…다양한 주제로 유럽의 삶 조명 서경대 영화영상학과 학생 작품 6월 24일(일) 오후 1시 30분 아리랑시네센터 2관서 상영 예정 서경대학교 영화영상학과...

서경대학교, ‘제2회 전국 실용음악 콩쿠르’ 개최 file

예선: 6월 24일(일)까지 동영상 심사, 본선: 7월 7일(토) 서경대 본관 8층 컨벤션홀서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7월 7일(토) 오전 9시 교내 본관 8층 컨벤션홀에서 ‘제2회 전국 실용음악 콩쿠르’를 개최한다. 서경대학교가 주...

Today
서경광장 > 서경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