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경대학교

서브페이지 백그라운드 이미지

서경 TODAY

SKU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를 매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메뉴 | 검색 | 퀵메뉴

    서경대학교의 모든 것, 여기서 검색하세요!

    • 작게
    • 보통
    • 조금 크게
    • 크게
    • 가장 크게

    서경 TODAY

    3965

    서경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 ‘2025학년도 1학기 진로동아리 프로그램’ 운영

    자기 이해 및 진로 탐색 통해 실질적인 진로 설정 역량 강화 기대 서경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 진로취업지원센터는 3월 28일(금)부터 6월 13일(금)까지 약 11주간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2025학년도 1학기 진로동아리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동아리는 팀당 3~8인의 약 10개 팀으로 구성되어 3월 28일(금) 오리엔테이션을 시작으로 한 학기 동안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설계하는 기회를 갖게 된다. 진로동아리는 진로설계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자기 이해 및 진로 탐색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센터 주도형 동아리이다. 동아리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진로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현직자 인터뷰 및 과제 수행 등을 통해 실질적인 진로설계 경험을 쌓는다. 진로동아리는 매월 2회 이상 정기 활동을 비롯해 내부 프로그램 2회, 현직자 인터뷰, 진로ㆍ취업 상담 등 다양한 활동이 진행되며, 최종 결과물로는 ‘진로 로드맵 경진대회’가 6월 13일(금)에 개최될 예정이다. 동아리 내부 프로그램은 만다라트 계획표 활용, 가치관 탐색, 진로 로드맵 작성, E-DISC 해석 상담, 현직자 멘토링 등 다양한 실습 기반의 활동을 포함하여, 학생들이 학년별로 필요한 경력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목표 달성을 위한 실행계획을 구체화할 수 있도록 구성할 예정이다. 서경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장인 허성민 본부장은 “이번 진로동아리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스스로 진로를 탐색하고 설정하는 데 필요한 실질적인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진로 설계 과정 속에서 학생들이 자기이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진로 목표를 설정하고 대학생활을 효과적으로 계획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서경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는 2025년 고용노동부 주관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사업 수행기관으로 대학 내 각종 취업 지원 인프라 및 서비스 전달체계를 활용하여 청년의 노동시장 진입을 지원하고 정부의 주요 청년일자리 사업 전반에 대한 홍보 등 고용서비스 전달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서경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는 인스타그램(@seokyeong_job)과 카카오채널(채널명 : 서경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를 개설하여 다양한 홍보와 함께 1:1 카카오톡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관련기사>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pan/site/data/html_dir/2025/03/31/2025033101787.html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4883 이뉴스투데이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56989 뉴시스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3152851?sid=102 E동아 https://edu.donga.com/news/articleView.html?idxno=84219 중앙이코노미뉴스 https://www.joongang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15210 베리타스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547743

    썸네일

    올해부터 ‘전공자율선택제’ 도입… 학문 간 융합으로 미래인재 양성

    서경대학교는 학생 중심의 교육 혁신을 시작으로 학생들을 잘 가르치는 대학, 취업과 창업에 강한 대학, 지·산·학·연과 함께하는 대학으로 도약하고 있다. 대학은 학생들이 다양한 학문 분야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하도록 교육과정 체계를 전면 개편해 넓은 선택권을 제공하고 있다.학생 전공 선택권 넓히고 현장 중심 교육 기회 확대 특히 열린 전공 모집 단위인 미래융합학부1, 미래융합학부2, 자율전공학부 신설을 통해 학생들의 전공 선택권을 강화하고 신기술 분야 융합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마이크로디그리과정도 운영한다. 마이크로디그리란 산업체 수요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최소 단위 학점을 이수하면 이수 내역을 인증하는 단기 실무형 교육과정이다.또한 기존의 학과 중심 체계를 교육과정 중심 프로그램 운영 체제로 전환해 실무 중심 및 현장 중심의 교육 기회를 확대했다. 캡스톤 디자인 프로그램을 통해 이론과 실무 적용을 학교 교육에서 실현하도록 했고 창업 지원 프로그램, 산학협력 프로젝트, 스타트업 인큐베이터 등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아이디어를 현실로 구현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국내외 현장실습 및 인턴십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 체제도 갖추고 있다.전공자율선택제로 학생 맞춤형 학습 설계서경대는 올해부터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를 도입했다. 교육부의 대학자율혁신계획 추진에 따라 신설된 무전공제는 사회·경제적 환경 속에서 대학 교육이 유연하고 실용적인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요구에 따라 이뤄졌다. 서경대는 무전공제를 통해 학생 전공 선택의 폭을 넓히고 학생 맞춤형 학습 설계를 지원함으로써 학문 간 융합 교육과 미래지향적 인재 양성을 추진한다.서경대는 무전공제 운영을 위해 프로젝트 기반 학습, 다전공 융합교육, 자기주도적 전공 탐색 등을 핵심으로 하는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모든 프로젝트는 전공 교수, 멘토 선배들과 함께한다. 신입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전공 선택을 돕는 ‘FYP(퍼스트 이어 프로그램)’ 학기를 비롯해 소그룹(팀) 협동학습, 문제해결 학습, 플립러닝, 초청강의, 1대1 개별학습, 현장답사 및 체험, 온라인 수업, 액션러닝 등의 수업도 진행한다.서경대는 수업 방식과 교육과정 혁신에도 힘을 쏟고 있다. 수업 방식은 플립러닝을 채택했다. 플립러닝은 학생들이 단순히 ‘지식’ 학습에 머물지 않고 스스로 관련 전공 지식을 습득하고 발전시켜 나가도록 돕는다. 학생들이 특정 문제나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소그룹으로 모여 자기주도적으로 문제 해결 능력과 팀워크를 기르고 의사소통, 프레젠테이션 능력도 배양하는 PBL(프로젝트 기반 학습) 수업도 진행하고 있다. 또 무크(MOOC) 활용의 확대, 인공지능 기반 개별 학습 체제 구축 등 학습자 중심의 학습방법을 도입, 운영하고 있다. 기초교양으로 기업가정신, 코딩 교육을 실시하고 미래 사회를 준비할 수 있는 학생 맞춤형 전공을 신설해 전공 기초교육도 강화하고 있다.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 입학에서 졸업까지 진로 설계 지원서경대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로 학생들의 성공적인 사회 진출을 지원하는 부서다. 입학에서 졸업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진로 설계, 경력 개발, 취업 지원을 통해 급변하는 글로벌 취업 환경 변화에 적극 대처하고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뒷받침한다.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는 진로취업지원센터, 현장실습지원센터 등 2개 단위 부서로 구성돼 상호 연계하면서 분야별 멘토 역할을 수행한다. 채용정보·청년고용정책 등 진로취업 정보 제공, 진로취업 상담 및 코칭, 진로취업 교과목 운영, 다양한 맞춤형 경력개발 프로그램, 현장실습 프로그램, 해외취업 지원 프로그램 운영, 취업 추천 및 알선 등을 진행한다.지·산·학·연 함께하는 활발한 협력 활동서경대는 정부와 지자체, 국책연구기관, 기업 등과 활발한 산학협력 활동을 벌이고 있다. 서경대는 산학협력단 내에 환경보건센터, 도시기후대응연구소, 미래국방기술창업센터, 브랜딩아트센터 등 12개 R&D센터를 두고 다양한 정책사업을 유치하며 기업, 기관 등과 산학교류 협력 및 기술 개발·이전을 추진하고 있다.문화체육관광부가 지원하는 ‘뉴럴 애셋 기반의 영상 제작 파이프라인 연계를 위한 영상합성 및 편집기술 개발’ 연구와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의 ‘미세먼지 노출에 따른 아토피피부염 악화 예방을 위한 중재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한국형 Green NCAP 평가기술 개발’과 ‘건물 에너지 소비 데이터 통합관리기술에 관한 연구’에도 참여하고 있으며 환경부가 발주한 ‘환경보건 취약지역의 환경노출과 건강영향 바이오마커 도출을 위한 근거기반 연구’도 하고 있다.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을 받아 국내 최초로 미술작품에 대한 가치평가를 기반으로 한 NFT 프레임 워크 연구를 하고 있으며 서울경제진흥원의 4차 산업혁명 시대 디지털 인재 육성을 위한 SW(소프트웨어), DT(디지털 전환) 교육사업인 ‘새싹 in 캠퍼스’도 추진하고 있다.<원문출처>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50329/131304023/2

    썸네일

    채성준 서경대 군사학과 교수 칼럼: [특별기고] 북한 핵 문제의 숨겨진 과거와 불편한 진실

    채성준 서경대학교 군사학과 교수·안보전략연구소장 ▲ 채성준 서경대학교 군사학과 교수·안보전략연구소장북한이 핵 개발에 착수한 것은 6·25 전쟁 직후 김일성이 ‘핵 보유만이 공화국의 살길’이라 판단하고 소련에 6명의 과학자를 파견하면서부터였다. 1964년 중국이 핵 실험에 성공한 후에 마오쩌둥을 찾아 핵 개발 의중을 비치자, “중국은 대국 체면상 핵이 있어야 하지만 북한은 그럴 필요가 없다”라며 만류했다는 일화가 있다. 하지만 그동안 6차례 핵 실험을 거쳐 현재 실전 배치가 가능한 수준의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이 국제사회의 대체적 평가다.핵은 투발 수단인 미사일이 중요하다. 북한의 미사일 개발은 1970년대 중반 이집트 등 중동 국가에서 구(舊)소련의 스커드 미사일을 구매해 분해·역설계하는 방식으로 시작했다. 이후 다양한 종류의 미사일 시험 발사를 계속해 왔으며, 기존 미사일방어체제(MD)를 무력화시키기 위한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SLBM)이나 변칙 기동 형태의 극초음속·전략순항 미사일 개발도 서둘고 있다. 미국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까지 완성된다면 그 파장은 가늠조차 어렵다. 미국이 자국민 안전을 포기하고 혈맹인 한국을 지켜줄 거란 기대는 낭만에 불과할지 모른다.북한의 핵 개발 목적은 비대칭전력에 의존한 대남(對南) 전략적 우위 확보, 미국을 위협해 통미봉남(通美封南)을 통한 평화협정 체결 및 주한미군 철수 관철, 내부 체제결속에 따른 정권의 안정적 유지다. 이를 위해 김일성 사후 수십만 명이 아사한 ‘고난의 행군’과 국제사회의 강력한 제재로 인한 경제난 속에서도 그 궤도를 한 번도 수정하지 않았다. 북한 핵은 김일성이 창시자이자 설계자, 김정일이 집행자, 김정은이 운용자로 3대에 걸쳐 진행된 혁명 과업인 셈이다.우리나라는 지금까지 이에 대응하고자 국제사회와 공조 하에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북한의 ‘대화 따로, 핵 개발 따로’라는 이중전략과 온갖 기만·공갈·협박 술책에 속아 속수무책으로 일관해 왔다. 설상가상으로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로 무장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고민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한국을 배제(코리아패싱)한 채 북한을 ‘실질적 핵보유국’으로 인정하고 핵 군축 협상(스몰딜)에 나설 가능성마저 우려되는 현실에서, 북한에 핵 인질이 되어 국가 존립마저 위태로워지는 상황으로까지 치닫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핵에 대한 가장 확실한 대응 수단은 핵뿐이지만 그게 그렇게 만만치 않다. 일각에서 자체 핵무장론이 제기되고 있지만 무역으로 먹고사는 나라가 국제사회의 제재를 견뎌낼 도리가 없고, 당장 핵무기를 생산할 인프라도 갖춰있지 않다. 그밖에 핵우산이나 전술핵 재배치 또는 잠재적 핵 능력 보유에 이르기까지 모든 게 국제사회와 미국의 용인이나 협조 없이는 구두선에 불과하다.그렇다고 손 놓고 있을 순 없다.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를 기치로 내건 트럼프 대통령에게 한반도 문제가 최우선 순위는 아닐 것이다. 김정일과 직접 대화 등을 운운하고 있지만 협상가인 그의 화법을 생각할 때 섣불리 예단하지도 말아야 한다. 대신 경계해야 할 것은 설마 미국이 한국을 포기하겠냐는 식의 ‘확증편향’이라 하겠다. 더욱 유념해야 할 일은 한미동맹만을 앞세워서는 실리주의자인 그를 설득할 수 없다는 점이다.어렵지만 해결 방안은 반드시 있다고 본다. 우선은 국제사회와 긴밀한 협력 아래 가용한 핵 카드를 동원해 대응책을 찾아야 할 것이다. 특히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에서 한국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부각하면서, 트럼프의 관심이 큰 K-함정과 같은 우리의 외교·안보 자산과 역량을 총가동해야 한다. 가치와 선악보다 국익과 힘이 지배하는 글로벌 대변혁기를 맞아 어떻게든 살아남는 게 중요하다.현실은 외면한다고 해결되지 않는다. 북핵 문제가 바로 그렇다. 더 이상 폭탄 돌리기는 곤란하다. 국민 모두 이 불편한 진실을 직시해야 한다. 여기에는 어떠한 정략적 접근도 있어서는 안 된다. 대한민국은 2차대전 이후 독립한 신생국 중에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이룩하고 선진국 반열에 올라선 세계적으로 드문 사례에 속하는 나라다. 모두가 힘을 모은다면 민족의 명운이 걸린 북핵 문제도 해결할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원문출처>대경일보 https://www.dk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489498

    썸네일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뮤지컬전공, 3.1절 타종행사에서 ‘영웅’ 공연 선보여…주인공 ‘안중근’ 역 이정우 학우 인터뷰

    2025년 3월 1일, 서울시가 주최한 ‘제 106주년 3.1절 기념 보신각 타종행사’에서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뮤지컬전공 학생들이 뮤지컬 공연을 선보였다. 이번 3.1절 타종행사의 주제는 '그날 꺾이지 않았던 함성으로, 내일을 그립니다'였다. 이 주제에 맞춰, 뮤지컬전공 3·4학년 학생들과 졸업생들은 뮤지컬 ‘영웅’으로 안중근 의사의 숭고한 일대기를 재현했다.‘영웅’은 1909년 대한제국을 배경으로, 특히 안중근 의사의 의거 전 1년을 집중적으로 다룬 작품이다. 안중근 의사와 동지들이 단지동맹으로 독립운동의 결의를 다진 순간부터 사형에 집행되기까지, 대한제국을 지키기 위해 투쟁했던 순간들을 생동감 있게 전달한다.학생들은 안중근 의사의 숭고한 일대기를 재현하며, 1919년 3월 1일의 독립운동 정신을 기리고, 그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는 데 기여했다. 뮤지컬 공연 외에도, ‘합창 공연’, ‘독립선언서 낭독’, ‘만세 삼창 및 삼일절 노래 합창’을 통해 행사에 함께했다.뮤지컬 ‘영웅’에서 주인공 ‘안중근’ 역을 맡은 이정우 학우를 만나, 공연 준비 과정부터 무대에 오르기까지의 여러 이야기를 들으며, 이번 공연에 참가한 소감도 나눠봤다.<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뮤지컬전공 뮤지컬 ‘영웅’ 공연>: https://youtu.be/AOhu4mn4FJU?feature=shared■ 인터뷰 :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뮤지컬전공 이정우 학우- 안녕하세요. 먼저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안녕하세요. 저는 공연예술학부 뮤지컬전공 21학번 이정우입니다. 이번에 보신각에서 진행된 3.1절 타종행사에 참여하여 공연을 진행하였습니다.- 3.1절 타종행사에 참여하게 된 계기와 참여 방식이 궁금합니다. 별도의 오디션이 진행됐었나요?대학 생활 중 의미 있는 경험을 하고 싶어서 공연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별도의 배역 오디션이 진행되지는 않았습니다. 이번 행사에 도움을 주신 학부 교수님들께서 팀을 구성하시면서, 먼저 안중근 역을 제안해 주셨습니다. 처음엔 약간의 두려움도 있었지만 의미 있는 공연이라는 생각에 도전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3.1절 타종행사에서 선보인 뮤지컬 ‘영웅’ 공연은 어떤 작품인가요?뮤지컬 ‘영웅’은 안중근 의사의 일대기를 담고 있는 뮤지컬입니다. 시대상의 배경은 1909년 대한제국으로, 일본의 식민 지배를 받던 시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의거 1년 전을 가장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는 뮤지컬입니다. 간단한 줄거리를 말씀드리자면, 안중근 의사의 거사가 있기 8개월 전의 단지동맹부터 시작하여 이토히로부미를 처단하는 과정, 그 이후 안중근 의사가 재판을 통해 사형에 집행되기까지의 과정이 담겨 있습니다. - 이번 공연을 준비하면서 어떤 역할을 담당하셨고, 극 중에서는 어떤 역으로 등장하시나요? 이번 공연을 준비하면서 다른 선후배들처럼 소품이나 분장, 의상 등을 준비하진 않았지만, 행사 당일에는 제 차를 이용하여 팀원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감사하게도 극 중에서는 안중근 의사의 역을 맡아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3.1절 타종행사’라는 중요한 행사에서 공연을 선보이게 된 만큼, 많은 관중 앞에서의 긴장감이 있었을 거 같습니다. 준비 기간과 준비 과정이 궁금합니다.  배우 명단이 2월 14일에 공개되고 난 후, 2월 18일에 첫 연습을 시작했습니다. 음악, 안무, 드라마 분야로 나누어서 연습을 진행했습니다. 행사 리허설을 포함하여 총 8번의 연습을 진행하고 무대에 올랐습니다. 많은 관중들 앞에 서서 공연을 하는 것이 다소 긴장 됐지만, 믿고 봐주시는 관객분들, 함께하는 동료들, 지도해주시는 교수님들 그리고 현장의 많은 스탭분들 덕분에 좋은 환경에서 긴장하지 않고, 좋은 공연을 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 공연 준비 과정에서 특히 신경 쓴 부분이나 중점을 둔 부분은 무엇인가요?공연에서는 1909년 당시 안중근 의사와 독립운동가들의 모습을 생생하게 전달하고자 노력했습니다. 관객들이 잠시라도 2025년이 아닌 1909년의 분위기 속으로 들어와 함께 느끼고 상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공연을 준비하면서 어려움을 겪었던 부분이나, 공연을 마친 후 아쉬움이 남는 점이 있나요?생소한 환경에서 공연하는 점이 가장 어렵게 느껴졌습니다. 하지만 이 또한 경험이고 언젠가 마주해야 하는 어려움이라 생각했습니다. 어렵다고 느꼈던 감정은 잠시일 뿐, 금방 사라지고 오히려 멋지게 도전하고 싶은 욕구가 생겼습니다. 모든 공연은 아쉬움이 남는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많은 관객분들이 좋아해 주시고, 뜻깊은 자리에 설 수 있었던 덕분에 아쉬움보다는 감사함이 더 큰 공연이었다고 생각합니다.- 학우님이 앞으로 뮤지컬 활동을 이어가면서, 3.1절 타종행사에서 선보인 ‘영웅’ 공연은 어떤 의미로 남을까요?앞으로 제가 계속 나아갈 뮤지컬 배우라는 꿈에 있어서 이번 경험은 큰 의미가 되었고, 저를 더욱 강하게 해줄 동기부여가 될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열심히 준비했던 공연을 성공적으로 마친 소감이 궁금합니다. 함께 준비한 학우분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부탁드립니다.뮤지컬은 절대 혼자서 해낼 수 없는 예술입니다. 함께한 동료들이 있었기에 성공적으로 공연을 마칠 수 있었습니다. 모두에게 감사하며, 짧다면 짧은 시간이었지만 제 인생에서 소중한 기억으로 남을 것입니다.<홍보실=이현지 학생기자>

    썸네일

    채성준 서경대 군사학과 교수 칼럼: [기고] 종로구 스위스 대사관에는 핵 방공호가 있다

    채성준 서경대 군사학과 교수·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트럼프 2기 행정부가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기조로 출범하면서 한국의 북핵 대응 고민이 한층 깊어지고 있다. 김정은과 직접 대화해 북한을 사실상 핵보유국으로 인정하고 핵 군축 협상에 나서는 ‘코리아 패싱’ 우려도 커진 가운데, 자칫하면 북한의 핵 인질이 되어 국가 존립마저 위태로워지는 상황으로 치달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북한은 6차례 핵실험을 거쳐 실전에 배치할 수 있는 정도의 핵무기를 확보했다는 것이 국제사회의 대체적 평가다. 가장 확실한 대응 수단은 핵이지만, 그게 그렇게 만만치 않다는 점이 문제다. 일각에서 자체 핵무장론을 제기하지만, 무역으로 먹고사는 나라가 국제사회의 제재를 견뎌낼 도리가 없고, 당장 핵무기를 생산할 인프라도 갖추지 못했다. 그 밖에 핵우산이나 전술핵 재배치, 잠재적 핵 능력 보유에 이르기까지 모든 게 국제사회와 미국의 용인이나 협조 없이는 구두선에 불과하다.이제는 북한 핵 억제력의 또 다른 방편으로 핵 공격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는 민방공 시스템 구축을 본격적으로 논의할 때가 됐다. 우리나라 민방공 훈련은 1975년 민방위기본법이 제정되면서 체계화했다. 하지만 주로 북한의 공습이나 생화학 테러 대비에 초점을 맞춰 왔다. 2023년 8월, 민방공 훈련을 6년 만에 실시하면서 처음으로 ‘핵 민방공’ 개념을 도입했고 비상 대비 행동 요령까지 마련했지만 국민 인식은 저조하다.미국은 2017년 11월 29일 북한이 화성12형 미사일을 발사하자 같은 해 12월 하와이에서 민방공 대피 훈련을 벌였다. 일본은 북한 미사일이 본토에 접근한다고 판단하면 즉시 전국순시경보시스템(J-ALERT)을 가동해 실전 같은 훈련을 한다.영세중립국인 스위스 전역에는 5100여 공공 대피소를 포함해 대피 장소가 약 30만곳 있어 전체 인구 수용이 가능하다. 서울 종로구에 있는 주한 스위스 대사관에도 ‘핵 방공호’가 설치돼 있다. 전쟁이 일상화되다시피 한 이스라엘의 민방공 시스템은 더 말할 나위도 없다.1945년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가 원폭 공격을 받을 당시만 해도 핵에 대한 지식이 없어 열 폭풍이나 충격파, 방사선에 따른 1차 피해 못지않게 방사능 낙진 등으로 인한 2차 피해가 컸다. 우리나라는 핵 공격의 우선 목표가 될 가능성이 큰 도시 지역에 고층 건물과 지하 시설이 많아 핵 민방공 체제를 잘 정착시키면 1차 피해는 물론이고 2차 피해까지 대폭 줄일 수 있다.북한의 핵 개발은 국제사회의 강력한 제재에도 온갖 기만 술책을 되풀이하며 3대에 걸쳐 이뤄졌다. 김일성이 창시자이자 설계자, 김정일이 집행자, 김정은이 운용자인 셈이다.앞으로 다양한 핵 카드를 갖고 우리가 가진 외교·안보 자산과 역량을 총동원해 대응책을 찾는 게 중요하겠지만, 스스로 할 수 있는 것부터 차근차근 준비할 필요가 있다. 핵 민방공 시스템 구축이 시급한 이유다.혹여 국민 불편과 불안감만 일으킨다는 우려가 있을 테지만, 그보다는 현실을 직시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살길이다. 여기에 어떠한 정략적 접근도 있어서는 안 된다. 지금부터라도 실제 상황에 준하는 핵 민방공 훈련 지침을 마련하고 비상 대피 시설을 크게 늘려야 한다. 나라가 어려울 때일수록 기본이 중요하다.<원문출처>조선일보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896085?sid=110

    썸네일

    서경대신문 587호

    썸네일

    서경대학교, 첨단 학과 및 전공 신설, 혁신적인 수업 방식 도입

    지난 12일 서경대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 관계자가 ‘2025창업 입주 기업’ 프로그램에 선정된 예비 창업자들을 대상으로 사업 설명을 하고 있다(위 사진). 서경대는 학생이 자기 주도적으로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캠퍼스 구축에 나서고 있다. 서경대는 학사 구조 개편을 통해 경쟁력 있는 미래 첨단학과를 신설하고, 학생들의 전공 선택권 확대 및 학생 지원 체계 강화에 힘쓰고 있다. 또한 교육의 질과 학생들의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 다양한 전공 탐색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체계적인 정보와 진로 지도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 전공 자율 선택제(무전공제)를 도입해 전공 선택 폭을 넓히고 학생 중심의 맞춤형 학습 설계를 지원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서경대는 미래를 주도할 신산업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해 아트 앤 테크놀로지 학과, 스포츠 앤 테크놀로지 학과, 컴퓨터 소프트웨어 전공, AI 빅데이터 전공, 인텔리전트 컴퓨터 전공 등 다양한 첨단 학과 및 전공을 운영하고 있다. 이와 함께 다양한 학문 분야 및 전공을 융합하여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창출하고, 학생들에게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아울러 서경대는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플립드 러닝, 블렌디드 러닝, PBL(Project-Based Learning), TBL(Team-Based Learning) 등 창의적 수업 방식을 도입하고, 이를 확산하기 위한 교육 인프라 구축에 힘쓰고 있다.   ◇학생 유형별·학습 단계별 맞춤 교육 진행 서경대는 학생들의 역량 강화를 위해 학생 유형별, 학습 단계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신입생, 복학생 또는 편입생, 학업 저성취자 등 학생 유형에 따라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이 중 학업 저성취 학생을 위해서는 학습 전략 및 역량 검사를 시행해 학습 상황을 진단하고 분석하는 일대일 컨설팅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학습 단계별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은 4-UP 프로그램이다. 4-UP 프로그램은 학습 역량을 개발하는 Start-up, 전공 기초 학습을 지원하는 Level-up, 외국어와 디지털 교육 강화 등을 통해 학습 역량을 심화하는 Grow-up, 교수와 함께하는 학습·연구 프로젝트 등을 통해 학습 역량을 활 용하는 Skill-up 등 4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서울 성북구 정릉동에 있는 서경대 캠퍼스 전경.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캠퍼스 구축   서경대는 학생이 자기 주도적으로 미래를 설계하고 학습과 역량을 습득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캠퍼스 구축에 나서고 있다. 지금까지의 대학 교육이 교수 주도 커리큘럼과 평가에 맞춰 진행됐다면, 앞으로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학생 스스로 강의에 참여하게 된다.   서경대는 지난해 국내 IT 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지원하는 ‘대학·기업 협력형 SW 아카데미 사업’에 선정됐다. 이 사업은 산업체 연계를 통해 소프트웨어(SW) 개발,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AI) 등 고도화된 기술을 습득하고, 실무를 경험하는 국가 주도 교육 프로그램이다.   2023년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는 ‘SW 전문 인재 양성 사업’에 선정됐다. 참여 기업인 (주)헥토, 오브젠(주), 디포커스(주)가 교과과정을 설계하고 (주)비트컴퓨터가 교육하고 있다. 또 서경대는 대학 혁신 지원 사업을 통해 최신형 드론 기자재를 확보하고 사이버 드론 봇 융합 전공을 운영하고 있다.   더하여 서경대는 대학과 기업 내 확보된 AI 교육 노하우를 접목한 AI 교육을 운영할 예정이다. <원문출처>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national/education/2025/03/24/TEXBGTCZS5GWZFQTYBGPEXT64U/

    썸네일

    [실용 인재 양성의 요람] 학생 맞춤형 교육으로 서울 소재 종합대학 중 취업률 2위 달성

    서경대학교하이브리드 수업 등 학생 역량 지원사회 맞춤형 산학협력 교육도 강화올해부터 미래융합대학 확대 개편학문 간 융합 교육 통해 인재 양성서경대학교의 취업률은 올해 73.4%로 서울 소재 종합대학 2위를 달성했으며, 2019년부터 올해까지 5년 연속으로 취업률 톱10에 드는 성과를 거뒀다.서경대학교는 취업에 강한 대학이다. 올해 1월 교육부 정보공시 기준 취업률이 73.4%로, 서울 소재 종합대학(학생 수 5000명 이상) 중 2위를 달성했다. 전국 일반대 평균 취업률(64.6%)보다 8.8%p나 높은 수치다. 서경대는 2019년부터 올해까지 서울 소재 종합대학 중 5년 연속 취업률 10위 안에 드는 성과를 거뒀다.취업의 질도 우수하다. 서경대는 2014년부터 2024년까지 10년간 대기업, 중견기업, 공기업, 공공기관 등에 세 자릿수 이상의 정규직 취업자를 배출했다. 공무원시험에도 매년 두 자릿수 이상의 합격자를 내는 등 안정적인 일자리로 진출하고 있다.이런 성과는 서경대가 학생들에 대한 동기부여와 학생 맞춤형 교육을 꾸준히 진행해온 결과다. 서경대는 학생 개개인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취업역량 강화 교육, 하이브리드 수업 등 학생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 학생이 교육 프로그램 이수, 자격증 취득, 공무원시험 합격 등의 성과를 거두면 마일리지 장학금과 서경엘리트(국가고시)장학금을 지급한다.서경대는 학생 취업 및 창업 지원에도 발 벗고 나서고 있다. 탄탄한 창업교육과 지원으로 학생들이 창업 후 큰 성과를 거두도록 하려는 의지가 강하다. 서경대는 현장실습, 창업교육, 캡스톤 디자인 등 사회 맞춤형 산학협력 교육을 강화하고, 학생의 사회진출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현장실습 이수 학생 수가 갈수록 늘고 있으며 창업강좌 이수 수와 캡스톤디자인 해당 학과 이수 학생 수도 상승세다. 서경대는 학생들의 취·창업 역량 강화를 위해 제도를 개선하고 맞춤형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다.서경대 대학일자리플러스본부, 진로취업지원센터, 현장실습지원센터 등은 학생의 진로와 취·창업을 성공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해외취업연수사업 대학연합과정(글로벌 비즈니스 데이터 분석 전문가 양성과정), 학생 취업 지원 플랫폼, 비교과 인증 캠프(Camp) 및 콘텐츠전공 실무역량 강화 프로그램, 학생 수요 맞춤형 취업 지원 프로그램, 동문과 함께하는 진로취업박람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 및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또 진로검사부터 동문특강 및 멘토링, 인턴 직무 체험, 모의 면접, 이력서·자기소개서 첨삭까지 취업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풀코스로 지원하고 있다. 서경대는 학생들의 취·창업 역량 강화를 위해 제도를 개선하고 맞춤형 프로그램을 운영한다.서경대는 미래를 주도할 신산업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해 2025학년도에 미래융합대학을 확대 개편해 미래융합학부1(글로벌비즈니스전공, 인텔리전트비즈니스전공, 비즈니스전공, 컴퓨터소프트웨어전공, AI빅데이터전공, 파이낸스앤테크전공), 미래융합학부2(공공행정·경찰행정전공, 영유아교육전공, 환경화학공학전공, 인텔리전트전공, 도시계획공학전공, 토목건축전공), 자유전공학부(미래융합학부 1, 2 전체 전공) 등 첨단 학부 및 전공을 신설하고 운영에 들어갔다. 올해부터 전공자율선택제를 도입해 전공 선택의 폭을 넓히고 학생 중심의 맞춤형 학습 설계를 지원함으로써 학문 간 융합 교육과 미래지향적 인재 양성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서경대는 첨단 학과 및 전공을 운영하고 무전공제를 도입함으로써 다양한 학문 분야 및 전공을 융합하여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창출하고, 학생들에게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 전통적인 학문 분야 간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아이디어와 접근 방식을 촉진하는 데 교육의 중점을 둘 계획이다.서경대는 학생 성공을 위해 교육과정을 혁신하는 데에도 역점을 두고 있다. 역량별 비교과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설하고, 이러한 비교과 프로그램들이 교양, 전공과 철저히 연계되도록 했다. 이같은 연계를 통해 비교과 프로그램에서 배운 역량이 교양, 전공을 통해 한층 심화되도록 하고 있다.또, 4차 산업혁명 대비 기초교양교육과 기업가정신, 코딩교육은 물론 미래사회 수요에 기반을 둔 맞춤형 전공을 신설하고 이에 걸맞도록 전공기초교육을 강화했다. 교육과정의 변화만으로 교육의 질을 높일 수는 없다. 서경대는 새로운 교육과정에 적합하도록 교육방법도 혁신하고 있다. 학생들이 스스로 찾아 학습하는 방법 등 학습자 중심의 학습법을 도입했다. 또 무크 확대, 인공지능 기반 개별 학습체제 구축 등을 통해 학습자 주도형 교육환경도 마련했다.서경대는 대학 내에 12개 R&D 센터를 설립, 정부와 지자체, 국책연구기관, 기업 등과의 적극적인 교류 협력을 통해 창의융합형 실용인재를 양성하고 다양한 정책사업을 유치하는 등 활발한 산학협력 활동을 벌이고 있다.<원문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3876

    썸네일

    대학생활을 빛내는 동아리 활동, 2025학년도 서경대학교 중앙동아리 더 자세히 알아보기: ‘민형사법연구회’, ‘그라미’, ‘워커스’ 동아리 회장 인터뷰

    새 학기를 맞아 동아리 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학우들이 많을 것이다. 신입생뿐만 아니라 재학생에게도 동아리는 학업 외의 다양한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 관심사가 비슷한 학우들이 모여 활동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하고, 새로운 친구를 사귀고 다양한 활동을 경험할 수 있다. 의미 있고 즐거운 대학 생활을 원한다면 동아리에 가입하는 것을 추천한다. 3월 26일부터 3월 27일까지 이틀간 ‘동아리 알림제’가 개최될 예정이니, 관심 있는 학우들은 꼭 참가해보기를 권한다.서경대학교 중앙동아리는 △학술분과, △체육분과, △전시창작분과, △교양분과, △종교분과, △공연예술분과로 나뉘어 있다. 학술분과에는 ‘연지(자기계발 및 친목 동아리)’, ‘민형사법연구회(법률 탐구 동아리)’, ‘DCT(드론 동아리)’, ‘OCE(Overseas Culture Experience: 글로벌 문화, 언어를 경험하는 동아리)’, ‘멋쟁이사자처럼(IT 창업 동아리)’가 있다. 체육분과에는 ‘서경콕(배드민턴 동아리)’, ‘적시타(야구 동아리)’, ‘FC라플(풋살 동아리)’, ‘버디버디(골프 동아리)’, ‘핀쓰리(볼링 동아리)’, ‘생무림(중국무술, 다도 동아리)’, ‘OZ(스케이트 보드, 롱보드, 인라인 스케이트 동아리)’, ‘디펜스(주짓수 등 무술 동아리)’가 있다. 전시창작분과에는 ‘난반사(영상 동아리)’, ‘미상(미술 동아리)’, ‘애니문(일본 서브컬처 동아리)’이 있다. 교양분과에는 ‘공백(취미 탐색 동아리)’, ‘다움(글로벌 문화 교류 동아리)’이 있다. 종교분과에는 ‘IVF(기독교 동아리)’, ‘UBF(기독교 동아리)’, ‘CCC(기독교 동아리)’가 있다. 공연예술분과에는 ‘SDR(Sing, Dance, Rap: 공연 동아리)’, ‘워커스(밴드 동아리)’, ‘UDream(뮤지컬 동아리)’, ‘그라미(어쿠스틱 밴드 동아리)’가 있다.오늘은 학술분과의 ‘민형사법연구회’, 공연예술분과의 ‘워커스’와 ‘그라미’ 동아리 회장들을 만나 동아리 소개 및 전반적인 동아리 활동에 대해 들어봤다.(1) 학술분과 – 민형사법연구회 ■ 인터뷰 : 민형사법연구회 회장 정수연 학우- 안녕하세요. 자기 소개 및 동아리 소개 부탁드립니다.안녕하세요. 올해 민형사 동아리 회장인 공공인재학과 23학번 정수연입니다. 우선, 인터뷰할 기회를 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씀드립니다. 저희 민형사법연구회는 중앙동아리이자 학술동아리이며, 법학 탐구를 통해 법학적 소양 증진과 친목 도모를 목적으로 한 동아리입니다. - ‘민형사법연구회’는 어떤 동아리인가요? 서경대학교 공공인재학부의 1, 2학년이 주된 구성원이며 공무원 시험 및 로스쿨의 진학을 목표로 하는 부원들이 있습니다. 법학을 잘 모르더라도 호기심을 가지고 활동하시는 타과생분들도 계십니다. 간혹, 공공인재학부에 소속된 분들만이 들어갈 수 있는 동아리라고 오해를 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는 사실이 아니며 어떤 학과든 상관없이 들어오실 수 있습니다. 모든 동아리 활동은 자율적으로 참가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동아리 활동에 대한 압박을 덜고자 한 취지이니 부담가지지 않으셔도 됩니다. 저희 동아리는 법학에 관련한 활동을 통해 서로 배우고 같이 성장할 수 있는 동아리라고 생각하고 이를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민형사법연구회’에서는 주로 무슨 활동을 하나요?법 관련 시사 및 이슈에 관해 각자의 생각을 공유합니다. 또한 판례 이해와 이를 바탕으로 토의 및 토론을 합니다. 그리고 시험기간에 그룹 스터디를 통해 함께 공부 의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또, 평소에 접할 기회가 적은 법조 관련 기관이나 법원 등을 찾아가 현장 경험을 해보고 이를 통해 궁금증을 해소하고 더욱 더 법에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분기마다 진행되는 대검찰청 형사법 포럼에도 참석하고 있습니다. 모의재판을 통해 협업하며 색다른 경험도 하고 있고, 동아리에서 빠질 수 없는 MT와 개•종강 총회 등을 통해 친목을 도모하는 활동도 하고 있습니다.- ‘민형사법연구회’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게 있다면 무엇일까요?어렵게만 다가오는 법학을 보다 친근하게 느낄 수 있게 되며 법률 토론 등을 통해 법학적 사고력을 키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법 과목과 관련된 공부나 진로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이 주로 들어오는 동아리인 만큼 부원 간 교류를 통해 고민 상담, 조언 및 격려, 지식, 정보 등을 얻어갈 수 있습니다. 또한 동아리 내의 스터디활동이나 토론 등을 통해 학업 의욕의 증진을 기대할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민형사법연구회’에는 어떤 학생들이 지원하면 좋을까요? 더하여 동아리에 관심이 있거나, 새로 들어올 학우분들에게 동아리 회장으로서 한마디 부탁드립니다.법에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열정적으로 임할 수 있는 학생들이 지원한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생각하며 열정적으로 활동에 임한다면 동아리를 통한 경험이나 학우들과의 관계에서도 얻어가는 것이 많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법이라고 어렵게 생각하여 겁먹지 마시고 친해져보자는 생각으로 부딪쳐보면 어느새 나와 가까워져 있을 것입니다. 민형사법연구회는 서경대 학우분들의 용기있는 발걸음을 기다리고 있습니다.(2) 공연예술분과 – 그라미 ■ 인터뷰 : 그라미 회장 신희승 학우- 안녕하세요. 자기 소개 및 동아리 소개 부탁드립니다.안녕하세요! 저희는 서경대 중앙 어쿠스틱 밴드 동아리 그라미입니다. 보컬, 통기타, 베이스, 키보드, 드럼, 카혼 등 다양한 악기들로 여러 어쿠스틱 장르의 음악들을 연주하고 있으며 어쿠스틱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장르의 음악들을 즐기며 다양한 악기들을 배우고 연주하며 공연하고 있는 어쿠스틱 밴드 동아리입니다. 한 학기에 한번 씩 정기공연을 진행하고 있으며 동아리 알림제 공연, 축제 공연, 버스킹 등 여러 공연들을 진행하며 대학교 밴드의 로망을 실현하고 있는 어쿠스틱 밴드 동아리입니다. 그리고 저는 그라미에서 회장을 맡고 있는 공공인재학부 21학번 신희승이라고 합니다.- ‘그라미’는 어떤 동아리인가요? 저희 그라미는 어쿠스틱 밴드 동아리입니다. 1985년에 처음 만들어져 현재까지 유지되어 오고 있는 전통 있는 명품 어쿠스틱 밴드입니다. 현재까지도 옛 선배님들의 사랑을 듬뿍 받고 있죠! 회장, 부회장, 총무, 홍보부장 총 4명의 운영진과 수십 명의 부원들과 함께 음악이라는 하나의 공통된 관심사를 향하여 앞을 향해 달려 나가고 있습니다. 저희 동아리 이름은 ‘동그라미’에서 따왔습니다. 비록 전문성을 갖춘 완벽한 동그라미는 아니지만 부원 한 명 한 명이 모여 (동)그라미를 이루자는 의미입니다. - ‘그라미’에서는 주로 무슨 활동을 하나요?그라미에서는 매년 ‘신입생 환영회 OT 공연’, ‘동아리 알림제 공연’, ‘매 학기 정기 공연’, ‘방학 버스킹’, ‘방학 MT’, ‘서경대학교 축제 공연’ 등 다양한 활동들을 활발히 해왔습니다! 이런 외부활동 외에도 내부적으로 회식도 자주 하고 합주도 많이 하며, 대학교에서 서로 끈끈한 우정을 다질 수 있는 활동들도 많이 하고 있습니다.- ‘그라미’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게 있다면 무엇일까요?그라미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무대에 서고 싶은 학우분들도 있을 것이고, 학과나 학년 상관없이 친구들을 사귀고 즐거운 대학 생활을 하고 싶은 학우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또 평소에 악기를 배우고 싶거나 노래를 사랑하고 즐기시는 분들도 그라미에 오시면 모두 꿈과 희망을 펼칠 수 있는 재미있는 대학 생활을 경험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그라미’에는 어떤 학생들이 지원하면 좋을까요? 더하여 동아리에 관심이 있거나, 새로 들어올 학우분들에게 동아리 회장으로서 한마디 부탁드립니다.그라미는 평소 노래를 사랑하고 아끼는 분들, 악기를 배우고 싶으셨던 분들, 책임감 있게 공연 연습에 참여하실 분들, 즐겁게 대학 생활을 보내고 싶으신 분들 모두 다 환영합니다. 학과 구분 없이, 실력 상관 없이 편하게 들어오셔서 배우시고 즐기시면 됩니다. 추가로 동아리에 관심이 있거나 새로 들어올 학우분들, 실력이 뛰어나지 않더라도 열정과 배우고자 하는 욕심이 크다면 대환영입니다. 대학 생활 중 밴드로 무대에 한 번쯤 서보고 싶으신 분들은 부담 없이 편하게 지원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지금까지 그라미 회장 신희승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3) 공연예술분과 – 워커스 ■ 인터뷰 : 워커스 회장 김예현 학우- 안녕하세요. 자기 소개 및 동아리 소개 부탁드립니다.안녕하세요. 서경대학교 중앙 동아리 워커스의 회장을 맡고 있는 군사학과 24학번 김예현입니다. 워커스는 1970년대부터 시작되어 1985년 교대 공식 동아리로 등록된 깊은 역사와 전통을 지닌 밴드 동아리로, 현재까지 활발하게 공연하고 소통하며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는 동아리입니다. 워커스는 단순히 음악을 연주하기만 하는 동아리가 아닌, 음악을 매개로 서로를 연결하고 영감을 주어 함께 성장하는 모임이며, 나아가 음악을 통해 서로의 열정과 추억을 향유하는 문화를 함께하는 사람들입니다. - ‘워커스’는 어떤 동아리인가요? 워커스는 ‘음악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여 자유롭게 교류하고 협력하며, 함께 무대를 만들어나가는 곳입니다. 가요, 락, 펑크, 재즈 등 장르의 제한 없이 다양한 색깔을 존중하며, 음악에 대한 열정 하나만으로 모여 활동하는 동아리입니다. 또한 나이나 성별, 학년으로 부원들을 구분짓지 않고 어떤 음악을 좋아하는지, 어떤 악기에 열정을 가지고 있는지 등 서로의 음악성을 존중하고 음악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나가는 것이 저희 워커스가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원칙입니다. 공연이나 합주, 친목 활동 등 워커스 내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은 동아리 구성원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진행되고 있으며, 단순히 ’음악 공연을 하는 동아리‘가 아닌 먼 미래에 돌아봤을 때 ’풍성했던 학창시절‘이었음을 기억하기 위해 모두가 모여 특별한 추억을 만들어 나가는 동아리입니다.- ‘워커스’에서는 주로 무슨 활동을 하나요?동아리 알림제, 대동제, 정기 공연, 타 대학과의 연합 공연까지 다양한 무대에 올라 공연을 합니다. 공연을 통해 자신의 음악을 표현할 기회를 얻고, 무대 위에서 관객과 소통하는 짜릿한 순간을 맛볼 수 있습니다. 또, 공연이 잡히면 팀을 짜 합주를 진행하고, 무대에 서기 위한 연습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부원들은 자연스럽게 친해지고 유대감이 쌓이죠. 저는 합주를 통해 곡이 완성되어 가는 과정에서 희열을 느꼈습니다. 비단 공연활동 뿐만 아닌 정기 MT, 회식 등을 통해 함께 어울리며 친해질 기회가 많습니다. 술을 못마셔도 부담없이 즐길 수 있는 분위기이며 대학생활의 소중한 추억을 쌓을 수 있습니다.- ‘워커스’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게 있다면 무엇일까요?워커스에서 얻을 수 있는 건 단순한 음악 실력 향상이 아닙니다. 공연을 준비하며 생기는 다양한 추억들과 무대에 섰을 때의 짜릿한 성취감까지 모든 것이 값진 경험이 됩니다. 무엇보다 다양한 학과의 학우들과 만나면서 인간관계를 넓히고 동기, 선후배들과 깊은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워커스’에는 어떤 학생들이 지원하면 좋을까요? 더하여 동아리에 관심이 있거나, 새로 들어올 학우분들에게 동아리 회장으로서 한마디 부탁드립니다.워커스는 실력보다 열정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밴드를 좋아한다면, 무대에 서고싶다면, 혹은 음악을 통해 다양한 사람들과 함께하고 싶다면 누구든 환영합니다. 여러분의 대학 생활 속 소중한 한 페이지에 워커스가 함께하겠습니다. 2025년, 우리의 무대를 함께 만들어가봅시다!<홍보실=이현지 학생기자>

    썸네일

    리안헤어, 서경대 헤어디자인학과 리안반 신입생 '제주도 MT' 진행

    국내 최대 헤어네트워크 리안헤어는 지난 3월 19일부터 20일까지, 서경대학교 헤어디자인학과 리안반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제주도 1박 2일 MT(현장실습 겸 워크숍)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 이번 MT는 신입생들이 자연 속에서 재충전하며 팀워크를 다지고, 리안헤어의 브랜드 철학과 현장 문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리안헤어는 이번 행사를 통해, 미래 뷰티 산업을 이끌어 갈 인재들이 현장 실습을 넘어 리안헤어의 가치와 방향성을 몸소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했다. 또한 신입생들 간의 유대감 형성과 소속감 강화를 통해, 보다 건강하고 창의적인 학습 분위기를 만들어가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리안헤어 관계자는 "리안반은 단순한 산학 협력 프로그램을 넘어, 미래의 톱 디자이너 양성을 위해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실무 중심의 교육과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성장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원문출처> 머니투데이 http://news.mt.co.kr/mtview.php?no=2025032414331315585

    썸네일
    1 33 34 35 36 37 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