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경대학교

서브페이지 백그라운드 이미지

서경 TODAY

SKU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를 매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메뉴 | 검색 | 퀵메뉴

    서경대학교의 모든 것, 여기서 검색하세요!

    • 작게
    • 보통
    • 조금 크게
    • 크게
    • 가장 크게

    서경 TODAY

    3971

    학사편입 대안 될 수 있는 서경대학교 평생교육원 미용학과정

    서경대학교 평생교육원 [서울와이어 정시환 기자] 서경대학교 평생교육원 미용학과정이 학사편입의 대안으로 알려지고 있다.서경대학교 평생교육원 입학관계자는 "계속되는 취업난에 전문 기술을 배워 빠르게 사회에 진출하고자 하는 젊은 세대들에게 평생교육원 미용학 과정이 도움이 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어려운 학사편입 대신 이전 학교의 전공, 수능/내신 성적과 무관하게 지원이 가능하다는 점도 특징"이라 밝혔다.입학 시 제공되는 다양한 특전들 또한 지원율 상승의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서경대학교 평생교육원 미용학과정은 졸업 시 서경대학교 총장 명의 학사학위를 취득 가능하며 서경대학교 대학원 진학 시 동문 장학금 혜택이 제공된다. 아울러, 커리큘럼 내 헤어디자인과정, 메이크업과정, 피부미용과정, 네일아트과정이 포함되어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을 키울 수 있다.실습 위주의 커리큘럼으로 운영되고 있는 서경대학교 평생교육원 미용학과정은 일반반(주 4회), 특별반(주 1회)을 운영 중이며 고등학교 졸업 예정자나 졸업자라면 누구나 지원 가능하다. 서경대학교 평생교육원은 현재 2018학년도 후기 모집과 2019학년도 전기모집을 진행 중이다.모집 요강 및 자세한 입학 정보는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원문 출처>서울와이어 http://www.seoulwire.com/news/articleView.html?idxno=12430

    썸네일

    [임철수 서경대 교수의 ET단상]세계 최초 5G 상용화 의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세계 최초로 5세대(5G) 이동통신 상용화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국내 이통 사업자 역시 정부 정책에 따라 과거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신화를 재현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롱텀에벌루션(LTE48) 도입 이후 상상으로만 가능하던 모바일 인터넷 환경이 구축된 것도 격세지감을 느낄 만한데 5G 변화는 어떤 것일까. 5G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78 등 정보통신기술(ICT)의 진화와 결합, 4차 산업혁명으로 표현되는 산업 구조의 대혁신을 견인하며 삶을 본격 변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모든 사물 데이터가 실시간 교환, 소통되면서 모든 산업에서 이를 활용하는 융합 서비스가 창출될 것이다. 현실 세계에 있는 모든 데이터를 모바일에서 구현, 산업과 삶의 혁신을 촉진할 것으로 보인다. 카폰으로 대표되는 아날로그 이통부터 초고속 LTE 서비스까지 모바일 서비스는 단순히 정보나 지식을 소비하는 도구였다. 5G 시대 이통 네트워크는 오프라인의 모든 일이 디지털 정보화되면서 새로운 기회를 마련하는 생산의 주체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제조업을 필두로 모든 산업 분야에 걸쳐 지금과는 다른 모습으로 진화가 이뤄질 것이다. IHS 마켓에 따르면 5G로 인한 경제 효과가 2035년까지 12조 3000억달러(약 1경30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액센추어는 미국 캘리포니아에 5G 인프라가 구축될 경우 산업 생산성 증대로 인해 약 37만5000명의 추가 고용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네트워크 산업이 발전한 우리나라의 경우 5G 도입에 따른 긍정 파급 효과는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5G 인프라 구축이 글로벌 주요 국가에 비해 뒤처진다면 전 세계의 4차 산업혁명 흐름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다. 기술 종속과 국가 경제 퇴보라는 최악의 상황이 올 것으로 우려된다.세계 주요 국가들의 4차 산업혁명 평가에서 한국 순위가 홍콩, 말레이시아 등 국가보다 낮은 하위권에 머무르고 있다는 점은 이러한 우려를 더욱 심각하게 만든다.우리나라는 선진국 성공 사례 가운데 좋은 점만을 골라 벤치마킹해서 압축 성장을 이뤄 왔지만 혁신 주기가 짧아지는 변화의 시대에는 '추격형' 성장 방식은 더 이상 유효할 것으로 기대하기 어렵다. 세계 대부분 국가에서 이통 인프라는 민간 사업자가 담당했다. 우리나라도 사업자 간 설비 경쟁이 이뤄지면서 세계 최고 수준의 모바일 인프라가 구축됐다. 그 결과 ICT 산업 발전과 국민의 모바일 인터넷 이용 환경이 개선됐다. 그러나 5G 도입이라는 중차대한 시점에 민간 기업의 투자 경쟁에만 '인프라 확충'을 맡겨서는 5G 시대의 조기 실현이 어려울 것이라는 논의가 전개된다. 5G용으로 공급 예정인 주파수는 전파 도달 거리가 짧은 고주파수 대역이어서 기지국 수가 과거 대비 현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5G로 인한 수익 증가가 제한될 것이라는 전망 속에 이통사의 투자만 기대하다가는 5G 활성화의 골든타임을 놓칠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된다.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노력이 시작됐다. 과기정통부는 5G 신규 주파수의 공급을 기존 계획 대비 상당 기간 앞당겨 세계에서 가장 먼저 5G 인프라가 구축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계획이다. 단순히 수개월 앞선 서비스 이용이라는 차원을 넘어 한국이 새로운 통신 시대 선구자 역할을 담당한다는 의미한다. 새로운 기술로 시장을 열어 가는 과정에서 난관에 부닥칠 수 있지만 남보다 먼저 경험하고 이를 해결해 나가면서 4차 산업혁명 선도를 위한 '백신'을 맞는 의미가 있을 것이다. 4차 산업혁명과 이를 위한 5G 네트워크 구축은 망설임 없이 추진해야 할 과제이자 한국의 강점인 네트워크를 필두로 새로운 시대를 여는 기회가 될 것이다. 5G 주파수 공급이 새로운 시대의 서막이 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이통사도 새로운 시대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사명감으로 기술 개발과 투자에 매진할 것을 기대해 본다.임철수 서경대 컴퓨터공학과 교수< 원문 출처 >전자신문 http://www.etnews.com/20180410000154

    썸네일

    ‘In 서울’ 대학을 희망한다면 여길 주목

    대학 선발 방식은 크게 수시 학생부교과, 학생부종합, 논술, 실기 전형과 정시 수능, 실기 전형 총 6가지로 나눌 수 있다. 각각의 전형은 그 선발 방식이 매우 다르므로 수험생 및 학부모는 이를 미리 정리하고 어떤 전형에 지원하는 것이 좋을지 생각해 두어야 한다. 2019학년도 전국 4년제 대학은 총 343,714명을 선발하는데 (2019학년도 대입정보 119 中 ‘모집인원 한눈에 보기’ 기준) 수시 학생부교과 전형이 41.8%로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고 그 뒤로 학생부 종합, 정시 수능위주 전형 등이 따른다.그렇다면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은 ‘In 서울’ 대학의 경우는 어떨까? 전국 통계와 달리 학생부 종합 전형으로 약 40%에 가까운 인원을 모집한다. 학생부교과가 아니라 학생부종합이 대세인 이유가 바로 여기 있다. 그 다음 수능 위주의 정시로 26.3%를 선발하며, 전국 대학을 기준으로 했을 때 가장 많은 선발 비율을 가졌던 학생부교과가 13.2%, 논술 11.1% 순으로 학생을 선발한다.■ ‘In 서울’ 대학 내에서도 다르다!전국 모든 대학이 수시 76.2%, 정시 23.8%를 선발하지 않는 것처럼, 전국 대학 기준으로는 학생부교과 전형으로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지만, ‘In 서울’대학 기준으로는 학생부 종합 비율이 가장 높다는 차이와 같이, ‘In 서울’ 대학 내에서도 선발 비율에 차이가 있다. 아래를 보자.[2019학년도 전형 유형별 모집비율 Top7 ‘In 서울’ 대학]순위학생부교과학생부종합논술정시(수능)대학명비율(%)대학명비율(%)대학명비율(%)대학명비율(%)1한성대46.42서울대79.13성균관대25.2홍익대38.312서경대45.92고려대63.94덕성여대23.6한국외대38.143명지대37.4서강대52.91중앙대21.86서울여대37.384삼육대32.45경희대51.58이화여대20.85서울교대35.165경기대(서울)27.01동국대50.9서강대20.55서울과기대34.426동덕여대24.05성균관대50.37연세대17.72광운대32.87상명대21.2건국대49.4동국대15.81숭실대32.72 따라서 본인의 목표 대학이 어떤 방식으로 학생들을 모집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찾아야 한다. 아직은 수시, 정시 모집요강이 채 나오지 않은 시기이지만 각 대학의 입학처 홈페이지에 공개된 2019학년도 전형계획을 살펴 보면 기본 계획을 가늠할 수 있다.■ 학생부종합 전형은서울대와 고려대를 비롯한 6개 대학에서 학생부종합전형으로 50%이상 선발한다. 교과 성적을 비롯하여 3년 동안의 다양한 교내 활동을 평가하여 선발하는 전형이기 때문에, 고3 시절 갑작스레 해당 전형을 준비하기는 솔직히 쉽지 않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학생부종합전형이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설정하고 있지 않고 있고 상위권 대학의 일부 전형들은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해야만 한다. 이러한 기준은 훌륭한 학교생활기록부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탈락하는 학생들을 만들어 내기 때문에 포기하지 말고 학생부와 수능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끝까지 노력해야 한다.[2019학년도 ‘In 서울’ 일부 대학의 학생부종합 수능최저학력기준]대학명전형명수능최저학력기준고려대일반전형인문국어, 수학(가/나), 영어, 사/과(상위 1과목) 4개영역 등급의 합이 6이내 및 한국사 3등급 이내자연국어, 수학(가), 영어, 과탐(상위 1과목) 4개영역 등급의 합이 7이내 및 한국사 4등급 이내의과국어, 수학(가), 영어, 과탐(2과목 평균) 4개영역 등급의 합이 5이내 및 한국사 4등급 이내학교추천 II인문국어, 수학(가/나), 영어, 사/과(2과목 평균) 4개영역 중 3개영역 등급의 합이 5이내 및 한국사 3등급 이내자연국어, 수학(가), 영어, 과탐(2과목 평균) 4개 영역 중 3개영역 등급의 합이 6이내 및 한국사 4등급 이내의과국어, 수학(가), 영어, 과탐(2과목 평균) 4개영역 등급의 합이 5이내 및 한국사 4등급 이내서강대학생부종합(일반형)전체국어, 수학(가/나), 영어, 사/과(1과목) 중 3개영역 등급의 합 6등급 이내이고 한국사 4등급 이내서울대지역균형선발인문국어, 수학(나), 영어, 사/과(2과목 평균), 제2외국어/한문 또는 국어, 수학(가), 영어, 사/과(2과목 평균) 영역 중 3개영역 이상 2등급 이내 (과탐 2과목 응시 형태:서로 다른 분야의 Ⅰ+Ⅱ 및 Ⅱ+Ⅱ두 조합 중 선택)자연국어, 수학(가), 영어, 과탐(2과목 평균) 영역 중 3개영역 이상 2등급 이내 (과탐 2과목 응시 형태: 서로 다른 분야의 Ⅰ+Ⅱ 및 Ⅱ+Ⅱ두 조합 중 선택)연세대학생부종합(활동우수형)인문국어, 수학(가/나), 사/과1, 사/과2 영역 중 2개 영역 합이 4이내, 영어 2등급 및 한국사 4등급 이내 (국어와 수학 중 1개 과목을 반드시 포함해야 함 / 과탐 반영 기준: 서로 다른 2개 과목(Ⅰ,Ⅱ 구분 없음))자연국어, 수학(가), 과탐1, 과탐2 영역 중 2개 영역 합이 4이내, 영어 2등급 및 한국사 4등급 이내 (국어와 수학 중 1개 과목을 반드시 포함해야 함 / 과탐 반영 기준:서로 다른 2개 과목(Ⅰ,Ⅱ 구분 없음)의예치의예국어, 수학(가), 과탐1, 과탐2 영역 중 3개영역 이상 1등급, 영어 2등급 및 한국사4등급 이내 (과탐 반영 기준: 서로 다른 2개 과목(Ⅰ,Ⅱ 구분 없음))융합과학공학(ISE)수학(가), 과탐1, 과탐2 영역 중 2개 영역 합이 4이내, 영어 1등급 및 한국사 4등급 이내 (수학을 반드시 포함해야 함 / 과탐 반영 기준: 서로 다른 2개 과목(Ⅰ,Ⅱ 구분 없음)이화여대미래인재스크랜튼국어, 수학(가), 영어, 과탐(2과목 평균) 중 3개영역 등급의 합이 5 이내 또는 국어, 수학(나), 영어, 사/과(2과목평균) 중 3개 영역 등급의 합이 4 이내(제2영어/한문을 탐구영역의 한 과목으로 인정)인문국어, 수학(나), 영어, 사/과(2과목 평균) 중 3개영역 등급의 합이 5 이내(제2영어/한문을 탐구영역의 한 과목으로 인정)자연국어, 수학(가), 영어, 과탐(2과목 평균) 중 2개영역 등급의 합이 4 이내의예국어, 수학(가), 영어, 과탐(2과목 평균) 중 4개영역 등급의 합이 5이내홍익대학생부종합인문국어, 수학(가/나), 영어, 사/과(최상위1과목) 영역 중 3개 영역 등급의 합 6이내 및 한국사 4등급 이내자연국어, 수학(가), 영어, 과탐(최상위1과목) 영역 중 3개 영역 등급의 합 7이내 및 한국사 4등급 이내 ■ 학생부교과 전형은학생부교과 전형은 전국의 대학들과 비교했을 때 그 비중이 상당히 낮다. 서울대, 연세대, 서강대, 성균관대 등 전혀 모집하지 않는 대학들도 다수 있다. 많은 수험생들은 ‘In 서울’ 대학의 학생부교과전형은 크게 고려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높아 보이는 합격 커트라인 때문에 지원심리가 많이 위축되기 때문이다. 물론 교과 성적이 학생부교과 전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지만, 많은 대학이 수능최저학력기준을 활용하고 있고, 그 기준의 높고 낮음에 따라 충족률에 차이가 있어 합격자 커트라인이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다소 낮은 내신 성적으로도 전략적으로 지원해 보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는 이유다.하지만 영어절대평가를 이유로 수능최저 충족을 쉽게만 생각해서는 안 된다. 전년의 경우 영어로 수능최저기준을 충족하는 비율이 그 전에 비해 높아지기는 했지만, 의외로 까다로웠던 한국사 때문에 그 기준에 미달하는 경우가 발생했었다. 영어 난도가 어떨지 예상하기 힘든 지금, 영어 영역도 공부를 게을리해서는 안 될 것이다.■ 논술 전형은각 대학들이 논술 전형 선발인원을 조금씩 줄여나가고 있다. 하지만 성신여대가 올해 논술 전형을 신설하는 등, 여전히 ‘In 서울’ 대학에 진학하고자 할 때 논술 전형은 큰 비중을 차지한다. 논술전형에서는 교과 성적이 실질적으로 크게 반영되지 않아 비교적 낮은 내신으로도 지원 가능하다는 점과 1, 2학년 때부터 학교생활기록부를 관리하지 못한 학생들이 수시 마지막 기회로 여기기 때문에 높은 경쟁률을 보인다. 하지만 이는 논술 고사 일정이 수능 전이냐 후냐에 따라서 또, 타 경쟁 대학과 일정이 얼마나 겹치는가에 따라서, 수능최저학력기준의 유무에 따라서 그 경쟁률 차이가 난다. 아직 많은 대학이 고사일정을 확정하지는 않았다. 수시 모집 요강을 확인 후 논술 전형을 위한 전략을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2018학년도 ‘In 서울’ 대학 논술 전형 경쟁률 비교]대학명논술고사시행시기수능최저유무18학년도경쟁률대학명논술고사시행시기수능최저유무18학년도경쟁률건국대2017/9/30X34.92성균관대2017/11/252017/11/26O56.39홍익대2017/9/302017/10/1O23.02연세대2017/11/25O55.64서울시립대2017/9/30X45.99서강대2017/11/252017/11/26O31.05가톨릭대2017/10/22일반학과 X39.06한양대2017/11/252017/11/26X87.65 ■ 정시(수능)는정시 모집인원은 수시이월인원으로 인해 처음 계획에 비해 늘어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경향은 ‘In 서울’ 대학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연세대 297명, 성신여대 212명, 고려대 190명을 비롯하여 많은 대학이 다수의 이월 인원을 배출했다. 하지만 전년도에는 영어절대평가 시행으로 각 대학의 영어 반영 방법이 각기 달랐기 때문에 중복합격자가 예전에 비해 줄었다. 이런 경향성은 올해도 유지될 것으로 보이고 정시 지원자들은 보수적인 지원전략을 세우게 될 개연성이 있다. 결국 본인의 취득 성적을 가장 잘 활용될 수 있는 대학을 찾아야 할 것이고, 이는 지금 고민하기 보다는 수능을 치르고 나서 생각하는 것이 좋다.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우연철 평가팀장은 “2019학년도 ‘In 서울’ 대학의 신입생 선발 방식이나 비율은 전년과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다. 하지만 전년도에 지원율이 낮은 대학이나 전형이 있다고 해서 올해도 꼭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만족스런 입시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과거의 데이터만을 맹신해서는 안 되니 유의하자.”고 말했다. < 원문출처 >금강일보 http://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458714

    썸네일

    [이즈미 지하루 서경대 교수의 한국 블로그]꽃처럼 활짝 웃는 산, 정릉은 살아있다

    일러스트레이션 박초희 기자 choky@donga.com산이 활짝 웃었다. 개나리, 진달래, 목련 그리고 산수유. 북한산 아래 정릉천을 따라 이어지는 정릉마을에 봄이 왔다.나는 8년 전 직장을 따라 정릉으로 이사 와 이 동네에 살고 있다. 청수장에 4년, 동방주택에 3년을 산 후 한 번 더 이사했다. 그동안 직장을 오가며, 시장을 오가며, 성당을 오가며 동네를 걸었다. 정릉에는 비탈길과 구불구불한 골목길이 많다. 오래된 집들도 군데군데 남아 있다. 그 가운데에는 유난히 커다란 집, 눈길이 가는 특이한 집들도 있어 호기심이 생기곤 했다. 그곳에는 누가 살았을까? 그곳에 살면서 무엇을 했을까?그런 궁금증을 풀어주는 전시가 성북동에 위치한 성북구립미술관에서 시작됐다. ‘정릉시대전’이 그것이다. 나는 꽃샘바람이 부는 지난 금요일에 전시를 보러 다녀왔다. 남편에게서 정릉에는 예술가가 많이 살았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긴 했지만 실제로 전시를 보고 리플릿에 있는 지도와 작가가 살던 곳을 대조해 보고서야 그 사실이 확실히 와 닿았다. 놀랐던 것은 내가 늘 걸어 다니던 길가에 있던 아담한 집이 화가 정영렬(1934∼1988)이 살았던 집이라는 사실이다. 그의 작품은 한지의 소박하고도 단아한 질감이 살아 있다. 그의 집은 정릉시장에서 동방주택으로 이어지는 오르막길에 위치한 구멍가게와 세탁소 근처에 있다. 이젠 세탁소는 문을 닫고 가게만 남아 있고, 집 옆엔 주차장이 덩그러니 만들어져 있다. 다시 전시를 보고 돌아오며 오랜만에 예전에 살던 곳까지 걸었다. 꽃샘추위로 비는 눈으로 바뀌었고 이중섭(1916∼1956)이 살던 곳에 가까워지자 함박눈으로 변해버렸다. 그가 정릉에 살았던 시기는 1955년 12월부터 생을 마감하던 1956년 9월 6일 직전까지라고 한다. 1년도 안 되는 짧은 기간이었고, 북한산에 가까운 정릉 중에서도 북쪽이라고 한다. 그가 살던 집은 남아 있지 않지만, 우연히도 그곳은 내가 살았던 집과도 아주 가까웠다. 그가 생을 마감한 1956년 봄에도 눈이 많이 내렸다고 한다. 감성이 풍부하고 가족에 대한 애정을 아낌없이 화폭에 담았던 이중섭. 오늘은 꽃으로 가득한 산동네에 차가운 눈이 내리고 있다. 그러고 보니 정릉에서 그린 작품 ‘돌아오지 않은 강’ 속에도 오늘처럼 함박눈이 내리고 있다. 이중섭은 화가 박고석(1917∼2002) 집에서 하숙했고, 화가 한묵(1914∼2016)과 함께 살았다고 한다. 이번 전시에는 두 작가의 작품도 소개되어 있다. 박고석은 정릉의 자연을 그렸고, 한묵은 추상화를 그렸다. 아픔 속에서도 봄엔 꽃이 피었을 것이고, 이들이 함께 지내며 예술을 나눴다는 것이 그나마 위로가 됐을 것이다.그곳에서 정릉천을 따라 내려가다 경국사에 못 미친 곳, 개울가 안쪽에 ‘토지’를 쓴 박경리 작가(1926∼2008)가 딸과 지내며 많은 작품을 남긴 집이 있다. 사위인 김지하 시인의 석방 소식을 들은 곳도 이곳이었다고 한다. 지금은 대안학교가 돼 있다. 재개발 계획으로 변해가는 마을에도 여전히 울긋불긋 봄꽃이 피었고 천변엔 벚꽃이 흐드러져 있다. 맑고 청정한 자연과 산에서 내려온 맑은 기운이 느껴지는 정릉을 전시를 보고 다시 걸어보니 근현대 예술가들이 생활한 흔적을 아직도 느낄 수 있었다. 비록 이곳에서 그들의 삶이 여유롭진 않았지만 예술을 사랑하며 감성을 지키기 위해 서로 의지하고 힘이 돼가며 작품 활동을 했던 것은 아닐까?성북구립미술관에서는 오늘부터 ‘거리갤러리’를 개관해 설치미술가 최정화(1961∼)의 ‘숲’ 프로젝트를 선보인다. 내가 갔을 때에는 작품이 한창 설치 중이었는데 인공적인 초록의 숲이 다른 공간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최정화는 국제적으로 활동해 일본에도 꽤 알려진 작가다. 성북동에 살았던 적이 있는 그가 성북초등학교의 어린이들, 성북2동 경로당의 어르신 등 주민들과 함께 작업한 ‘주민참여 공공미술 프로젝트’로 이 작품을 이뤄낸 것이다. 이번 주말에는 ‘정릉시대전’을 통해 정릉의 문화예술 역사의 향취를 느끼고 야외 전시 ‘숲’을 통해 현대의 성북을 감상하며, 또한 정릉천을 따라 활짝 웃는 산, 정릉마을의 봄을 걸어보면 어떨까.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 교수< 원문출처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list/3/04/20180410/89534157/1

    썸네일

    ‘봄을 여는 바이올린 음악회’ 바이올리니스트 김지은 서경대 겸임교수, 13일 독주회

    ▲바이올리니스트 김지은  ⓒ서울필하모닉제공바이올리니스트 김지은은 오는 13일 오후 8시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에서 독주회 ‘김지은의 봄빛소리’를 연다.에스파냐 작곡가 마누엘 데 파야의 스페인 가곡 모음집인 모로인의 천, 자장가, 칸시온, 뽈로, 아스투리아스 지방의 노래, 호타 등을 연주한다. 이밖에 러시아 작곡가 아람 하차투리안, 미국 작곡가 에이미 비치, 에스파냐 작곡가 파블로 데 사라사테 등을 들려줄 예정이다.섬세한 감성과 폭발력 있는 표현력을 지닌 김지은은 선화예중·선화예고를 나와 서울대 음악대학 관현악과를 졸업했다. 독일 쾰른 국립음대 석사과정을 마친 후 만하임 국립음대에서 실내악 전문연주자와 바이올린 최고연주자 학위를 수여받았다. 또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그리스, 슬로베니아를 비롯해 독일의 쾰른, 만하임, 하이델베르크에서 다수의 초청 독주회를 열었다. 하이델베르크에서는 ‘내일의 솔리스트를 위한 연주’로 독인 언론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김지은은 2010년 올해의여성문화인상 신진여성문화인상을 수상하고, 2011년 올해의음악가상, 세종나눔대상, 2012년 올해의예술가상, 2015년 한국언론기자협회 세계평화언론대상 문화예술교류부문대상 등을 받았다. 현재 서경대 음악대학 겸임교수, 서울필하모닉오케스트라 악장으로 활동 중이다.이번 공연은 영음예술기획이 주최하고, 서울대학교총동문회와 서울필하모닉이 후원한다. 티켓가격 3~5만원. 문의 02-581-5404<원문출처>여성신문 http://www.womennews.co.kr/news/140982<iframe width="200" height="200" frameborder="0" marginwidth="0" marginheight="0" vspace="0" hspace="0" allowtransparency="true" scrolling="no" allowfullscreen="true" id="aswift_0" name="aswift_0" style="text-align: justify;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width: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baseline; left: 0px; position: absolute; top: 0px; width: 200px; height: 200px;"></iframe>

    썸네일

    서경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연극 소모임 ‘연기를 사랑하는 패거리’ 교내 청운홀에서 껍질 깨기 진행

    서경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소모임 ‘연극을 사랑하는 패거리’(이하 연사패)가 4월 2일(월) 오후6시 교내 청운홀에서 껍질 깨기를 진행했다. 껍질 깨기란 소모임에 새로 들어온 신입 부원들이 무대에 올라 준비한 독백 연기를 부원들 앞에서 보여 주는 것. ‘나를 벗자’ 라는 의미가 담긴 껍질 깨기는 신입 부원들의 아직 어색하고 생소한 분위기를 ‘ice breaking’ 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껍질 깨기는 매년 1학기에 진행되며 연사패에 속해 있는 부원들뿐만 아니라 연사패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이라면 누구든 관람할 수 있다. 껍질 깨기의 시작은 기존 부원들의 시범 연기로 시작된다. 연사패가 지난해 ‘문콘인의 밤’에서 준비했던 라이어1을 10분 정도의 길이로 짧게 줄여 연기로 선보였다. 2시간 분량의 연극을 10분으로 줄였음에도 불구하고 연극을 이해하는 데 부족함 없이 진행되었다. 시범 연기가 끝나고도 한 동안 부원들을 향한 박수갈채가 끊이질 않았다. 시범 연기 후 신입 부원들의 본격적인 껍질 깨기가 시작되었다. 연사패 안에서는 배우를 희망하는 학생들과 연출을 희망하는 학생들로 나눠지는데, 배우를 희망하는 학생들은 연기를 준비하고 연출을 희망하는 학생들은 노래를 부르거나 춤을 추면서 저마다 자신의 매력을 발산했다. 먼저 배우를 희망하는 부원들이 영화 혹은 연극 대본을 외우며 연기를 선보였다. 처음에는 부끄러워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이내 자신감 있는 모습으로 대사를 읊조리기 시작했다. 배우를 희망하는 학생들은 ‘써니’, ‘해적’, ‘댄싱퀸’, ‘Getting Out’ 등에 나오는 짧은 독백 연기를 펼쳤다. 역할이 많은 학생들은 여러 명의 부원들과 함께, 혹은 역량이 되는 학생이 1인 다역을 맡아 연기를 진행하기도 했다. 연출을 희망하는 부원은 자신이 야심차게 준비한 춤과 노래를 보여 주었다. ‘상어가족’이라는 동요를 준비한 부원은 리듬에 맞춰 아기자기한 춤을 추었으며 지켜보는 부원들은 그런 신입 부원을 귀여워하는 표정으로 바라보았다. 또한 아이유의 삼촌을 부른 부원은 귀엽고 톡톡 튀는 목소리로 관람하는 부원들의 극찬을 받기도 했다. 연사패의 회장을 맡고 있는 문화콘텐츠학부 17학번 노병기 군은 “배우 지원뿐만 아니라 스텝을 지원했던 분들도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셔서 너무 감사했다. 덕분에 연사패 신입 부원들의 넘치는 끼와 열정을 확인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며 껍질 깨기에 참여해 준 신입 부원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표했다. 노병기 군은 또, “작년보다 더 재미있고 소통이 활발한 연사패가 되도록 노력하겠다.”며 포부와 의지를 보였다. <홍보실 = 김지은 학생기자>

    썸네일

    서경대학교 창원지원센터, 학생 창업 지원 비교과 프로그램 진행

    창업기초이론부터 창의적 프레젠테이션ㆍ스킬 트레이닝까지 서경대학교 창업지원센터(센터장 박일순 교수) 주관으로 지난 3월 23일(금)부터 3월 30일(금)일주일간 비교과 과목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은 오전 9시부터 12시까지 동일 시간대에 ‘창업기초이론’과 ‘창의적 프레젠테이션 및 스킬 트레이닝‘ 등 2개 프로그램으로 나뉘어 동시에 진행되었다. 창업기초이론은 혜인관 501호에서, 창의적 프레젠테이션 및 스킬 트레이닝은 북악관 109호에서 이루어졌다. 이러한 창업 관련 프로그램은 창업을 희망하는 재학생들에게 창업에 필요한 실무 지식과 각종 정보를 제공하고, 먼저 창업에 성공한 사람들을 초청하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사회진출 방법과 성공사례를 들려줌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 계획을 세우고 동기를 부여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창의기초이론 프로그램 수업을 듣고 있는 학생들   먼저 ‘창업기초이론’ 프로그램은 창업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스타트업을 시작하는 사업주의 기본 마인드와 스타트업을 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준비하고 익혀야 할 사항 등에 대해 교육을 했다. 창업의 현재 상황과 창업을 시작하기 전에 알아야 할 것들을 이미 성공한 창업자들의 사례와 설명으로 알려 주었다. 또 현재의 경제 상황과 경영의 전반적인 이해를 통해 학생들이 처음 창업을 시작했을 때의 위험 부담을 덜 수 있는 유익한 내용도 전달했다. 또 어떤 리더가 존경받고 인정받을 수 있는가에 대한 강의를 통해 창업을 시작하는 CEO가 가져야 하는 자세와 리더십에 대해서도 배울 수 있었다.헤어메이크업학과 17학번 정은선 양은 “평소에 찾아 듣지 않으면 들을 수 없는 강의를 학교에서 들을 수 있어서 도움이 되었다.” 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학생들이 창의적 프레젠테이션 및 스킬 트레이닝 프로그램 시간에 조별활동을 하고 있다. ‘창의적 프레젠테이션 및 스킬 트레이닝 프로그램’은 창업을 위한 사업계획서 발표 시 요구되는 프레젠테이션 교육을 통해 프레젠테이션 구성 스킬 및 발표자의 창의적 프레젠테이션 구현 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이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창업에 창의력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설명하고 창의력을 발휘하기 위한 아이디어 발상법 등을 소개했다. 또한 가독성 있는 프레젠테이션을 만드는 방법과 효과적으로 스피치하는 방법을 통해 미래의 창업자들이 자신감 있게 자신이 계획한 창업 아이템을 소개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프로그램을 마치기 전, 조별로 모인 학생들은 카드를 이용하여 동화ㆍ웹소설을 만드는 활동을 통해 창의력을 키우는 시간을 갖기도 했다. 컴퓨터공학과 17학번 김선진 군은 “프로그램을 통해 창의력을 키우는 방법과 중요성을 알게 되었고 처음 만난 친구들과 협업을 할수록 더욱 친해지고 자신감도 생기는 것 같았다.” 라고 말하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본 프로그램을 이수한 학생은 프로그램별로 지정되어 있는 모든 회차의 출석을 완료한 후 비교과 과정 마일리지 제도에 따른 역량별 마일리지를 부여받을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외에 앞으로 ‘창업기초실무’, ‘창의적 아이디어를 통한 아이템 발굴 프로그램’, ‘사업계획서 작성 트레이닝 A4 용지를 활용한 창의역량 강화 프로그램’, ‘SCAMPER를 통한 창의 개발 프로그램’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이다. <홍보실 = 김지은 학생기자>

    썸네일

    서경대학교, 제8회 전국무용경연대회 개최

    2018년 4월 14일(토) 9시, 서경대학교 문예홀서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가 주최하고 서경예술교육센터(센터장 김범준)가 주관하는 ‘제8회 전국무용경연 대회’가 4월 14일(토) 9시 교내 문예관 문예홀에서 개최된다.대회 참가자들은 유아부,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로 나눠 한국무용(전통, 전통명작무, 창작, 규정), 발레, 현대무용 등 3개 장르로 나뉘어 기량을 겨룬다. 대회 입상자에게는 서경대 입학 시 장학금 혜택 등을 수여할 예정이다.전순희 서경대 무용예술학과장은 “이번 전국무용경연대회는 무용예술분야의 우수한 인재를 발굴, 육성하고 무용예술인 지망생들에게 자신이 그동안 갈고 닦아온 기량을 맘껏 펼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했다.”며 “경연대회를 통해 재능을 가진 많은 학생들이 본인의 끼와 열정을 마음껏 발휘하길 바란다.”고 말했다.서경대학교는 대학의 예술적 자원을 활용한 산학 연계는 물론 예술교육 활성화에 앞장서고자 서경예술교육센터를 설립하고 다양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서경예술교육센터는 각종 경연대회 개최는 물론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인생나눔교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성북구 음악멘토링’ ‘방과후학교 예술교육’ ‘청소년 예술진로 체험’ 등 다양한 예술교육사업의 추진을 통해 예술교육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한편 서경대학교는 올해 전국무용경연대회를 시작으로 ‘고등학생 디자인 실기대회’와 ‘뮤지컬 경연대회’, ‘실용음악 콩쿠르’, ‘전국 모노로그 콘테스트’ 등을 개최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국내 최고의 실용예술교육 중심 대학으로의 입지를 확고히 해 나가고 있다. 경연대회에 참가 및 관련내용은 서경예술교육센터(02-940-2932, www.aec.skuniv.ac.kr)로 문의하면 된다. <관련 기사>베리타스 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112377한국대학신문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187748대학저널 http://www.dh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9883내일신문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271618뉴데일리 http://biz.newdaily.co.kr/news/article.html?no=10157430

    썸네일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신입생들의 공연, ‘예대인의 낮’, 3월 29일 오후 6시 30분, 교내 문예홀서 전석 매진된 가운데 성황리에 열려…동료·선배 학우에게 ‘감동과 전율’, ‘긍정 에너지’ 선사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18학번 신입생들의 공연인 ‘예대인의 낮’ 행사가 3월 29일 목요일 오후 6시 30분 교내 문예홀에서 400석 전석이 만석을 이룬 가운데 성황리에 진행되었다. 이번 공연은 문예홀 400석 전석이 일찌감치 매진돼 높은 인기를 실감나게 했다. 뜨거운 인기만큼 훌륭했던 공연은 예술대학 신입생들의 실력을 증명하기에 충분했다.   예대 신입생 공연인 ‘예대인의 낮’과 예대만의 끼와 흥을 느낄 수 있는 뒤풀이 현장인 ‘예대인의 밤’으로 이루어진 예대인의 해오름제는 올해 새로 출범한 예술대학 학생회인 20대 ‘청춘’ 예술대의 성향에 맞게 ‘해오름제’라는 명칭을 버리고 ‘청춘 예술제’로 명칭을 바꾸었다. 바뀐 명칭처럼 ‘예대인의 낮’은 청춘들의 열기로 가득했고, 열정과 실력으로 진한 감동을 선사한 공연이었다.   첫 무대는 실용음악학과 18학번 신입생들이 약 30분간 6개의 곡을 연주했다. 영화영상학과 신입생들과 콜라보를 이루어 영상학과의 intro 영상과 함께 시작된 공연은 ‘Bruno Mars’의 “Treasure”, ‘딘’의 “instagram” ‘아이유, HIGH4’의 “봄 사랑 벚꽃 말고”, ‘로꼬, 유주’의 “우연히 봄” 등 봄을 테마로 곡들이 메들리로 연주되었고 ‘김동률’의 “취중진담”, ‘곽진언, 김필’의 “당신만이”, 그리고 위대한 쇼맨의 삽입곡인 “This Is Me” 등의 순으로 연주가 이어졌다. 마지막 곡인 “This Is Me”은 모든 신입생이 함께 불러 진한 일체감과 공감을 불러 일으켰다.   실용음악학과의 공연은 직접 연주하는 밴드와 곡마다 어우러지는 분위기를 만드는 조명 등 모든 것이 관객을 사로잡았다. 신나는 음악에도 가슴이 벅차서 눈물이 날 수 있다는 것을 이 공연을 통해 알았다. 10명이 화음을 쌓아도 무너지지 않고 관객의 마음을 훔쳤으며, 목소리가 최고의 악기임을 실감했고 혼자 무대를 주도해도 그 무대에서 빈 공간을 찾을 수가 없었다. 신입생들의 공연이라고 하기에는 믿기지 않을 정도의 실력이었으며, 공연을 볼 수 있음에 감사했다.   무용예술학과 신입생들이 만들어낸 우아하면서도 부드러운 선은 예술의 또다른 아름다움을 보여주었다. 무용예술학과에 입학한 5명의 남성 신입생들로 이루어졌던 무대인 “탈의 고백”은 탈을 쓴 5명의 남자 무용학과 학생들의 적절한 강약 조절과 부드러움은 자체로도 경이로웠으며, 탈을 벗은 후의 훈훈한 외모로 관객들의 큰 환호를 자아냈다.   무용예술학과의 두 번째 공연인 “인형 그리고 꿈”은 각자의 꿈을 가진 인형들이 인간이 잠든 밤에 잠시 꿈을 이루는 스토리를 가진 공연으로 마치 인형들이 춤을 추는 것 같다가도 우아하고 부드러운 군무를 연출하는 등 관객들을 매료시켰다. 잠시 꿈을 이룬 뒤 다시 인형의 삶으로 돌아간 인형들의 이야기를 그린 무용예술학과의 아름다운 춤과 연기는 영화영상학과의 배경영상과 어우러져 그들의 못 이룬 꿈을 더욱 아련하게 하였다.   음악학부 신입생들 7명도 대중적인 곡인 “성자의 행진”과 “나팔수의 휴일”을 약 10분 가량 연주하며 클래식 음악의 새로움과 즐거움을 느끼게 해주었다. 드럼, 트럼펫, 트럼본, 호른, 유포늄의 소리가 어우러지며 금관악기의 하모니가 만들어졌다. 특히 트럼본의 소리는 마치 중저음의 사람 목소리처럼 느껴져 관객들로 하여금 클래식의 미학에 빠져들게 했다.   공연예술학부 신입생들은 모델연기전공 5개 팀, 연기전공 5개 팀으로 나뉘어져 각각 20분씩 총 40분 가량 공연하였다. 모델연기전공은 미용예술학부와 공연예술학부 무대패션전공, 영화영상학과와 콜라보하여 모델의 재능이 더욱 부각되었다. ‘힙합/ 밀리터리’, ‘오리엔탈 차이나’, ‘아메카지/ 정글’, ‘가을/ 체크’, ‘로맨틱/러블리’ 등 5가지 테마는 각각의 폐션 및 모델연기 전공의 워킹과 생동감 넘치는 연기로 더욱 부각되었다. 그들의 재능은 문예홀을 페션위크로 만들며 관객의 호평을 받았다.   마지막에 있은 공연예술학부 연기전공 신입생들의 공연은 ‘청춘 예술제’에 가장 어울리는 청춘의 열정이 녹아든, 신입생만의 풋풋함이 돋보이는 공연이었다. 이들은 뮤지컬 ‘번지점프를 하다’의 삽입곡인 “그런가봐”의 한 장면을 재연하였다. 고등학생의 설렘과 남녀의 사랑차이를 보여주었던 연기전공 새내기들의 첫 공연은 마치 고등학교로 돌아간 듯, 설레임을 불어넣어 주었다.   ‘end of time’과 ‘boosy’에 창작안를 선보인 여자 댄스와 ‘킹스맨’곡에 창작 안무를 선보인 남자 댄스도 곡과 어우러지는 분위기와 끼가 돋보였다. 또한 뮤지컬 레미제라블의 ‘Red & Black’과 명장명인 ‘Do you hear the people sing’을 재연한 남자 합창은 자유에 대한 간절함과 생명에 대한 안타까움이 노래를 통해 전해졌다. 그리고 위대한 쇼맨의 ‘Come Alive’를 재연한 전체 군무는 관객석에서 관객들과 어우러져 더욱더 빛이 났다.   새내기로 대학에 입학한 지 채 한 달도 안 된 신입생들의 실력이라고 믿을 수가 없었다. 서경대학교 예술대학의 미래와 장도가 기대되며, 그 출발선에서의 공연에 참여하게 되어 영광이었다. 직접 공연 무대에 섰던 공연예술학부 연기전공 18학번 오병곤 군은 “밤낮 없이 열심히 연습하여 멋진 모습을 보여주려고 노력했다. 관객 분들이 공연을 보고 나가면서 말문이 막힐 정도로 ”멋있다“라고 느끼길 바랬다. 보러와 주시고 도움을 주신 선배님들께 감사드리며, 앞으로 더욱 빛나는 18학번이 되겠다.”라고 말하며 신입생의 의욕과 열정을 보였다.   제20대 청춘 예술대 정학생회장 공연예술학부 연기전공 16학번 이재민 군은 “예술대만의 첫 행사로, 이번에 처음으로 명칭을 ‘청춘 예술제’로 바꾼 의미 있는 행사였다. 이름에 걸맞게 공연을 준비한 신입생들이 청춘의 열정을 가지고 열심히 준비했고 잘해 주어서 너무 고맙고 훌륭했다고 말하고 싶다. 신입생 여러분의 열정을 원동력으로 삼아 올 한 해 큰 성취를 이루고 잘 마무리 할 수 있도록 우리 청춘 예술대도 더욱 열심히 노력하겠다.”라며 한 해를 시작하는 행사를 잘 마무리함에 감사해 하며 긍정의 에너지를 보여 주었다.<홍보실 = 소유진 학생기자>

    썸네일

    KBS 《안녕하세요》 359회 청춘특집 ‘서경대학교’ 편 4월 2일(월) 방송

    서경대학교, 대한민국 ‘청춘’을 대표하다. - 서경대 학생 200명 방청석 메운 가운데 김해송 군(모델연기 전공), 소유진 양(문화콘텐츠학부), 서휘정 군(뮤지컬학과) 고민사연 주인공으로 출연, ‘공감’과 ‘감동’ 자아내  4월 2일 월요일 오후 11시 10분 KBS 2 채널로 《안녕하세요》 359회 청춘특집 ‘서경대학교’ 편이 약 1시간 25분 가량 방송됐다. 이날 방송은 서경대 학생들로 방청석을 가득 메운 가운데 대한민국 청춘들을 대표해 서경대학교 학생들이 고민의 주인공으로 나서 재미 있으면서도 진정성이 느껴지는 사연으로 또래 대학생들은 물론, 시청자들의 ‘공감’과 ‘감동’을 자아냈다.   이영자, 신동엽, 정찬우, 김태균이 MC를 맡아 진행하고 있는 KBS 《안녕하세요》 프로그램은 사연자의 고민을 함께 듣고 모두가 사연의 주인공이 돼 서로의 감정과 의견을 같이 나누는 대국민 토크쇼이다. 사연의 주인공이 가진 고민을 MC가 대신 읽고, 게스트와 방청자가 고민에 대해 함께 토론한다. 이후 방청자들의 투표를 통해 가장 공감 가는 고민을 토로한 주인공 1명을 선정, 시상하는 방식으로 8년째 진행 중인 KBS의 장수 프로그램이다.   방송에 앞서, 지난 3월 25일 일요일 오후 1시 30분부터 오후 7시까지 여의도 KBS 별관 공개홀에서 200여 명의 서경대 학생들이 서경대학교 로고와 교명이 새겨진 하얀색 티셔츠를 입고 방청석에 앉아 3명의 고민사연의 주인공, 6명의 게스트들과 함께 《안녕하세요》 청춘특집 ‘서경대학교’ 편을 촬영하였다. 이날 소개된 3개의 고민사연은 2월 넷째주부터 3월 셋째주까지 한 달 가까이 교내 교직원들을 대상으로 공개 모집해 접수된 30여 건의 고민사연 가운데 KBS 제작진의 서면심사와 인터뷰 등을 거쳐 최종 선정된 것이다. 방청석에 자리한 학생들도 3월 한 달간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방청 신청을 받았다.   이 날은 청춘특집 답게 청춘이란 말이 어울리는 다양한 게스트들이 출연했다. 우리대학 실용음악학부 16학번으로 현재 활발하게 가수활동을 하며 신곡 ‘소나기’를 발표한 가수 정승환 군, 최근 ‘너랑 나랑 노랑’이라는 신곡을 발표한 랩퍼 ‘산이’와 신곡 ‘내일해’로 돌아온 EXID의 ‘정화’와 ‘하니’, 대한민국 대표 흑인 모델 한현민 군, 영원한 HOT ‘토니안’이 게스트로 출연해 서경대생의 고민을 진솔하게 함께 나누었다.   고민을 가진 주인공들의 본격적인 사연 소개에 앞서 “요즘 청년들의 고민은 무엇이냐” 는 MC들의 질문에 20대 게스트인 EXID 하니는 “미래에 대한 불안함이 아닐까 싶다. 물론 나도 피할 수 없는 고민이다”며 청춘들의 입장을 대변했다.   이에 MC 신동엽은 “20대 초중반 때 나의 고민은 딱 두 가지였다”며 “‘저 여자애는 도대체 누굴 만나고 있을까?’와 ‘왜 나는 고등학생 때보다 술이 약해진 것 같을까?’” 라고 말해 녹화장은 웃음바다가 됐다.   첫 번째 고민은 영재과학고 출신의 모델연기 전공 18학번 김해송 군이 과학고를 졸업하고 예술학도의 길을 걸으며 느끼는 부적응과 괴리감에 대한 사연이었다. 김해송 군은 과학고를 졸업하였지만 재수를 통해 자신의 꿈이었던 모델의 길에 도전장을 내밀어 당당히 서경대 모델학과에 합격했다.   밝고 유쾌한 성격과 큰 키로 자신감을 가졌던 김해송 군은 입학 후 친구들의 톡톡 튀는 끼와 매력적인 개성에 주눅이 들었고, 친구들에게 김해송 군은 지루하고 딱딱한 이미지를 가진 학생으로 비춰져 자존감이 떨어져 있었다. 패션에 관한 센스부터 모델 워킹 수업까지 뒤처져 있어 따라가기 어려워하는 해송 군의 고민사연을 들은 중고등학교 친구들의 과학고 시절 해송 군의 과학 유머를 듣고 부모님의 지지와 게스트들의 격려를 받으며 해송 군은 조금씩 자신감을 찾아갔다.   또한 MC 이영자는 “안경부터 벗자”고 하는 등 해송 군의 이미지 변신을 위해 진심어린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우리대학 모델학개론 수업을 맡고 계신 김태연 교수님이 해송 군의 부모님과 나란히 특별출연해 “입학한 지 한 달도 되지 않았는데 이미 자신의 장담점을 파악하고 있는 것 만으로도 훌륭하다고 칭찬해 주고 싶다.”면서 “모델에 대해 관심도 많고 수업태도도 좋아 충분히 잘할 수 있고 달라질 수 있으니 자신감을 가지라”고 응원했다. 이에 김해송 군은 동기들에게 앞으로 재밌게 학교생활을 하며 멋진 모델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힘찬 모습을 보이며 녹화를 마무리했다.   두 번째 고민은 너무 바쁜 동기 언니의 청춘을 바라보는 인문대학 문화콘텐츠학부 16학번 김가연 양의 사연이었다. 가연 양의 동기언니인 문화콘텐츠학부 16학번 소유진 양은 갑상선 항진증과 과민성 대장염 등 크고 작은 질병을 앓고 있지만, 치료를 뒤로 하고 생계와 자신의 꿈을 위해 알바 3개와 홍보실 학생기자, 동아리 회장, 방송국 리포터 등 다양한 대외활동을 하고 있고 수업과 과제 등으로 하루에 4시간 밖에 못 자는 무리한 일정을 소화하고 있다.   자신의 꿈을 일구고 스펙을 쌓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청춘들을 대표하는 사연으로, 이날 쌍둥이 동생의 증언과 생명이 위급한 순간에도 돈을 생각해 구급차를 부르지 않은 소유진 양의 사연은 듣는 이들의 마음을 찡하게 했다. 4남매 중 장녀로 가족들과 함께 살 집을 장만하고 싶어서 이처럼 치열하게 산다는 그녀의 고백에서 바쁘지만 외로운 청춘들의 모습이 보였다.   이 날 게스트들은 모두 김 가연 양의 고민에 동감하면서도 “건강이 제일 중요하며 건강도 본인의 책임의 일부”라며, 랩퍼 산이는 평소 소유진 양이 가지고 싶었던 흰색과 검정색 롱패딩을 본인이 직접 주고싶다는 마음 따뜻한 모습을 보였다. 정승환 군은 고민이라 생각하지만 충분히 잘 하고 있다며 기죽지 말고 힘내라며 진심어린 응원을 보냈다.   세 번째 고민은 여자 울렁증이 있지만, 여배우와 연기를 해야 하는 뮤지컬학과 14학번 서휘정 군의 사연이었다. 서휘정 군은 여자 울렁증으로 상대 배우와 애정신을 연습하는 데에만 몇 시간이 걸리고, 심지어 여자와 함께 있으면 손까지 떨어 커피도 쏟는다고 토로했다. 실제로 EXID 하니와 정화를 피하는 모습에 웃기기도 했지만, 그 고민이 얼마나 심각한지 느껴졌다.   휘정 군은 어릴 적 부모님의 이혼으로 아버지, 할머니와 살며 본인 스스로 가진 것이 없는 아이라고 생각하게 됐고, 현재 어려운 가정 형편으로 6개의 알바로 생활비를 홀로 벌면서 자신감이 많이 떨어져 이런 울렁증이 생겼다고 고백했다. 그러나 동기들이 함께 40만 원을 모아 생활비에 보태라고 주는 등 친구들의 응원에 뮤지컬을 포기하지 않고 열심히 살고 있다고 말해 동료 학우들의 눈시울을 붉히게 했다.   휘정 군은 하니와 눈 마주치기, 정화와의 상황극, 관객들 앞에서 납득이 연기하기 등을 통해 자신감을 찾아가고, 여자 울렁증을 이겨내려는 상황이 연출되었다. 또, 친구들이 휘정 군에게 애정을 담아 아카펠라를 들려주었고, 그런 응원으로 휘정 군은 녹화의 마지막에 여자 울렁증을 거의 극복한 모습을 보였다.   3명의 고민 주인공의 사연이 소개되는 가운데 MC와 게스트들은 모두 불안한 청춘들에게 아낌없이 조언했다. 신동엽은 열정 넘치는 김해송 씨에게 과거 자신의 이야기를 꺼내며 힘을 보탰고, 컬투 역시 취업에 대한 불안감은 당연히 느낄 수 있지만 먼저 건강을 챙겨달라고 당부했다.     EXID의 정화와 하니는 서휘정 씨와 동기 사이의 끈끈한 우정에 눈물을 쏟는 것은 물론, 이들이 가진 청춘에 대한 고민이 자신에게도 해당된다고 말하며 공감대를 만들었다. 정승환은 "고민인지 아닌지 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먼저 애썼고 수고했다고 말해주고 싶다"고 말했다.   산이는 돈 걱정에 옷도 하나 못 사입고 병원 치료도 받지 못하는 소유진 양의 사연을 듣고 롱 패딩을 두 벌 선물하고 싶다고 말해 많은 이들의 박수를 이끌어냈다.     이렇듯 《안녕하세요》는 MC와 게스트 모두 청춘들의 고민에 귀기울이며 그들이 처한 상황에 공감하고 힘을 불어넣어주는 시간을 가졌다.   이 날 방송에서는 이런 휘정 군의 용기 있는 극복과 진심어린 사연으로 138표를 얻어 서휘정 군의 고민사연이 1등으로 우승을 차지하였다. 우승자에게는 서경대학교 총장 명의로 장학금 200만 원이 수여되었으며, 휘정 군을 포함한 다른 고민 사연자들을 응원하는 시청자들의 메시지도 이어졌다.   서경대 학생들은 《안녕하세요》 방송을 통해 “학교의 이름이 전국 방송을 통해 알려지게 되어 좋다.”, “우리 대학이 청춘특집을 대표하게 되어 너무 뿌듯하다.”, “사연자들도 응원하지만, 다양한 고민을 가진 우리 대학 많은 친구 모두를 응원한다. 모두 행복했으면 좋겠다.” 등의 메시지를 보내왔다.   KBS 《안녕하세요》 청춘특집 ‘서경대학교’ 편은 KBS 홈페이지, 네이버 TV와 다양한 통신사 서비스를 통해 다시보기가 가능하다. <홍보실 = 소유진 학생기자> <관련 기사>KBS 연예 http://entertain.naver.com/read?oid=438&aid=0000018881OSEN http://osen.mt.co.kr/article/G1110869669마이데일리 http://www.mydaily.co.kr/new_yk/html/read.php?newsid=201804030305782553&ext=na티브이데일리 http://tvdaily.asiae.co.kr/read.php3?aid=15227056331339469019국제신문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500&key=20180403.99099000852스포츠서울 http://www.sportsseoul.com/news/read/618848MK스포츠 http://sports.mk.co.kr/view.php?year=2018&no=211039스포츠Q http://www.sportsq.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9863패션엔 http://www.fashionn.com/board/read_new.php?table=1023&number=24080톱스타뉴스 http://www.topstar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387628#08e1헤럴드 POP http://pop.heraldcorp.com/view.php?ud=201804022352394711536_1텐아시아 http://tenasia.hankyung.com/archives/1461118아시아투데이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80402001840459TV리포트 http://www.tvreport.co.kr/?c=news&m=newsview&idx=1048200

    썸네일
    1 322 323 324 325 326 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