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 TODAY
서경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학습 배려자 밀착 지원 강화 위한 ‘일대일 학습전략 컨설팅’ 실시
11월 22일부터 1월 7일까지 약 한달 반 동안···대상 인원 확대해 비대면으로 단계별 진행 학습 배려자 역량 지원 체제 강화에 역점, 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 거둬 서경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센터장 이지나 교수)는 학업 저성취자 및 평소 학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특화된 교내외 전문가의 '일대일 학습전략 컨설팅'을 21년 11월 22일부터 22년 1월 7일까지 약 한달 반 동안 실시했다. 서경대 교수학습지원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학업 저성취자를 대상으로 학습상담 전문기관인 '마음과 배움'과 연계해 학습전략 컨설팅을 실시한 결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올해도 지난해 나타난 성과와 코로나 19라는 특수한 상황을 감안해 학내 대상 인원을 더욱 확대하였다. 특히, 학습상담 전문기관인 '마음과 배움'과 체계적으로 연계해 zoom을 활용한 개별 맞춤형 비대면 컨설팅을 단계별로 지원하면서 학습 배려자 역량 지원 체제를 강화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이번 '일대일 학습전략 컨설팅'은 학업 부적응의 원인을 진단하고 그에 맞는 개별 맞춤 컨설팅을 지원하기 위해 3단계로 나눠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1단계로 교수학습지원센터 홈페이지에 개설된 MLST-Ⅱ 학습전략검사를 실시했다. MLST-Ⅱ 학습전략검사는 Multi-dimensional Learning Strategy Test의 약자로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적 요인, 정서적 요인, 행동적 요인 등을 측정한다. 2단계로 검사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의 학업 부적응 및 학업 저성취 원인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개별 처방을 컨설팅 과정에서 제시한다. 학습동기 강화, 우울 · 짜증 ·불안과 같은 정서요인의 완화, 시간관리 · 노트필기 · 집중전략 · 기억전략 · 시험준비 등 개인별 상황과 원인에 맞추어 짧게는 1회차부터 길게는 4~5회차까지의 컨설팅을 진행하였다. 3단계로 학교생활 적응, 학업성취도 향상 및 중도 탈락을 예방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추적, 지원, 관리하는 체계적인 사후관리를 진행한다. 이번 학습전략 컨설팅에 참여한 무용예술학과 1학년 나*이 학생은 “학습과 관련된 문제를 진단하고 개선하기 위해 신청하게 되었으며 컨설팅을 통해 노트 필기법을 새롭게 알게 되어 좋았고 실생활에 적용해 더 효율적으로 공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 소감을 밝혔다. 나노융합공학과 2학년 박*준 학생은 학습과 관련하여 “실천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자신의 문제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신청하게 되었다.”며 “이번 컨설팅을 통해 구체적인 목표와 공부를 해야만 하는 이유를 찾게 되었고, 상담을 통해 배운 시간관리법을 적극 활용하여 꿈에 한 발자국 더 다가갈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라고 소감을 전했다. 서경대 교수학습지원센터는 지난 2015년부터 신입생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를 높이고 중도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의무적 학습전략검사를 시행해 오고 있다. 또한, 학사경고자 학습지원프로그램(Dream Explore) 운영, 성적향상장학금 지급, 튜터링 및 멘토링 등의 학습공동체 활동 지원 등 학습배려자 밀착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이지나 서경대 교수학습지원센터장은 “학습배려자(학사경고 학생, 학업 저성취자, 편·복학생, 장애학생 등)를 유형별로 범주화하고 학습방해 원인을 분석하며 학업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개인밀착형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며 "이러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학교현장의 학습격차를 해소하고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력을 높이며 중도 탈락을 예방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pan/site/data/html_dir/2022/01/14/2022011401277.html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40740 에듀동아 http://edu.donga.com/?p=article&ps=view&at_no=20220114153823205305 베리타스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04254 교수신문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84159 스마트경제 http://www.dailysmart.co.kr/news/articleView.html?idxno=54946 내일신문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411413
2022년, 한 해를 시작하며 도전해볼 만한 대학생 대외활동엔 어떤 게 있을까?
3년째 코로나 19의 확산 및 장기화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새로운 한해를 맞았다. 새해가 시작되면서 사회 곳곳에서는 코로나 19라는 특수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혁신과 발전을 위한 새로운 시도나 모색을 하는 기업과 기관들이 적지 않다. 특별한 대외활동으로 남다른 경험은 물론 자신감도 키우고 전공 관련 스펙도 쌓을 수 있는 때가 지금이 아닌가 싶다. 이에, 신년을 맞아 색다른 일을 모색하며 더욱 가치 있는 시간을 보내고 싶어 하는 학우들을 위해 2022년, 한해를 시작하며 도전해볼 만한 대학생 대외활동은 어떤 게 있는지 소개하고자 한다. 현재 참가 학생을 모집하고 있는 대외활동 가운데 주목할 만한 것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활동내용과 신청 방법, 일정 등의 정보를 정리해 보았다.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다양한 경험을 쌓고, 2022년의 학교생활을 의욕적이고 보람차게 보낼 수 있기를 바란다. ■ 반도체, 제약바이오 기업 탐방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경기대진테크노파크가 서울 소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비대면 기업탐방 참가자를 모집한다. 1월 16일(일)까지 구글폼(https://forms.gle/xxzLhjPDVtkdDxk2A)을 통해 신청 가능하며, 같은 날 19시에서 21시까지 온라인 비대면 교육이 진행된다. 해당 교육은 총 두 가지 과정을 계획하고 있는데, 신청자는 반도체기업 과정과 제약바이오기업 과정 중 한 개의 과정만을 선택하여 신청할 수 있다. 교육은 해당 기업과 직무를 소개하고 멘토링 과정을 거친 후 질의응답을 끝으로 마무리된다. 해당 대외활동과 관련한 자세한 정보 문의는 070-4800-6228 또는 hr-cyj@naver.com으로 하면 된다. ■ 예스잼스튜디오 제1기 프로젝트 매니저 예스잼스튜디오에서 프로젝트 매니저를 모집한다. 17세부터 25세까지 영상 콘텐츠 제작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으나, 서울 및 경기도에서 활동한다는 점은 알아둬야 한다. 1월 21일(금)까지 지원서를 받고 있으며, 활동은 2월 1일(화)부터 시작할 예정이다. 지원을 희망하는 사람은 공고에 첨부된 지원신청서를 작성한 후 메일(yesjam.official@gmail.com)로 제출하면 된다. 해당 대외활동은 활동 내용에 따라 세 가지 팀으로 나뉘는데, 웹드라마나 단편영화, 예능이나 다큐멘터리를 기획 및 제작하는 것에 흥미가 있다면 콘텐츠창작팀을, 제작한 영상물을 개시하고 유튜브 계정을 관리하며 홍보하는 것에 흥미가 있다면 콘텐츠전략팀을, 이밖에 자료와 재정관리, 사업회계 등의 업무에 관심이 있다면 업무지원팀을 지원하면 된다. 예스잼스튜디오에서는 선발된 사람에게 웰컴 키트와 활동비를 지급하는 것은 물론, 위촉장과 경력증명서, 봉사활동확인서를 발급해 주며 우수 활동자에게는 대표이사 표창도 추가로 시상할 예정이다. 해당 대외활동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 공고를 참고하길 바란다. https://immediate-iridium-7e3.notion.site/1-21-a5ebb42ed42b47d6a0f519b519b87249 ■ 진학사 대학생 크리에이터 2기 진학사가 함께 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하고 다양한 영상 콘텐츠에 출연할 대학생 크리에이터를 모집한다. 현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부터 휴학생, 예비대학생까지 유튜브 출연이 가능한 사람을 대상으로 모집하고 있으며, 1월 23일(일)까지 신청을 받아 서류와 면접을 거쳐 2월 25일(금)부터 8월 31일(수)까지 약 6개월간 활동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지원을 원하는 사람은 링크로 배포된 지원서(https://bit.ly/3GNeXy2)를 다운로드받아 이메일(aimho@jinhak.com)로 제출하면 된다. 합격한 사람은 매월 정기회의에 참여하고, 콘텐츠 기획 및 제작에 참여하며, 주 2~3회씩 다양한 영상 콘텐츠에 출연하게 된다. 진학사에서는 매월 활동비를 지원하고, 촬영장비는 물론, 스튜디오까지 제공할 예정이다. 자세한 정보에 대해서는 담당 이메일로 문의할 수 있다. ■ 한국잡지교육원 취재기자 22기 미디어에디터 신규인력 연수생 한국잡지교육원에서는 언론분야 취업을 준비하는 사람들을 지원하기 위해 2022년도 취재기자 신규인력 양성 과정 연수생을 모집하고 있다. 2022년 2월 2일(수)까지 참가 희망자를 모집하고, 총 36명의 인원을 선발해 2022년 2월 10일(목)부터 6월 9일(목)까지 하루 6시간, 주 5일간의 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다. 취재기자 취업을 원하는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사람이라면 누구나 지원 가능하나, 반드시 교육 개시 전일까지 고용보험 상실이 확인되거나, 미가입자여야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신청을 원하는 사람은 한국잡지교육원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응시원서를 다운로드 받아 회원 가입을 한 뒤, 지원서를 올려야 한다. 자세한 정보 및 문의는 아래 홈페이지를 참고하길 바란다. https://www.magazineschool.co.kr/Default.asp ■ 포인핸드 매거진 에디터 11기 포인핸드가 4-5명의 매거진 에디터를 모집한다. 사지 않고 입양하는 문화를 만드는 포인핸드에서 분기별로 포인핸드 매거진이라는 잡지를 발행하는데, 입양 정보, 유기동물 입양문화를 위해 힘쓰는 사람들의 이야기, 실제 유기동물을 입양한 사람들의 이야기, 반려 생활 정보 등을 실어 올바른 입양문화를 널리 알리는 것에 주력하고 있다. 1월 16일(일)까지 입양 문화를 자신의 글로 알리고 싶은 일반인이라면 누구나 구글폼(http://naver.me/FYA3lIIi)을 통해 지원할 수 있으며, 활동은 최종 합격 발표일인 1월 18일(화) 이후부터 3월까지 약 3개월간 진행될 예정이다. 합격자는 동물권과 관련된 콘텐츠를 취재하고 기사를 작성하는 것은 물론, 디자인 작업까지 함께 논의하는 등 매거진이 실물로 발행되기 전까지 약 3개월간의 전반적인 활동을 함께하게 된다. 활동을 마친 후, 포인핸드에서는 매거진, 굿즈와 함께 에디터 수료증과 소정의 활동비도 지급할 예정이다. 이에 관한 자세한 정보 및 문의는 포인핸드 홈페이지(http://pawinhand.kr/)를 참고하길 바란다. ■ 고용노동부 주최, 2박 3일 실무경험 프로젝트 고용노동부가 주최하고 오픈놀이 운영하는 ‘2박 3일 실무경험 프로젝트’가 1월 16일(일)까지 참가자를 모집한다. 해당 대외활동은 기획 및 마케팅 직무에 관심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활동 내용은 직업 가치관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기업을 찾을 수 있는 ‘나의 기업 찾기’, 현직자에게 기획과 마케팅 업무나 취업 준비 꿀팁을 듣고 회사생활에 대해 소개받는 ‘기획/마케팅 직무 파헤치기’, 기업 스토리 및 실무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질의응답을 할 수 있는 ‘우수 중소기업탐방’, 2박 3일간 팀으로 수행하는 ‘기업 실무 프로젝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월 19일(목)부터 1월 21일(금)까지 총 3일간의 활동으로 참가비용은 없으나, ‘기업 실무 프로젝트’ 활동을 위해 개인 노트북이나 태블릿 PC 등의 전자기기를 필수로 지참해야 한다. 대면으로 진행되는 활동인 만큼 방역 패스 적용자에 한해 참가할 수 있으며, 방역 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하고 숙식이 제공될 예정이다. 지원 방법과 활동 내용에 대한 자세한 정보 및 문의는 아래 홈페이지를 참고하길 바란다. https://bit.ly/32BvjM5 <홍보실=박진아 학생기자>
2022년 동계방학 기간 중 도전해 볼 만한 공모전 뭐가 있을까?
지난 12월22일(수)을 끝으로 다사다난했던 2021학년도 서경대학교 정규학기가 마무리되었다. 올해로 코로나19가 지속된 지 3년째이기 때문에 대면활동이 크게 위축되어 정규수업은 물론 공모전이나 대외 활동 등 학생들이 참여하는 많은 비교과활동도 크게 위축되었다. 그래서 이번에는 위축되었던 활동들을 다시 활기차게 전환하고 전공 관련 스펙 쌓고 그리고 포트폴리오 완성을 다짐하는 학우들을 위해 2021학년도 동계방학에 시작되는 공모전을 소개한다. 각자의 관심 분야에 맞는 공모전에 참가해 값진 성과를 얻어 2022년 새해 상쾌한 출발을 하길 바란다. ■2021-22 한-메콩 교류의 해 기념 논문 공모전 외교부에서 2021년 12월 20일(월)부터 2022년 2월 28일(월)까지 '한-메 콩 교류의 해 기념 논문 공모전'을 개최한다. 해당 공모전은 한국과 메콩의 교류와 협력에 대한 청년들의 관심 및 연구의욕을 고취시킴과 동시에 새로운 한-메콩 협력분야 발굴을 위한 연구 저변 확대 도모를 취지로 두고 있다. 참가를 원하는 사람은 '한국과 메콩 협력의 미래 발전 방향 연구'를 주제로 논문을 작성하여 제출하면 된다. 대학교 재학생 및 휴학생 그리고 대학원생이라면 국적과 무관하게 접수할 수 있고 개인 및 3인 이내의 팀 참가가 가능하다. 단, 팀의 경우 대표 1인이 접수하는 방식을 진행된다. 시상은 최우수상, 우수상, 장려상으로 구분되며, 외교부에서는 최우수상(1편) 수상자에게 상금 300만원을, 우수상(2편) 수상자에게는 상금 200만원을, 마지막으로 장려상(5편) 수상자에게는 상금 100만원을 각각 수여할 예정이다. 해당 공모전과 관련된 자세한 정보 및 문의는 아래 논문 공모전 홈페이지를 참고하길 바란다. https://thesiscontest2021.com/ ■stop Covid-19 SW Challenge 아이디어 해커톤 재단법인 미래와 소프트웨어가 주최하고, 전자신문과 이티에듀 그리고 코드 클럽 한국위원회가 주관하는 'Stop Covid-19 SW Challenge 아이디어 해커톤'이 2021년 12월 28(화)일부터 2022년 2월 20(일)일까지 접수를 받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사회활동이 제한된 요즘, 교육이나 문화 등 여러 부문에서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해당 아이디어 공모전에는 이런 코로나19로 인해 발생한 사회 피해를 줄이고, SW를 기반으로 코로나 시대를 변화시킬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접수 받는다. 주제는 교육, 재택근무, 문화, 의료, 병역, 소상공인 부문으로 나뉘는데, 전 부문 자율주제로 참여할 수 있으며 아이디어 기획서는 글, 이미지, 도면, 표 등을 활용하여 자유롭게 표현하면 된다. 전국의 대학교 재학생이라면 누구나 참가 가능하며, 팀으로 참가할 시엔 인원이 3명으로 제한된다. 모든 일정은 온라인 비대면으로 진행이 되며 접수 기간이 끝나면 1차 서류 심사를 거친다. 합격자 발표 후에는 전문가 멘토링 기간을 거쳐 아이디어를 보완하고, 해커톤 본선에 진출하게 된다. 본선에 진출한 팀은 최종 발표를 하는데, 발표는 아이디어 최종 발표자료를 바탕으로 평가위원들의 실시간 평가가 진행되고 발표 시 설명에 필요한 추가 자료를 공유할 수 있다. 발표가 끝나면 질의응답 시간을 마지막으로 최종발표 심사가 마무리될 예정이다. 시상은 대상, 최우수상, 우수상, 장려상으로 구분되어 있고 대상(1팀) 수상자에게는 상금 500만원과 재단법인 미래와 소프트웨어 이사장상이 수여된다. 최우수상(1팀) 수상자에게는 상금 300만원과 전자신문 사장상이 수여된다. 우수상(2팀) 수상자에게는 상금 100만원과 이티에듀 사장상이 수여된다. 장려상(4팀) 수상자에게는 상금 100만원과 코드 클럽 한국위원회 이사장상이 수여된다. 시상식은 2022년 4월 1일(금)에 오프라인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해당 공모전과 관련된 자세한 정보 및 문의는 아래 이티에듀 홈페이지를 참고하길 바란다. https://www.etedu.co.kr/shop/item.php?it_id=1640589459 ■2022년 워터 웹시네마 단편영화제 공모전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가 개최하는'2022 워터 웹시네마 단편 영화제 공모전'이 2021년 12월 20일(월)부터 2022년 2월 21일(월)까지 접수를 받는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물을 소재로 활용하거나 물이 배경인 단편영화로 공모전에 출품할 수 있다. 장르에 제한은 두지 않으나, 작품의 길이는 엔딩 크래딧을 포함하여 10분 내외여야 한다. 또한, 작품은 반드시 출품 자 본인이 제작하거나, 관련 권리를 가진 영상이어야 하며, 사용된 음악 및 영상은 저작권 사용에 문제가 없어야 한다는 점 유의해야 한다. 접수 기간이 끝나면 2022년 3월 11일(금)까지 심사를 거치고, 2022년 3월 14일(월)에 결과 발표를 하게 된다. 시상식은 2022년 3월 21일(월)에 진행될 예정이다. 시상은 대상, 최우수상, 우수상, 장려상으로 구분되어 있다. 대상(1명) 수상자에게는 상금 1000만원과 환경부장관 상을 수여한다. 최우수상(1명) 수상자에게는 상금 500만원과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상을 수여한다. 우수상(2명) 수상자에게는 상금 200만원과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상을 수여한다. 장려상(6명) 수상자에게는 상금 50만원과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상을 수여한다. 해당 공모전과 관련된 자세한 정보 및 문의는 아래 2022 워터 웹시네마 단편영화제 운영 사무국 블로그 홈페이지를 참고하길 바란다. https://blog.naver.com/ilovekwater/222600128449 ■ 서울시 자치경찰 정책 아이디어 공모전 서울특별시 자치경찰위원회가 주최하는 '서울시 자치경찰 아이디어 공모전'이 2021년 12월 15일(수)부터 2022년 1월 19일(수)까지 접수를 받는다. 자치경찰 정책에 관심 있는 국민 누구나 주민 생활과 밀접한 생활 안전, 사회적 약자 보호, 교통 안전 분야에 관한 아이디어를 제안서로 제출하면 된다. 심사는 실효성, 참신성, 긴급성, 효과성을 고려하여 선정하고 작품은 본인이 직접 창작해야 입상이 가능하다 또한 입상 작의 모든 권리는 서울시 자치경찰 위원회에 귀속되는 것과 응모작이 동일한 경우 접수 순서에 따라 수상작이 선정됨을 유의해야 한다. 시상은 최우수상, 우수상, 장려상, 입선으로 구분되어 있다. 최우수상(1명) 수상자에게 100만원의 문화 상품권을 수여한다. 우수상(3명) 수상자에게는 50만원 문화상품권을 수여한다. 장려상(10명) 수상자에게는 20만원의 문화상품권을 수여한다. 마지막으로 입선(10명) 수상자에게는 5만원의 문화상품권을 수여한다. 해당 공모전과 관련된 자세한 정보 및 문의는 아래 내 손 안의 서울 홈페이지를 참고하길 바란다. https://mediahub.seoul.go.kr/gongmo/2000176 ■ 공공조달 빅데이터 경진대회 조달청과 사단법인 한국지능시스템학회가 개최하는' 공공조달 빅데이터 경진대회'가 2021년 11월 1일(월)부터 2022년 2월 25일(금)까지 접수를 받는다. 공공조달 데이터에 관심있는 국민 누구나 개인 또는 5인 이내 팀으로 참가할 수 있고 기획서 소스코드를 이메일로 접수하면 된다. 부문은 빅데이터 분석과 아이디어 기획으로 구분도어 있으면 조달청 공공조달 데이터를 필수로 활용해야 한다. 공공조달 데이터는 조달 정보 개방 포털, 온통 조달 등에서 볼 수 있고 필요시 다른 기관, 분야의 공공데이터 또는 민간 데이터와 융합이 가능하다. 심사는 서류 심사와 발표 심사 총 2단계로 진행되며 접수가 끝나는 2022년 2월 25일부터 2022년3월 11일까지 서류 심사가 진행되고 최종 수상자의 2배수를 선정하게 되며 2022년 4월 1일 발표 심사를 통해 최종 수상자를 선정하게 된다. 이후 2022년 4월 8일 시상식을 통하여 수상자를 시상한다. 시상은 빅데이터 분석 부문과 아이디어 기획 부문으로 나누어져 있고 빅데이터 분석의 대상(1팀) 500만원 최우수상은(1팀) 300만원 우수상(2팀)은 150만원이 수여된다 아이디어 기획의 대상(1팀)은 200만원 최우수(1팀)은 100먼원 우수(2팀)운 각각 50만원이 수여된다. 해당 공모전과 관련된 자세한 정보 및 문의는 아래 조달청 홈페이지를 참고하길 바란다. https://pps.go.kr/kor/bbs/view.do?key=00641&bbsSn=2111010006 ■ 전기안전 정책 경진대회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기안전공사가 개최하는 '전기안전 정책 경진대회'가 2022년 2월 1일(화)부터 2022년 2월 28일(월)까지 접수를 받는다. 참가는 대학부와 일반부로 구분되어 있으며 대학부는 대학(원) 재학생이 3인 이내 팀을 구성하여 참가할 수 있고 일반부는 만 19세 이상이면 누구나 3인 이내 팀을 구성하여 참가할 수 있고 전기 안전 법령에 관해 안전을 강화할 수 있는 주제로 정책 제안서를 작성하여 이메일로 접수하면 된다. 대회는 예선과 본선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예선은 서면으로 심사하여 우수제안의 2배수를 선정하고 본선은 현장 발표와 질의응답을 통해 우수제안을 선정한다. 예선은 2022년 3월 14일(월)부터 2022년 3월 18일(화)까지 진행되고 본선은 4월 둘째 주에 예정되어 있다. 시상은 대학부와 일반부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각 최우수상, 우수상, 장려상으로 구분되어 있다. 두 부문 모두 최우수상(2점)은 장관상과 400만원을 수여한다. 우수상(2점)은 기관장상과 200만원을 수여한다. 장려상(2점)은 기관장상과 100만원을 수여한다. 또한 최우수상 수상자의 경우 신입사원 채용 시 서류전형 우대 특전이 부여된다. 해당 공모전과 관련된 자세한 정보 및 문의는 아래 한국전기안전공사 홈페이지를 참고하길 바란다. https://www.kesco.or.kr/bbs/selectBbs.do <홍보실=김태훈 학생기자>
서경대학교 진로심리상담센터, 학생들의 정신건강 관리 및 심리방역 위해 올 겨울방학에도 ‘코로나 블루 OUT! 서경UC(Uncontact Counseling) 프로그램’ 운영
서경대학교 진로심리상담센터(민미희 교수)는 이번 2021학년도 겨울방학에도 학생들의 정신건강 관리 및 심리방역을 위해 코로나 블루 OUT! 서경UC(Uncontact Counseling)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금번 프로그램은 코로나 19로 인해 긴장되고 고단한 마음을 돌아볼 수 있도록 올바른 스트레스 관리 및 정서 돌봄의 내용으로 전문적인 개인상담 및 집단상담을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해 생기는 고립감, 소외감 등의 문제를 가질 수 있어 서로의 생활상과 마음을 나눌 수 있는 통로의 장을 제공하고자 일주일에 2~3개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열어 소통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이번 프로그램은 미술매체를 통한 정서 돌봄과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자기이해를 돕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미술매체 프로그램은 3개의 테마 주제로 스트레스를 다룰 수 있도록 하여 시리즈로 이루어졌다. 첫 번째 주제, 자신의 마음 살피기‘Ⅰ. 스트레스 휘뚜루마뚜루 살펴보기’프로그램은 1월 6일(목)과 13일(목) 두 차례 오후 1시부터 4시까지 진행된다. 미술매체 두 번째 주제, 자기이해 및 스트레스 살펴보기‘Ⅱ. 스트레스 휘뚜루마뚜루 이해하기’프로그램은 2월 10일(목) 오후 1시부터 4시까지 진행된다. 마지막 시리즈로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Ⅲ. 스트레스 휘뚜루마뚜루 다루어가기’프로그램은 2월 17일(목) 오후 1시부터 4시까지 진행된다. 명상기법과 미술매체를 활용한‘만다라로 여는 겨울방학의 아침’프로그램은 1월 10일(월), 12일(수), 14일(금) 세 차례 오전 10시부터 12시에 진행된다. 또, 자기이해를 통한 진로설계 ‘나를 브랜딩하다! 퍼스널 브랜딩(기초)’프로그램은 2월 9일, 16일, 23일 매주 수요일 3주간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진행된다. 이번 겨울방학에 운영되는 코로나 블루 OUT! 서경UC(Uncontact Counseling) 프로그램은 코로나 19로 인한 심리적 위기에 대한 예방 및 대처능력 함양을 비롯하여 대학생활 적응력을 높일 수 있도록 온라인을 통해 진행될 예정이다. 방학에 진행되는 모든 프로그램은 교내 포털 사이트에서 신청받아 온라인(zoom)을 이용해 진행된다. 각자 이용하기 편리한 장소에서 참여할 수 있도록 집단 프로그램 진행 하루 전에 온라인 링크를 문자로 전송하고 있다. 또한, 집단 프로그램에서 필요한 미술재료 및 워크지 등은 이메일 및 택배 배송으로 학생들이 편리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어 미술프로그램을 신청한 학생들은 프로그램 진행 5일 전에는 포털에서 신청을 해두어야 한다. 앞서, 지난 1학기, 여름방학, 2학기에 진행된 2021학년도 코로나블루 OUT! 서경UC(Uncontact Counseling) 프로그램의 집단 프로그램 갯수는 70여 개에 달했으며 650명 정도의 학생이 참여하였다. 프로그램에 참가한 4학년 고정은 학생은“프로그램 시작 때보다 다들 즐거워진 표정을 느낄 수 있었고, 서로 일상을 나누는 자연스러운 대화도 못하는 시기에 대화나누는 기회가 무척이나 소중하고 귀한 시간으로 느껴졌다”며 “프로그램을 통해 나의 내면을 튼튼하게 만들 수 있는 계기가 되어 감사하다.”고 전했다. 또, 3학년 유기쁨 학생은 “비교과 프로그램 중 재미있어 보이는 영화 프로그램을 참여해보았는데, 같은 영화를 보며 각자 다른 생각이 있었고 그것을 나누어가며 나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사람이 있고, 또 내 이야기를 귀 기울여 들어주는 곳이 있다는 것에 마음이 편안해지기도 했다.”고 밝혔다. 그리고 1학년김하늘 학생은 “프로그램을 마치고 나서는 평소의 나조차도 인식할 수 없었던 내면 깊은 곳의 감정들을 마주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런 마주함에 용기가 있어야 한다는 점도 깨달았다. 용기를 내어 함께 이야기 나누며 공감과 위로했던 시간이 가치롭게 느껴졌다. 그리고 지쳐가는 사회가 되더라도 내가 프로그램에서 겪은 것처럼 서로의 온기를 나누어 줄 수 있는 사람들이 많아지기를 바래보며, 내가 먼저 그런 사람이 되겠다고 다짐하는 기회도 되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서경대학교 진로심리상담센터에서는 코로나 19 확산이 지속되면서 코로나 블루 등 우울감 및 불안, 긴장, 분노 등의 감정들을 해소할 기회를 가지지 못할 재학생들의 심리건강을 챙기기 위해 지난 2020년부터 심리적 방역 차원의 온라인 집단 프로그램을 학기 중에는 물론 방학기간에도 지속적으로 운영해 오고 있다. 민미희 서경대 진로심리센터장은“2년간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 19로 인해 학생상담의 방식은 달라질 수 밖에 없었는데, 본교에서 다양한 주제로 진행하고 있는 줌을 활용한 비대면 집단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코로나 19로 인한 우울, 위축 등 코로나 블루 극복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파악돼 진로심리상담센터에서는 방학 중에도 코로나 블루 극복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며,“2022학년도에도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등 사회변화와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혁신적인 상담체계 구축을 통해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과 마음 건강을 지원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pan/site/data/html_dir/2022/01/13/2022011300710.html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40403 에듀동아 http://edu.donga.com/?p=article&ps=view&at_no=20220113152954573937 교수신문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83991 베리타스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04084 한국대학신문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522633
『수강 신청 5초컷! 우리 대학 인기 교양과목 소개』 <1> ‘인터넷 윤리’, ‘영화 속 법과 윤리’
재작년 초부터 3년째 계속되고 있는 코로나 19 확산 및 장기화로 대부분의 학교수업이 비대면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되면서 학생들은 대면수업 때와 다른 생활방식과 새로운 학점 취득 전략을 세우는 등 대학생활 전반에 큰 변화를 겪고 있다. 대부분의 수업이 비대면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되면서 통학을 하지 않아도 되는 학생들은 통학시간으로 사용했을 시간동안 자기개발에 힘쓰거나 아르바이트를 하는 등 보다 여유로운 스케줄을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우리 대학은 2021학년도 2학기부터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한해 강의 정원의 50%까지 A+~Ao등급을 부여할 수 있도록 성적평가 방식을 변경하였다. 이렇듯 한 학기의 성적과 생활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강의 시간표라 할 수 있다. 우리 대학의 경우 각 학과·전공·학년 별로 졸업요건이 상이한데 그 중 대다수의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수강하는 교양선택 과목들 중 수강신청 첫 날 눈 깜짝할 사이에 신청이 마감되는 대표적인 우리 대학 인기 교양과목들이 있다. 이에, 다가올 2022학년도 1학기 수강신청을 앞두고 서경대학교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학과·전공·학년에 관계없이 수강할 수 있는 우리 대학의 인기 교양선택 과목 10개를 선정하여 소개하는 시리즈를 마련하였다. 그 첫 번째 시간으로 ‘인터넷 윤리’와 ‘영화 속 법과 윤리’ 강의를 진행하는 이준복 교수를 만나 각 과목에 대한 소개, 이 교수가 생각하는 강의가 학생들에게 인기가 많은 이유, 대면수업 상황과 비대면 수업 상황일 때 강의방식의 차이, 수강신청 전 학생들이 참고하면 좋은 사항 등 강의에 대한 전반적인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 인터뷰: 이준복 공공인재학부 경찰행정전공 주임교수 ‘인터넷 윤리’, ‘영화 속 법과 윤리’ 강의를 진행하는 이준복 교수 <인터넷 윤리> - ‘인터넷 윤리’는 어떤 수업인가요? 이준복 교수: “본 강좌는 인터넷과 윤리, 그리고 양자 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는 교양강좌입니다. 여기에서 윤리란, 도덕과 동일한 개념이고, 인간사회에서 반드시 준수해야 할 인간의 행위인 윤리를 인터넷상에서는 네티켓(Netiquette)이라고 합니다. 즉, 이러한 윤리 중에 인터넷에서 인간사회가 반드시 실천해야 할 인간의 행위를 인터넷 윤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인터넷 윤리에 위반하는 행위, 예컨대 개인정보 침해, 게임중독, 해킹, 바이러스, 인터넷상 명예훼손, 디도스(DDoS), 불건전한 표현, 인터넷 광고에서의 문제점 등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고민합니다. 따라서 본 강좌에서는 법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인터넷 윤리와 그에 적용되는 근거 법령, 사례 및 판례에 대해 살펴보는 매우 유익한 수업입니다.” 지난 2021학년도 2학기에 진행했던 ‘인터넷 윤리’강의 중 일부 - 학생들에게 인기가 많은 특별한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이준복 교수: “본 강좌를 수강하는 학생들인 MZ세대에게 인터넷은 매우 친숙하고 실생활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매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학습, 게임, 대화, 정보공유, 전자상거래, 금융거래 등 수많은 행위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긍정적인 효과와 함께 여러 가지 부정적인 문제점들이 함께 존재하기 때문에 피해자가 되기도 하고, 때로는 자신의 의도와는 다르게 가해자가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실생활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고 그동안 인식하지 못했던 사례들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관심도가 높다고 생각합니다.” -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어떤 것을 배우고 느끼시길 바라나요? 이준복 교수: “본 강좌를 통해 지금까지 인터넷 공간에서의 자신의 행동을 뒤돌아보고, 그 행동의 의미와 자신의 권리 및 상대방의 권리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어떤 학생에게 이 수업의 수강을 권하고 싶은가요? 이준복 교수: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는 학생은 없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본 강좌는 우리 학교 의 모든 학생들에게 권유하고 싶고,가능한 많은 학생들이 본 강좌를 통해 뭔가 하나라도 깨닫고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 대면 수업일 때와 비대면 수업일 때 강의방식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이준복 교수: “대면 수업으로 진행했을 때는 인터넷 윤리와 관련성 있는 영화, 예컨대 <마이너리티 리포트>, <레디 플레이어 원> 등을 교육 목적에서 함께 시청해보고 얘기를 나눠볼 수 있는 기회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형식적이고 피드백이 없는 과제물에 그치지 않고,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과제물 중간 발표회를 통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강의로 진행을 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비대면 방식에서는 여러 한계점이 있기 때문에 이런 것들을 진행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다만, 비대면 수업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수업 시간 중에 줌(ZOOM)을 통해 관련성 있는 영상자료를 공유했고, 학생들이 개별적으로 카톡, 이메일 등을 통해 과제물에 대한 의문 사항이나 참고할만한 학술자료를 요청하여 실질적인 피드백이 가능했습니다.” - 강의를 하면서 가장 보람을 느끼는 순간이 언제인가요? 이준복 교수: “본 강좌는 매 주차별 수업시간 전에 짧게나마 리뷰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질의응답을 통해 복습 및 예습을 하고,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는데, 이 과정에서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수업태도를 볼 때 가장 보람을 느꼈습니다. 특히, 인터넷상에서 자신의 실수나 잘못된 행동을 반성하고 무엇이 문제였고, 어떻게 개선하는 것이 좋은지 스스로 깨달을 때 본 강좌의 수업의 목표는 이미 달성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영화 속 법과 윤리> - ‘영화 속 법과 윤리’는 어떤 수업인가요? 이준복 교수: “본 강좌는 교양과목으로서 영화나 드라마를 통해 법과 윤리 등 사회현상을 찾아보고, 문제점이 무엇인지, 해결방안은 어떠해야 되는지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다른 수강생과 공유하는 것이 주된 내용입니다. 각 주차별 관련 영화를 모두 시청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영화 리뷰 영상을 함께 시청하고 이와 연관된 기초 이론과 사례, 자신의 의견 개진하기, 반대 주장 경청하기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영화 속에서 우리가 간과하지 말고 갖춰 나아가야 할 필수적인 요소가 무엇인지 스스로 깨닫는 교과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난 2021학년도 2학기에 진행했던 ‘영화 속 법과 윤리’강의 중 일부 - 학생들에게 인기가 많은 특별한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이준복 교수: “영화나 드라마 등 영상에서 나타나는 법과 윤리를 찾아보는 과목이기 때문에 다른 강좌에 비해 출발점이 신선하고 흥미로우며 친숙한 부분이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미 잘 알려진 영화부터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작품성이 높은 영화까지 리뷰영상 자료를 함께 공유해보면서 그 속에서 법과 윤리 측면을 스스로 찾고, 다른 학생들과 함께 공감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과목입니다. 따라서 기본 바탕 내지는 중심이 영화나 드라마이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호응도가 높은 것으로 생각합니다.” -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어떤 것을 배우고 느끼길 바라나요? 이준복 교수: “그동안 영화나 드라마를 흥미위주로 혹은 단편적인 관점에서 바라봤던 것에서 그치지 말고, 그 안에서 법과 윤리, 제도나 정책, 역사적 흐름 및 오늘날의 평가 등의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어떤 학생에게 이 수업을 권하고 싶은가요? 이준복 교수: “본 강좌는 영화나 드라마 시청을 좋아하는 학생만 들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예측컨대, 대부분의 학생들은 영화나 드라마를 자주 보지는 않더라도 최애 영화나 드라마(친구에게 추천하고 싶은 영화)는 분명히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특정 영화에 구애 받지 않고 자신이 감명 깊게 봤던 영화나 드라마를 다시 본다든가 혹은, 처음 접하지만 관심 있는 분야의 영화를 통해 어떤 메시지를 담고 있는지, 담고 있는 메시지는 과연 법·윤리와 어떤 관련성을 지니고 있는지 등을 살펴보기를 희망하는 학생에게 수강을 권유하고 싶습니다.” - 대면 수업일 때와 비대면 수업일 때 강의방식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이준복 교수: “2021학년도 2학기에 처음 담당한 과목이라서 대면 수업의 경험은 없습니다. 그러나 대면으로 진행한다면 영화를 함께 상영해보고 그 이후에 토론하는 과정, 과제물 중간 평가 시간 등을 진행함으로써 본 수업의 취지를 더욱 살릴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 강의를 하면서 가장 보람을 느끼는 순간은 언제인가요? 이준복 교수: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되어 아쉬운 부분이 있지만, 학생들 대부분이 원칙을 잘 준수해주어서 무척 뿌듯했습니다. 여러 번 강조했던 것들 중 하나가 원칙이 지켜져야 예외가 의미 있다는 말인데, 카메라 및 마이크 활성화 등의 원칙이 지켜짐으로써 학생 입장에서는 수업에 집중할 수 있고, 교수 입장에서는 보다 원활하게 수업을 진행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자신의 얼굴이 노출되는 이유로 부담을 느낄 수 있었겠지만, 모든 학생과 교수자 간의 약속을 성실히 이행하고, 질의응답 과정에서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에서 큰 보람과 관심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 서경대학교 학생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이준복 교수: “코로나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얼굴을 마주하며 수업을 진행하지 못해 너무 아쉽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상 수업에 성실하게 의욕적으로 임해준 우리 서경대학교 학생들 모두에게 이 자리를 빌려 깊은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2022학년도에는 대면 수업을 희망하고 기대해보며, 교정에서 여러분들을 만날 수 있는 날이 오리라 믿습니다. 그 때 반갑게 인사를 하며 서로의 안부를 직접 물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항상 강의 끝에 했던 얘기이기도 한데, 코로나 방심하지 말고 방역수칙 잘 지키는 건강한 겨울방학이 되었으면 합니다. 이는 곧, 평범한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고, 지금까지 모두의 고생이 결실을 맺을 수 있는 길이기때문입니다. 지난 2년 동안 여러 어려움 속에서도 열정과 희망을 잃지 않고 학업에 전념하느라 정말 고생 많았습니다. 고맙습니다.” <홍보실=최호기 학생기자>
서경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맞춤형 교수역량 함양 위한 ‘교안 컨설팅 프로그램’ 운영
12월 20일부터 2주간, Zoom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컨설팅으로 진행 서경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센터장 이지나 교수)는 맞춤형 교수역량 함양을 위해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일환으로 12월 20일부터 2주간 교안 컨설팅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2020학년도부터 진행해 온 교안 컨설팅 프로그램은 교수자들의 체계적인 교수학습 설계와 수업역량 강화를 위해 교육과정 전문가를 초빙해 강의 관련 교육활동의 세부적인 계획을 담은 교안(교수학습지도안, Lesson Plan)을 중심으로 컨설팅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금번 컨설팅은 Zoom을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컨설팅으로 진행되었으며 교수자가 수업 운영 시 느끼는 문제점과 개선 요구사항을 제시하고 컨설턴트(조호제 고려대학교 겸임교수)가 이에 대한 자료를 수집해 분석한 후 해결책을 구체적으로 제안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분석결과는 문제진단 및 해결방안, 영역 별 체크리스트, 총평 등으로 나누어진 보고서로 작성돼 교원에게 제공됐다. 컨설팅에 참여한 교수들은 “전공의 특수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컨설팅이 차후 수업을 구성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전문가와 수업 개선방향을 탐색함으로써 교수법에 대해 깊이 있게 성찰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교수학습지원센터는 교안 컨설팅 외에도 수업을 모니터링하여 자신의 강의를 객관적으로 관찰 및 평가할 수 있는 마이크로 티칭, 체계적인 수업 관리와 교수활동에 대한 분석적인 자기성찰 기회를 제공하는 티칭 포트폴리오 연구지원 등 맞춤형 교수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해 오고 있다. <관련기사>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pan/site/data/html_dir/2022/01/11/2022011100799.html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39806 에듀동아 http://edu.donga.com/?p=article&ps=view&at_no=20220111103915105921 한국대학신문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522490 베리타스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03862 교수신문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83974 내일신문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410998 스마트경제 http://www.dailysmart.co.kr/news/articleView.html?idxno=54793
서경대학교 창업지원센터, 재학생들의 창업 마인드 제고 및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해 2021학년도 ‘기업가정신함양 릴레이 프로그램’ 실시
총 6회에 걸쳐 비대면 실시간으로 성황리에 진행전공연계 창업 마인드,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사고 확산 서경대학교 창업지원센터(센터장 김국희 교수)는 서경대학교 재학생들에게 창업 마인드를 제고하고 기업가정신을 함양시키기 위해 총 6회에 걸쳐 ‘기업가정신 함양 릴레이 프로그램’을 실시했다.250여 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간 비대면으로 성황리에 이루어진 이번 ‘기업가정신 함양 릴레이 프로그램’은 액셀러레이터 대표, 스타트업 전문가, 현직 CEO 등을 강사진으로 구성해 △스타트업의 비전과 전략 △아이템의 비즈니스화를 위한 도식화에 대한 이해 △위기관리를 극복하기 위한 기업가정신 △사례로 보는 기업PR의 창의적 활용과 리더십 △창업을 위한 해외 명품 브랜드의 Value 창출 Benchmarking △패션 브랜드 ‘듀이듀이’의 창업 성공 등 다양한 주제로 진행되었다. 특히 금번 프로그램은 창업 교과목과 연계하여 직접적인 창업 경험 및 노하우 등을 전수하는데 중점을 둬 참가자들로부터 창업을 준비하고 진행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고 동기부여도 되었다는 호평을 받았다.서경대학교 창업지원센터장인 김국희 교수는 “‘기업가정신 함양 릴레이 프로그램’은 서경대학교의 체계적인 창업지원 프로세스 확립과 교내 창업문화를 확산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며 “창업지원센터는 본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창업 교과목 및 비교과와의 연계를 통한 창업지원 프로세스 체계의 확립에 기여하고 서경대학교 재학생들이 기업가정신 교육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창조적 역량을 증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관련기사>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pan/site/data/html_dir/2022/01/06/2022010601030.html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38608 에듀동아 http://edu.donga.com/?p=article&ps=view&at_no=20220106151930248237 대학저널 http://www.dh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2028 한국대학신문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522291 교수신문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83569 베리타스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03510
서경대학교 2022학년도 정시모집 경쟁률 9.01대 1, 전년 대비 소폭 상승
서경대학교는 1월 3일 2022학년도 정시 신입생 모집 원서 접수를 마감한 결과, 724명 모집(정원 내)에 6,525명이 지원해 평균 9.01대 1의 경쟁률을 기록, 2021년 8.81대 1(611명 모집, 5,385명 지원)보다 소폭 상승했다. 지난 12월 30일부터 진행된 정시모집에서 가군은 95명 모집에 2,571명이 지원해 27.06대 1, 나군은 20명 모집에 267명이 지원해 13.35대 1, 다군은 489명 모집에 3,498명이 지원해 7.15대 1의 경쟁률을 각각 나타냈다. 경쟁률이 가장 높은 학과는 실용음악학과 보컬전공으로 5명 모집에 846명이 지원, 169.20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실용음악학과 싱어송라이터 전공이 100.00대 1, 기악/드럼 전공이 69.00대 1, 작곡 전공이 68.00대 1, 공연예술학부 연기전공이 64.40대 1, 모델연기 전공이 12.63대 1, 무대패션 전공이 9.77대 1, 뮤지컬전공 20.10대 1, 디자인학부 생활문화디자인 전공이 24.13대 1, 시각정보디자인전공이 11.09대 1, 무용예술학과 실용무용 전공이 18.40대 1을 나타냈다. 그밖에 음악학부 관현악 관악(트럼펫)전공이 20.00대 1, 영화영상학과 21.80대 1, 광고홍보콘텐츠학과 6.00대 1, 나노화학생명공학과 8.52대 1, 토목건축공학과 5.06대 1, 경영학부 5.74대 1, 뷰티테라피&메이크업학과 6.00대 1, 헤어디자인학과 4.75대 1, 메이크업디자인학과 6.60대 1, 아동학과 5. 13대 1,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6.12대 1, 전자공학과 5.00대 1, 도시공학과 5.00대 1, 컴퓨터공학과 4.98대 1, 공공인재학부 공공인재 전공 5.24대 1, 경찰행정 전공 4.58대 1, 물류시스템공학과 4.00대 1, 소프트웨어학과 5.90대 1, 금융정보공학과 4.09대 1, 군사학과 3.90대 1을 기록했다. 한편, 2022학년도 정시모집 서울지역 4년제 종합대학 경쟁률을 보면 가톨릭대 5.68대 1, 중앙대 10.67대 1, 삼육대 9.57대 1, 홍익대(서울) 12.96대 1, 상명대 5.36대 1, 한양대(서울) 4.94대 1, 고려대(안암) 3.57대 1, 서울대 4.13대 1, 연세대(서울) 4.76대 1, 광운대 6.95대 1, 덕성여대 7.30대 1, 서울시립대 4.42대 1, 성균관대 4.76대 1, 성신여대 6.65대 1, 세종대 6.48대 1, 숙명여대 4.99대 1, 숭실대 7.48대 1, 이화여대 4.23대 1, 한성대 5.35대 1, 건국대 7.22대 1, 동덕여대 8.50대 1, 서울여대 7.00대 1, 경희대 5.16대 1, 국민대 6.12대 1, 서강대 5.34대 1, 한국외대 6.79대 1, 동국대(서울) 6.02대 1, 명지대 6.33대 1 등으로 전년 대비 대부분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서경인 인터뷰: ‘대한전자공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장려상 수상 이태학(컴퓨터공학과 16학번) 학우,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경진대회’ 임베디드SW-System산업협회 회장상 수상 정다은(컴퓨터공학과 18학번) · 김나영(컴퓨터공학과 18학번) 학우
서경대학교 컴퓨터공학과 학우들의 수상 소식이 잇따라 들려오고 있다. 먼저 컴퓨터공학과 4학년 이태학 학우가 ‘대한전자공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학부생 논문 경진대회에 참여해 장려상을 수상했다. 또, 같은 학과 정다은(팀장), 김나영(팀원), 김선진(팀원), 이슬기(팀원) 학우가 속한 ‘아이스팀’이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경진대회’에 참가해 임베디드SW-System산업협회 회장상을 받았다. ‘대한전자공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는 지난 11월 26일(금), 27일(토) 이틀간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렸다.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는 학회 회원들의 다양한 연구 성과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참가자들은 자신들이 작성한 논문을 토대로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태학 학우는 이번 논문 경진대회에서 ‘모바일 게임플레이 행동 정책을 위한 YOLOv3 기반 강화학습’을 주제로 연구한 논문을 발표했는데, 이는 게임 이미지를 기반으로 플레이 방식을 학습하는 AI에 관한 내용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임베디드소프트웨어·시스템산업협회가 주관하는 ‘제19회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경진대회’는 지난 4월 26일(월)부터 신청 및 계획서를 접수받아 교육과 본선 기간을 거쳐 11월 17일(금)에 있은 결선까지 총 7개월의 시간이 걸렸다. 2003년에 처음 막을 연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경진대회’는 국내 유일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전문 경진대회로, 명실상부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에 대한 창의적 인재의 등용문으로 국내 임베디드 산업계의 인력난 해소에 기여해 왔다. 총 6개 공모 부문 중 서경대학교의 ‘아이스’팀은 ‘지능형 휴머노이드’ 부문에 참여해 이족 보행 로봇 하드웨어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제작했다. 경진대회에서 많은 사람들의 인정을 받으며 입상한 이태학 학우와 ‘아이스 팀’의 정다은, 김나영 학우를 만나 대회에 참가하게 된 계기와 도움이 되었던 교내 수업, 경진대회를 준비하고 참가하면서 겪었던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했는지 등에 관해 물어보았다. ■인터뷰1: 컴퓨터공학과 16학번 이태학 학우 컴퓨터공학과 이태학 학우 - 안녕하세요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서경대학교 컴퓨터공학과 16학번 이태학입니다. ‘2021년 대한전자공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모바일 게임플레이 행동 정책 학습을 위한 YOLOv3 기반 강화학습’이라는 주제의 논문으로 장려상을 수상했습니다.” - 먼저 대회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소감 한 말씀 부탁드릴까요? “열심히 준비했던 만큼의 성과가 있어서 기쁩니다.” - ‘학부생 논문경진대회’를 어떻게 접했고, 참여하게 된 계기는 무엇이었나요? “저는 학부 생활 동안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해오면서 어려움이 있을 때마다 해당 분야의 논문을 읽으며 문제를 해결해왔습니다. 그러던 중 자연스레 ‘나도 논문을 투고해보고 싶다’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이후 졸업작품 프로젝트로 구상한 내용을 교수님께 말씀드렸더니, 교수님께서 제 아이디어를 칭찬하시며 학부생 논문경진대회 참여를 권해 주셔서 논문을 투고하게 되었습니다.” - ‘모바일 게임플레이 행동 정책 학습을 위한 YOLOv3 기반 강화학습’을 주제로 논문을 작성하셨는데, 이 주제를 선정하신 이유와 작성하신 내용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먼저 주제를 선정한 이유에 관해 이야기하자면, 저는 실제 산업 현장에서도 적용할 수 있을 프로젝트를 진행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계속하고 있었어요. 학부 생활 동안 수행했던 과제나 프로젝트는 잘 짜인 기성 프로그램 환경 내에서 자신의 프로그램을 덧붙이는 형태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실제 산업 현장에서는 더욱더 많은 제약사항이 있을 게 분명하고, 이를 대비해야겠다는 위기의식을 항상 가지고 있었죠. 제 프로젝트가 실제 상용화된 프로그램들과 동등한 수준은 아닐지라도, 이걸 진행해보면 저 스스로가 제약이 있는 환경에 맞춰 SW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역량을 기르는 것에 도움이 되리라 판단했습니다. 저는 특히 ‘강화학습’이라는 분야를 제 진로로 두고 공부하고 있는데, 이는 해결해야 할 문제를 얼마나 정확하고 세밀하게 표현했는지에 따라 성능이 크게 좌우되는 분야예요. 따라서 문제표현이 어려운 경우 솔루션으로서 사용할 수 없다는 제약이 있죠. 이를 극복하고자 “문제표현이 어려운 비정형데이터(구조화가 되어있지 않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하는 AI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는 없을까?”라는 생각을 가지고 ‘게임 화면을 기반으로 게임플레이 방식을 학습해 나가는 AI’를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모바일 게임플레이 행동 정책 학습을 위한 YOLOv3 기반 강화학습’은 게임 이미지를 기반으로 게임플레이 방식을 학습해 나가는 AI에 대한 내용입니다. 총 3가지 AI 모델이 존재하는데, 혼자 공부하는 모델과 예·복습하는 모델, 여럿이 그룹스터디를 통해 학습하는 모델이 있습니다. 각 AI 모델들은 입력으로 들어온 이미지를 해석하여 문제 상태를 표현하고, 현재 상태에서 고득점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스스로 생각하여 행동하게 됩니다. 이후에는 학습 환경으로부터 행동에 대한 평가를 부여받고, 이를 통해 “고득점을 위해 어떠한 행동정책을 가져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점진적으로 학습해 나갑니다.” - 학부생으로서 논문작성이 익숙지 않아 어려움을 겪으셨으리라 생각이 듭니다. 경진대회를 준비하고 참여하면서 겪었던 어려움은 무엇이었고 어떻게 극복했는지 말씀해 주세요. “아무래도 첫 논문이다 보니 내용을 모두 싣는 것에만 치중하여 전체적인 글의 짜임새, 문장구조와 같은 디테일을 정리하는 것이 아주 어려웠습니다. 논문은 또 다른 지식의 기반이 되어 주어야 하는데, 가독성이 떨어지면 아무리 내용이 좋아도 다른 연구원들이 참고할 수가 없어요. 하지만 제가 소속한 연구실 교수님이신 조영완 교수님께서 논문을 작성하는 방법과 여러 디테일들에 대해 상세히 짚어 주셔서 이를 극복하고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었습니다.” - 경진대회 참여를 통해 무엇을 얻었다고 생각하시나요? “우선 대학원 진학을 앞둔 시점에서 연구자로서의 첫발을 내디뎠으며, 시작부터 좋은 평가를 받아 너무 기쁩니다. 이 모든 과정이 경험이 되어 앞으로 또 다른 학회발표에 참여할 때 무엇에 중점을 두고 준비해야 하는지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또한, 제 목표를 이루는 데 도움이 되어 줄 수상 경력도 얻을 수 있었죠.” - 수상에 도움이 되었던 학교 수업이 있었나요? “제가 들었던 모든 전공 수업의 도움을 받았어요. 그중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수업은 ‘딥러닝’과 ‘강화학습’에 대해 배웠던 이광엽 교수님의 <딥러닝>, 조영완 교수님의 <지능시스템>입니다. 그 밖에도 ‘강화학습’ 시스템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을 배울 수 있었던 박태룡 교수님의 <공학수학>, 김재현 교수님의 <확률과통계>, 다개체 참여 학습시스템을 만드는 데 필요한 임철수 교수님의 <운영체제>, 이대원 교수님의 <컴퓨터네트워크>, 학습 간 사용되는 샘플데이터를 조작하는 데에 필요한 손용락 교수님의 <데이터베이스> 등의 수업이 도움이 되었습니다.” - 경진대회 수상 경력자로서 입상을 꿈꾸는 서경대학교 학우들에게 조언 한마디 부탁드립니다. “성과에 대해 조바심내지 말고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주체적으로 연구하며 나아가다 보면 수상 여부와는 관계없이 지식과 경험이 남게 됩니다. 다른 분야의 경진대회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없어 컴퓨터공학과를 특정하여 말하자면, 본인이 정한 구체적 진로가 있다면 해당 분야에서 나온 논문들을 읽어보며 실제로 적용해 보고, 그것을 보완해 나가며 프로젝트를 진행해 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어서 그러한 프로젝트들을 관련 공모전 등에 많이 출품해보면 그중에서 수상하는 작품이 생길 가능성이 큽니다. 구체적인 진로가 없는 경우에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탄탄하게 하고 여러 대회에 참가하는 것이 수상 확률을 높이는 데 좋다고 생각합니다. 분야를 막론하고 중요한 것은 ‘수상’이라는 타이틀에 조바심내지 않는 것입니다.” - 앞으로의 계획이나 목표에 대해 말씀해 주세요. “대학원에 진학한 후 분산강화학습 분야에 대해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해당 기술을 기반으로 한 AI 기반 IT서비스를 창업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 인터뷰2: 컴퓨터공학과 18학번 정다은 학우, 김나영 학우 '아이스팀' 팀원들. 좌측 위부터 컴퓨터공학과 정다은, 김나영, 김선진, 이슬기 학우 - 안녕하세요.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정다은“안녕하세요. ‘아이스팀’의 팀장 컴퓨터공학과 18학번 정다은입니다.” 김나영“안녕하세요. 컴퓨터공학과 김나영입니다.” - 먼저 대회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소감 한 말씀 부탁드릴까요? 정다은“감사합니다. 지도교수님의 도움을 받아 팀원들과 오랜 기간 함께 개발을 진행했는데, 소중하고 값진 경험이었던 것 같습니다.” 김나영“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경진대회는 올해로 2번째 참가인데요, 작년 첫 번째 참가 때는 본선 진출도 하지 못하고 탈락해서 많이 아쉬웠습니다. 하지만 이번 대회에서는 상위 10팀 안에 들었고 입선까지 하게 되어 너무 기쁩니다.” -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경진대회’를 어떻게 접했고 참여하게 된 계기는 무엇이었나요? 정다은“컴퓨터공학과 동아리인 ‘로봇스터디’에서 매년 참가하던 대회인데, 스터디 내에서 훌륭한 부원들을 만나게 되어 이번에는 수상해보고자 함께 팀을 꾸려 참가하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에 대해 깊게 공부해보고자 도전하게 되었습니다.” 김나영“저는 2학년 때부터 지금까지 3년간 ‘로봇 스터디’ 활동을 이어오고 있는데, 그곳에서 배운 것을 바탕으로 부원들끼리 팀을 구성하여 대회를 참가하기로 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이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경진대회’라는 좋은 대회 참여 기회를 가질 수 있었습니다.” - 참여하신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경진대회’는 예선부터 결선까지 총 7개월간의 긴 여정이었습니다. 길었던 대회기간만큼 준비하는 데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셨을 것 같아요. 어느 부분에 가장 중점을 두고 대회를 준비하셨나요? 정다은 “경진대회에서 사용한 로봇은 두 개의 보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나의 보드에서는 영상처리에 관한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했고, 또 다른 보드에서는 로봇 제어에 관한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했죠. 이 과정에서 보드 간 통신이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하는데, 통신 중에 오류가 생기지 않도록 팀원들이 각자 담당한 부분에 대해 끊임없이 소통하는 과정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김나영 “이제껏 동아리 활동을 하면서 쌓은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미션들을 하나하나 해결해 나갔는데, 그 과정에서 제가 가장 노력을 기울였던 부분은 영상처리와 로봇 제어였습니다. 파이썬을 사용한 영상처리 기술로 로봇에게 행동 명령을 내리고, 로보 베이직을 사용한 로봇 제어 기술로 로봇의 관절 하나하나를 직접 움직였습니다.” '아이스팀'의 미션장 - 경진대회를 준비하고 참여하면서 겪었던 어려움은 무엇이었고 어떻게 극복했는지 말씀해 주세요. 정다은 “보드 간 통신이 가장 중요했기 때문에 팀원 모두가 프로그램의 전체 흐름과 구조를 이해하고 있어야 했습니다. 개발 도중에 이 과정에서 한 차례 어려움을 겪어서 하던 것을 모두 중단하고 전체 프로그램을 모든 팀원이 이해하도록 다시 구조화하여 개발을 재개했던 적이 있었어요.” 김나영 “가장 큰 어려움은 글자 인식 부분이었어요. 처음에는 글자를 인식하기 위한 기술로 딥러닝을 사용하고자 했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고 용량이 크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이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많이 고민하고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겪었어요. 고민 끝에 템플릿 매칭이라는 이미지 비교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속도와 용량에 문제없이 글자 인식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경진대회 참여를 통해 무엇을 얻었다고 생각하시나요? 정다은“팀원들과 협력하여 공동의 태스크를 진행한 경험을 얻었습니다. 팀의 개선을 위해 현 상황을 객관화하고 팀원들과 활발한 소통을 통해 부족한 점과 개선할 점들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키울 수 있었습니다. 또한, 임베디드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개발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김나영“작년에 처음 도전했던 경진대회에서 부족했던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1년 동안 더욱 열심히 영상처리와 알고리즘 공부를 했습니다. 그 과정이 있었기 때문에 더욱 저 자신이 발전한 것 같고, 올해 입선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앞으로의 발전을 위해 더더욱 노력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수상에 도움이 되었던 학교 수업이 있었나요? 정다은“저는 영상처리 부문을 맡았었는데 기본적인 이미지 전처리부터 직선 추출을 위한 허프변환 알고리즘까지 김진헌 교수님의 <영상처리> 수업에서 많이 도움을 받았습니다. 또, 보드 간 통신이나 응용 모듈을 사용하기 위한 지식을 이광엽 교수님의 <임베디드시스템> 수업에서 얻고 경험해서 경진대회에서 수월하게 개발을 진행할 수 있었어요.” 김나영“가장 도움이 되었던 수업은 김진헌 교수님의 <영상처리>였어요. 글자 인식, 색 인식, 라인 트레이싱 등 활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또한, 영상처리를 하기 위해 Python이라는 언어를 사용하여 프로그래밍을 해야 했는데, 김재현 교수님의 수업으로 프로그램 언어의 기초를 쌓을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알파벳과 화살표 인식 알고리즘을 짤 때 이광엽 교수님의 <딥러닝> 수업에서 배웠던 CNN 기술이 도움이 되었습니다.” - 경진대회 수상 경력자로서 입상을 꿈꾸는 서경대학교 학우들에게 조언 한마디 부탁드립니다. 정다은“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전에 전체적인 흐름과 구성을 미리 기획하고 그에 맞춰 차근차근 태스크를 진행한다면, 어려워 보이는 목표도 결국 달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김나영“한 가지의 뚜렷한 목표를 세우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후회 없이 노력했다면 입상뿐만 아니라 더욱더 값진 것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 앞으로의 계획이나 목표에 대해 말씀해 주세요. 정다은“이번 경진대회의 경험을 기반으로 다른 협업 활동도 진행하며 취업 준비에 집중할 예정입니다.” 김나영 “내년에도 로봇 스터디에 참여하여 교육자로 활동할 계획입니다. 더욱 발전한 제 모습으로 이 경진대회에 다시 도전할 것입니다.” 2021ESWContest 지능형휴머노이드 2007 아이스 시연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16l5idp9xDI <홍보실=박진아 학생기자>
서경대학교 대학혁신추진사업단, 문화콘텐츠학부 민동주 학우 대학혁신지원사업 총괄협의회 ‘혁신인재장학생’ 선발, 장학증서와 장학금 지급
서경대학교 대학혁신추진사업단(단장 이석형 교수)은 지난 17일 서경대학교 인문과학대학 문화콘텐츠학부 민동주 학우(16학번)를 대학혁신지원사업 총괄협의회 ‘혁신인재장학생’으로 선발, 장학증서 및 장학금이 수여되었다. 대학혁신지원사업 총괄협의회 ‘혁신인재장학생’은 전국 각 대학의 대학혁신지원사업단을 대표하는 협의체인 대학혁신지원사업 총괄협의회가 대학혁신지원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사업의 성공적 운영에 기여한 학생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앞서, 이석형 서경대학교 대학혁신추진사업단장(전략사업&예산처장)은 서경대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에 참여한 서경대 학우들 가운데 사업 활동과 성과가 우수한 문화콘텐츠학부 민동주 학우를 혁신인재장학생으로 추천했다. 민동주 학우는 서경대학교 대학혁신추진사업단이 주관하는 각종 행사는 물론, 프로그램, 공모전 등에 활발히 참여해 자신의 역량을 키우고 스펙도 넓히며 사업을 활성화하는 데 앞장섰다. 특히 창업 프로그램에 지속적으로 참여해 창업에 대한 경쟁력을 강화했으며 글로벌 프로그램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해 진로의 확장성도 높였다. 민동주 학우는 “본교의 혁신지원사업을 통해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쌓고 세상을 바라보는 시야를 넓힐 수 있었으며 특히 다양한 networking 기회를 통해 많은 멘토를 만나 새로운 것을 접한 것이 소중한 자산으로 남은 것 같다”는 소감을 밝혔다. 민동주 학우는 또, 서경대학교 학우들에게 대학혁신지원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해 자신의 성장과 발전을 꾀할 기회를 가졌으면 좋겠다는 바램도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