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경대학교

서브페이지 백그라운드 이미지

서경 TODAY

SKU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를 매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메뉴 | 검색 | 퀵메뉴

    서경대학교의 모든 것, 여기서 검색하세요!

    • 작게
    • 보통
    • 조금 크게
    • 크게
    • 가장 크게

    서경 TODAY

    3977

    서경대 모델학전공 사진전… 앵글에 담은 사계

    사진=서경대학교 예술교육원 모델학전공은 제2회 사진전을 열었다. ‘사계’ 가을(秋)中.왼쪽부터 모델 최인철, 진예현, 홍효재, 이오인, 최수아. 탱고와 대중예술의 경계를 넘나드는 일은 더 이상 새로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종합예술인 모델 영역으로 이같은 콜라보레이션을 가져온다면 시대의 언어에 맞는 감각적인 몸짓이 필요해진다. 이런 면에서 서경대학교 예술교육원 모델학전공 재학생들이 지난 9일부터 10일까지 혜화동 ‘서경대 공연예술센터’에서 선보인 사진전 ‘사계’는 또 다른 의미로 되짚어볼 만하다. 모델 최지현, 이윤서, 이재서, 백설아, 박희재, 심승보, 신동헌, 오권호, 진유혁, 진예현, 최수아, 이오인, 홍효재, 최인철(18학번), 김영선, 김예훈, 서유노, 임광민, 최인철(22학번) 총 19명의 모델들, 이들은 피아졸라의 사계가 갖는 누에보 탱고(Nuevo Tango), 즉 청춘 4계절의 단편을 클래식 음악의 깊은 맛과 재즈의 자유로움에 담아 짙은 여운을 남겼다. 그래서일까, 이번 사진전은 세기말 캘리포니아 드리밍을 노래한 왕가위 감독식 화풍으로 다가온다.  사진=‘사계’ 겨울(夏)中. 왼쪽부터 모델 김예훈, 김영선, 최인철, 임광민, 서유노. 또한 이들 모델들을 캔버스 삼아 느낌을 잘 살려준 서경대 예술교육원 헤어메이크업 동아리 ‘마벨르’의 깊이 있는 메이크업도 볼거리이다. 여기에 강형신 작가와 이준표 감독 그리고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디자인학부 패션전공‘공존’ (박수혁 최문정 강민지 강민수 이규석 박근우 양효주 한혜림 오현숙 강윤주)팀과 협업한 패션필름 영상은 특별한 즐거움을 안겨준다. 마치 한편의 뮤직비디오를 보는 듯한 영상이 관람객의 시선을 사로잡기에 충분하다. “코로나로 인해 자유롭지 못했던 순간들을 자유롭게 다시금 되찾고 새롭게 나아가보자는 희망의 메시지를 담고 싶었습니다.” (이주현 교수) 이번 사진전은 슈퍼모델 김태연 교수가 기획하고 이주현 교수가 지도했다. ‘사계’라는 주제에서 나타나듯 각 학년 재학생들이 총 4개의 조로 나눠 봄, 여름, 가을, 겨울 컨셉에 맞춰 촬영했다. 이주현 교수는 “학생들이 모델로서 참여만 한 것이 아니라 계절에 맞게 사진 구도, 의상, 헤어&메이크업 그리고 이에 걸맞는 앵글 무대장치 스토리를 창작했어요. 사진을 매개체로 오늘을 살아가는 20대 젊은 모델들의 고뇌, 사랑, 방황, 애환 등 다양한 모습을 엿볼 수 있을 겁니다”라고 소개했다. 탱고의 선율이 피아노를 거쳐 베이스와 드럼에 실린 듯 자유롭고 경쾌하되 애잔한, 밀고 당기는 젊은 모델들의 정서가 고스란히 사진 밖으로 전달되는 듯 하다. 사진=‘사계’ 여름(夏)中. 왼쪽부터 모델 박희재, 심승보, 오권호, 신동헌. 더욱이 어린 학생들이 모델활동까지 병행하며 틈틈이 시간을 투자해 진행한 작품들이라 그 의미가 더욱더 돋보인다. 서경대 예술교육원 모델학전공은 학교의 전폭적인 지원아래 명실공히 스타 모델의 산실로 입지를 다져왔다. 이에 힘입어 모델학전공 학생들은 서울패션위크, 패션코드, 아시아모델페스티벌, 코리아스타일위크, 부산패션위크, 디자이너양해일패션쇼, 이영희 한복패션쇼 등 수많은 유수의 패션 무대에 서고 있다. 그런 만큼 이번 사진전에도 브랜드 브릭샌드, (주)리턴라이프, (주)가보자 온골진식혜, 버즈핏 에어쉴드, (주) 동인기연 디나이언트, (주)루베데카콘 아베르데 등이 협찬사로 참여했다. 김태연 교수는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과 그 시간을 징검다리로 살아가는 청춘의 단편을 담은 작품들을 모을 수 있었습니다. 우리 젊은 모델들을 통해 비춰진 세상을 함께 느껴보는 자리가 되었으면 합니다”는 소감을 전했다. 사진=‘사계’ 봄(春)中. 왼쪽부터 모델 이재서, 이윤서, 백설아, 최지현. <원문출처> 무비스트 http://www.movist.com/movist3d/view.asp?type=76&id=atc000000008944

    썸네일

    서경대학교 취창업지원센터 ‘직무역량중심 취업전략시리즈: 제3회 「2022 SKU Career Challenge Campus」‘ 프로그램 성료

    11월 23일부터 12월 6일까지 2주간, 총 6개 School, 33개 Program 통해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취업 교육 및 실습 제공 직무 맞춤 아카데미 AI, Big Data, App, Web 개발 분야에 대한 현직자 집중 교육 및 토크콘서트, 멘토링 등 특색있는 프로그램 ‘눈길’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지난 11월 23일(수)부터 12월 6일(화)까지 2주간, 교내 유담관에서  4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취업지원 인프라를 활용한 오프라인 실습과 온라인 실시간 특강 및 컨설팅 등을 병행하며 「2022 SKU Career Challenge Campus(이하 ‘2022 SKU CCC’)」 프로그램을 진행했다고 밝혔다.‘2022 SKU CCC’는 2020년에 시작돼 올해 3년차를 맞은 프로그램으로, 특히 금번 CCC 프로그램은 학과 수요 맞춤형 JOB School[직무 Academy]를 비롯해 특색 있고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방법으로 급변하는 취업 트렌드에 대응하고 기업이 필요로 하는 직무역량을 함양, 활용할 수 있도록 대부분의 과정을 실전취업전략 중심, 직무역량 중심으로 구성, 운영하였다.6개 School, 33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2022 SKU CCC’ 는 학과 및 학생 수요를 반영한 여러 프로그램들을 한자리에 모아 On/Off-Line, 특강 및 실습, 컨설팅, 각종 대회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하여 학생들의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였으며 약 250여 명의 학생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해 큰 호응과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실질적인 취업 준비에 도움이 되는 계기가 되었다.구체적으로, 먼저 실전취업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교육→컨설팅→대회’ 방식의 시리즈 교육 및 실습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직무아카데미 과정의 경우에도 ‘특강→토크콘서트→멘토링’ 방식으로 진행해 채용 및 신기술 트렌드에 대한 이해를 통해 경쟁우위를 위한 차별화 전략 스킬을 강화할 수 있도록 했다.또, 학과 수요 맞춤 교육을 위해 올해 시범적으로 선보인 JOB School [직무 Academy]는 컴퓨터공학과와 소프트웨어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AI, Big Data, App, Web 개발 직무 분야별 특강부터 생생한 현장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현직자 토크콘서트와 멘토링을 진행해 학생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으며, 학생 수요를 적극 반영하여 새롭게 운영한 이미지메이킹 및 퍼스널컬러 진단실습, VR기기를 활용한 모의면접 체험 등의 프로그램들도 학생들의 많은 관심을 끌었다. 면접전략 스킬업 과정은 광고/홍보/마케팅, IT개발, 전자/반도체 분야에 대해 1차 면접특강, 2차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 및 컨설팅, 3차 모의면접 콘테스트로 구성하여 지원 분야별 현직 전문가를 면접관으로 초빙하여 집단면접을 진행함으로써 학생들의 실제 면접경험을 쌓고 개별 피드백을 통해 참여 학생들의 면접 역량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했다. 면접전략 스킬업 과정에 참여하여 모의면접 콘테스트에서 대상을 수상한 경영학부 4학년 이현지 학생은 “실제 기업 면접을 앞두고 미리 면접에 대한 연습을 위한 실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원해준 대학에 감사드린다”며, “이같은 프로그램에 더 많은 학생이 참여하여 혜택을 받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소감을 전했다.취업 포트폴리오 스킬업 과정은 최근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외에 포트폴리오를 요구하는 기업이 늘어남에 따라 학생의 개별 포트폴리오 제작 및 PT발표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이는 1차 포트폴리오 특강, 2차 포트폴리오 작성 및 컨설팅, 3차 포트폴리오 발표 콘테스트로 구성하여 참여자의 포트폴리오 작성 전략 및 발표 역량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 포트폴리오 발표 콘테스트에서 대상을 수상한 디자인학부 4학년 강유석 학생은 “나의 장점을 표현하기 위해 만든 포트폴리오 컨설팅을 통해 저 자신을 더 가다듬고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키는 시간이었다.”며 “ 포트폴리오 발표 대회를 통해 발표력까지 향상되는 기회가 되었다.” 고 수상소감을 전했다. 이외에도 외국계 기업 취업 공략법, 영문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제대로 쓰기 등 외국계 기업 취업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차별화된 취업 준비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했다.김주연 서경대 취창업지원센터장은 “이번 Career Challenge Campus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본인의 취업 역량을 강화하고 스스로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계기가 되었길 바란다.“며 ”실전 취업 스킬 습득의 특별한 기회가 된 것 같아 보람을 느끼며, 우리 학생들이 다양한 현장 경험 및 실무 역량을 갖출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확대, 운영하겠다.”고 말했다.서경대학교 취창업지원센터는 학생들의 취업 준비 및 실무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는 등 전폭적인 지원을 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상시 취업 컨설팅 뿐만 아니라 취업 솔루션, AI면접 및 자소서 플랫폼 등의 온라인 지원 서비스 등을 통해 학생들의 취업역량 강화에 힘쓰고 있다.<관련기사>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pan/site/data/html_dir/2022/12/08/2022120801670.html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24397#home에듀동아 http://edu.donga.com/?p=article&ps=view&at_no=20221208153006231516베리타스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39931

    썸네일

    서울시가 설립하고 서경대학교가 수탁 운영하는 서울시립청소년음악센터, 양천문화재단과 상호 교류 및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서울시가 설립하고 서경대학교가 수탁 운영하는 서울시립청소년음악센터는 양천구 양천문화재단과 12월 6일(화) 오후 2시 양천문화재단 회의실에서 상호 교류 및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이날 협약식에는 서울시립청소년음악센터 한정섭 센터장, 박태용 사업기획부장, 정은희 사업팀장, 양천문화재단 김신아 대표, 한옥순 팀장이 참석했다. 양 기관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청소년을 위한 지역연계 음악예술교육 활성화 지원사업 협력 △청소년 문화예술 경험 기회 제공 및 진로 개발 지원 △청소년의 음악예술활동 시설 활용 협력 등을 함께해 나갈 계획이다.양천문화재단 김신아 이사장은 “양천문화재단은 ‘누구나 주인공인 문화 양천, 예술로 꿈을 이루는 양천’을 위한 다리가 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재단으로 이번 협약식을 계기로 양천구 청소년들이 자신의 삶과 지역의 주인공으로서 음악예술을 마음껏 향유하고 자신의 꿈을 이룰 수 있게 다방면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시립청소년음악센터장 한정섭 서경대 교수는 “이번 협약식으로 센터 소재지인 양천구의 문화예술 인프라 체계를 구축하여 청소년의 음악예술교육을 활성화하고, 청소년이 더욱 쉽고 전문적인 음악예술활동을 접할 수 있게 다양한 음악창작 프로그램을 선보일 계획”이라며 “많은 관심과 프로그램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수도권 내 유일한 청소년음악특화시설인 서울시립청소년음악센터는 내년 봄 개관을 앞두고 있으며, 청소년에게 음악적 예술 공간을 제공하고, 재능있는 청소년의 음악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장르의 음악예술에서 문화예술 융합에 이르는 교육 사업과 음반(원) 콘텐츠 제작 실습, 공연예술 기획, 음악 박람회, 음악창작 페스티벌 등 다양한 음악예술 프로그램들이 운영되며, 지하 1층, 지상 6층(연면적 5,422㎡) 규모의 시설에는 음악전문 레코딩 스튜디오, 공연장, 그룹 연습실, 개인 실기실, 영상제작 스튜디오, 음악 도서관, 카페, 음악 전시관 및 커뮤니티 공간 등이 마련된다.<관련기사>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pan/site/data/html_dir/2022/12/07/2022120702007.html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24427에듀동아 http://edu.donga.com/?p=article&ps=view&at_no=20221207153129102933한국대학신문 https://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538386베리타스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39760

    썸네일

    서경대학교 연구정보 환경보건센터, ‘2022년 전문가 초청 세미나 및 자체평가회의’ 개최

    12월 1일(목)~12월 2일(금), 대전 유성호텔 별관 1층 다모아홀서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연구정보 환경보건센터(센터장 이철민 교수)는 12월 1일(목), 2일(금) 이틀간 대전 유성호텔 별관 1층 다모아홀에서 ‘2022년 전문가 초청 세미나 및 자체평가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2022년 전문가 초청 세미나 및 자체평가회의’는 ‘한국환경보건학회 2022 가을 정기 학술대회’ 특별세션 포럼에 이은 두 번째 행사로 서경대 연구정보 환경보건센터가 환경보건 및 관련 전문가들을 초청해 세미나를 개최하고 2022년 수행결과를 보고, 토론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날 세미나는 먼저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의 김광래 팀장이 ’석면의 건강피해와 관리정책’을 소개한 데 이어, 서울연구원의 원종석 박사와 김효미 박사가 각각 ‘환경보건 정보제공 동향’-환경보건 지표를 중심으로‘와 ’환경위해요인의 건강위협이 더 높은 취약계층, 어떻게 규명하고 어떻게 보호할 것인가?‘ 라는 제목으로 주제발표를 하였으며 조이그램의 장호영 이사가 ’메타버스와 환경‘이라는 제목으로 메타버스 세계와 환경보건 분야를 연계해 가능성을 제시하는 주제발표를 했다. 곧이어 진행된 자체평가회의에서는 서경대학교 연구정보 환경보건센터의 조은민 사무국장이 ’2022년 정책지원형 연구정보분야 수행결과 보고‘ 를 하였으며 조이그램의 장호영 이사, 한국환경연구원의 전형진 박사, 축산환경관리원의 이행석 팀장 등이 패널로 참가해 다양하고 심도있는 질의응답을 벌였다. 이철민 서경대 연구정보 환경보건센터장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발제되고 논의된 환경보건 전문가들의 소중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반영하여 서경대학교 연구정보 환경보건센터가 보다 의미있고 많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한편, 서경대학교는 지난 2020년 8월 환경부로부터 ‘연구정보 환경보건센터’로 지정되어 환경보건과 관련한 다양한 분야의 경쟁력 강화와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환경보건정책의 추진을 위해 연구정보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썸네일

    [서경대 카드뉴스] 서경대학교 12월 행사들을 알아보자

    썸네일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사업단 지역상생분야 워크숍 참여자 모집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이 오는 12월 15일 성북구 지역사회 문제를 발굴하고 해결할 수 있는 지역상생 워크숍 <Happy Birthday 아이디어톤>을 개최하며, 5일부터 참여자를 모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이디어톤은 ‘아이디어’와 ‘마라톤’의 합성어로, 참가자들이 팀을 이루어 일정시간 내에 아이디어의 구체적인 결과물을 만들어 발표하는 대회를 말한다. <Happy Birthday 아이디어톤>에서는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프로젝트를 팀별로 기획하고 발표하게 되며, 심사를 통해 우승팀 세 팀을 선정한다.   워크숍에서 우승한 팀에게는 최대 100만원의 시상금 및 상장 수여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12월 13일에 진행되는 한 시간 내외의 OT와 아이디어톤을 참여한 참가자 전원에게는 수료증과 다양한 굿즈가 제공될 예정이다.   <Happy Birthday 아이디어톤>은 성북구의 지역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4인 이하의 팀 또는 개인이 지원할 수 있으며, 신청비는 무료이다. 개인 지원자의 경우 신청서 내용을 통해 임의로 2~4인의 팀이 구성되며, 팀이 지원할 경우 대표자만 신청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면 된다. 프로그램 신청은 구글폼(https://forms.gle/LMV81kTU8uT86Qd69)을 통해 받고 있으며, 성북구나 지역 이슈에 대한 관심, 팀프로젝트 활동 경험 등에 따라 서류심사가 진행되어 12월 12일 개별적으로 합격 여부를 발표한다.   문의 : 도시문화기획사 슈필렌(070-7555-4216 / spielen1@naver.com)

    썸네일

    [서경대 MFS] 글로벌 모바일 금융서비스 전쟁

    서경대학교 MFS 연구회 정희정 연구원 서경대학교 MFS(Mobile Financial Service) 연구회는 금융정보공학과 서기수 교수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연구모임으로 세계적으로 급변하는 핀테크시장의 흐름과 동향파악을 통해서 국내 금융시장의 발전에 조금이라도 기여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핀테크 시장의 핵심 분야인 모바일 금융서비스에 대해서 로보어드바이저, 주식, 대출, 뱅킹, 지급결제, 중국 및 제3국가들의 모바일 앱 등 서비스 종류와 지역별로 분석해서 정리한 콘텐츠를 본 조세금융신문을 통해서 공유하고자 한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분야별 앱이나 회사를 설립 때부터 지금까지의 과정과 주요 서비스와 회원가입 절차 및 메인화면의 구성 등을 분석했으며 관련 분야의 국내 경쟁 앱이나 회사도 함께 정리했다.  BBVA 서비스 개시일 & 간단한 역사   BBVA의 역사는 1857년 스페인 북부의 빌바오 시 상무위원회에서 발행인 및 할인은행으로 빌바오 은행이 설립되어 1878년 자체 지폐 발행권 상실 후 대출 및 할인은행으로 개편되었고 비스카야 은행은 1901년 설립되었으며 1902년에 두 은행이 합병하면서 지금의 BBVA가 시작되었다.   합병 후에도 두 기관 모두 법적 실체로서의 지위를 유지했는데 1960년대까지 빌바오 은행은 다수의 은행을 인수하고 종합 금융 그룹으로 그 모양새를 구축하였고 1984년 인수를 통한 성장 전략을 내세우며 방크 카탈라나를 인수했다. 1998년 빌바오 은행과 비스카야 은행의 합병을 빌바오 비스카야 은행이 세워졌고 1999년 아르헨타리아 은행과 합병되어 현재의 BBVA이 설립되었다.   BBVA는 스페인 시장에서 강력한 리더십 위치를 차지하며 멕시코에서 가장 큰 금융기관, 남미에서 최고의 프랜차이즈를 보유하며 터키의 Garanti BBVA의 주요 주주이다. 또한, 미국에서 중요한 투자와 거래, 자본시장 은행 사업을 운용하고 있으며 1990년 3월 30일에 상장해서 2022년 3월 31일 기준 시가총액 3억 4740만 유로, 주당 장부가액은 6.92유로이다.   BBVA 전체 메뉴 항목   BBVA의 종합 금융 플랫폼은 통합계좌조회, 모기지, 투자관리, BBVA Bconomy(PFM), 챗봇 ‘Blue’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간편한 회원가입과 다양한 서비스를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도입으로 많은 소비자의 유입이 이어지고 있다. 2020년 3분기 기준 디지털 고객 수 35백만 명으로 스페인 뱅킹 앱 순위 내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무려 22%의 점유율을 자랑한다.   2017년 35% 수준이었던 디지털 판매 비중(건수 기준)도 64%까지 끌어올렸다. 글로벌 파이낸스 매거진이 주최하는 공신력이 있는 시상식에서 2020년 베스트 글로벌 은행으로 선정되며 2020년 서유럽의 ‘가장 혁신적인 디지털 은행’으로 선정되었다. 특히, 모바일앱은 포레스터가 매년 실시하는 글로벌 뱅킹 모바일앱 리뷰에서 2019년에 1위를 차지하며 3년 연속 글로벌 1위를 차지하기도 하였다.   BBVA 회원가입 과정   BBVA의 ‘디지털 온 보딩’시스템으로 비대면 계좌 개설은 5분도 채 걸리지 않는다. BBVA의 앱을 다운로드한 후 ‘활성화’를 선택하고 본인이 인증할 문서의 유형과 번호를 입력한다. 다음 단계로 휴대폰으로 인증번호를 전송받아 인증 절차를 거치면 된다. 액세스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확인까지 된다면 회원가입 절차는 모두 완료된다.   BBVA 주요 서비스와 서비스의 내용   BBVA는 ‘기회를 제공하는 은행’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우며 고객의 생활과 밀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의 삶이 개선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디지털 온 보딩, 전자 지갑 앱 BBVA Wallet, P2P 송금 앱 bizum, 1000명 이상의 원격 상담원, 원 클릭 대출, 디지털 공과금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외에도 모바일 앱을 통해 지점 내점 전 선호하는 직원을 선택하여 예약하는 모바일 예약 서비스, 자산 및 소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미래 지출 이벤트 경고와 가계부 기능 등의 서비스가 있다.   BBVA의 ‘Varola View’는 부동산 플랫폼으로 부동산 정보와 모기지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고객이 아니더라도 무료로 이용이 가능하며 부동산 회사의 데이터를 활용해 설정한 주택과 주변 다른 주택들의 시세 정보를 제공하고 수입과 지출 내역에 근거한 현금흐름 평가와 주택 담보대출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   BBVA 주요 서비스의 특징   BBVA의 디지털 트렌스포메이션으로 미래 디지털 뱅킹 플랫폼을 계층화하고 있다. 이는 프란시스코 곤잘레스 회장이 글로벌 디지털 은행 설립이라는 목표 하에 2007년부터 진행되어 온 것이다. ‘고객서비스를 위한 기술 활용’이라는 슬로건 하에 6가지의 전략적 지향점을 가지고 있다. 편리한 고객 맞춤형 솔루션이나 계획적 의사결정과 모니터링 툴 제공 등의 고객 경험의 새로운 기준 마련, 모바일 기반 디지털 매출 증대, 내부적인 신규 비즈니스 모델 발굴, 규제자본 요구에 대한 초과 달성이라는 자본할당 최적화, 채널 효율화를 위한 최신 기술 기반 프로세스 개선과 인프라 통합 등 효율성 확보, 영역별 글로벌 최고 인력의 채용과 육성 그리고 유지라는 최상의 인력과 조직이다.   BBVA의 인력과 조직은 2007년 IT 그룹 내 소규모 팀에서 2011년 혁신 전담 팀 형성, 2014년 글로벌 뱅킹 디비전 신설, 2015년 글로벌 뱅킹 부서 확대로 이어졌다. 디지털 뱅킹 Division을 Area로 전환해 3개의 하부 영역(신사업, 고객솔루션, 마케팅)으로 구분하고 핵심 조직으로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오픈 이노베이션과 프로젝트 기반 혁신 등으로 M&A와 협업, 외부 전문가 채용, 유연한 예산 편성, 벤처펀드를 통한 투자 등을 아끼지 않으며 디지털 은행으로 발전해 왔다. 현재도 핀테크 기술과 기업에 많은 투자를 진행하며 정보 통신기술을 이용한 종합 금융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BBVA 분석 정리   삼정 KPMG에서 발표한 ‘Samjong Insight Vol.73’(2021) 보고서에서는 BBVA를 긴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BBVA는 가장 선진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금융그룹으로 꼽힌다고 서술하였다. BBVA가 보여주는 디지털 혁신은 핀테크 기업처럼 되지 않으면 생존이 어렵다는 공통된 인식하에 운영모델을 성공적으로 내재화함으로써 달성한 것으로 보았으며 그룹의 디지털 전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속도에 치우친 단기적인 투자 성과 추구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잠재성을 우선시하여 핀테크가 중심이 되는 다수의 전략을 실행하여 결과적으로 변화의 역동성을 높일 수 있었다고 한다.   남미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계좌 발급 건수가 급증한 지역이다. 그 가운데 네오 뱅킹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발급받은 건수가 늘어난 것이다. 핀테크 기업의 영향력이 커질수록 BBVA의 입지도 더욱 단단해질 것이다. 오래전부터 디지털화를 위해 투자와 개발이 이어졌고 현재에도 다중 혁신 전략이 진행이 되고 있다. 생활 플랫폼에도 접목하여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만큼 다양한 방면에서의 모습이 기대된다. <원문기사>조세금융신문 https://www.tfmedia.co.kr/news/article.html?no=136306

    썸네일

    서경대학교 뷰티테라피&메이크업학과 제3회 졸업전시회 성황리에 열려

    12월 2일(금)부터 3일간 대학로 서경대 공연예술센터 skon gallery서   뷰티테라피&메이크업 학과 졸업전시회 홍보 포스터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뷰티테라피&메이크업학과의 제3회 졸업전시회가 12월 2일(금)부터 4일(일)까지 3일간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대학로 서경대학교 공연예술센터 지하 1층 skon galler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뷰티테라피&메이크업 학과 졸업전시회 리플렛   졸업전시회가 열린 서경대학교 공연예술센터는 창의적이면서 실용성을 살린 다양한 졸업작품들을 관람하기 위해 서경대 학우들은 물론 일반 방문객들로 연일 북적였다. 작품 및 논문 리스트   뷰티테라피&메이크업학과의 졸업전시회는 크게 작품팀과 논문팀으로 나뉘어졌다. 논문팀은 ‘Product', 'Product Service', 'SNS' 등 세 가지 큰 틀을 주제로 졸업논문을 작성하였으며, 작품팀은 ’해방‘이라는 주제로 독특하면서도 개성이 엿보이는 졸업작품들을 제작하였다.   졸업전시회에서 논문팀은 ‘피부관리실에서의 제로웨이스트 관리가 관리실 이용과 고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김세인), ‘제로웨이스트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구매행동’(김하은), ‘Z세대 여성의 화장품 소비 성향에 따른 인스타그램 화장품 광고 관심도 및 광고 유형 인식 조사’(함채영), ‘20대 성인 남녀의 여드름 피부에 대한 인식과 생활습관 연구’(강다현), ‘뷰티 브랜드의 디지털 마케팅이 여성 소비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김혜수), ‘화장품브랜드에 있어서 자아-브랜드 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박예지), ‘결혼식 전 얼굴형 관리 방법에 대한 연령대별 만족도 차이-기기요법, 주사요법, 마사지요법을 중심으로’(안하영), ‘문제성 피부 인식에 따른 피부관리 실천행동과 코스메슈티컬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이현영), ‘SNS 이용실태에 따른 뷰티 브랜드의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 연구: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최보미), ‘반영구화장의 법제화를 위한 연구’(표은영), ‘블루라이트차단 화장품에 대한 인식과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홍서영), ‘20/30대 남성의 향수 사용실태 및 구매행동’(손범모), ‘MZ세대들의 이너뷰티에 대한 인식과 구매실태’(채수민), ‘뷰티인플루언서의 특성이 뷰티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김민지), ‘메이크업 숏폼 콘텐츠의 특성이 MZ세대의 메이크업행동 및 제품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정이령), ‘외모관심도와 메디컬 스킨케어에 대한 인식 및 구매행동’(김정윤), ‘성별에 따른 맞춤형 화장품에 대한 인식과 사용실태 연구’(권예인) 등 총 17편의 졸업논문을 전시했다.   또, 작품팀은 ‘또 다른 우주’(강영주), ‘無: an afterlife’(강예리), ‘liberation from gender’(김지영), ‘Fairytale’(김예지), ‘깨어나다’(김주현), ‘Beyond’(송유선), ‘myth’(이서인), ‘Repression’(이승진), ‘무한한 자유로부터’(임고은), ‘자아의 성장: 타인과의 해방’(임나현), ‘머물던 순간들로부터’(전지영), ‘Hippie’(조정빈), ‘Retro Wave’(현지수), ‘SADNESS’(홍서연), ‘Flowering’(황민정) 등 총 15편의 졸업작품을 선보였다.   이번 뷰티테라피&메이크업학과 졸업전시회를 기획하고 준비한 졸업전시준비위원회의 논문팀 대표 홍서영 학우와 작품팀 대표 황민정 학우를 만나 전시회를 어떻게 준비하고 진행했는지, 소회는 어떤지 물어보았다. □ 인터뷰: 졸업전시준비위원회 논문팀 대표 홍서영 학우, 작품팀 대표 황민정 학우   - 안녕하세요, 먼저 간단히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홍서영 학우(논문팀) :안녕하세요. 서경대학교 뷰티테라피&메이크업학과 논문팀 졸업준비위원회 19학번 홍서영입니다. 논문을 준비하고, 발표 및 전시회 기획, 그리고 전시까지 모든 과정을 논문팀 학우들과 함께 준비하여 진행하게 되었고, 전시회를 의미 있게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황민정 학우(작품팀) :안녕하세요 서경대학교 뷰티테라피&메이크업학과 19학번 황민정입니다.   - 이번 졸업전시회에 대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홍서영 학우(논문팀) :서경대학교 뷰티테라피&메이크업전공 제3회 졸업전시회에서 논문팀은 ‘Product', 'Product Service', 'SNS' 등 세 가지의 큰 틀에서 각자 4년 동안 배우고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분야의 주제를 선택하여 논문을 작성하였는데요, 전시회에서는 2022년의 뷰티 트렌드 조사부터 시작하여 현재의 트렌드가 가득 담긴 연구 주제, 그리고 현재 뷰티 및 화장품과 관련한 뷰티테라피&메이크업전공 학우들의 깊은 관심과 애정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황민정 학우(작품팀) :이번 졸업전시회는 여러 가지 제약을 받고 있는 현재 상황 속에서 ‘해방’이라는 주제로 자신만의 창의적인 작품을 만들었습니다.   - 학생들은 졸업전시회를 위해 4년 동안 배운 전공지식을 어떻게 활용했나요?   홍서영 학우(논문팀) :4년 동안 뷰티테라피&메이크업전공과 관련이 있는 피부, 메이크업, 화장품 등에 대해 깊이 배울 수 있었는데요, 학우들 자신이 흥미가 있고, 더 깊이 배우고 싶은 분야의 주제를 논문의 주제로 선택하여 논문을 작성했고, 발표 이후 이렇게 전시까지 전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이 모든 과정에는 학우들이 4년 동안 배운 뷰티와 관련한 여러 가지 경험과 지식이 녹아들어 있습니다.   황민정 학우(작품팀) : 4년간 배운 지식들을 바탕으로 자신이 생각한 주제와 어울리는 메이크업을 직접 디자인하고, 헤어와 의상 등 이외의 모든 것들을 기획하고 연출하였습니다.   - 이번 졸업전시회는 어떤 식으로 준비가 되었고 진행이 되었나요?   홍서영 학우(논문팀) : 이번 졸업전시회는 3월 학기가 시작되면서부터 발표 및 전시 기획이 시작되었습니다. 작년과 달라진 점이 있다면, 작년에는 졸업전시를 교내에서 간략히 했다면, 이번 졸업전시는 대학로에 있는 서경대 공연예술센터에서 작품팀과 함께 진행을 하게 되었습니다. 작품과 논문 두 가지 영역을 함께 준비하고 진행한 만큼 전시회의 내용과 성과 또한 더욱풍성하고 가치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황민정 학우(작품팀) :졸업준비위원회를 필두로 학과의 학우들과 서로 역할을 분담하여 전시회를 준비했습니다. 서로가 의견을 내어 결정하고, 신뢰와 책임감을 가지고 서로 협업하여 준비하였습니다.   - 오랜 준비 끝에 졸업전시회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신 소감이 어떠신가요?   홍서영 학우(논문팀) :졸업 준비를 하느라 어려운 점도, 힘든 점도 많았겠지만 뷰티테라피&메이크업전공 학우들이 4년 동안 열심히, 그리고 깊이 배웠던 지식들이 가득 투영되어 있는 졸업전시회라 모두에게 의미 있고 보람찬 시간이었던 것 같습니다.   황민정 학우(작품팀) :졸업 전에 하나의 큰 산을 넘은 것 같아 마음이 한결 가볍기도 하고, 대학 생활의 마지막이라고 생각하니 섭섭한 마음도 동시에 느낍니다.   - 마지막으로 이번 전시회를 준비하면서 고마웠던 분들게 하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홍서영 학우(논문팀) : 졸업 논문 및 작품 발표부터 전시까지 준비하고 진행하면서 함께 너무나 고생했던 학우들과 졸업전시회에 방문해 주신 모든 분들, 그리고 많은 시간 아끼지 않고 논문 지도를 해주신 남미우 교수님, 학생들에게 졸업전시회의 방향을 잡아주신 김은숙 학과장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황민정 학우(작품팀) :먼저 전시회를 준비하다가 어려운 것이 있을 때 상담을 해주시며 지도해 주셨던 교수님 감사합니다. 그리고 전시회를 준비하기 힘들었을 텐데 잘 이끌어준 졸업준비위원회 위원 분들과 준비를 같이 도와준 학과 친구들에게 감사인사를 전하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아낌없는 응원과 지원을 해주신 부모님 감사합니다.   <홍보실=안희진 학생기자>

    썸네일

    서경대학교, 「2023년 인생나눔교실」 수도권 지역 찾아가는 인생나눔교실 멘토 · 멘티기관/그룹 모집

    12월 1(목)부터 약 두 달간 ···· 멘토 35명 내외, 멘티기관/그룹 60그룹 내외 선발 예정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문화예술센터(센터장 한정섭)는 『2023년 인생나눔교실』 수도권 지역의 ‘찾아가는 인생나눔교실’ 인문멘토링 프로그램을 함께 진행할 멘토와 멘티기관/그룹을 2022년 12월 1일(목)부터 모집한다.   ‘찾아가는 인생나눔교실’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박종관)와 서경대학교 문화예술센터가 주관하는 『2023년 인생나눔교실』의 주요 사업으로, 인문적 소양을 갖춘 중·장년 선배세대(멘토)를 선발하여 멘토링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그룹의 후배세대(멘티)를 찾아가 인문·예술을 매개로 삶의 경험과 지혜를 나누고, 소통하는 ‘인문멘토링’ 프로그램이다.   5년째 『인생나눔교실』의 수도권 지역 주관처를 맡고 있는 서경대학교 문화예술센터는 그간 총 28명의 튜터, 212명의 멘토와 함께 다양한 세대의 287개 멘티그룹을 만나 3,635회에 걸친 인문멘토링을 성공적으로 이끌어왔다.   2023년에도 중장년 세대의 나이 듦과 함께 삶의 다양성을 인문적 가치로 발견하고 세대 간의 존중과 이해를 바탕으로 성숙한 공동체를 구축하고자 하는 목표 아래, 35명 내외의 멘토를 선발하여 1,000회차 이상의 인문멘토링을 진행할 계획이다. 『2023년 인생나눔교실』 수도권 지역의 ‘찾아가는 인생나눔교실’ 멘토·멘티기관/그룹 모집개요는 아래와 같다.   멘토·멘티기관/그룹은 심의를 통해 1~2월 중 최종선발될 예정이며, 이들을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 할 튜터는 2월 중 모집이 시작된다. 최종선발된 멘토는 멘티의 특성과 요구사항 등을 고려하여 상호 매칭되며, 4월 멘토 발대식 과정을 거친 후 4월부터 12월까지 약 9개월간 인문멘토링을 진행하게 된다.   사업을 책임지고 있는 김민하 교수(일반대학원 문화예술학과)는 “‘찾아가는 인생나눔교실’을 통해 삶의 경험이 풍부한 중장년 세대의 사회 재참여 계기를 마련하고, 인문중심의 세대 간 교류와 가치공유를 통해 사회적 공감대가 발현될 수 있도록 기여할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이어 “2023년에도 멘티 유형의 다변화를 통해 멘토·멘티가 모두 만족하고 사업의 목적과 취지에 적합한 인문멘토링을 구축하고자 노력할 것”이라며, “인문적 소양과 더불어 전문성을 갖춘 멘토 모집을 위해 많은 분들의 관심과 지원을 바란다.”고 전했다.   『인생나눔교실』 수도권 지역의 ‘찾아가는 인생나눔교실’ 멘토·멘티기관/그룹 모집과 관련한 안내는 서경대학교 문화예술센터 홈페이지(https://aec.skuniv.ac.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서경대학교 문화예술센터(02-940-2937)로 문의하면 된다. <관련기사>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pan/site/data/html_dir/2022/12/01/2022120101878.html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22547 에듀동아 http://edu.donga.com/?p=article&ps=view&at_no=20221201155027272998 베리타스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38941 대학저널 https://dhnews.co.kr/news/view/1065590501591294

    썸네일

    서경대학교 공연예술대학 무용예술학부 한국무용전공 제20회 졸업작품발표회 및 제22회 한국무용 정기공연 성황리에 개최돼

    서경대학교 공연예술대학 무용예술학부(학부장 전순희 교수) 한국무용전공이 주최하는 제20회 졸업작품 발표회 및 제22회 한국무용 정기공연이 2022년 11월 23일(수) 오후 6시 교내 문예관 1층 문예홀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날 발표회는 4학년 단체 졸업작품 2편, 개인작품 12편과 1, 2, 3학년 학부생들의 정기작품 6편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무용예술학부 학부생들과 공연예술학부 무대기술(조명디자인) 전공 학부생들이 협업하여 다채로운 무대를 선보였다.   무용예술학부 한국무용전공 학생들이 한 학기 동안 정성을 쏟아 열심히 준비한 이번 작품발표회는 특히 4학년 학부생들이 작품 기획은 물론 안무, 의상, 소품 등을 직접 준비 하고 제작해 수준 높은 무대를 선사했고 관객들의 반응 또한 뜨거웠다.   전순희 무용예술학과 학과장은 “늦은 밤까지 몸을 아끼지 않고 쏟아내는 학생들의 열정을 칭찬하지 않을 수 없다.”며 “이번 공연을 통해 학생들의 실력 향상과 더불어 창의적 안무 역량, 진로 설계 및 자기 계발 역량을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전순희 교수는 이어, “보다 훌륭한 작품을 무대에 올리고 창의적이고 뛰어난 전문역량을 갖춘 예술인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아낌없이 많은 가르침과 사랑을 주신 지도교수 선생님들과 학생들을 위해 온갖 정성을 다해주신 학부모님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고 덧붙였다.   서경대학교 공연예술대학 무용예술학부 한국무용전공은 한국무용을 통한 인간 정서의 순화와 심신의 발달, 건강하고 품격 높은 순수 무용예술의 전문가를 육성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정규 수업 외에 매 학기 공연을 준비해 무대에 올리고 있으며 다양한 외부공연 활동도 함께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노력에 힘입어 권위 있는 국내외 유수 무용경연대회에 참가해 우수한 성적을 거둬 자신과 학교의 명예를 높여오고 있다.

    썸네일
    1 139 140 141 142 143 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