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 TODAY
2023 서경대학교 대동제, ‘UP:TO YOU’ 주제로 5월 24일(수)부터 26일(금)까지 사흘간 교내 스콘 스퀘어 등서 성황리에 열려
총학생회를 비롯해 총동아리연합회, 단과대별, 학과별 부스 등 운영···동아리·소모임 공연 및 아티스트 축하공연 등 이어져 2023 서경대학교 대동제가 ‘UP:TO YOU’라는 주제로 5월 24일(수)부터 26일(금)까지 사흘간 교내 스콘 스퀘어 등지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서경대학교 제51대 위로 총학생회(총학생회장 김희범, 부총학생회장 박정현) 주최로 열린 이번 2023 대동제는 다양한 컨셉의 부스와 이벤트 프로그램, 동아리 및 소모임 공연, 아티스트 축하공연 등으로 다채롭게 진행됐다. 부스 운영은 크게 오후 6시를 기준으로 낮 부스와 밤 부스로 나뉘어 먹거리와 즐길거리를 제공했다. 낮 부스에는 다양한 간식거리와 시원한 음료 위주로 학우들을 맞았으며, 다양한 게임과 이벤트 프로그램으로 재미와 즐거움을 선사했다. 학생들은 먹거리와 함께 게임에 도전하고, 상품을 받아 가기도 하며 축제를 즐겼다. 밤 부스는 주류와 함께 즐길 안주 위주로 운영됐다. 학내에서는 주류 판매를 할 수 없어서 학생들이 직접 술을 구입해 와 동료, 선후배들과 자리를 함께해 음식을 나누며 대화도 하고 친목을 도모하는 시간을 가졌다. ■ 총학생회 부스 <제51대 위로 총학생회 부스> 위로 총학생회(총학생회장 김희범, 부총학생회장 박정현) 부스에서는 총학생회가 주최하는 다양한 이벤트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었다. 축제기간 동안 진행된 인연 매칭 프로그램 <도레미파솔로시죠?>를 비롯해 5월 26일(금) 오후 7시부터 열린 노래 경연 프로그램 <네 맘대로 도전 100곡> 등에 많은 학우들이 관심을 보였고 참가가 잇따랐다. 또한, 신입생 기념품으로 배부되었던 SKU 굿즈를 무료로 배부하는 이벤트를 벌여 즐거움을 더했다. 청운관 L층에서는 위로 총학생회와 포토에이스가 함께한 스페셜 포토 부스 촬영 행사를 진행해 축제의 소중한 추억을 사진으로 남길 수 있도록 했다. ■ 단과대별 부스 <제33대 온유 인문과학대 부스> 예술대학 부스를 제외한 단과대학 부스는 낮 부스만을 운영하며 학우들에게 먹거리를 제공했다. 제33대 온유 인문과학대(학생회장 서재완)는 <웅이네슈퍼>를 컨셉으로 초코바나나와 구슬 아이스크림, 약과 샌드 등을 판매해 인기를 끌었다. <제32대 바다무적이공대 부스> 제32대 바다무적이공대(학생회장 유봉환)는 소다 맛과 콜라 맛 슬러시를 판매해 때 이른 더위를 식혀 주었고 기념으로 남길 수 있는 폴라로이드 사진 촬영을 진행해 주목을 받았다. <제25대 통합 드림 예술대 부스> 제25대 통합 드림 예술대(학생회장 두기상)의 경우, 자체적인 먹거리 판매와 이벤트는 없었으나 신분증 확인을 거쳐 예술대학 소속 학과 학우들이 학과 주점을 즐길 수 있도록 ‘드림 팔찌’를 배부했다. <제25대 오늘 사회과학대 부스> 또, 제25대 오늘 사회과학대(학생회장 박정훈)는 <사랑의 오늘랜드>를 컨셉으로 츄러스와 회오리감자, 아이스 망고바를 판매하였으며, <럭키드로우 뽑기 이벤트>와 <선착순 상품 증정 이벤트>도 진행해 학생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했다. ■ 총동아리연합회 및 신문사 부스 <제39대 든든 총동아리연합회 부스> 제39대 든든 총동아리연합회의 주제는 <‘뜬’다방>이었다. 다방을 주제로 잡은 만큼 냉커피와 미숫가루, 딸기라떼를 판매했으며, 학우들의 폴라로이드 사진 촬영을 돕고, 핸드메이드 곱창밴드와 LED 레이저 반지, 타투 스티커 등을 판매했다. <서경대학교 신문사 부스> 서경대학교 신문사는 대동제 기간 동안 신문사 공식 인스타그램을 팔로우할 시, 간식 꾸러미를 증정하는 이벤트를 열었다. 많은 학우들이 이벤트에 참여하여 간식을 받아갔으며, 신문 무료 나눔과 페이스 페인팅, Ditto 감성 필름 카메라 촬영 등 축제 분위기를 더욱 살렸다. <홍보실=박유정 학생기자>
‘청년창업 활성화 방안은?’… 국회 토론회 개최
최형두 의원-본지 공동 주최… 15일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 공감신문과 국민의힘 최형두 의원이 공동 주최하는 '청년창업과 활성화 방안을 위한 토론회'가 오는 15일(목) 오후 2시부터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다. 이번 토론회는 실제 스타트업 현장에서 뛰고 있는 청년창업가들의 목소리를 직접 들어보고, 전문가들과 함께 청년 스타트업의 미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됐다. 발제는 이춘우 서울시립대 경영대학 교수(전 서울시립대 경영대학장, 전 기업가정신학회장)이 맡는다. 이어 전규열 공감신문 대표(서경대 경영학부 겸임교수)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오정석 서울대 경영대학 교수 ▲조봉현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장 겸 부행장 ▲한수연 유니유니 대표 ▲고남길 미스테리코 대표 ▲최명진 중소벤처기업부 청년정책과장이 토론자로 나설 예정이다. 전규열 공감신문 대표는 “많은 청년창업가들이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갖고 있음에도 자본과 규제 등의 벽에 부딪혀 제품 개발, 홍보, 판로개척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청년 스타트업의 혁신을 극대화히기 위해 어떤 변화와 지원이 필요한지 함께 고민해 보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고 말했다. <원문출처> 공감신문 https://www.gokorea.kr/news/articleView.html?idxno=741912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뮤지컬전공 제20회 정기공연 뮤지컬 ‘딜쿠샤’ 성황리에 마쳐…조연출 김지윤 학우 인터뷰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뮤지컬전공 학생들의 제20회 정기공연인 뮤지컬 ‘딜쿠샤’가 5월 17일(수)부터 5월 21일(일)까지 5일 동안 교내 문예홀에서 총 6회의 공연을 성황리에 마쳤다. <뮤지컬 '딜쿠샤' 공연 포스터> 5월 10일 오후 2시부터 5월 13일 오후 5시까지 네이버 예약 링크를 통해 진행된 티켓 예매는 오픈 첫 날 2회차의 공연을 매진시키며 많은 관객들의 관심을 끌었다. 관객들에게 즐거움과 감동을 선사한 뮤지컬 ‘딜쿠샤’는 어떤 내용이고 어떻게 무대에 올려졌으며 진행과정, 공연 전후 소회 등을 들어보기 위해 공연에 조연출로 참여한 ‘김지윤’ 학우의 인터뷰를 진행했다. - 안녕하세요,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공연예술학부 연출전공 김지윤입니다. 이번 뮤지컬전공 정기공연 딜쿠샤에서 조연출로 함께하였습니다. - 뮤지컬 딜쿠샤에 관한 간단한 줄거리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뮤지컬 딜쿠샤는 서울시 종로구에 있는 테일러 부부가 지은 집인 딜쿠샤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테일러 부부의 아들 브루스 테일러와 과거부터 딜쿠샤에서 살아왔던 금자가 편지를 주고 받으며, 딜쿠샤에 대한 이야기를 서로 나누면서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 준비한 공연이 성공리에 막을 내렸는데 기분이 어떤가요? 이번 작품은 준비하는 과정 내내 항상 즐거웠던 작품이었습니다! 그런 만큼 공연이 성공적으로 마무리 되어 뿌듯하기도 하고 행복한 것 같습니다!! 공연의 과정이 즐거웠던 만큼 공연이 끝나게 된 것이 많이 아쉽기도 합니다. - 작품에서 조연출을 하면서 가장 신경썼던 부분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조연출을 하면서 가장 신경쓰였던 부분은 연출님이 주신 노트를 배우와 스탭에게 전달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연습과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연출님이 말씀하신 노트 그대로 전달드리려고 노력했습니다. - 작품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이나 대사가 있을까요? 있다면 이유가 무엇인가요? 저는 마지막 넘버였던 ‘딜쿠샤’ 라는 넘버가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극 중 나왔던 딜쿠샤에 살았던 인물들, 그리고 실제로 딜쿠샤를 만들고 지었던 사람들이 생각나면서 더 감동적이기도 했고, 가사가 주는 의미도 너무 좋았기에 기억납니다. - 작품을 준비할 때 어려움을 겪었던 일은 없었나요? 특별한 에피소드가 있다면? 이전에는 연극만 해왔기 때문에, 처음에 악보 보는 게 조금 어려웠었습니다. 그래서 도돌이표 있는 부분들에서 마디수를 세는 것이 힘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 공연을 준비하면서 학과 수업 과정 중 가장 도움이 됐던 경험이 있다면? 공연제작 수업이 가장 도움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실제 공연처럼 공연제작에 참여하는 수업이었는데, 이 수업을 통해 공연이 어떤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각 파트별로 무엇을 해야 하는지 배울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딜쿠샤를 준비하는데 공연제작 수업에서 배웠던 것을 토대로 차근차근 진행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 이번 공연에서 조연출을 하면서 새롭게 배운 점이 있을까요? 뮤지컬과 정기공연은 실제 공연 프로덕션 시스템과 동일하게 진행됩니다. 그래서 뮤지컬 프로덕션에서의 연습진행, 테크리허설 등 리허설 진행과정 등을 많이 배웠습니다. - 조연출님의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말씀해 주세요. 저는 앞으로 계속해서 연극 뮤지컬 등 다양한 공연에 참여하며, 좋은 연출가가 되기 위한 공부를 계속할 것 같습니다. - 함께 공연을 준비했던 교수님, 배우, 스템분들에게 마지막 한 마디 부탁드려요. 우선, 이종석 교수님께 너무 감사드립니다. 교수님과 함께하며 많은 것들을 배우고, 제 자신이 성장하는 것을 느꼈던 것 같습니다. 항상 따뜻하게 많은 것을 가르쳐 주시고, 이끌어 주셔서 감사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항상 잘 챙겨주시고 함께 이끌어주신 모든 교수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그리고 함께한 배우,스텝분들! 여러분을 보면서 정말 이 일을 사랑한다는 게 어떤건 지 배웠던 것 같아요. 함께 공연을 할 수 있게 되어 정말 행복했습니다. 다들 고생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뮤지컬 '딜쿠샤' 연습 장면> <홍보실=최정은 학생기자>
서기수 서경대 금융정보학과 교수 칼럼:디지털 금융 관련 법령 정비가 시급하다
서기수 교수의 디지털금융 이야기② 서기수 서경대학교 금융정보공학과 교수. 필자는 언론 인터뷰나 기사관련 문의를 통해서 최근 이슈와 트렌드를 간접적으로 느끼고는 한다. 최근에도 모 신문사 기자의 연락에 같이 고민한 주제가 은행권의 무인점포에 대한 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한 고민이었다. 최근 5년간 1000여개 이상의 은행지점이 문을 닫았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지점을 축소할 것이라는 예상은 누구나 인정하는 하나의 현상이 되었다. 이유는 당연히 비용절감을 통한 수익구조의 건전성을 유지하겠다는 부분이겠고, 아울러 모바일 뱅킹 등 디지털 금융의 활성화와 무인점포의 운영 등에 대한 확신이 있어서라고 보여진다. 게다가 편의점과의 제휴 등 다양한 점포나 대리점 망을 가지고 있는 다른 업종과의 협업도 지점폐쇄의 분위기에 한몫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디지털 금융에 대한 변화와 발전 속도는 빠르게 진행되고 있지만 관련 범죄나 위험에 대한 법률 제정이나 대비책이 같은 속도로 동시에 진행되는지 걱정되는 건 필자만의 오지랖일까? 얼마 전 미국의 일간신문인 월스트리트저널(WSJ)의 IT칼럼니스트인 조안나 스턴은 'AI로 나 자신을 복제했고 그것으로 은행과 가족을 속였다'라는 기사를 공개했다. 즉 어느 정도 표준 목소리만 넣어주면 AI(인공지능)가 그 표준 목소리를 토대로 텍스트만 입력하면 똑같은 사람의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을 활용해서 금융기관 직원을 속일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스턴 기자의 여동생과 아버지는 사회보장 제도를 묻은 스톤의 목소리에 대해서 전혀 눈치 채지 못했다고 하니 만약에 이러한 기술을 보이스피싱이나 기타 범죄에 악용을 하게 된다면 아찔하지 않을 수 없다. 몇 년 전부터 크게 유행하고 있는 메타버스(Metaverse) 서비스도 관련 법률에 대한 명확한 판단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메타버스는 디지털 가상세계와 인간의 감각이 연결되는 '확장 가상세계'라고 할 수 있는데 은행들이 앞 다투어 메타버스 공간에 지점을 내거나 별도의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국회입법조사처에서 2023년 4월에 관련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제도 개편을 이슈화했다. '은행의 메타버스 진출과 금융·경쟁분야 고려사항' 보고서는 은행의 메타버스 진출 시 금산분리 제도와 관련해 금융 및 공정거래의 두가지 관점에서 고려할 사항을 제시했다. 우선 메타버스와 금산분리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은행들이 경쟁적으로 메타버스 공간에서 가상의 지점을 오픈하고 있는데 이 공간이 가상의 지점을 넘어, 실제 금융과 비금융이 융합되면서 별도의 새로운 경제활동과 금융거래가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현실세계에서의 은행의 일반 영업점에서 적용되는 다양한 관련 법률, 예를 들어 금융실명제법이나 개인 신용에 관한 법률 등의 적용을 어떻게 고객에게 공지하고 적용할 것인가? 아울러 모 은행에서 진행하고 있는 배달앱에 대한 부수업무 제한 규정적용도 최근 이슈가 되고 있다. 국회입법조사처는 2022년 11월 금융위원회는 금산분리제도 중 금융회사의 부수업무 및 자회사 출자범위를 확대·개선해 금융-비금융 융합을 촉진하고, 상호간의 시너지 효과를 제고한다고 하였고 2023년 1월 '금융회사의 비금융업종 자회사 출자 또는 부수업무 영위 허용 등 과감한 금융규제 완화 방안'을 올해 상반기 중에 마련한다고 했지만 '은행법'에선 '부수업무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정하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외에도 탈중앙화(Defi)의 핵심인 블록체인을 활용한 개인 간의 P2P금, 다양한 거래나 로보어드바이저의 자산운용에 관한 계약체결, 각종 공지 등 관련 법률 제정, 모바일 뱅킹 상에서의 개인정보 관리와 제공 등을 담고 있는 마이데이터 사업과 오픈 뱅킹, NFT 금융거래나 투자의 관련 법률 정비, 다양해져가는 디지털 인증 관련 범죄나 도용 등에 대한 관련 법률 등 무수히 많은 IT와 디지털 금융관련 법률과 규제 및 위험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 물론 급변하는 금융환경과 다양해져가는 금융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금융기관들이나 관련 담당자들의 고민과 노력은 엄청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열사람이 지켜도 한 도둑을 살필 수 없다'는 옛 성현들의 충고를 잊지 말고 관련 법률 정비와 범죄예방을 위한 규제나 제도의 정비도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원문출처> 아시아투데이 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30530010016643
[서경대 MFS] 핀테크 로보어드바이저 사례 –웰스프론트(wealthfront)
<서경대학교 MFS연구회 편종성 연구원> 서경대학교 MFS(Mobile Financial Service) 연구회는 금융정보공학과 서기수 교수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연구모임으로 세계적으로 급변하는 핀테크시장의 흐름과 동향파악을 통해서 국내 금융시장의 발전에 조금이라도 기여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핀테크 시장의 핵심 분야인 모바일 금융서비스에 대해서 로보어드바이저, 주식, 대출, 뱅킹, 지급결제, 중국 및 제3국가들의 모바일 앱 등 서비스 종류와 지역별로 분석해서 정리한 콘텐츠를 본 조세금융신문을 통해서 공유하고자 한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분야별 앱이나 회사를 설립 때부터 지금까지의 과정과 주요 서비스와 회원가입 절차 및 메인화면의 구성 등을 분석했으며 관련 분야의 국내 경쟁 앱이나 회사도 함께 정리했다. <편집자주> wealthfront 서비스 개시일 & 간단한 역사 <wealthfront 회사 로고> betterment와 같이 초기 스타트업 회사 중 하나인 wealthfront는 2008년에 Dan Carroll와 Andy Rachleff에 의해 설립되었다. 창업자인 Andy는 VC1)회사인 Benchmark Capital의 공동 설립자로 경력을 쌓고 은퇴 후 스탠퍼드 경영대학원에서 테크놀로지 기업가정신 강좌를 가르치고 있었다. 그에게 투자 조언을 듣고 싶어 하는 학생들이 많았지만, 최소 투자 금액이 너무 높아 자신이 사용하는 서비스를 추천하지 못한 경우가 있었다. 1) 벤처 캐피털(venture capital, VC)이란 잠재력이 있는 벤처 기업에 자금을 대고 경영과 기술 지도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여 높은 자본이득을 추구하는 금융자본을 말한다. 주로 기술력은 뛰어나지만 경영이나 영업의 노하우 등이 없는 초창기의 벤처 기업을 대상으로 한다. 또 다른 창업자인 Dan은 전직 트레이더였는데 Dan은 재무 어드바이저 수익의 90%가 상위 20%의 고객으로부터 얻는 사실을 알았고 대부분 사람은 좋은 재정적 조언을 받지 못한 것을 깨달았다. 그는 Andy를 찾아가 모든 사람이 로보어드바이저를 이용하여 큰 투자를 실현하여 안전하고 보람 있는 삶을 살게 설득해서 wealthfront를 설립했다. 현재 wealthfront는 AUM $240억을 보유하고 있고 고객 수는 48만 명이다. Nerd wallet 및 Business Insider에서 항상 높은 로보어드바이저 순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wealthfront는 betterment와 같이 회원가입이 빠르다. 투자의 목적을 먼저 물어본 뒤 누구를 위한 계좌인지 물어본다. 그 후 고객의 이름, email 주소, 미국 핸드폰 번호를 인증하면 회원가입이 완료된다. 회원가입 과정은 10분 내로 완료되는 빠른 프로세스를 지니고 있다. wealthfront 앱 메인화면 이미지 & 서비스 <Betterment 앱 화면> wealthfront의 초기 화면이다. 하단을 보면 홈, 이체, 알림, 선물, 설정 총 5가지의 메뉴가 있다. 우선 홈 메뉴에 연결된 계좌와 현금 잔액을 확인할 수 있고 그 아래 투자 항목이 있다. 투자 항목은 자신이 투자하는 주식 계좌, 은퇴 계좌, 로보어드바이저 계좌 등 연결된 모든 투자 계좌들을 한눈에 볼 수 있다. 다음은 부채 항목이다. 부채 항목은 연결된 자신의 계좌 중 부채 액수 및 상황을 간략하게 보여준다. 만약 내 은퇴시기를 알고 싶다면 오른쪽 위의 Goal UI를 누르면 된다. 몇 가지 질문 후 연결된 계좌를 통해 언제쯤 은퇴할 수 있을지 알게 된다. 투자하고 있는 계좌 중 한 계좌를 클릭하면 현재 투자 수익률 등의 상세 세부 조항을 알 수 있다. 로보어드바이저를 통한 투자 포트폴리오는 언제든지 고객별 맞춤형으로 제공이 가능하다. 반도체 시장이 좋으리라 생각하면 반도체 ETF를 추가하면 된다. 상품을 선택하는 것뿐만 아니라 선택한 상품들의 비중 조절도 가능하다. 만약 로보어드바이저의 투자 전략이 맘에 안 들거나 수익률이 저조하다 판단되면 자신의 전략으로 포트폴리오를 자산 재조정하면 된다. wealthfront는 외부 계좌와 연결이 자유로워 거래하기 편하며 모든 거래(배당금, 자산 재조정(자산 재조정), 자문 수수료, 배당금 재투자)를 볼 수 있어 투자 및 은퇴 계좌를 목적으로 사용하기 편리하다. 두 번째 이체 메뉴로 예금, 인출, 송금 등이 있다. wealthfront만의 직불 카드를 가지고 있어 인출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계좌 생성 시 Investing or Banking 계좌를 생성할 수 있다. 세 번째 알림 메뉴이다. 모든 활동을 필터별 분류를 통해 알 수 있다. 네 번째 선물 및 친구 초대 기능이다. 친구 초대를 하면 한 명당 투자 자산의 $5000의 수수료를 면제해준다. (ETF 수수료 제외) 마지막은 Profile 메뉴로 설정, ATM 찾기, 도움말 등 여러 가지 설정을 바꾸거나 도움 되는 내용을 찾을 수 있다. wealthfront 회사 및 서비스 관련 기사 Wealthfront는 최소 500달러의 예치금이 있어야 로보어드바이저를 시작할 수 있다. 최초 5,000달러까지는 수수료가 면제되면 친구 초대 시 한 명당 5,000달러의 수수료를 면제받을 수 있다. 현금 예치 시 금리에 따라 변동이 되지만 현재 이자는 2.00%이다. 기본적인 수수료는 0.25%로 Betterment와 같고 ETF의 수수료는 평균 0.8%이다. 거래수수료, 인출 수수료 최소액수 or 이체 수수료가 없어 자유로운 이체가 가능하다. wealthfront는 FDIC2)가 보증하는 Green Dot과 협력하여 직불카드를 제공한다. 현금 계좌에 돈을 넣은 후 직불카드를 신청하여 사용할 수 있다. wealthfront는 목적에 따라 투자 분류가 가능하다. 은퇴를 목표로 투자한다면 Traditional IRA, Roth IRA, SEP IRA가 있다. 교육자금을 목표로 투자한다면 529 College Savings가 있다. 그 외에는 Individual Accouts, Joint Accouts, Trust Accounts가 있다. 2) 은행은 돈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운용할 수 있는 기관이지만 과거 사례를 보면 그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해 부채를 감당하지 못하거나 예금주에게 돌려줄 돈을 확보하지 못했던 사례가 있었다. 만약에 이런 상황이 온다고 할지라도 연방 예금보험공사(Federal Deposit Insurance Corporation: FDIC)에 가입된 은행이라면 예금해 놓은 돈은 돌려받을 수 있다. 미국 연방 예금보험공사는 예금주(Depositors)가 은행 및 저축은행(Savings Associations)에 모아 둔 자금을 보호해 주는 미국 정부의 독립기관이다. 연방 예금보험은 미국 정부가 보장하는 보험이라 할 수 있다. 목적에 따른 계좌를 생성한 뒤 나이, 수입, 리스크 등 질문을 한다.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한 후 Classic, Socially responsible, Direct Indexing의 계정 스타일을 선택한다. Socially responsible은 ESG와 관련된 회사에 투자하는 스타일이고 Direct Indexing은 100,000달러 이상인 계좌일 경우 세금 절감을 강화하기 위해 기별 미국 주식에 투자하도록 설계된 포트폴리오이다. 모든 과정을 거치면 로보어드바이저가 투자자에게 맞는 포트폴리오를 계획한다. 만약 포트폴리오가 맘에 안 들면 포트폴리오 고객 맞춤형으로 자산 재조정이 가능하다. 자신의 취향에 따라 비중, 상품 조정이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포트폴리오는 17개자 자산 항목, 200개가 넘는 ETF 그리고 2개의 암호화폐 상품 내에서 이루어진다. ETF 상품으로는 미국 주식, 배당주, 국채, 부동산, 신흥시장 주식 등이 있다. wealthfront의 특이점 중 하나는 대출이다. wealthfront는 고객의 포트폴리오에서 최대 30%까지 대출이 가능하다. 만약 포트폴리오에 100,000달러가 있다면 30,000달러를 빌릴 수 있다. 현재 대출 금리는 연이율 4.6~5.90%로 신용카드 평균 대출금리인 19.49%보다 낮다. 대출은 신청하면 자동으로 승인되며 신용 조회 또는 신청 수수료가 없다. 상환 일정 또한 없다. 공격적인 투자자에게 레버리지 투자가 가능하며 급전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유용한 대출이다. 또한 wealthfront는 모든 고객에게 Tax loss harvesting3)을 제공한다. wealthfront의 단점으로는 최소금액과 수수료의 존재이다. 이 두 가지는 로보어드바이저 분야에서 평균적인 비용이지만 최소금액 500달러가 진입장벽이 될 수도 있고 다른 로보어드바이저는 최소비용이 없거나 수수료가 0%인 곳이 있다. 두 번째로 휴먼어드바이저의 부재이다. 휴먼어드바이저에게 투자 조언이나 제안을 들을 수 없다. 3) Tax Loss Harvesting(택스 로스 하베스팅)이란 수익이 마이너스인 증권(주식, 채권 등)을 특정 시점에 매도하여 세금을 줄이는 전략을 의미한다. 줄여서 TLH라고도 하며, Tax-loss selling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Tax Loss Harvesting은 미국 주식 투자 절세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는 전략 중 하나이다. 하지만 FAQ, 이메일, 전화 등을 이용하여 궁금한 사항을 물어볼 수 있고 투자에 대한 궁금증은 wealthfront의 블로그와 유튜브를 통해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다. 세 번째 단주거래가 불가하다. 단주거래가 불가능하여 예상치 못한 현금을 남길 수 있다. 공격적인 투자가에게 보유 현금은 마이너스 요소가 될 수 있다. wealthfront 분석 정리 wealthfront는 로보어드바이저 초기 개척자이며 Betterment와 비슷한 유형의 회사이다. 선점효과를 누리게 되면서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로보어드바이저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wealthfront는 초보 투자자에게 좋은 로보어드바이저라고 생각한다. 초기 금액 500달러가 필요하지만 모든 고객에게 Tax loss harvesting 지원, 블로그와 유튜브를 통해 공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추천한다. 초보뿐이 아닌 경험이 있는 자에게도 유용하다. 로보어드바이저를 믿되 자신을 믿는 투자자는 포트폴리오를 취향에 따라 조정하면 되기 때문이다. 증권시장 이외에 리츠, 암호화폐 등 투자 다각화에 신경 쓴 점을 높게 평가하는 부분이다. 앱의 UI를 확인하면 왜 이 기업의 앱 평점이 높은지 알 수 있다. 직관적이고 깔끔한 UI, 빠른 회원가입 등의 이유이다. wealthfront는 로보어드바이저를 필두로 한 유사 은행이라고 생각한다. 직불카드 및 예금 이자가 존재, 포트폴리오의 30% 조건 없는 대출, 로보어드바이저 투자, 은퇴계좌가 있다. 하지만 wealthfront의 입지는 불안하다. 로보어드바이저가 대중화될수록 대규모 은행들이 로보어드바이저에 진출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Vanguard, Charles Schwab 등이 있다. 이들은 수수료와 초기 금액 제한 없이 사람들을 끌어모았다. 일반 투자자들은 로보어드바이저에 특화된 회사보다 기존 사용하던 은행의 로보어드바이저를 사용하는 것이 더 친숙하다. 이에 따라 성장성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wealthfront가 UBS의 인수되는 것을 결정했을 거로 생각한다. 독립적인 로보어드바이저가 대형 은행, 증권사에 인수된다면 장단점이 있다. 우선 성장성에 도움이 된다. 독립적인 회사보다 큰 자금력을 가진 은행과 함께 연계하여 다양한 상품 제시가 가능해진다. 하지만 인수로 인해 로보어드바이저는 특정 증권사와 은행의 ETF만 팔 가능성이 있다. 이는 자회사의 수수료 이익을 위해 상품의 다양성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다. 인수는 22년 하반기에 마무리된다. 인수 후 wealthfront와 UBS의 행보를 지켜봐야 한다. 아래 기사는 UBS의 wealthfront 인수 관련 기사이다. <원문출처> 조세금융신문 https://www.tfmedia.co.kr/news/article.html?no=144758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 한국무용전공 주최, ‘제20회 창작발표회 및 제23회 쇼케이스’ 성황리에 열려
서경대학교 무용예술학부(학부장 전순희 교수) 한국무용전공이 주최하는 ‘제20회 창작발표회 및 제23회 쇼케이스’가 5월 24일(수) 오후 7시 교내 문예관 1층 문예홀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날 발표회 및 쇼케이스는 4학년 학생들의 단체 창작 작품 2편과 1, 2, 3학년 학생들의 단체 작품 6편으로 구성돼 주목을 받았다. 또한 무용예술학부 학생들과 공연예술학부 무대기술(조명디자인) 전공 학생들이 협업하여 다채로운 무대를 선보였다. 이번 ‘제20회 창작발표회 및 제23회 쇼케이스’는 무용예술학부 한국무용전공 학생들이 한 학기 동안 정성을 쏟아 열심히 준비한 무대였다. 특히 재학생들이 작품 기획은 물론 안무, 의상, 소품 등을 직접 제작하고 준비하는 등 무대를 만드는데 최선을 다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순희 무용예술학부 학부장은 “늦은 밤까지 몸을 아끼지 않고 쏟아내는 학생들의 열정을 칭찬하지 않을 수 없다.”며 “이번 공연을 통해 학생들의 실력 향상과 더불어 창의적 안무 역량, 진로 설계 및 자기 계발 역량을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전순희 교수는 이어, “보다 훌륭한 작품을 무대에 올리고 창의적이고 뛰어난 전문역량을 갖춘 예술인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아낌없이 많은 가르침과 사랑을 주신 지도교수 선생님들과 학생들을 위해 온갖 정성을 다 쏟아주신 학부모님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고 덧붙였다.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무용예술학부는 한국무용을 통한 인간 정서의 순화와 심신의 발달, 건강하고 품격 높은 순수 무용예술의 전문가를 육성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정규 수업 외에 매 학기 공연을 준비해 무대에 올리고 있으며 다양한 외부공연 활동도 함께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노력에 힘입어 많은 학생들이 권위 있는 국내외 유수 무용경연대회에 참가해 우수한 성적을 거둬 자신과 학교의 명예를 높여오고 있다.
서경대학교 사회봉사지원센터, ‘2023 봄 김장 나눔 행사’ 성료
서경대학교 사회봉사지원센터(센터장 함형준 교수)에서는 지난 5월 13일(토) 성북구 삼양로 2길에 위치한 길음종합사회복지관에서 지역 내 식생활 지원 대상자 및 기타 취약계층 가정 총 80세대를 대상으로 ‘2023 봄 김장 나눔 행사’를 진행했다. ‘2023 봄 김장 나눔행사“는 서경대학교 사회봉사지원센터에서 300만 원을 기부하여 진행된 행사로, 재학생 및 교직원으로 구성된 사회봉사단 23명이 김장을 직접하였고, 거동이 불편한 가정에는 가정당 10kg 상당의 김치를 직접 배달도 했다. 행사 당일 집결 후, 길음종합사회복지관 관계자로부터 사전 안내를 받고, 위생복과 고무장갑, 앞치마, 비닐 및 포장용품 등 김장에 필요한 물품을 배분 및 착용한 후, 본격적인 김장 담그기를 분담한 역할대로 9시 20분부터 진행해 12시 경에 포장까지 완료하였고, 최종적으로 정리 정돈까지 깔끔하게 마무리했다. 이후 김장 김치를 각 가정별로 나눈 뒤, 봉사단원은 거동이 불편한 대상 가정에 직접 찾아뵙고 배달까지 완료했다. 서경대학교 사회봉사단은 이날 봉사활동을 통해 지역 내 도움이 필요한 이웃들을 직접 만나 나눔을 실천하는 값진 경험을 했다. 이는 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이웃에 대해 남다른 관심을 갖게 하는 등의 성과를 거두는 계기가 됐다. 서경대학교 사회봉사단은 2013년부터 2023년 현재까지 11년 동안 사회공헌활동의 일환으로 길음종합사회복지관과 연계하여 봄 김장, 어버이날 행사, 복날 행사, 겨울김장 등 지역사회 나눔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오고 있다. 지역 내 저소득 어르신의 건강한 식생활 지원 및 정서 안정 등을 살피고 제공하는 민·관 협력의 나눔공동체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2020년 코로나19 이후 대면 활동의 제한으로 사회공헌 협력 행사가 2년간 중단되었지만, 2022년부터 사회공헌활동 재개를 통해 길음종합사회복지관과의 인연을 이어 나가고 있다. 앞으로도 이어질 서경대학교 사회봉사지원센터의 봉사활동과 미담이 기대된다. <홍보실=안희진 학생기자>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한국형 Green NCAP 평가기술 개발’ 사업 선정
김호현 나노화학생명공학과 교수 등 연구진 , “자동차 실내 공기질 환경친화도 평가·등급화 기술 개발해 국내외 제도화에 기여할 것” 서경대학교(총장 직무대행 김범준)가 국토교통부가 주관하고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이 추진하는 ‘한국형 Green NCAP 평가기술 개발(250억/4년)’ 사업(주관기관: 한국교통안전공단, 3세부 공동기관: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의 공동연구기관에 선정됐다. ‘한국형 Green NCAP 평가기술 개발’은 자동차부문 탄소중립의 대응과 친환경차 전환 가속화를 유도하기 위해 자동차 친환경 성능 평가 및 등급화 기술을 개발하고 제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유럽에서는 ‘19년부터 Green NCAP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자동차 국제기구(UN WP.29)에서 VIAQ 평가방법론의 국제조화를 위한 기술 및 제도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사업은 1세부(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차 연비·온실가스 환경친화도 평가·등급화 기술 개발, 2세부(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차 LCA 전생애주기 온실가스 평가·등급화 기술 개발, 3세부(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 실내 공기질 환경친화도 평가·등급화 기술 개발, 4세부(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형 Green NCAP 제도화 및 실용화 기술 개발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 사업의 3세부 공동책임을 맡고 있는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은 나노화학생명공학과 김호현 교수(운행 차량 노출평가 공정시험기준 분야), 이철민 교수(공기질 등급화 기술 개발 분야), 서성철 교수(VIAQ 국제대응 분야)가 함께 참여하고 있다. 김호현 교수 등 연구진은 “차량 내외부 오염물질 유입 등 자동차 실내 공기질 등급화 기술 개발을 바탕으로 국제기준 대응을 통해 자동차 실내 공기질 부문 국내외 제도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서경대 MFS] 핀테크 지급결제 사례
서경대학교 MFS(Mobile Financial Service) 연구회는 금융정보공학과 서기수 교수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연구모임으로 세계적으로 급변하는 핀테크시장의 흐름과 동향파악을 통해서 국내 금융시장의 발전에 조금이라도 기여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핀테크 시장의 핵심 분야인 모바일 금융서비스에 대해서 로보어드바이저, 주식, 대출, 뱅킹, 지급결제, 중국 및 제3국가들의 모바일 앱 등 서비스 종류와 지역별로 분석해서 정리한 콘텐츠를 본 조세금융신문을 통해서 공유하고자 한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분야별 앱이나 회사를 설립 때부터 지금까지의 과정과 주요 서비스와 회원가입 절차 및 메인화면의 구성 등을 분석했으며 관련 분야의 국내 경쟁 앱이나 회사도 함께 정리했다. ▲ 이종우 연구원-서경대학교 MFS 연구회 페이팔 서비스 개시일 & 간단한 역사 다음으로 이야기를 시작할 앱은 국내에서도 나름대로 인지도가 있는 미국의 페이팔(PayPal)이다. 페이팔은 소비자와 사업체를 이어주는 전자 및 모바일 결제 솔루션 기업이다. 이는 온라인상에서 개인과 개인, 개인과 기업 간의 송금, 구매 및 판매 등의 결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페이팔 계좌와 카드로 송금 및 입금, 청구를 할 수 있으며, 해외 결제 사이트에서 페이팔을 통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한다. 쉽게 말해 국내 카카오페이나 네이버페이와 같이 온라인 간편결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기업인 것이다. 국내의 경우에는 해외 사이트 결제를 할 때 페이팔을 통해 간단하게 결제를 할 수 있다. 기존의 결제 같은 경우 결제 시 카드 정보를 하나하나 입력하여 결제를 진행했지만, 페이팔을 통해 미리 등록해 둔 카드로 간편하게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간편함은 물론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페이팔은 콘피니티(Confinity)라는 회사의 이메일을 통한 송금 사업으로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이후 일론 머스크의 X.com이라는 회사에 인수되어 2001년 회사명을 페이팔로 변경하였다. 2002년 페이팔은 ‘PYPL’의 이름으로 주당 13달러에 나스닥에 상장된 이후 온라인 쇼핑몰 회사인 이베이(eBay)에 인수되었다. 이베이의 인수로 상당한 규모의 회원과 가맹점을 확보한 페이팔의 성장은 시작되었다. 당시 이베이의 전체 경매 금액의 70%가 페이팔에 의해 이루어질 만큼 빠른 성장 폭을 보였다. 가파른 성장세를 보인 페이팔은 2005년 베리사인(VeriSign)이라는 결제 게이트웨이를 인수하면서 추가적인 보안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전자상거래(eCommerce) 사업을 확장했다. 2007년에는 마스터카드(Mastercard)와 제휴를 맺으며 카드 결제 서비스를 발전시켰다. 당시 제휴의 결과로 한 해 수익이 18억 달러를 돌파하는 성과를 이뤄냈다. 또한 이 제휴는 결제 과정에서 카드의 일회성 번호를 생성시켜 페이팔을 지원하지 않는 웹사이트에서도 지급을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의 개발로도 이어졌다. 2008년 이스라엘의 프로드사이언스(FraudScience)라는 보안업체를 인수하여 온라인 거래 보안을 강화하는 데에 큰 노력을 기울였다. 또한 같은 해 미국의 신용을 제공하여 외상 구매 서비스를 지원하는 지급회사 빌 미 레이터(Bill Me Later)를 인수하면서 BNPL(선구매 후지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2009년 페이팔의 수익과 거래 대금 모두 전년도 대비 10% 이상 증가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2011년에는 기존의 카드 단말기를 이용하여 오프라인에서도 페이팔로 결제를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 제공을 발표하면서 온라인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에서의 사업을 확장했다. 이를 기반으로 페이팔은 2012년 디스커버카드(DiscoverCard)와 제휴를 맺어 카드 네트워크에 속한 약 700만 점포에서 페이팔을 통한 결제를 가능하게 했으며, 이는 2012년 3분기 이베이 전체 수익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수익 창출로 이어졌다. 2013년 모바일 및 웹 결제 게이트웨이인 브레인트리(Braintree)를 인수하면서 모바일 결제 수익을 향상함과 동시에 벤모(Venmo)를 인수하면서 P2P 서비스까지 확장하였다. 꾸준히 성장하던 페이팔은 2015년 큰 변화를 겪게 된다. 2002년 이베이에 인수된 지 13년 만에 분사하게 된 것이다. 처음에는 불확신 속에 걱정을 표출하는 의견도 있었지만, 독립하는 페이팔의 시가총액은 약 495억 달러로 한화 약 57조 2,000억 원에 달했다. 당시 이베이에서 분사해 나스닥에 상장된 페이팔의 주가는 기대감이 반영되어 상장 첫날 5.44% 증가하여 시가총액 520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상장 첫날 모회사였던 이베이는 물론 트위터와 넷플릭스까지 뛰어넘게 된 것이다. 반대로 이베이는 페이팔이 분사하기 전 800억 달러였던 시가총액이 분사 직후 340억 달러까지 추락하며 위상을 구기게 되었다. 이베이의 제약에 막혀있던 페이팔은 분사로 인해 결제 사업을 더욱이 발전시킬 수 있게 되었다. 분사 직후 페이팔은 애플페이의 대항마라고 불리던 페이던트(Paydiant)를 인수했다. 이베이에 속했을 때도 수익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던 페이팔이었지만 모바일 결제 시장에서의 점유율은 20% 미만으로 해당 부문은 약점이라고 평가받았다. 페이팔은 이런 상황에서 페이던트 인수를 통해 대형 유통업체 컨소시엄과 연계를 목표로 대형 유통사와 기술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현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줌(Xoom)을 인수하면서 국제적인 디지털 송금 서비스 지원을 가능케 했으며, 페이팔 미(PayPal Me) 서비스를 출시하여 더욱 쉽고 편리한 P2P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2018년 글로벌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이퍼월렛(HyperWallet)과 스웨덴의 소상공인 상거래 플랫폼 아이제틀(iZettle)을 인수하여 온라인 전자 거래 시장의 범위를 확장했다. 2019년에는 중국의 궈푸바오(GoPay)를 인수했는데 중국 최초로 외자 출자의 제삼자 결제기관이 100% 인수한 사례인 동시에 페이팔도 중국 온라인 결제 시장을 공략한 사례가 되었다. 궈푸바오 인수에 대해서는 이미 알리바바의 알리페이, 텐센트의 위챗페이가 시장 점유율 93% 이상을 장악한 상태였기에 암울한 전망을 예측하는 의견도 있었지만, 중국 시장 진입 자체가 페이팔의 혁신을 이끌 것이라는 전망에 대한 의견이 훨씬 많다. 이후 2020년 미국 내 1,700만 명 이상이 사용하고 있는 가격 비교 플랫폼 허니(Honey)를 인수하면서 전자 상거래 웹사이트에서 온라인 쿠폰을 집계하고 자동 적용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2021년 일본의 페이디(Paidy)를 인수했다. 이는 경쟁이 심화되는 BNPL 시장에서의 입지를 다짐과 동시에 온라인 쇼핑 규모가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일본 시장의 점유율을 선점하기 위한 전략으로 사용되었다. 아래의 자료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페이팔은지속적인 기업 인수와 이에 따른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속해서 추가되는 페이팔의 서비스> 페이팔 회원가입 과정 페이팔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가입 절차가 간단하다는 것이다. 페이팔 웹 사이트와 앱에서 가입할 수 있다. 앱을 다운로드하고 두 가지의 가입 경로가 존재한다. 일반적인 사용자(소비자) 계정과 비즈니스 계정을 개설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계정의 경우 다른 앱과 가입 절차가 크게 다르지 않다. 사용자의 국가를 선택한 뒤 휴대전화로 보안코드를 받아 인증 절차를 거치게 된다. 이후 아이디로 사용되는 이메일과 비밀번호를 조건에 맞춰 입력하면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계정을 생성하면 개인 프로필과 주소를 입력하는데 국내의 유사 서비스와는 다른 부분은 페이팔에서는 운전면허증과 여권으로만 본인인증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정보 입력 후 가입이 완료되면 입력한 이메일 주소로 확인 이메일이 전송된다. 해당 이메일로 들어가 페이팔 계정 생성과 계정의 합법적 소유자임을 증명하는 로그인을 진행하면 모든 인증과 가입은 마무리된다. 설정 완료 후 이어지는 팝업 메시지에서 바로 직불카드 또는 신용카드를 연동할 수 있다. 이후에도 추가할 수 있지만 카드 등록까지 바로 이어져 헤매지 않고 등록이 가능한 프로세스이다. 카드는 Visa, Mastercard, American Express와 같은 국제 카드만 등록할 수 있으며 여기서 연결한 카드로 페이팔 내에서 결제할 수 있게 된다. 카드는 추가로 등록할 수 있으며 온라인 결제 시 등록한 카드나 페이팔 앱 내 잔액 중 선호하는 결제 수단을 설정할 수 있다. 카드에 이어 계좌 정보 또한 연결할 수 있다. 한국의 은행 계좌를 연결해 사용하는 것인데 페이팔 내의 잔액을 한국 계좌로 송금할 수 있고, 페이팔 잔액으로 결제 시 결제 금액이 부족하다면 한국 계좌에서 충전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도 있다. 은행 계좌 연결 시 인증을 거치게 되는데 페이팔에 등록한 계좌로 입금 코드와 함께 소액 입금이 된다. 이 인증 과정을 마치면 정상적으로 계좌 인증이 완료된 것이다. 사용자 계정에서는 지인들과의 송금 서비스도 가능하다. 여기서 연락처 동기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연락처 동기화에 동의한다면 저장된 연락처 정보만으로 지인과의 송금 서비스를 진행할 수 있다. 다음은 비즈니스 계정의 생성이다. 비즈니스 계정은 사업자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로 청구서 작성 및 결제 대금 요청, 환급의 기능까지 제공한다. 페이팔 비즈니스 계정의 장점은 따로 앱을 다운받지 않고 같은 앱 내에서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는 부분이다. 비즈니스 계정 생성은 자영업자, 개인사업자, 법인 등 사업 유형을 선택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계정 생성은 무료로 제공되며 기존 사용자 계정을 업그레이드해 이메일 주소를 그대로 유지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새로운 이메일 주소를 등록하여 별도의 계정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후 법적 사업명과 제품 등 비즈니스에 대한 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입력이 완료되면 비즈니스 계정에 대한 추가 정보를 요청하는 이메일이 전송된다. 미국 세법인 FATCA(해외금융계좌신고법)에 따른 정보 수집으로 신원 증빙과 같은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이는 미국에 거주하지 않아도, 미국의 납세자가 아니어도 필요로 하는 정보이기에 반드시 제출해야 하는 약간의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모든 절차가 완료되면 비즈니스 계정 활성화 메일과 함께 간단한 가이드라인, 안내 사항을 받아 볼 수 있다. 페이팔 주요 서비스와 서비스의 내용 앞서 언급했듯이 페이팔은 수많은 기업을 인수하여 영향력을 확장해 나가고 있고, 타 기업 인수에서 파생된 서비스 또한 무수히 많다. <페이팔 자회사의 서비스> 먼저 페이팔 자체 서비스는 소비자와 판매자를 잇는 B2C(business-to-consumer) 결제 서비스를 제공한다. 브레인트리는 이커머스 기업들을 위한 전자 결제 솔루션을 제공한다. 기존의 페이팔은 결제할 때 페이팔에 접속해야만 했지만, 브레인트리는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결제와 같이 완전히 다른 결제 방법을 업체에 제공해준다. 벤모(Venmo)는 우리나라의 토스와 비슷한 서비스로 미국 내 벤모 계정이 있는 사람들끼리 쉽게 송금을 할 수 있는 미국의 국내용 P2P(peer-to-peer) 서비스를 제공한다. 줌은 국제판 벤모로 미국 및 캐나다에서 해외로 송금을 도와주는 국제 P2P 서비스를 제공한다. 스웨덴에서 인수한 아이제틀로는 페이팔 제틀이라는 서비스를 만들어 냈다. 이 서비스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Tap to Pay 서비스를 제공한다. 오프라인 결제에 필요한 POS기 필요 없이 스마트폰을 NFC 비접촉 결제 단말기로 사용할 수 있게 도와줌과 동시에 현재 물건이 얼마나 잘 팔리고 있는지 판매 현황은 물로 분석 소프트웨어 또한 제공해준다. 페이팔 크레딧이라는 서비스도 존재한다. 이는 신용서비스, 할부 서비스로 페이팔 계정 내에서 자금 조달 옵션을 제공하면서 이후 페이팔 잔액으로 지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즉, 주문한 물건을 먼저 받고, 나중에 결제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인 것이다. 페이팔의 장점 및 단점 페이팔이 지원하는 기능은 무수히 많다. 사업용 서비스를 제공함은 물론 대부분의 온라인과 오프라인 결제를 지원한다. 페이팔이 제공하는 많은 서비스가 있지만, 그중 사용자들이 이야기하는 몇 가지의 장점을 이야기해 보려고 한다. 먼저 가입 절차가 간단하다는 것이다. 아이디/비밀번호, 본인인증 등 기본적인 정보만으로 가입 절차를 최소화해 간단한 절차로 글로벌 소비자와 사업자가 될 기회를 제공한다. 다음의 장점으로는 높은 접근 가능성을 이야기한다. 웹사이트와 안드로이드, iOS 플랫폼 모두 지원하여 스마트폰 앱으로 송금 온라인 결제, 수수료 자동 납부 등 여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미국의 자영업자는 물론 중소기업, 대기업 모두 페이팔을 사용한다. 또한 전화, 이메일, 헬프 데스크, 챗봇, 기본 가이드라인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서비스의 불편함이 발생했을 시 빠른 피드백이 가능하다. 페이팔은 미국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국제적으로 활용되는 서비스이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미국 대부분의 기업은 페이팔을 사용한다. 따라서 기존 계정 생태계가 우수하다는 것이 최대 장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페이팔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 수많은 웹 사이트에서 결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무료 P2P 서비스를 제공함으로 전 세계 신규 고객들을 유치하고 있다. 현재 페이팔은 200개 이상의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활성 계정 수, 거래 수, 결제 대금 처리, 수익 등 모든 부분에 있어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으며 코로나 팬데믹 이후에는 더욱 가속화되어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해 페이팔의 기존, 그리고 앞으로의 인프라가 튼튼할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 <분사 이후 페이팔의 실적> 위의 자료는 실제 페이팔이 홈페이지에 공개된 자료이다. 2015년 분사 이후부터의 누적 통계치로 활성 계정 수, 거래 수, 순수익, 현금흐름 등 모든 영역에 있어 눈에 띄게 성장한 모습을 볼 수 있다. 특히, 4억 2,600만 명 이상의 사용자가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형성되어 있는 인프라가 튼튼하여 앞으로 새로운 서비스가 출시되어도 확실한 메리트가 있을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고객과 거래 대금은 물론 수익 또한 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과거와 같이 드라마틱한 성장은 아니지만, 전년도와 비교했을 때 매 분기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 나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페이팔 잔액 충전 시스템으로 간편하게 결제를 완료할 수 있으며, 높은 거래 한도, 결제 대금 입금 및 환급 수단으로 손쉽게 활용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2015년 페이팔 코리아가 정식 출시되었다는 것이다. 덕분에 회원가입은 물론 모든 서비스를 한국어로 진행할 수 있다. 국내 앱을 사용할 때는 너무나도 당연한 서비스이지만 해외 결제를 진행할 때 번역기가 아닌 정식으로 출시된 한국어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은 큰 장점이다. 이런 페이팔도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당연히 단점도 존재한다. 이번에는 페이팔의 단점에 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한다. 먼저 계정에 대한 단점이다. 국내에서 해외 결제를 진행할 때 대부분 페이팔을 통해 결제할 수 있지만 미국 내 자국민에게만 서비스를 지원하는 쇼핑몰도 다수 존재한다. 즉, 한국에서 일부 해외 사이트 이용과 결제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랄프로렌과 나이키가 있는데 이는 한국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니 본토에서 구매하지 말고 한국 사업장에서의 구매를 유도하는 것이다. 이로 따라 변태 페이팔, 변형 페이팔이라고 하는 계정이 나타나게 되었다. 흔히 ‘변팔’이라고 부르는 이 계정은 한국에서 한국인이 아니라 미국인인 것처럼 가입하여 이용하는 것이다. 이 계정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미국 USIM칩과 휴대전화 번호, 미국 주소가 필요하다. 준비물을 보면 알 듯이 한국에서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만들 수 없는 계정이다. 이 때문에 보안이 취약해지는 것은 물론 계정 정지 가능성이라는 리스크가 수반된다. 각 기업의 의도가 담겨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것이지만 페이팔을 통해 결제할 수 없는 사이트도 분명히 존재한다는 것이다. 또한 오프라인에서의 사용 제한이 있다. 그동안 여러 기업을 인수하면서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를 준비하던 페이팔이었다. 실제로 기업 인수 후 QR코드나 NFC 등을 통해 결제를 가능케 하는 서비스를 제공했지만, 온라인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오프라인에서는 많은 제한에 부딪힌다. 페이팔의 장점으로 간단한 계정 생성을 이야기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이렇게 쉬운 계정 생성이 단점으로도 꼽힌다. 페이팔은 정식 허가를 받은 사업자 계좌가 아니다. 사업자 등록이 된 계좌만 허가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누구라도 사업자처럼 설정하여 계정을 생성할 수 있는 구조이다. 최소한의 자료로 증명을 한다고 해도 일정 제한 필터링을 하므로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생성한 계좌가 동결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한다. 필자도 이 이야기를 듣고 금전이 유통되는 플랫폼에서 아무 이유 없이 계좌가 동결된다고 해서 의아한 부분이 있었다. 하지만 예시를 멀리서 찾을 필요가 없었다. 비즈니스 계정을 만들고 활성화 메일을 받은 직후 [고객님은 더 이상 PayPal을 이용하여 거래할 수 없습니다.]라는 메일이 한 통 전송되었다. “검토 결과 계정이 사기성 정보 또는 도난당한 정보를 사용하여 생성된 것으로 감지되었기 때문에 고객님의 계정을 영구적으로 제한하기로 결정했습니다.”라는 안내문과 함께 계정이 동결되었다.<계정 동결 알림 메시지> 좋은 방향으로 생각한다면 사기성 계정을 미리 발견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고 할 수 있겠지만 반대로 순수한 거래 목적으로 가입했는데 이러한 상황이 발생한다면 굉장히 당황스러울 것이다. 필자는 가입 직후 바로 동결되었기 때문에 계좌에 잔액이 없어 다행이었지만 거액의 잔액이 남아있는 사용자의 계좌가 동결된다면 난처한 상황이 발생할 것이다. 물론 무결성을 증명할 수 있다면 계좌 복구가 가능하지만 이를 성공한 사용자를 찾아보기는 힘들다. 실제로 구글에 Frozen PayPal Accounts만 검색하더라도 많은 사례가 있고, 이는 분명 적은 수치가 아니다. 페이팔의 현재와 미래 페이팔은 현재도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몸집 키우기에 집중하고 있다. 2020년 11월 페이팔은 미국 이용자 대상으로 가상자산 매매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페이팔 앱으로 비트코인 매매, 보유가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기존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에 핀테크 플랫폼을 추가함으로써 디지털 금융까지 사업영역과 채널을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매매 서비스에 그치지 않고 페이팔은 달러와 연동된 자체 스테이블코인을 개발 및 발행 예정이라고 한다. 스테이블코인은 달러와 1 대 1로 가치가 고정되어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된 암호화폐로 시장의 일반 코인과 비교해 안정적이다는 특징이 있다. 페이팔 개발자가 최근 알고리즘상의 숨겨진 코드를 발견하면서 자체 코인 발행은 더욱 확실해진 상황이며 규제당국 관계자들과 논의 중이라고 한다. 댄 슐만 페이팔 최고경영자(CEO)는 “페이팔의 암호화폐 지원은 단순한 투자용 자산을 넘어 일상적인 상거래 자금원이 됐다.”라고 밝히며 고객들이 암호화폐로 상품을 결제할 수 있는 앱 서비스를 출시했다. 페이팔 내에서 거래되는 가상자산은 페이팔 내에서만 취급되며, 페이팔이 중심이 되어 가상자산을 활용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페이팔 디지털월렛에 보유하고 있는 암호화폐를 달러로 전환해 상품 구매 시 즉각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암호화폐로 거래한다면 가격 변동성이 문제가 될 텐데 이 리스크를 가맹점들이 감수하지 않도록 거래 정산이 달러로 이뤄지도록 한 것이다. 암호화폐에 대한 많은 리스크가 존재하겠지만 페이팔은 P2P, B2C 거래가 아닌 페이팔 자체가 주도권을 갖는 가상자산 인프라를 제공하면서 결제 편의성을 강화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런 노력이 대중화된다면 Visa, Mastercard 등 기존 네트워크에서 벗어나 새로운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페이팔은 2021년 이스라엘의 디지털 자산 보안 및 수탁기업인 커브(Curv)를 인수했다. 디지털 자산 역량 강화에 더욱 힘쓰는 모습이다. 이를 통해 페이팔은 현재 미국 내에서만 제공하는 암호화폐 서비스를 더욱 강화해 국가 간 안전한 거래 환경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페이팔의 현재 금융 슈퍼 앱(Super App) 초기 버전을 공개했다. 자동 입금, 디지털 월렛, P2P 결제, 쇼핑, 암호화폐 등 다양한 통합 금융 서비스를 통합해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고객이 일상적인 금융 생활을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안전하고 강력한 올 인원 맞춤형 앱이다. 기존 계정 잔액이 먼저 표시되었던 화면 대신 개인화된 대시보드를 볼 수 있다. 이 대시보드에는 이체를 할 수 있는 월렛, 송금 및 지급을 할 수 있는 결제, 암호화폐에 접근할 수 있는 금융, 그리고 개인화된 쇼핑 탭이 표시된다. 이를 활성화하기 위해 페이팔은 신규 활성 계정 수 증가, 탈퇴율 감소, 회원의 활동 지수 반등을 목표로 플랫폼 및 자사 결제 시스템을 이용하는 고객을 늘리기 위해 지속해서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모든 기업에 새로운 도전은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지만 페이팔의 경우 압도적인 사용자 수로 규모의 경제가 실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원문출처> 조세금융신문 https://www.tfmedia.co.kr/news/article.html?no=144493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 ‘정릉 예술 마켓, 봄’ 개최
5월 24일부터 26일까지 3일간 서경대학교 유담관 로비 분수광장 앞, 플리마켓 오픈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조성사업단(단장 김범준)은 2023년 캠퍼스타운 입주 창업기업들과 지역 주민들의 문화예술 분야 체험 및 홍보, 소통을 위해 ‘정릉 예술 마켓, 봄’을 개최한다. 성북 지역 및 수도권에서 활동하는 생활문화예술 작가들과 캠퍼스타운 입주기업들이 한 공간에서 제품이나 콘텐츠를 소개하고, 지역 주민 및 서경대학교 학생들에게 소개하는 자리가 될 이번 ‘정릉 예술 마켓, 봄’은 서경대학교 대학 축제인 대동제가 열리는 5월 24일부터 26일까지 3일간 서경대학교 유담관 분수광장 앞에서 플리마켓 형식으로 열릴 예정이다. 지역에서 꾸준하게 활동하고 있는 생활예술 작가들과 열정 가득한 서경대학교 입주 창업팀들과의 만남의 장을 통해 지역 상생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고자 마련된 ‘정릉 예술마켓, 봄’은 성북 및 수도권 지역 생활예술 작가 14개 팀, 캠퍼스타운 입주 창업기업 8개팀 등 총 22개 팀의 참가로 진행된다. 봄 마켓을 시작으로 하반기 성북 지역 행사인 ‘개울장’ 참여 또한 함께 할 ‘정릉 예술 마켓’은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지역상생팀의 프로젝트 사업으로, 문화예술 특화 창업기업과 지역과의 접점 확대, 지역 기반 창업기업의 오프라인 활동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행사기간 동안 지역문화예술가 팀은, 나무꽃/나무공예, 도스마노스/가죽공예, 레디언스/원단지갑, 레브오너먼트/레진악세사리 및 소품, 린즈 팩토리/패브릭, 소미공방/ 마크라메, 유리토리/유리공예, 퀼트하마/퀼트공예, Agstudio/금속공예 ,Worksroom/도자공예, 빛놀이 집단 광작소/핸드메이드 가방, 내꼬니꼬/핸드메이드 악세사리, 쥬드/타로&사주, 별당/페이스 페인팅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또, 서경대학교 입주기업팀은 플로버스/꽃 소분거래 및 공동구매, 언밸런스/ 못난이 농산물 꾸러미, 블라썸 스테이지/예술인을 위한 사진, ㈜발트글라스/업사이클링 활용 아이템, 꿈을 찍는 아이들/ 프로슈밍 플랫폼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그 외 서경대 학생팀으로, 직접 만든 수공예 및 도자기 공예품을 판매한다. ‘정릉 예술 마켓, 봄’은, 3일간의 오프라인 홍보 및 판매 활동을 통해 지역 기반 창업팀을 발굴하고, 서경대 캠퍼스타운 입주 창업기업 간의 네트워킹 및 사업화 지원 등을 위한 각 문화예술 단체 및 관련 업계와의 연계를 통해 실질적인 판로를 모색할 계획이다. 향후, ‘정릉 예술 마켓’ 프로젝트는 각 창업기업의 분야별 지원을 위한 홍보 플랫폼 및 디지털 갤러리 등을 지원, 온라인 홍보 채널을 제작할 예정이며, 지역의 예술인 창업과 입주기업들의 지역 기반 성장 및 경제 활성화를 위해 사업단과의 소통을 이어갈 예정이다. 서경대 캠퍼스타운 사업단장인 김범준 총장 직무대행/교학부총장은 “문화·예술 및 공연예술로 특화된 서경대학교 및 2023년 입주 창업기업들이, 지역 기반의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소통하고 공유하며 창업기업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기반을 다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고 밝혔다. ‘정릉 예술 마켓, 봄’ 프로젝트, 관련 사항은, 서경대학교 공식 홈페이지 공지사항(https://www.skuniv.ac.kr) 또는 서경대학교 캠퍼스타운 블로그 (https://blog.naver.com/sku_camta) 및 홈페이지(https://campustown.skuniv.ac.kr) 를 통해 알 수 있으며, 관련 문의 사항은 e-메일(camta_info@skuniv.ac.kr) 로 문의하면 된다. <관련기사>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pan/site/data/html_dir/2023/05/23/2023052301745.html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64845 내일신문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461866 베리타스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58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