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무선 인터넷
교내 무선 인터넷 사용방법
개방형 WIFI 설치에 따른 사용방법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안내하오니 참조하여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LG U+에서 제공하는 WIFI ‘U+Zone’ 또는 ‘U+village’,‘U+village2’로 접속 시 인증이 필요 없고 바로 사용 가능 합니다. 
| 무선네트워크 | 암호 | 건물 | 
|---|---|---|
| U+Zone | lguplus100 | 유담관 외 건물 | 
| U+village | lguplus100 | 유담관 | 
| U+village2 | lguplus100 | 유담관 | 
| SKUDNA | lguplus100 | 청운관, 문예관 외 건물 | 
| SKUDNA2 | lguplus100 | 청운관, 문예관 외 건물 | 
		
		참고사항
	
	
		• LG U+정책에따라 변경 될 수 있습니다.
	
			
		SKUDNA 로그인 참고사항
Android(안드로이드)


IOS(아이오에스)


교내 IP 및 Sub Domain, 서버운영 신청
교내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경우 학교에서 부여된 고정 IP Address를 사용해야 합니다.
해당IP Address는 정보전산원(A/S 센터)에서 부여하오니 ‘IP 등록신청서’를 다운로드하여 작성하여 제출해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서버운영을 통한 교외 서비스를 할 경우 첨부의 ‘침입차단시스템 접근규칙 신청서’와 필요에 따라 
‘Sub Domain 운영신청서’를 작성하여 정보전산원으로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IP Address신청 절차
			1
			
		
		‘IP 등록신청서’ 다운로드 및 작성
			2
			
		
		정보전산원(북악관 212호) 및 A/S(북악관 202호)센터 제출
			3
			
		
		IP 신청은 사용가능여부 확인 후 개별연락
		
		참고사항
	
	
		• IP 신청은 해당 실의 IP 관리자가 일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Sub Domain 및 침입차단시스템 접근규칙 신청절차
			1
			
		
		각 등록신청서 작성(첨부파일 참조)
			2
			
		
		정보전산원(북악관 212호) 제출
			3
			
		
		Sub Domain, 서버운영 신청은 사용 가능 여부 확인 후 처리
		
		참고사항
	
	
		• Sub Domain 적용은 상위 도메인 서버 업데이트에 의한 최소 24시간이 소요되며 사용 DNS 서버에 따라 그 이상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2차 DNS 설정 안내
교내 DNS 서버의 서비스 중단 시 2차 DNS를 설정하면 교내 DNS서버와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2차 DNS서버는 KT의 DNS서버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설정 방법
Windows 사용자
- 제어판 > 네트워크연결 > 로컬영역연결(속성) > TCP/IP
 - 보조 DNS 서버에 168.126.63.1를 추가한다.
 
Mac 사용자
- 제어판 > 네트워크연결 > 로컬영역연결(속성) > TCP/IP
 - 보조 DNS 서버에 168.126.63.1를 추가한다.
 
관련내용 문의
해당 내용에 대한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세요.
			정보전산원
			02-940-7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