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경대학교

서브페이지 백그라운드 이미지

서경 TODAY

SKU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를 매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메뉴 | 검색 | 퀵메뉴

    서경대학교의 모든 것, 여기서 검색하세요!

    • 작게
    • 보통
    • 조금 크게
    • 크게
    • 가장 크게

    서경 TODAY

    3966

    서경대, 방통위 주최 '2016 시청자미디어축제' 서포터즈로 참여

    시청자미디어재단이 주관하는 ‘2016 시청자미디어축제’에 서경대학교가 서포터즈로 참여한다.27일 시청자미디어재단은 “방송통신위원회가 주최하고 산하기관인 시청자미디어재단(이사장 이석우)이 주관하는 이번 행사를 위해 서경대학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이 서포터즈로 참여한다”고 밝혔다. 올해로 2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는 28~29일 이틀간 서울 상암동 누리꿈스퀘어 일대에서 열린다. 다양한 미디어 체험을 중심으로 전시와 미디어교육 콘퍼런스, 명사 특강, 전국 시청자제작단 워크숍 등 시청자가 방송의 주인이 될 수 있도록 알차고 다채로운 행사들이 마련됐다. 특히 올 한 해 시청자가 직접 제작한 창의적인 작품을 소개하고 격려하는 ‘시청자미디어대상 시상식’에도 관심이 쏠린다. 이번 시상식에서는 국무총리상 및 방송통신위원장상 등 총 24편의 작품이 수상의 영예를 안게 될 예정이다. ‘2016 시청자미디어축제 서경대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은 25일 발대식에 이어 축제 기획 및 온라인 홍보, 축제 현장에 운영요원으로 투입된다. 서경대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은 이 학교 문화콘텐츠학부생을 중심으로 꾸려진 학생단체다. 지난 2013년 ‘콘텐츠를 통한 사회공헌’을 목표로 출범했다.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 김하명 단장(서경대 문화콘텐츠학과 2학년)은 “시청자가 즐길 수 있는 이번 축제에 대학생들에게 기회를 준 것에 매우 감사한다”며 “대학생의 참신한 아이디어와 열정으로 시청자 모두가 방송의 주인이 되어 즐길 수 있는 축제가 되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시청자미디어재단은 방송법 90조2에 따라 시청자의 방송참여 및 권익증진을 목적으로 설립된 공공기관이다. 전국 6개 권역별 ‘시청자미디어센터’를 통해 시청자의 방송참여 프로그램, 미디어교육, 방송장비·시설 등을 지원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기사출처]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403992

    썸네일

    나승연 전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 대변인, 서경대에서 특강

      탁월한 발표 능력으로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에 기여한 나승연 전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 대변인이 25일 서울 정릉동 서경대학교에서  ‘글로벌 소통의 기본 – 보다 나은 소통을 위한 7가지 조언’ 이란 제목으로 특강했다.

    썸네일

    서경대·YTN, 학생복지 증진 위한 업무협약 체결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와 24시간 뉴스전문채널 YTN(사장 조준희)이 『콘텐츠 교류 및 학생복지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서경대 본관 3층 회의실에서 진행된 조인식에서 최 총장은 “글로벌 뉴스전문채널을 지향하는 YTN과 협력관계를 맺게 된 것은 큰 기쁨이자 영광”이라고 의미를 부여하고 “작지만 강한 대학을 지향하는 서경대학교와 알차고 깊이 있는 뉴스를 지향하는 YTN 간 협력은 앞으로 언론과 대학 간 업무 협력의 폭과 깊이를 보여주는 가늠자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 사장은 “서경대학교는 탄탄한 실용교육을 바탕으로 내실 있는 교육을 펼쳐가는대학이라고 들었다”며 “앞으로 YTN은 서경대학교가 세계적인 실용교육 명문대학으로 발전해갈 수 있도록 여러 분야에서 작은 도움이 되길 마다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맺은 협약으로 서경대학교와 YTN은 ^대학생과 교직원들을 위한 할인 쇼핑몰 운영, 대학 홍보를 위한 협력, 각종 방송 및 교육 프로그램 교류 등 폭넓은 분야에서 협력사업을 펼쳐나갈 계획이다. 조인식에는 서경대학교에서 한문성 기획처장, 정한경 교무처장, 고현우 학생처장, 장영기 총무처장, 구자억 대외협력본부장, 안병팔 비서실장, 진세근 홍보실장이 참석했고, YTN 측에서는 이동헌 미디어사업국장, 박철원 대학사업담당 부장이 배석했다. 이에 앞서 최 총장과 조 사장 간의 다과회를 겸한 환담은 두 분 사이의 각별한 사연으로 인해 시종 웃음이 그치지 않았다. 두 분간의 인연은 3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기업은행 대리로 행장 수행비서를 맡았던 조 사장은 이광수 당시 기업은행장을 수행해 당시 국회 부의장이었던 최 총장 집무실을 찾았다. 이광수 행장의 아들이 최 부의장의 비서관으로 근무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최 부의장은 조준희 수행비서의 어깨를 두드리며 “고생 많다. 행장을 잘 모시라”고 격려했다. 조 사장은 최 부의장의 따뜻한 격려를 잊지 않았다. 10년 뒤 도쿄 지점장으로 일본에 부임한 조 사장은 당시 일본에서 근무중인 최 총장의 아들을 만나 “옛날 자네 부친께서 나를 격려해주셨는데 이제 그 보답으로 내가 자네를 격려하고 싶다”며 따뜻한 저녁 식사 한끼를 대접했다. 조 사장은 지금까지도 최 총장 아들과 좋은 인연을 이어오고 있다. 조 사장은 “대를 이어가며 격려를 주고 받은 각별한 인연을 떠올리며 오늘 아침부터 총장님을 만날 생각에 가슴이 설렜다”고 소개하고 “여러 분야를 두루 경험하신 총장님 같은 분을 방송에 모시고 우리 사회가 꼭 필요로 하는 소중한 조언을 듣고 싶다”고 말했다. 경북 상주 출신인 조준희 YTN 사장(62)은 1980년 기업은행에 입사해 도쿄지점장, 경영지원본부장(이사), 총괄 전무를 거쳐 2010년 12월부터 3년간 기업은행장을 지낸 뒤 2015년 3월 24시간 뉴스전문채널인 YTN의 대표이사 사장으로 취임했다. 관련 기사 YTN http://www.ytn.co.kr/_ln/0103_201610250938263052한국대학신문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165085 

    썸네일

    서경대학교 예술이 광화문을 수놓다

    서울시 초청으로 최초의 '한지사 갈라쇼' 세종대왕 앞에서 공연 닥나무에서 뽑은 실이 옷감이 됐다. 닥나무의 변신이고 한지의 진화다. 이름은 한지사(韓紙紗). 이 한지사로 지은 의상을 소개하는 최초의 한지사 갈라쇼 『한지사, 무대의상을 입다』가 서울시 초청으로 14일 오후 7시 광화문 세종대왕상 앞 야외무대에서 펼쳐졌다. 갈라쇼 전체의 기획과 공연은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의 무대패션·모델연기·뮤지컬·영화영상·미용예술 전공 학생 150명이 맡았다. ‘교수와 학생들이 함께 기획하고 공연하는, 최초의 한지사 갈라쇼’라는 기록도 세우게 됐다. 첫 무대는 ‘천 개의 바람이 되어’(디자인: 박은정 공연예술학부장). 상실의 아픔을 겪은 모든 이의 삶에 위로와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무대다. 아동 뮤지션 박소현과 아리랑페스티벌 오케스트라가 함께 한다.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무대는 ‘밀양아리랑’(디자인: 박은정 교수). 소프라노 이승현의 아리랑이 흐느끼듯 한지사에 스며든다. 아리랑페스티벌 조직위원장을 맡고 있는 윤영달 해태·크라운제과 회장도 무대에 오른다. 그 뒤로 뮤지컬 ‘청 이야기-궁중 무희와 대신들의 흐드러진 춤사위(디자인: 노은영 교수)’  ‘바람이 전해 준 이야기 - 한지사와 모던 룩의 결합(디자인: 조정현 교수)  ‘창(창) - 보다, 세상과의 소통(디자인: 조영아 교수)’  ‘깃, 분홍 … 사라지다 - 소중한 사람을 기다리며(디자인: 김국희 교수)’가 잇따라 펼쳐지며 광화문 한복판을 아름다운 한지사로 물들인다. 한지사를 무대 의상으로 등장시킨 1차적 의미는 한지의 진화다. 그러나 닥나무의 변신이 실용적 의상으로 발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는 점도 빠뜨려서는 안 되는 대목이다.

    썸네일

    서경대 청문단, 서울시 행사의 기획과 운영 맡았다.

    대학생 컨설팅 그룹으로 정부기관 행사 주관하는 최초 사례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학생들로 구성된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청문단: 지도교수 방미영)이 정부 프로젝트의 기획과 운영을 맡았다. 대학생으로 구성된 컨설팅 단체가 정부가 발주한 프로젝트를 책임지고 운영하는 것은 처음이다. 콘텐츠를 통한 사회공헌과 이를 통한 취·창업 기회 창출을 목표로 2013년 출범한 청문단은 이 달 28일부터 이틀간 누리꿈스퀘어 일대에서 개최되는 ‘2016년 시청자미디어상 시상식 및 시청자미디어 축제’의 기획 및 운영 서포터즈로 참여한다. 올해로 2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는 방송통신위원회가 주최하고, 위원회 산하 시청자미디어재단(이사장 이석우)이 주관한다. 이번 축제는다양한 미디어 체험,미디어 교육,명사 특강,전국 시청자 제작단 워크숍 등 시청자 주도의 방송을 위한 다양한 행사가 마련된다. 시청자가 직접 제작한 작품을 소개하는 시청자미디어대상에 출품된 작품 가운데 24점이 국무총리상, 방송통신위원장상 등을 수상하게 된다. 시청자미디어재단은 이날 행사를 위해 7일 ‘2016년 시청자미디어축제 서경대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 발대식을 가졌다. 발대식에 참가한 청문단의 김하명 단장(문화콘텐츠학과 2학년)은 “대학생 특유의 참신한 아이디어와 열정으로 시청자 모두가 주인으로 참가해 즐길 수 있는 축제가 되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시청자미디어재단은 시청자의 방송참여 및 권익증진을 목적으로 설립된 공공기관으로, 전국 6개 권역에 지역시청자미디어센터를 두고 ^시청자의 방송참여 프로그램 ^미디어 교육 ^방송장비 및 시설 등을 지원한다.

    썸네일

    예술대학 무용예술학과 '2016 천안 월드 댄스 컴피티션' 수상자 명단

    우리학교 예술대학 무용예술학과 학생이 천안시에서 주최하고 천안문화재단에서 주관한 ‘2016 천안 월드 댄스 컴피티션’에서 입상하였습니다. 수상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대회명: 2016 천안 월드 댄스 컴피티션 2. 일   시: 2016년 10월 2일(일) 3. 장   소: 천안 예술의 전당 4. 주   최: 천안시 5. 주   관: 천안문화재단 6. 수상자: 학과 이름 부문/상 무용예술학과 김수* 한국무용 솔로 / 대상 

    썸네일

    한국판 ‘엘 시스테마’ 운동 이끄는 서경대학교

    음악교육 참가 아이들에게 악기 기증   한국판 ‘엘 시스테마(베네수엘라 빈민층 아이들을 위한 무상 음악교육 프로그램)’를 이끌고 있는 서경대학교가 28일 무상 음악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들에게 악기를 기증했다. 이날 서경대에서 열린 『2016년 우리동네 예술학교를 위한 악기 드림(Dream)식』에는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5명에게 바이올린•첼로•플루트•클라리넷•트럼펫 등의 악기가 전달됐다. 서경대학교 서경예술교육센터(담당 한정섭 교수)는 최근 서울시와 『2016년 우리동네 예술학교 운영사업』을 위한 운영총괄기관 협약을 체결했다. ‘우리동네 예술학교’란 서울지역 문화소외계층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무상 음악교육 프로그램이다. 오케스트라, 뮤지컬이 주요 과목이다.   관련 기사 한국대학신문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164080 디지털타임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6092902109969607001 스포츠경향  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art_id=201609291700003&sec_id=560101&pt=nv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society/ngo/763481.html  

    썸네일

    서경대 실용음악과 수시 경쟁률 신기록

    보컬 전공 573대 1로  전공 불문 전국 최고 2017년 수시 모집에서 서경대학교 실용음악과 보컬전공이 신기록을 세웠다. 3명 모집에 1714명이 지원해 571.3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는 전체 학과를 통틀어 전국 최고의 경쟁률로 관측된다. 실용음악과는 거의 대부분의 전공이 100대 1의 경쟁률을 넘겼다. 실용음악 분야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던 호원대의 경우 보컬 전공이 지난해 262대 1의 경쟁률에서 올해에는 185.18대 1로 떨어졌다. 기타도 267대 1에서 154.33대 1로, 싱어송라이터는 132대 1에서 105.1대 1로 각각 큰 폭으로 떨어졌다. 경희대 포스트음악학과의 경우도 보컬이 지난해 252.33대 1에서 145.14대 1로, 기타가 53대 1에서 22.67대 1로 하락했다. 반면 서경대의 경우는 실용음악과 3기 내내 꾸준한 상승세를 유지했다. 보컬의 경우 1기는 300대 1, 2기는 400대 1 이상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서울 시내 실용음악 전문 학원들은 서경대학교가 실용음악계의 새 강자로 부상한 이유로  서울 지역에 위치한 4년제 대학 , 실력 있고 화려한 강사진 , 학교 당국의 전폭적인 지원 등을 꼽았다.    관련 기사  한국대학신문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163969 한국경제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6092797381

    썸네일

    한국인 최초 영국 옥스포드 대학 공채 정교수이자 한국인 최초 옥스포드, 케임브리지 대학 동시 정교수 김종민 박사, 공동연구 협의 차 서경대 방문

      처음엔 많이 생각났다. 버리고 온 게 너무 많았다. 수많은 ‘세계 최초’의 역사를 함께 쓴 연구원들, 매년 수백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해 준 회사, 이곳에선 최고 대우지만 지금의 5배였던 연봉…. 17년간 일했던 회사를 떠나와 남들의 반이라도 따라갈까 하는 걱정이 컸다.  2012년 3월 삼성종합기술원 김종민 전무(60)의 직함은 ‘영국 옥스퍼드대 전기공학과장’으로 바뀌었다. 올해 초 케임브리지대로 옮기고, 지난달 23일 서경대를 찾은 김 교수를 불쑥 찾아가 만났다.  김 교수가 바랐던 대로 그의 이직을 아는 사람은 한국에 많지 않다. 하지만 당시 옥스퍼드대에선 “삼성의 나노 전문가가 한국인 최초의 공채 정교수로 온다”며 떠들썩했다. 김 교수는 삼성이 핵심 기술 인력에게 부여하는 최고 명예직인 ‘삼성 펠로’ 1기(2003년)다. 삼성 펠로 동기가 현 김기남 삼성전자 사장이다.  김 교수는 삼성이 자랑하는 세계 최초의 기술을 다수 개발했다. 1999년 카본 나노튜브를 이용한 전계방출디스플레이(FED), 2011년 컬러 퀀텀닷(양자점) 디스플레이가 그랬다. 그가 가진 특허만 250개 이상. 세계적 과학지 ‘네이처’ ‘사이언스’는 그를 나노 분야의 세계 최고 전문가로 소개했다.  옥스퍼드대로 갈 줄은 꿈에도 몰랐다. 마흔에 결혼해 늦게 얻은 아들, 아내와 함께 있고 싶다는 생각뿐이었다. 아들을 유학 보내고 기러기 생활을 하던 김 교수는 영국의 친구에게서 “옥스퍼드대 교수 공채 공고가 났다”는 연락을 받았다. 2011년 8월 면접 후 2시간 만에 공대 학장에게서 전화가 왔다.  한국인 교수를 처음 받는 옥스퍼드대는 김 교수에게 정년 보장과 교수 추천권은 물론이고 ‘스타트업 펀딩’으로 연구비를 10억 원 이상 지원했다. 김 교수가 따로 수주한 연구비만 수백억 원이다. 퀀텀닷 연구는 고효율 태양전지, 스마트 조명 등으로 발전시키는 중이다.   올해 1월 김 교수는 케임브리지대 ‘전기공학과 교수(1944)’로 자리를 옮겼다. 전기공학과에 정교수 자리가 만들어진 1944년을 기념하기 위한 이 타이틀을 받은 건 김 교수가 네 번째. 케임브리지대 이공계 내 최초의 한국인 정교수다.    지난달 23일 김 교수가 서경대 나노융합공학과를 찾아왔다. 나노 구조물을 이용해 당뇨 환자의 혈당을 체크해 인슐린을 자동 투입하는 센서를 공동 개발하기 위해서다. 서경대 김종훈 교수가 관련 연구를 오래했다고 들은 김 교수가 선뜻 학교를 방문했다. 김종훈 교수는 “유명한 분이 작은 대학에 찾아와 줘 놀랐다”고 했다. 김 교수가 만든 ‘한영 프로그램’은 현재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을 받아 매년 한국과 영국의 과학자들이 교류하며 공동 연구를 진행한다. 김 교수는 “옥스퍼드대와 케임브리지대를 통합한 옥스브리지 연구소를 만들어 한국의 젊은 과학자를 많이 데려오는 게 꿈”이라고 말했다.  경북 청도에서 태어난 김 교수는 가정형편 탓에 장학금을 준다는 곳만 찾아다녔다. 철도고(현재 폐교)와 홍익대 전자공학과에 진학했던 이유다. 미국 뉴저지주립대에서 석사를 시작한 것도 학비가 저렴해서였다. 거기서 나노 분야 세계 최고 권위자 윌리엄 카 교수를 만난 게 큰 전환점이 됐다.   김 교수는 옥스퍼드대에서 한국 유학생을 볼 때마다 마음 한구석이 아프다고 했다. 한국에선 ‘시험 귀신’이던 유학생들이 4점 만점에 3.6점 이상인 학점 기준을 못 채워 대학원 진학에 실패하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한국의 기초과학과 응용과학이 발전하려면 창조 교육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인문학을 죽일 게 아니라 이공계와 융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 출처>동아일보 http://news.donga.com/3/all/20161005/80622604/1

    썸네일

    예술대학 무용예술학과 무용대회 수상자 명단

    우리학교 예술대학 무용예술학과 학생들이 무용대회에서 아래와 같이 수상했습니다. 대회명과 수상자 명단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대회명: 2016 전국무용종합예술경연대회      - 수상자 명단 번호 학과 이름 부문 / 상 1 무용예술학과 김수* 한국무용 창작 일반부 / 특상 2 무용예술학과 권은* 한국무용 창작 일반부 / 최우수상 2. 대회명: 국제춤축제연맹 제4회 전국무용경연대회      - 수상자 명단 번호 학과 이름 부문 / 상 1 무용예술학과 김수* 한국무용 창작 대학부 시니어 / 대상 2 무용예술학과 강다* 한국무용 창작 대학부 시니어 / 금상 3 무용예술학과 김슬* 한국무용 창작 대학부 시니어 / 금상 4 무용예술학과 이예* 한국무용 창작 대학부 시니어 / 금상 5 무용예술학과 권은* 한국무용 창작 대학부 시니어 / 금상 6 무용예술학과 백현* 한국무용 전통 대학부 시니어 / 금상 7 무용예술학과 김예* 한국무용 전통 대학부 시니어 / 은상 8 무용예술학과 정선* 한국무용 창작 대학부 시니어 / 은상 8 무용예술학과 홍은* 한국무용 창작 대학부 시니어 / 은상 3. 대회명: 제14회 전국 수리무용콩쿠르      - 수상자 명단 번호 학과 이름 부문 / 상 1 무용예술학과 백현* 한국무용 대학부 / 최우수상 4. 대회명: 제53회 전국신인무용경연대회      - 수상자 명단 번호 학과 이름 부문 / 상 1 무용예술학과 김슬* 한국무용 창작 / 금상 2 무용예술학과 김수* 한국무용 창작 / 은상

    썸네일
    1 367 368 369 370 371 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