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경대학교

서브페이지 백그라운드 이미지

서경 TODAY

SKU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를 매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메뉴 | 검색 | 퀵메뉴

    서경대학교의 모든 것, 여기서 검색하세요!

    • 작게
    • 보통
    • 조금 크게
    • 크게
    • 가장 크게

    서경 TODAY

    3978

    [구자억 서경대 대학원장 인터뷰] University Closure: Saving Universities, Endangering Society

     Since 2000, there are 16 universities that have been closed in Korea. Last year alone, four universities, including Daegu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and Hanzhong University, were closed down. The Ministry of Education (MOE) announced that 38 private universities will be closed by 2021. Accordingly, university closings in Korea will continue in the future. However, concerns have been raised due to the lack of measures to prepare for the aftermath.Purpose of University Closure Last November 15, the National Assembly held a forum discussing countermeasures for managing aftermath of school closing. In the forum, corrupt universities were stated to be the ones with the highest possibilities of closing down. However, Gu Ja-oek, the president of Seok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said, “Corruption is a crime. It cannot be a major reason of school abolition. We have to root it out.” The reason why there are so many universities in Korea is its “normativsystem” (criteria-based) for establishing a university that was introduced in 1995. With the system, if only certain criteria were met, a university could be established. By 2010, 38 universities and 37 graduate schools had newly emerged. In contrast, the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has been in decline. According to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n 2008, the number was 480,000 but dropped to 400,000 in 2017. President Gu said, “There are too many universities in Korea. The problem is that there is no corresponding number of students available.” Moreover, tuition is the principal source of revenue for Korean universities. As a result, the small number of students makes it difficult for schools to operate. Thus, they have no choice but to rely on government support. President Gu added,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number of universities and provide proper support to the remaining. After all, the only solution is school abolition.” However, for a desirable school closure, not only the process but also the following problems of it should be contemplated. Aftermath: Shaded Side of School Closure Currently, when a school is closed, all students are available to apply for special transfer to nearby universities. However, according to a 2014 report released by Kim Tae-nyeon, a member of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the transfer rate of students from closed schools was only 44%. In fact, university professors and employees are also directly affected by school closure. In the case of Hanzhong University, only six professors have been appointed to other universities. According to Kim Han-soo,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at Kyunggi University, faculty members can receive a private school pension, but only if they have made pension payments for 10 years or longer. Prof. Kim explained, “Therefore, those who do not get a pension suffer from financial difficulties. And the short period of the pension payment is another problem.” Furthermore, part-time lecturers are not eligible to benefit from the pension fund. The MOE reported on the current status of delayed wages for faculty members of closed universities. The data shows that the total amount of unpaid wages exceeded ₩80 billion in 2018. The reason for overdue payment of wages is related to the delay of liquidation procedures, which is another problem with closing schools. Prof. Kim said, “The last step of the liquidation process is to sell the property. But it is very difficult because a closed school usually has a low property value.” The point is that overdue wages will not be paid until the liquidation process is completed. According to Prof. Kim, seven schools that were closed in February 2008 have not yet been liquidated due to their unsold assets. Ultimately, the aftereffects of school abolition are closely connected to each other. If closed universities stay unsold for a long time, neglected facilities will age and eventually be demolished. Therefore, the property will become even more useless because all cashable assets disappear. Prof. Kim added, “It also destroys the business district near the university.” Since Seonam University was closed last February, 35 out of 40 shops and 30 out of 58 studio-apartment buildings around the school have shut down, and the vacancy rate is more than 80%. However, the problem does not stop there. There is a risk of urban flight taking place in the location of closed schools and the nearby area becoming a dead city. Handling University Closure and its Future A revision to the Private School Law was approved by the Assembly plenary session on last December 27. If a school corporation that committed irregularities is ordered to close its school, its assets will all be confiscated by the government. However, Prof. Kim said, “Even then it should be possible to secure cash through the sales of real estate. Due to the difficulty of selling property, this policy is not likely to be a solution to overdue wages.” The MOE also announced a new plan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management center for closed schools. It will pay overdue wages with national funds provisionally, and retrieve funds later through the sales of a closed school’s property. Unfortunately, Prof. Kim said,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has drastically cut its budget for the operation of the center, making the plan impossible.” Prof. Kim added that offering proactive management is also important in university abolition. In the case of Japanese universities, each management status is classified as being in the ‘normal’, ‘preliminary’ or ‘warning’ stage. Prof. Kim suggested Korea may also introduce this method, saying further, “Universities facing closure should consult with local governments in advance to minimize the collapse of the local economy.” In the midst of this, President Gu suggested the direction in which universities in Korea should move. He emphasized the need for a financial expansion for universities. “The way of it is that universities should be well-associated with the industry. Universities should not be standing alone. They have to contribute to social development and gain benefits from society in return,” said President Gu. Policy changes are now being initiated on issues of school closure. However, compared to the impact that closed universities have brought on our society, the response is still in the beginning stage. Closing of some universities is a necessary step for further development, but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failure to solve related problems could cause a decline of the whole society. <원문 출처> 경희대학교 The University Life

    썸네일

    제4회 서경대학교 모델연기전공 정기 사진전 개최

    ‘Cherish the Memories’ 주제로, 6월 1일(토)과 6월2일(일) 이틀간 서울 대학로 서경대학교 공연예술센터 지하1층서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공연예술학부 모델연기전공이 2019년 통합형 공연예술 창의인재양성 프로그램으로 정기 사진전을 개최한다. 사진전은 6월 1일(토)과 6월2일(일) 이틀간 토요일은 오전 11시부터 오후 7시까지, 일요일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 서울 대학로 서경대학교 공연예술센터 지하1층에서 열린다.  이번 사진전의 주제는 ‘Cherish the Memories’로 추억을 간직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우리의 남기고 싶은 모습, 우리가 사랑한 순간, 우리들이 간직하고 싶은 소중한 기억을 담았다고 한다. 서경대학교가 주최하고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모델연기전공이 주관하는 이번 사진전에서는 도장깨기 이벤트를 진행한다. 사진 액자 밑에 미션을 써놓은 종이를 붙이고 미션 달성 시 스티커를 제공해 스티커를 모아온 참가자에게 소정의 상품을 증정하는 행사다. 또한 포토부스, 핑거푸드 바, 메시지보드, 패션필름 등 다양하고 즐거운 공간들을 마련했다.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모델연기전공은 급변하는 현대사회의 시대적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국내 최초로 4년제 남녀공학 정규대학에 개설되었으며, 창의적인 신체 표현과 컨텐츠로서 역할을 수행할 멀티퍼포밍 아티스트의 배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강신 교수, 주정은 교수, 김태연 교수 등 국내 최고 교수진의 지도 아래 실무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사진전에 참여한 학생들은 송희은 양(17학번), 윤세영 양(17학번), 오지수 양(17학번), 김진섭 군(17학번), 이규현 군(16학번), 박정하 군(17학번), 김태균 군(15학번), 최혜정 양(16학번), 박한울 군(14학번), 성수민 양(17학번), 조유진 양(17학번), 진윤정 양(17학번), 강동현 군(17학번), 김예슬 양(15학번), 조혜민 양(15학번), 이채은 양(16학번), 김정윤 군(17학번), 이명균 군(16학번) 등 총 18명이며 연출은 이규현 군이, 조연출은 박한울 군이 맡았다. <홍보실=고유진 학생기자>

    썸네일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공연예술학부 ‘제2회 서경 공연 콘텐츠 활성화 프로그램’ 연극 <한번 더 해요> 쇼케이스 개최…연출 맡은 주지희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공연예술학부 교수 인터뷰

    5월 29일(수)부터 6월 1일(토)까지 나흘간 서경대 북악관 8층 스튜디오 810서 '한번더해요' 공연 포스터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공연예술학부의 ‘제2회 서경 공연 콘텐츠 활성화 프로그램’에 의해 제작된 연극 <한번 더 해요>의 쇼케이스가 5월 29일(목)부터 6월 1일(토)까지 나흘간 평일 오후 7시, 주말 오후 4시 총 4회 공연으로 관객들과 만난다.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7개 학과와 미용예술대학 2개 학과는 ‘실용이 최고의 가치다’라는 슬로건 아래 현장에 즉시 투입해도 제몫을 훌륭히 해내는 현장실무형 전문가를 길러내기 위해 교육과정에 실무현장과 동일한 프로덕션 시스템을 도입하고 수업이나 공연 때에도 통합형 창의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현장실무형 프로덕션 시스템은 무대패션, 모델연기(모델, 연출), 무대기술(무대디자인, 음향, 조명), 연기 전공, 뮤지컬학과(뮤지컬), 실용음악, 미용예술대학(헤어, 메이크업), 영화영상학과(영상촬영) 학생들과 외부 예술 전문가들의 실험적 협업을 통해 다채로운 무대를 선사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 가운데 ‘서경 공연 콘텐츠 활성화 프로그램’은 외부의 공연 제작사와 우리 대학교가 함께하는 콘텐츠 개발 콜라보레이션이다. 기존의 연극을 무대 위에 구현하고 공연하는 것을 넘어, 새로운 작품을 제작하는 환경을 학생들에게 학습시키기 위해 진행하는 이 프로그램은 제1회 서경 공연 콘텐츠 활성화 프로그램으로 뮤지컬 <UNCLE TOM’s KEVIN>을 제작해 대학로 서경대학교 공연예술센터에서 무대에 올린 바 있다. 전동민 작가와 김여우리 작곡가의 신작 <UNCLE TOM’s KEVIN>은 10명의 서경대학교 학생들로 구성된 배우와, 공연예술학부 연기전공 13학번 김민규 군의 연출을 통해 서로의 상처를 보듬어 안아 치유하는 따뜻한 힐링 뮤지컬로 관객들의 큰 사랑을 받았다.  제2회 서경 공연 콘텐츠 활성화 프로그램에 의해 제작된 연극 <한번 더 해요>는 제작사 ‘주다컬쳐’와 협업하여 홍승표, 김혜연의 웹툰 <한번 더 해요>를 연극으로 각색한 것이다. 똑같은 원작을 각색해 사랑받았던 KBS의 <고백부부>와는 또 다른 내용과 메시지를 전달할 예정이다. 또한, 서경 공연 콘텐츠 활성화 프로그램을 통해 제작된 이번 연극은 추후 2019년 9월 4일부터 11월 30일까지 3개월간 대학로 동양예술극장 3관에서 정식 상업공연으로 무대에 올라갈 예정이다. 원작의 인기에 더해, 전문적이고 실제적인 현장 프로들의 손을 거친 연극 <한번 더 해요> 쇼케이스는 그 인기와 관심을 방증하듯, 지난 5월 22일 서경대학교 공연 기획 페이스북을 통해 진행된 일반예매에서 전 회차 매진이라는 놀라운 기록을 세웠으며 이제 직접 무대에서 관객들을 맞이할 날만을 기다리고 있다. 지난 1회 공연과는 다르게, 이번 2회 공연에는 학생이 아닌 교수님이 연출자로 직접 제작 현장을 이끌고 있다. 이번 쇼케이스의 연출을 맡은 서경대학교 예술대학 공연예술학부의 주지희 교수님을 직접 만나 <한번 더 해요> 쇼케이스와 공연예술학부에 대한 이야기들을 들어봤다.  주지희 교수님- 교수님 안녕하세요. 네, 안녕하세요. - 공연이 얼마 남지 않아 바쁘신 와중에 인터뷰에 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닙니다. 저희 공연 많이들 보러 와 주시게 열심히 홍보해 주세요.(웃음) - 공연에 대한 이야기를 먼저 나눠볼까요. <한번 더 해요>는 어느날 갑자기 과거로 돌아가게 된 부부, 대광과 선영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잖아요. 그 과정에서 재미있기도 하고, 또 감동적인 부분도 있고 다채로운 매력이 있는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연극으로 제작된 <한번 더 해요>는 어떨지 궁금해지네요. 원작과 비슷한 부분이 많은 편인가요? 아… 다르다면 다르고 비슷하다면 비슷하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왜냐 하면 우선 원작이 100화에요. 그만큼 정말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는 작품입니다. 정말 재미있는 장면, 슬픈 장면, 그리고 감동적인 장면이 많아요. 보다가 생각지도 못하게 눈물이 나오는 장면들도 있었고요. 저는 사실 창작을 위해서 원작 웹툰을 찾아 봤거든요. 그러다보니까 아무래도 일적인 마인드로 보기 시작했는데 보다가 갑자기 눈물이 나와서 왜 갑자기 눈물이 나지? 하고 당황도 했었어요.(웃음) 사실 그렇게 장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원작을 두 시간 내외의 연극으로 만드는 과정은 굉장히 험난해요. 수많은 좋은 장면들 중에서 정말로 보고 싶은 부분만 끄집어 내서 하나의 스토리를 따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변형되는 것들도 생길 수 밖에 없는 것 같아요. 그렇지만 어쨌든 핵심은 원작 안에서 가지고 오려고 노력을 굉장히 많이 했습니다. - 연극으로 만들어진 <한번 더 해요>의 줄거리도 원작의 줄거리와 비슷하다는 말이신가요? 주인공들이 과거로 갔다가, 다시 현재로 돌아오는 스토리 라인은 원작, 드라마, 그리고 저희 연극이 모두 공유하고 있는 아웃 라인인거죠. 다만, 원작이 100화를 가지고 굉장히 긴 시간의 흐름을 보여줬다면 저희는 한 학기 정도로 짧게, 대광과 선영의 대학생 시절의 단편으로 축약 했어요. - 저도 이 웹툰을 봤었는데 저는 이 작품을 보면서 저희 부모님 생각을 많이 했어요. 감동을 느끼는 대목도 부모님에 대한 생각 때문이었던 것 같고요. 그런데 교수님께서는 저와는 다른 느낌을 가지신 것 같습니다. 교수님은 이 작품을 보면서 어떤 생각을 하셨나요? 저는 제가 대학생이었을 시절의 추억이 새록새록 떠오르는 것 같아요. 같이 지도하시는 교수님들께서도 런스루(run-through)를 보러오셔선 다들 과거의 대학생 시절을 떠올리면서 상념에 젖으시더라고요. 작품이 너무나 훌륭해서가 아니라 그런 추억에 대해서 공유되는 정서가 있는 것 같아요. 다양한 계층과 세대에 있어서 각자 다른 의미를 담을 수 있겠지만 특히나 주인공들과 같은 시간대를 공유할 수 있는 3,40대들이 보면 그동안 잊고 살았던 과거에 대한 향수가 밀려오게 만드는 그런 작품으로 느껴져요. - 이 작품이 사실 웃기고 흥미로운 내용이면서도 꽤 진중한 분위기도 담고 있는 작품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 부분을 저희 공연예술학부의 학생들이 잘 소화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확실히 아직 사회에 발을 못 디뎌본 학생들이라 그런지 현재 시점에서 회사 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받거나, 삶에 지쳐서 히스테릭해지는 부분이라든지, 혹은 과거로 처음 돌아와서 30대의 내가 20대의 내가 쓴 다이어리를 보게 되는 장면에서의 정서를 표현하는 데에 한계가 있긴 하더라고요. 그래서 배우들 모두 그 한계를 뛰어 넘으려고 노력을 하고 있어요. 반대로, 또 대학생이기 때문에 과거로 돌아가서 친구들과 노는 거, 활달하고 에너지 넘치는 그 시절을 표현하는 건 너무너무 잘 해주고 있죠. - 공연예술학부의 ‘정기공연’이라는 말은 익숙하지만 ‘쇼케이스’라는 말은 생소하게 느껴질 수도 있는 것 같습니다. ‘쇼케이스’가 정확히 뭔지 설명해 주실 수 있을까요? 쇼케이스는 학교 공연을 관객들에게 발표한다는 개념보다는, 창작의 과정으로 접근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예를 들어 우리가 <햄릿>을 공연할 때에는 그냥 대본을 보고 연습해서 공연을 하면 되지만 이렇게 새로운 작품을 창작하는 과정에서는 완성 전의 확인 단계가 필요하잖아요. 그런 것을 미리보기 한다. 라고 생각해주시면 될 것 같아요. 개발 중인 콘텐츠에 대해서 개발과정 중에 관객에게 작품을 미리 공개해 피드백을 받고자 하는 거예요. 이를 통해 문제점들을 고쳐나가고, 작품의 구도나 구성을 바꾸게 될 수도 있는 거고, 또 어떤 실험적인 방법을 시행해 볼 수도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리딩 공연으로 쇼케이스를 할 수도 있는 거고, 무대에서 직접 움직이면서 쇼케이스를 할 수도 있는 거죠. 저희 학교처럼 전공간 협업이 잘 되어 있고 외부 공연 일정이 잡혀 있는 특수한 경우에는 저희처럼 의상, 무대, 조명, 동선 등 모두 갖춰진 상태의 쇼케이스를 보일 수도 있는 거죠. - 그러면 저희 학교에서 올라오는 쇼케이스가 연극 <한번 더 해요>의 국내 초연인 거겠네요? 그렇죠. 사실 이번 쇼케이스에는 작품 속에 이것저것 굉장히 많은 것들을 조금씩 넣었어요. 그래서 쇼케이스에서 받은 피드백을 토대로 본 공연에 갈 때 어떤 것에 집중할 것인가, 어떤 것을 덜어내고 수정할 것인가를 체크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 서경 공연 콘텐츠 활성화 프로그램은 외부의 제작사들과 함께 공연을 새로 창작하는 프로그램이라고 들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이 활동이 학과의 커리큘럼 내에서 진행이 되는 건가요? 이건 사실 산학협력의 일환이기 때문에 4학년들과 졸업생들까지 배우 오디션을 열긴 했었어요. 그런데 제작 과정에 있어서 급하게 진행된 부분이 있어서 공연예술학부 연기전공 커리큘럼 중에 ‘연극제작’이라는 실습수업이 있는데 그 수업을 듣는 연기전공 학생들과 무대기술, 무대패션, 그리고 연출전공 학생들을 투입시켜 다같이 협업하게 되었습니다. 말하자면 수업하고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있다고 할 수 있겠죠. - ‘연극 제작’ 수업은 연기전공 학생들만 들을 수 있는 건가요? 그렇게 연극을 직접 제작해 보는 수업들이 각 학과마다 이름은 다르겠지만 무대기술 전공과 무대패션 전공에도 있어요. 그래서 매 학기 각 학과의 제작실습 수업을 듣는 학생들이 전공의 구분을 넘어 협업하여 공연을 만들게 됩니다. - 수업끼리도 연계가 되어 있는 거군요. 공연예술학부 같은 경우에는 ‘정기공연’의 형태로 계속해서 아웃풋을 내고 있는 학부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학생들이 이렇게 ‘정기공연’을 하는 것들이 학부의 커리큘럼에 의해서 진행되는 일인가요? 커리큘럼 같은 경우에는 전체적으로는 실기수업이 가장 중요하고, 많이 이루어지고 있어요. 그 중에 아까 이야기했던 제작실습 같은 경우에는 일주일에 한번 정도 하는 수업인데, 그 수업을 위해서 교수님들과 학부생들이 매일매일 연습을 하죠.(웃음) - 공연예술학부 사람들은 저절로 서로 사이가 돈독해 질 것 같습니다. 학부의 분위기도 좋겠죠? 사실 공연예술학부를 다니는 학생들이나 교수님들의 경우에는 그런 연습이나 제작의 과정을 꼭 졸업의 요건, 커리큘럼 상 학업의 성취를 위해 하진 않는 것 같아요. 저희 모두 공연을 하고, 연습을 하는 게 너무너무 좋아서 모여 있는 분위기거든요. 그래서 어떤 요건에 의해서 한다라고 설명하기엔 조금 힘든 부분이 있는 것 같아요. 각 전공마다 물론 분위기의 차이는 있겠지만 하나로 모여지는 부분은 공연을 정말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는 거. 그리고 다양한 전공생들이 각자의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매일같이 모여서 협업을 즐겁게 하는 것의 결과가 여러분들이 보시는 공연이 되는 거죠. - 제가 인터뷰를 하러 다니다보면 항상 듣는 말이 “연습을 정말 많이 했다.”거든요. 보통 공연을 준비할 때 하루에 연습시간은 어느 정도로 잡고 하시나요? 기본적으로는 매일 하루에 세 시간 정도 하는 것 같아요. 그런데 팀별로 상황에 따라서 유동적인 편입니다. 저희 쇼케이스의 경우에는 사실 그렇게 길게 한 편은 아니에요. 왜냐면 대본이 계속 수정되는 바람에 배우들이 외우려고 해도 외울 수가 없었거든요. 그래서 4월 달 같은 경우에는 쉰 날도 많았어요. 5월에 들어와서 본격적으로 열심히 연습한 케이스입니다. 길게, 열심히 하는 다른 팀 같은 경우에는, 6월 말에 잡혀 있는 공연인데도 불구하고 3월부터 계속 연습하고 있는 팀도 있어요. - 학교에서 경험하는 이런 반복적인 제작 경험이 추후에 사회에 나가서도 공연예술인으로서의 역량에 도움이 될까요? 도움이 많이 되죠. 그래서 학교에서도 더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있는 거기도 하고요. 공연업계는 현장상황이 굉장히 급변하는 시장이라 하루하루 변해가는 속도를 못 쫓아가는 경우도 있어요. 특히 이런 창작 쇼케이스 같은 경우엔 정말 현장 그대로라고 생각하시면 되거든요. 매일매일 대본이 바뀌고, 연출이 바뀌는 이런 혼란스러운 창작 과정들에서 쌓인 경험치는 무시 못할 역량이 되는 거죠. 또, 이런 경험들은 곧 본인 스스로의 시각을 세우는데 정말 중요하게 작용해요. 주입식으로 교육만 받았지, 자신의 시각이 생기지 않은 배우, 또는 스텝이나 연출은 현장에 나갔을 때 자신의 역량으로 빛을 보기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예술가에게 가장 중요한 건 자신의 시각과 신념이거든요. 자신이 어떤 작품을 하는지, 어떤 배우가 될 건지, 어떻게 표현을 할 것인지 스스로 생각하게 하는 사람을 배출하기 위해서도 현장에 대한 경험치는 아주 중요하죠. 예술교육이라는 게 사실 정답이라는 건 없어요. 다만, 많은 기회를 주어서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걷고 싶은 길을 걸을 수 있게 도와 주는 게 공연예술학부가 가지고 있는 모토라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 학교 차원에서는 예술대학을 장기적으로 바라보며 지원을 해주고 있습니다. 실제적으로 학생들을 육성하고 계신 교수님의 생각을 듣고 싶습니다. 엄청나죠.(웃음) 제가 꽤 많은 여타 학교들의 정보를 알고 있는데 그런 부분에서는 서경대학교가 상대적으로도, 절대적으로도 정말 많이 지원을 해주시고 또 관심도 많이 가져 주셔서 감사해요. 예를 들어 어떤 문제가 있다고 말을 하면 학교 측에서의 답변과 그 해결이 굉장히 빠르게 진행됩니다. 기본적인 시설 같은 건 당연하고, 작은 것부터 큰 것까지 빠짐없이 챙겨 주시려 하시는 걸 교수진과 학생들도 모두 알고 있고 느끼고 있습니다. 정말 학교차원에서의 지원같은 경우에는 너무 좋은 학교다라고 확언할 수 있을 만큼 잘해 주십니다. - 기분 좋고 재미있는 인터뷰 감사합니다. 마지막으로 창작을 함께한 학생들에게 한 마디 하실 말씀이 있으신가요? 저희 대본이 최종본 날짜가 5월 12일에요. 5월 12일에서야 대본이 얼추 정리가 됐다는 얘기죠. 그러니까 연습을 2주 정도 밖에 못한 건데 이런 식으로 정돈되지 못하고 계속해서 변하는 상황에서도 지치지 않고 함께 해줬다는 게 고맙고, 작품이 태동하는 과정을 함께 바라봐 주었다는 게 아주 기특하게 여겨집니다. 그리고 지금까지도 열심히 이것저것 고민해 주는 모습들이 사랑스럽습니다. (웃음) 이번 쇼케이스의 경험이 여러분들의 인생에 또 하나의 시각을 가지게 하는 그런 좋고 유익한 경험이길 바란다는 말을 해주고 싶어요. 계속 재밌게 해보자! 앞으로도 많은 작품을 만들고 함께하자! 사랑한다! <홍보실=김준이 학생기자>  

    썸네일

    서경대학교 중앙동아리 어쿠스틱 밴드 ‘그라미’, 5월 25일(토) 신촌 인디톡서 제66회 정기공연 성황리에 마쳐

    서경대학교 중앙동아리인 어쿠스틱 밴드 ‘그라미’는 지난 5월 25일(토) 제66회 정기공연을 신촌 인디톡서 성황리에 마쳤다. 이번 66회 정기공연은 서경대학교 교내가 아닌 외부 공연장을 대여한 만큼 재학생들은 물론 외부 관객들도 많이 관람했다.  이날 공연에는 그라미 멤버 출신의 졸업생들도 대거 참관하여 후배들을 열렬히 응원했다. 이에 힘 입어 그라미 멤버들은 선배들의 응원에 보답이라도 하듯 백예린, 태연, 10cm 등 인기가수들의 다수의 히트곡들을 저마다 독특한 방식으로 해석하여 열정적이면서도 감미로운 공연을 선보였다. ‘그라미’ 회장 박종훈 군(서경대 토목건축공학과 15학번)은 “한 학기라는 짧다면 짧은 시간동안 부족한 회장을 잘 따라준 그라미 35기 여러분들께 너무 감사하고, 모두 열심히 연습해 멋진 공연을 펼쳐 매우 기쁘다.”고 공연 소감을 밝혔다. 이날 공연을 관람한 공나영 양(서경대 아동학과 17학번)은 “평소 어쿠스틱 콜라보나 스웨덴 세탁소 같은 어쿠스틱 밴드의 음악을 즐겨 듣는데, 제가 좋아하는 장르의 음악을 이렇게 가까이 접할 수 있어 너무 좋았다.”면서 “공연장이 아담했는데 그라미 멤버들의 표정은 물론 숨소리까지 가까이서 보고 보고 느낄 수 있어서 생동감을 만끽할 수 있었고, 공연자들과 눈을 마주하고 공연을 볼 수 있어서 뭔가 소통하는 느낌이었다.”고 관람 소감을 밝혔다.  어쿠스틱 밴드 ‘그라미’는 매 학기 한 회씩 진행되는 정기공연 이외에도, 동아리 알림제, 신입생 환영회 축하 공연과 더불어 방학 중에는 버스킹 공연을 펼치며 활발히 활동 중이다. 이번 66회 정기공연을 포함한 밴드 ‘그라미’의 다수의 공연 영상을 아래에 첨부한 서경대학교 그라미의 유튜브 계정에서 만나 볼 수 있다.서경대학교 그라미 유튜브 계정 https://www.youtube.com/channel/UC8X4jKaIfnrLB02rLvqUY6Q<홍보실=양상경 학생기자>

    썸네일

    서경대, '5월 축제 대동제' 29~31일 개최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2019 대동제가 5월 29일(수) 성황리에 개막됐다. 31일(금)까지 사흘간의 축제기간 동안 총학생회는 △서경대의 핵펀치 000을 소개합니다 △도레미파 솔로시죠~!!? △야광 팔찌 △BJ 창현의 거리 노래방 △연예인 공연(30일: 볼빨간 사춘기, 먼데이 키즈, 31일: 위너, 김보형) △불꽃놀이(31일 오후 9시) 등 이벤트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또한 학생들에게 다양한 볼거리, 놀거리,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각 학과별로 각종 사업과 이벤트를 운영한다.서경대 총학생회 측에서는 학우들의 요청과 학내 안전상의 문제, 재학생과 외부인에 대한 구분 등을 고려해 재학생 존을 초록운동장 무대 앞쪽에 설치해 운영하고 있으며 선착순으로 학생증을 확인하고 행사장에 입장시키고 있다. 연예인 공연은 입장을 시작 30분~1시간 전까지만 받고 이후엔 받지 않을 예정이다. 학내 주류 판매는 금지하고 있으며 음주를 원하는 학생은 학교 인근 편의점이나 마트에서 구입해 즐길 수 있다. 김재원 서경대 총학생회 회장(컴퓨터공학과 14학번)은 “서경대 대동제는 학생 등 구성원과 지역이 따뜻하게 동행하는 축제 한마당으로 서울소재 대학에서도 평이 좋은 축제”라며 “많은 학우들이 열심히 준비했으므로 준비한 학우 분들과 즐기는 학우 분들 모두 대학생활의 가장 좋은 추억으로 남는 축제가 되었으면 좋겠다.” 밝혔다.조홍범 서경대 학생처장은 “대학생활의 낭만을 느끼고 대학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즐거울 수 있는 행사가 되도록 이번 축제를 준비했다”면서 “학생들이 잠시 학업에서 벗어나 친구 및 선후배와 돈독한 정을 나누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홍보실=양상경 학생기자>

    썸네일

    한콘진-문체부, 콘텐츠 창의인재동반사업 발대식

    한콘진-문체부, 콘텐츠 창의인재동반사업 발대식김영준 한콘진 원장 등 창의교육생 650명 참여매달 120만원·맞춤형 지도·워크숍 등 제공 한국콘텐츠진흥원(이하 한콘진)과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최근 서울시 홍릉 콘텐츠인재캠퍼스에서 ‘2019 콘텐츠 창의인재동반사업’의 발대식 ‘Hello, Creator’를 개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발대식에는 김영준 한콘진 원장과 김용삼 문체부 제 1차관을 비롯한 멘토·창의교육생·플랫폼 기관 관계자 등 650명이 참여했으며, 위지원 삼화네트웍스 PD는 강사로 초빙돼 멘토들의 환영인사가 담긴 홍보영상으로 창의교육생들을 격려하며 교육했다. 소통의 시간으로 마련된 토크콘서트에서는 ▲드라마 ‘구르미 그린 달빛’ OST의 김현보 음악 감독 ▲뮤지컬 ‘맨 오브 라만차’, ‘킹키부츠’ 등에 출연한 김호영 뮤지컬 배우 ▲애니메이션 ‘언더독’, ‘마당을 나온 암탉’의 오성윤 감독 등이 ‘크리에이터 살롱-취향존중’을 주제로 창의교육생에게 아낌없는 조언을 전했다. 올해 콘텐츠 창의인재동반사업에는 ▲한국드라마제작사협회 ▲강원정보문화진흥원 ▲아트센터나비미술관 ▲세종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래프컴퍼니 ▲한국뮤지컬협회 ▲한국독립애니메이션협회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알비더블유(RBW)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해라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모스트콘텐츠 ▲만화가족 등 총 16개 플랫폼기관이 선정됐으며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200명이 멘토로 활동할 예정이다. 4대1의 높은 경쟁률을 뚫고 선발된 창의교육생 415명에게는 멘토의 맞춤형 지도와 워크숍, 특강 등 폭넓은 현장교육이 제공되며 매월 120만 원의 활동비도 지원된다. 김영준 한콘진 원장은 “이 자리를 통해 창의교육생들을 콘텐츠산업의 성장을 책임지는 큰 거목으로 키워주기를 부탁드린다”며 “기술, 미디어, 콘텐츠의 경계가 무의미해진 산업 환경에서 진정한 융복합형 콘텐츠는 창의인재만이 해내고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콘텐츠 창의인재동반사업’은 분야별 전문가와 예비 콘텐츠 창작자를 매칭, 멘토링 교육 지원을 통해 청년 인재의 창작능력 개발과 콘텐츠산업계 진출을 지원하는 한콘진의 대표 전문인력양성 브랜드사업이다.<원문출처>남도일보 http://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26216

    썸네일

    서경대학교, ‘제1회 바게트 샌드위치 경연대회' 개최

    5월 30일(목) 오후 5시부터 6시 30분까지 서울 정릉 교내 유담관 1408호서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5월 30일(목) 오후 5시부터 6시 30분까지 1시간 반 동안 서울 정릉 교내 유담관 1408에서 국제비즈니스어학부 불어전공(최내경 주임교수) 주관 및 주한 프랑스대사관, 주한 프랑스문화원, 알리앙스 프랑세즈, 구르메, 에비앙 후원으로 대학생 30개 팀이 참가하는 ‘제1회 바게트 샌드위치 경연대회'를 연다.20팀은 메일로, 10팀은 현장 접수(5월 30일 4시 - 4시 30분, 유담관 1408호)로 30팀이 최고의 바게트 샌드위치 경연을 펼칠 예정이다. 참가 신청은 5월 29일(수)까지 cielnk@hanmail.net으로 받는다(문의 및 접수 최내경 교수 010-3308-1101). 대회 참가자에게는 기본재료로 바게트, 잼, 치즈, 햄 등이 제공되고 추가하고 싶은 재료는 개별적으로 준비하면 된다.시상은 행사 당일 발표하며 수상자에게는 1등: 여행상품권, 하나투어 500,000원, 2등: 알리앙스 프랑세즈 수강권 382,000원 2팀, 3등: 그랜드 힐튼호텔 뷔페 레스토랑 2인 식사권 160,000원, 4등: 포도주 2팀, 5등: 한일관 상품권 50,000원 등이 수여될 예정이다.심사기준은 맛(Goût), 모양(Apparence), 신선도(Fraîcheur), 독창성(Originalité), 영양(Valeur nutritive) 등이며, 심사위원으로 불어전공 최내경 주임교수와 함께 마리즈 부르댕 교수, 박진석 교수, 김희경 교수 등 전공 교수와 한국과정평가원 김경랑 부연구위원 등 외부 초청인사들이 참여한다.대회 참가상으로 수첩과 팔찌가 제공될 예정이다. 

    썸네일

    KBS 시사기획 <창>, 5월 14일(화) 문재인 정부 3기 신도시 후보지 선정 관련 부동산 정책 보도…임성은 서경대학교 공공인적자원학과 교수 인터뷰

    지난 5월 14일 화요일, KBS 시사기획 <창>은 문재인 정부의 3기 신도시 후보지 선정과 관련, 임성은 서경대학교 공공인적자원학과 교수의 인터뷰를 보도했다. KBS 시사기획 <창>은 문재인 정부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는 집값을 잡겠다며 수도권에 30만 호의 주택 공급계획을 내놓은 데에 따른 후속조치로 3기 신도시 후보지를 선정, 발표한 것에 대해 우려를 표하면서 임성은 교수의 말을 인용, MB 정부 때 시행했던 토지임대부 분양주택 정책 등을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했다.방송은 중간에 이전 정권인 이명박 정부에서 친서민 정책이라며 긍적적인 평가를 받았던 ‘토지임대부 분양주택’을 예시로 들었다. 이른바 ‘반값 아파트’라고 불리는 임대 주택이 강남 한복판에 공급되면서 MB 정부 5년간 서울 아파트 매매가가 3.2% 하락했으며, 이는 이전 참여정부 5년간 서울 아파트 매매가가 56.6% 상승했던 것을 감안하면 극적인 변화라고 설명했다.이와 관련, 임성은 서경대학교 공공인적자원학과 교수는 “흔히 이제 저소득층은 임대주택 형태로 정부가 분류를 해서 공급을 하고 있다.” “고소득자에 대해서는 사실 정책적인 부분은 자율 형태로 맡겨두는 편이다.” “문제는 이 중간 층을 어떻게 하느냐 하는 것인데 중간층에게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안정적인 주택 공급을 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그 방법의 형태 중 한 형태가 바로 토지임대부 분양주택이다.” 라고 언급하면서 MB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해 긍정적 평가를 내렸다.시사기획 <창>은 MB 정부의 토지임대부 분양주택 정책이 좌초한 이유는 정책의 실효성 때문이 아니라 정부 정책의 중심이 ‘주거 안정’보다는 ‘경기 부양’에 있었음을 시사하면서 ‘주거 안정’을 과제로 둔 문재인 정부의 3기 신도시 발표가 과연 서울 집값 안정화를 위한 방편이 될 수 있을 지 의문을 제기했다.아래 주소를 클릭하면 KBS 시사기획 <창>을 다시 볼 수 있으며 임성은 교수의 인터뷰는 15분 20여 초부터 방영됐다.<홍보실=김준이 학생기자> 다시보기 : KBS 시사기획 <창>http://program.kbs.co.kr/contents/vod/vod.html?source=episode&sname=vod&stype=vod&program_code=T2011-1097&program_id=PS-2019055045-01-000&section_code=05&broadcast_complete_yn=N&local_station_code=00&section_sub_code=06&site_id=9775#popup-close

    썸네일

    [반성택 서경대 철학과 교수의 디지털인문학] 패스트트랙의 역사성

    반성택 서경대 철학과 교수우리의 5월은 기념하는 날로 가득하다. 어린이, 성년, 부모를 생각하고, 스승과 노동자도 챙긴다. 또한 4·19와 5·18로 시작되는 우리 사회의 봄은 노무현과 6·10 항쟁으로 치닫는다. 이처럼 우리의 봄날은 가정과 직업도 챙기면서 동시에 사회의 앞날도 개척하느라 분주하다.봄을 가득 채우는 이러한 날들을 보내면서, 왜 우리는 봄에 이토록 뜨거운지 알고 싶다. 가정에서 어린이와 부모를 생각하고 또한 학교에서 고마움을 표하고 싶은 선생님에게 5월에 연락하는 것은 주로 가정과 개인의 일이다. 우리는 그 어느 나라보다도 충분히 도덕적이다. 또한 노동절이 근로자의 날이라 칭해질 때, 우리는 이 역사적인 날이 근로하는 이들의 헌신을 기리는 도덕적이고 몰역사적인 기념일로 전락하는 것도 감내하며 그 하루를 보낸다. 노동이라는 말이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의미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도 안에서 그 날을 기리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날들로 인하여 우리의 봄이 뜨겁다고 보기는 어렵다. 우리의 봄이 이토록 질주하는 것은 봄날의 미완성에 기인한다. 4·19를 두고 수없이 들리는 말은 미완의 혁명이라는 말이다. 4·19를 그 전후의 추이로만 보면 이는 사실 혁명이기 어렵다. 4·19의 뜻이 제도화되자마자 5·16으로 곧바로 뒤집혔기 때문이다. 이에 이 사건에는 미완성이라는 수식어가 붙어왔다. 그러면서 그 뜻이 이후의 시간에서 실현되어야 한다는 외침과 다짐이 담긴다. 마침내 20년 뒤 5·18은 같은 의미로 발발한다. 4.19를 미완이게끔 한 세력은 80년 광주에서 발포한다. 무려 39년이 지난 오늘에도 이어지는 부당한 발언과 장면들은 이 또한 미완이라고 알려준다. 대표적으로 발포 책임과 암매장 의혹, 그리고 공수부대의 작전 실태가 규명되어야 하는 것이다. 80년 광주는 4·19 당시의 발포 명령자에 대한 처벌이라도 이루어진 데에 비하면 한층 더 미궁에 빠진 셈이다.이러한 운명에 처한 80년 광주는 그 뒤 몇 년간 대학의 학생회관에서 비디오로 재생되고 이어서 거리 투쟁으로 점화된다. 그 정점은 87년 6·10 항쟁이었다. 그 해의 늦은 봄과 초여름은 드디어 결실을 앞두고 있었으나, 그 결실은 제도적 개혁에까지 이르지는 못한다. 오늘날에도 87년 체제의 한계가 거론된다. 헌법은 개정되나 대통령 직선제에서 결선투표는 없는 채로, 또한 국회의원 소선거구제의 대표적 문제인 사표를 대책없이 방치하는 채로 1987년의 사회는 나아가고자 하였다. 그러면서 이 사회는 갈팡질팡한다. 민주공화국 시민들의 정치적 의지는 거리에서 승리하나 제도화에서는 그 뜻을 관철하는 데 실패한다.이에 우리의 봄날은 시민의 정치적 의지가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며 어김없이 도래하고 그 봄들은 충돌의 단면을 켜켜이 선명하게 쌓아간다. 그 충돌은 역사적 장면들을 양산한다. 정치 제도가 시민들의 정치적 의지를 불균등하게 담아낼 때 리더는 등장하여 시민에 직접 호소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2002년 민주당의 당내 경선 전후가 이를 말해준다. 이렇게 어렵사리 등장한 리더에게 이번에는 그 리더 자신이 스스로 삶을 마감하는 역사 장면이 귀속한다. 이에 또다시 봄은 미완성에 머문다.그리고는 최근에 국회에서 선거법 등을 둘러싸고 패스트트랙 몸싸움이 벌어졌다. 처음에는 몸싸움으로 시작되었으나 선진화법으로 인하여 말싸움으로 전이되면서 그 법안들은 패스트트랙에 지정된다. 핵심은 선거법이었다.이는 우리의 5월이 그토록 뜨겁게 거리를 질주한 지난 수십년을 일부라도 제도의 틀로 정착시키려는 오랜 기다림의 산물이다. 시민의 정치적 의지와 제도적 대표성 사이의 상당한 불균형을 완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정도에도 국회는 멈춘다. 멈추지 않으면 오히려 이상하다. 의원들도 그리고 많은 시민들도 알고 있다. 4·19에서 5·18을 거쳐서 노무현과 6·10까지를 관통하는 봄날들이 이제는 거리의 외침과 구호에 그치지 않고 이 공동체의 규칙으로 연결되려는 순간이 바로 패스트트랙 지정 순간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 것이다.2018년 초 평창올림픽에 바로 이어서 많은 이들이 한반도의 봄을 거론하였다. 그 봄은 현재 지체되거나 오리무중 상태에 빠져 있다. 한반도의 봄이 너무도 늦게 도래하여 그 결실을 점치기 어려운 현재, 우리의 5월은 길게 이어진 미완의 역사와 드디어 결별할 수 있는 패스트트랙에 진입해 있다. 부디 더는 이 분주한 봄날에 불행한 정치적 기념일을 추가하지 않고서 봄이 여름으로 만개하고 가을의 수확으로 이어지기를 고대하고자 한다. 이는 우리의 5월이 치룬 그 헌신과 희생을 떠올리면 그래야만 한다.<원문출처> 디지털타임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9052402102269061001

    썸네일

    서경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신한은행 빅데이터센터 본부장 김철기 박사 초청, 'Big Data & Artificial Intelligence in Finance' 주제로 특강 개최

    5월 22일(수) 오후 2시 서경대 북악관 107호서 서경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학과장 민미경)는 신한은행 빅데이터센터 본부장인 김철기 박사를 초청, 지난 5월 22일(수) 오후 2시 서경대 북악관 107호에서 'Big Data, AI & Data Scientist in Finance'라는 주제로 특강을 개최했다.특강에서 김철기 박사는 Big Data, Fast Data, AI, Machine Learning, Deep Learning의 개념과 관계정립 및 ML&DL 알고리즘 소개, 역할과 책임, 채용, 양성 등 학생들에게 알찬 지식을 전달했고 특히 Date Scientist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실무 중심의 강의로 응용분야에서 실제 사용되는 빅데이터 기술과 인공지능 기술 등에 관심있는 학생들에게 뜻깊은 시간을 선물했다. 김철기 박사는 미래의 은행, 융합 학문에 대한 개념 설명과 비전, 전망도 함께 이야기하면서 학생들의 분투와 도전을 당부했다.이번 특강은 교수학습지원센터의 '2019 대학혁신지원사업 융복합 교육역량 강화' 사업의 일환으로 급변하는 미래사회의 트렌드를 읽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마련되었으며, 올해부터 우리 대학교에 개설되는 융합 전공인 '빅데이터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분야의 교육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강연에는 '빅데이터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융합전공 관련학과인 소프트웨어학과, 산업경영시스템공학과, 경영학부 교수 18분과 학생 86명이 참석하여 자리를 빛냈다.민미경 소프트웨어학과장은 “이날 특강은 융복합에 관한 전문가 특별 강연으로서, 소프트웨어학과 뿐만 아니라 경영학부, 인문과학대학, 인성교양대학 등 다양한 학과의 교수들과 학생들이 참여하여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특강 후 교수들과 연사가 자리를 함께 해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비즈니스에 융합하여 교육하기 위한 교수법과 교육과정에 관한 깊이 있고 실용적인 의견을 나누었다.”고 밝혔다. 민미경 학과장은 또한 “관련분야로 진출하려는 학생들의 진로에 대해 전문가적인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빅데이터와 머신러닝에 관한 구체적인 기술모델에 관해서도 논의하였고, 세계 금융시장에 관한 식견을 발표하는 등 다양한 의견을 교환하는 뜻 깊은 자리였다.”고 말했다. 민미경 교수는 “이번 특강을 계기로 학생과 교수들의 융복합 교육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길 기대한다.”고 전했다.김철기 신한은행 빅데이터센터 본부장은 월스트리트에서 빅데이터, 통계분석, 알고리즘 개발 전문가로 활동했다. 그는 서울대 계산통계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스탠퍼드대학에서 통계학 석·박사와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에서 금융공학 석사 학위를 각각 취득했다. 실무로는 뱅크 오브 아메리카 메릴린치 등 미국 월스트리트에서 외환, 국제금융, 파생상품 전문가로 약 15년 동안 활동했다. 이후 국내로 돌아와 2016년부터 한국금융연수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홍보실=고유진 학생기자>

    썸네일
    1 268 269 270 271 272 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