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경대학교

서브페이지 백그라운드 이미지

서경 TODAY

SKU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를 매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메뉴 | 검색 | 퀵메뉴

    서경대학교의 모든 것, 여기서 검색하세요!

    • 작게
    • 보통
    • 조금 크게
    • 크게
    • 가장 크게

    서경 TODAY

    3978

    2020년 8월, 도전해 볼 만한 공모전 뭐가 있을까?···개강 전 상금도 챙기고 스펙도 쌓자!

    코로나 19로 인해 원격수업으로 진행되었던 1학기가 끝나고 여름방학을 맞은 지도 40여 일이 지났다. 방학과 개강 사이의 8월, 얼마 남지 않은 방학기간 동안의 자신의 활동을 정리하고 2학기 개강을 준비하면서 남다른 목표에 도전하거나 새로운 일을 시도해 보려는 학우들이 주변에 적지 않다. 이러한 학우들을 위해 2020년 8월에 도전해 볼 만한 공모전 활동을 소개하고자 한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공모전 가운데 주목할 만한 것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공모 주제, 일정, 시상 및 특전 등을 정리해 보았다.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있고 의욕적으로 시도해 보고자 하는 공모전에 참가해 알찬 여름방학을 보내고 희망찬 2학기 개강을 맞이하길 바란다.□ 제2회 2020년 경기도 광고홍보제 공모전경기도청이 민간의 참신한 창작 콘텐츠를 발굴, 활용하고 광고산업 저변 확대에 기여하고자 ‘제2회 2020년 경기도 광고홍보제 공모전’을 주최했다. 공모 주제는 정책과제와 공익과제 두 분야로 나뉘어 있다.1. 정책과제 : 경기도 기본 소득, 코로나 19 확산 방지 대응 및 경제·심리 방역, 청정 계곡 도민 환원, 경기도 공공임대 주택·경기행복 주택 공급 등 경기도 주민의 생활과 맞닿아 있는 정책들에 대한 아이디어를 공모받는다.   2. 공익과제: 안전, 평화 관련 자유 주제로 공모받고 있다.   공모 분야는 TV광고, 바이럴필름, 인쇄광고, 옥외광고, 기획·마케팅(홍보) 부분으로 나뉜다.   - TV 광고 : 카피가 포함된 30초 분량의 스토리보드 - 바이럴필름 : 30초 ~ 2분 이내의 영상 (표현할 수 있는 모든 수단 활용 가능)- 인쇄광고 : 5x7배판 규격의 신문, 잡지 매체용 광고물 - 옥외광고 : 공공시설물, 교통수단 등 다양한 소재를 활용한 디자인 광고물- 기획·마케팅 (홍보) : 기획·마케팅 기획서 각 공모 분야마다 요구하는 양식이 다르니 참고하길 바란다. 국내외 거주자를 포함한 전 국민이 참여 가능하며, 한글 작품만 접수받는 점을 유의하길 바란다. 해당 공모전은 2020년 8월 3일 (월)을 시작으로 전 부문 동일하게 2020년 9월 2일 (수) 18:00까지 접수 받는다.   대상의 경우 공통부문으로 전분야에서 1개 작품을 뽑으며, 1,000만 원을 상금으로 지급한다. 부문, 분야별로는 최우수상 (일반부, 대학부, 청소년부 각 1편)을 총 3개 작품을 뽑고 각 500만 원을 지급하며, 우수상(각1편)은 총 15개 작품을 뽑고 100만 원을 지급한다. 장려상 또한 각 2편씩 총 30개 작품을 뽑고 각 50만 원을 지급할 예정이다. 대학부에서 2명을 SNS 컨텐츠 활용에 적합한 공모작을 특별상으로 뽑으며 이들에겐 국내 광고회사 인턴십 기회를 부여할 예정이다. 광고에 관심있는 학생이라면 지금 바로 도전해 보길 바란다.   접수는 온라인으로 받고 있으며, 신청 및 자세한 사항은 아래 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http://www.ggideacontest.com/child/sub/contest/info.php   □ 2020 식품안전나라 데이터 활용 아이디어 & 사례 공모전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식품안전정보원이 식품나라 데이터 활용 서비스 내 공공데이터 (Open-API) 사용 활성화를 위해 공공서비스 부문 ‘2020 식품 안전나라 데이터 활용 아이디어&사례 공모전’을 주최했다. 공모 주제는 식품나라 공공데이터 활용 스마트 공공서비스 아이디어 및 사례 발굴로 아래의 사이트에서 데이터 활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식품안전나라 데이터 활용 서비스 : https://www.foodsafetykorea.go.kr/apiMain.do   시상 규모는 총 상금 1,000만 원으로 대상(식품의약품안전처장상) 1점 300만 원, 최우수상(식품안전정보원장상) 2점 각 200만 원, 우수상(식품안전정보원장상) 각 100만 원으로 지급된다. 수상자 중 희망자에 한하여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데이터 안신구역 분석공간 이용을 지원한다고 하니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개인 또는 팀 지원도 가능하다. 2020년 7월 29일 (수)부터 시작한 해당 공모전은 2020년 10월 25일 (일) 까지 접수받는다. 이메일(mykim@foodinfo.or) 로 접수가 가능하며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서, 참가신청서, 개발 기획서, 기획 스토리보드, 활용 우수사례 등을 함께 제출해야 하니 이 부분을 주의해서 빠짐없이 제출하길 바란다. 해당 제출서류의 첨부파일은 ‘2020 식품안전나라 공공데이트 활용 공모전 제출서류’를 참조하면 된다.   신청 및 자세한 사항은 아래 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https://bit.ly/3jRiZeo   □ 2020 국민참여 청렴콘텐츠 공모전 국민권익위원회 청렴연수원이 ‘2020 국민참여 청렴콘텐츠 공모전’을 주최한다. 공모 주제는 ‘우리 사회가 정직&공정하다고 느꼈던 순간’ ‘가정&학교,직장 등 일상에서 경험한 정의로운 행동 및 양심 관련 사연’ ‘내가 바라는 우리 사회의 바람직한 모습 등’ 이며 자신의 경험담 등을 기반으로 한 순수 창작물이면 된다. 공모 분야는 총 5개 분야로 수기, 시, 웹툰, 카드뉴스, 노래 등으로 나뉘어져 있다.   [2020년 6월 29일 (월) ~ 2020년 9월 25일 (금)]- 수기 : 일상에서 경험한 청렴 및 일상과 응모주제 관련 수기 (A4, 4페이지 이내)- 시 ; 응모주제 관련 창작 시 (A4, 1페이지 이내)- 웹툰카드뉴스 : 응모주제 관련 창작 웹툰 (25컷 이내) / 카드뉴스 (10컷 이내)   [2020년 7월 6일 (월) ~ 2020년 10월 16일 (금)]- 영상 : 응모주제 관련 창작 영상물 (10분 내외)- 노래 : 응모주제 관련 창작 노래 (2분 내외)   각 공모부분의 제출 규격을 잘 확인하길 바라며, 부문별 응모일정이 다르니 유의해야 한다. 예심 및 본심 심사위원 평가를 통해 수상작이 선정될 예정이며 총 50편을 시상하며 총 상금 5,160만 원이 지급될 예정이다.   신청 및 자세한 사항은 아래 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https://www.integritycontents.kr/   □ 게임문화 창작콘텐츠 공모전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주관하며, 한국게임산업협회가 후원 및 협찬하는 ‘게임문화 창작콘텐츠 공모전’이 2020년 7월 13일 (월)을 시작으로 2020년 9월 14일 (월)까지 진행된다.   게임문화 창작콘텐츠 공모전은 ‘내 인생을 꽃 피운 게임’을 통해 ‘게임’ 그 자체가 아니라, 게임을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자 하는 목적으로 개최되었다. 해당 공모전의 공모주제는 ‘#내 인생을 꽃 피운 게임’으로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관계를 꽃 피우다 - 가족, 친구, 선후배 동료와 함께 게임을 즐겼던 경험- 게임을 통해 다른 사람과 소통했던 경험 등   2) 문화를 꽃 피우다- 게임을 통해 재미와 감동, 창의력, 영감 등을 얻었던 사례- 게임의 문화&예술적 가치와 잠재력에 대한 고찰- 건강한 게임문화를 만들기 위한 아이디어, 제안 등   3) 인생을 꽃 피우다- 게임을 통해 삶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한 사례- 게임이 진로와 직업 선택에 영향을 준 사례 - 게임을 통해 고난과 역경, 스트레스를 극복했던 경험 등이다.   .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부문별 개인 밑 팀 (최대 6인 이내 구성) 접수가 가능하다. [영상, 수기, 웹툰] 3가지 부문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부문마다 출품 규격이 다르니 유의하길 바란다.   1) 영상 - 분량 / 규격 : 30초 이상, 2분 이내 1280*720 픽셀, mp4형식 (700mb 이하)- 수량 : 1인 (또는 1팀) 당 1점 - 영상 제작 계기 등 간단한 소개 (500자 이내)와 영상 스틸사진 (썸네일)을 메인 영상과 함 께 제출   2) 수기 - 분량/ 규격 : A4 5page 내외/ 한글파일 (hwp) 서식- 수량 : 1인당 1점 (개인 지원 가능, 팀으로 지원 불가)   * 제출양식서는 공모전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가능 3) 웹툰 - 분량/ 규격 : 20~30 CUT / JPG 또는 PNG- 수량 : 1인 (또는 1팀) 당 1점 - 해상도 300dpi 이상, 최대 1080*1080 픽셀( 700mb 이하)   심사는 각 분야의 전문가를 통해 진행될 예정이며, 9월 15일 (화)를 시작으로 하여 10월 30일 (금)에 수상자가 발표될 예정이다.   신청 및 접수는 아래의 사이트에서 이루어진다.https://www.koccagccontest.com/   □ 2020 MG 새마을금고 홍보 콘텐츠 공모전 MG 새마을 금고가 주최하고 주관하는 ‘2020 MG 새마을금고 홍보 콘텐츠 공모전’이 2020년 7월 13일 (월)부터 2020년 8월 31일 (월) 18:00까지 진행된다. 응모 주제는 MG 새마을금고 관련 소재를 활용한 모든 것으로, 모든 대학(원)생, 휴학생이 참여 가능하다. 팀 또는 개인 참여 둘 다 가능하며, 팀은 4명까지 구성 가능하다. 단, 같은 공모분야 내 동일인 중복참여가 불가하니 이 점 유의하길 바란다.   공모 부문은 총 3가지로 [영상 제작, 디자인 제작, 텍스트]로 나뉘어진다. 각 부문 마다 제출 서류들이 다르니 이 점 꼭 확인하여 좋은 결과를 얻길 바란다.   1. 영상제작: TV 광고, 캠페인 영상, SNS 영상, UCC 등의 영상 제작물 - 제출물 : 참가신청서, 영상파일 또는 영상링크, 기획의도 및 콘티를 포함한 스토리보드   2. 디자인 제작: 카드뉴스, 인포그래픽, 웹툰, 인스타툰 등의 온라인 이미지 제작물 - 제출물 : 참가신청서, 디자인 제작물, 디자인을 설명한 프레젠테이션 보드 - 구분 : 카드뉴스/ 인스타툰 : 900*900(px), jpg 형식, 8장 ~ 15장 내 구성 웹툰 : 900*free(px), jpg 형식, 15컷 내 일러스트 작품 : 3000x2000(px) (동네 새마을 금고 풍경, 미담사례, 상상그림 등)   3. 텍스트: 기업 슬로건, 창작시, 5행시, MG 새마을금고 신규 상품명 내용 등의 텍스트 제작물 - 제출물 : 참가신청서, 작품설명이 담긴 프레젠테이션 보드 (워드파일 내 작품설명으로 대체 가능)   심사는 1,2차 예심을 거쳐 본심 심사로 진행되며, 각 부문별 금상 1명 (300만 원), 은상 1명 (150만 원)이 지급될 예정이다. 또한 공모전 참가자 추첨을 통해 스타벅스 아메리카노를 80명에게 증정할 계획이다. 당첨작은 2020년 9월 1일 (화)에 발표될 예정이며, 9월말 입상자들에게 개별 통지와 함께 수상작은 MG 새마을금고 홍보 콘텐츠 공모전 홈페이지에 게재된다고 한다.   접수 및 자세한 문의 사항은 아래 홈페이지를 참고하길 바란다. http://mg-contest.co.kr/html/   □ 2020 인터넷윤리 창작콘텐츠 공모전 (디자인, 영상, 문학, 교안) 방송통신위원회가 주관하고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주최하며, 교육부와 국방부, 시청자 미디어 재단,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콘텐츠진흥원, EBS, MBN 등이 후원하는 ‘2020 인터넷 윤리 창작콘텐츠 공모전’이 2020년 6월 29일 (월)부터 2020년 10월 5일(월) 오후 5시까지 진행된다.   공모주제는 총 6개 이다. - 사이버폭력 (악성 댓글, 따돌림 등) 의 현황을 알리거나 피해자와의 공감 이끌어내기 - 디지털 발자국과 평판 관리의 중요성을 알리거나, 효과적으로 관리 방법 안내해 주기- 온라인에서의 정보편향 문제를 알리거나 균형있게 정보를 선택하고 판단하도록 설득하기- 온라인상 법적 문제 (저작권 침해, ID 도용 등)의 현황이나, 타인과 나의 권리 보호를 위한 방법 알리기- 온라인에서 사람들을 격려하고 도와줄 수 있는 방법(EX: #덕분에챌린지, 액션도미노)을 알 리고, 온라인에서의 사회 참여를 위한 새로운 방법 제안하기 - 그 밖에 안전하고 따뜻한 인터넷윤리 문화를 만들기 위해 정보나 현황을 공유하고 방법 제 안하기   지원자격과 공모분야는 두 부문으로 나뉜다.   1. 인식제고 콘텐츠 부문- 지원자격 : 대한한민국 국민 누구나 참가할 수 있으나, 개인으로만 참가가 가능한 점에 유의해야 한다.   -공모분야 = 이미지/ 정보제공형 : 포스터, 카드뉴스, 인포그래픽= 이미지/ 스토리텔링 : 그림일기, 웹툰, 그림책= 동영상 : 광고, 브이로그, 웹드라마, 애니메이션 = 텍스트 : 시, 수필, 시나리오   2. 교수&학습 지도안 부문 - 지원 자격 : 초,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 예비 교사 및 인터넷윤리 교육강사 (개인 또는 3인 이내 팀)가 지원할 수 있다.   -공모분야 : 인터넷윤리 대면 또는 원격수업용 교수 학습지도안   시상은 본상 총 67점 예정으로 총 상금 3,830만원 이 지급될 예정이다. 대상(대통령상)은 공통 부문 1점으로 300만 원이 지급되며, 최우수상 (국무총리상) 또한 공통부문 1점으로 150만원이 지급된다. 우수상은 방송통신위원장상 참가연령별로 나뉘어 참가연령별 총 9점 각 100만원씩, 교육부장관상 교수학습지도안 부문 3점 각 100만 원씩, 국방부장관상은 공통부분 1점으로 100만 원이 지급될 예정이다.   해당 공모전은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할 수 있으며, 신청 및 자세한 출품 규격과 심사 기준은 아래의 사이트에서 표로 업로드 되어 있으니 참고하길 바란다.http://www.ainse-contest.kr/   □ 엠큐 지식산업센터 옥상공간 아이디어 공모전한국생활환경학회가 주관하고 ㈜엠큐디벨롭먼트홀딩스가 주최 및 후원하는 ‘엠큐 지식산업센터 옥상공간 아이디어 공모전’이 2020년 8월 1일(토)부터 2020년 8월 28일(금) 15시 까지 진행된다. ‘엠큐 지식산업센터 옥상공간 아이디어 공모전’은 다산 신도시에 들어설 업무&상업&주거의 공간을 제공하는 지식산업센터에 입주자들이 쉴 수 있는, 주민들과 외부인이 찾아오고 싶은, 창의적인 옥상공간을 위한 아이디어를 모집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마련되었다.   “무엇이 있어야 놀러 오실래요? 여러분이 가고 싶은 옥상, 쉬고 싶은 옥상, 상상했던 옥상, 어떤 계절이든, 그 무엇이든. 마음껏 상상의 날개를 펼치세요” 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있는 이 공모전은 국내(외)인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개인출품 또는 5인 이하의 공동출품이 가능하니, 창의력과 상상력을 가진 서경대 학우들이 많이 참여하길 바란다.   접수는 MQDH_idea@mqgroup.kr에 이메일로 하면 된다. 홈페이지 공고문에 기재된 링크에서 다음과 같은 제출서류를 다운로드한 후 함께 첨부해야 한다. 이 점 유의깊게 보고, 빠짐없이 제출하여 좋은 성과를 얻길 바란다.   * 홈페이지 공고문에 기재된 링크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8HySV1HdJgeuwFB66rlJEtJxD4f2HwYZ?usp=sharing   1. 참가신청서 및 개인정보제공동의서 1부 2. 아이디어 요약 설명서 1부 3. 자유로운 형식으로 아이디어를 설명할 수 있는 자료 제출 (EX_ pdf, 동영상 ipeq, word..등)   접수 마감 후, 서류심사 결과는 20년 9월 4일(금)에 홈페이지에 공개되며, 최종 수상작은 2020년 9월 16일(수)에 개별 연락 및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된다.금상(한국생활환경학회장상) 1개 팀에게는 상장 및 상금 각 300만 원, 은상(한국생활환경학회장상) 2개 팀에게는 상장 및 상금 각 200만 원, 동상(한국생활환경학회장상) 3개 팀에게는 상장 및 상금 각 100만 원, 마지막으로 장려상(한국생활환경학회장상) 4개 팀에게는 상장 및 상금 각 50만 원씩 지급될 예정이다. 총 10개 팀에게 전체 시상금액 1,200만 원이 지급된다고 한다.   신청 및 자세한 문의사항은 아래 홈페이지를 참고하길 바란다. http://www.mqgroup.kr/ko/?c=131&s=&gp=1&gbn=view&ix=110<홍보실=백가은 학생기자>

    썸네일

    공부와 취업, 한 번에 잡는 ‘슬기로운 대학생활’ 기획시리즈 <8> 인문과학대학 문화콘텐츠학과 편

    코로나 19 확산 여파로 온라인 수업이 장기화 되면서 오랫동안 학교에 나오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이 그동안 정상적인 대학생활에서 누리던 전공 관련 학습 노하우나 진로 및 취·창업에 도움이 되는 정보 등을 접할 수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올해 입학한 신입생들은 더더욱 캠퍼스가 낯설 뿐만 아니라 자신의 전공이 구체적으로 어떤 학문이고 어떤 것들을 공부해야 하는지, 사회에 진출하거나 꿈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알지 못해 답답한 것이 현실이다. 이처럼 코로나 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우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공부와 취업, 한 번에 잡는 ‘슬기로운 대학생활’」 기획시리즈를 마련, 각 과별로 학생들을 만나 전공에 대한 소개와 자신만의 공부법, 진로나 미래를 위해 현재 하고 있는 준비나 노력, 취·창업 성공 꿀팁 등을 들어보았다. 기획시리즈 여덟 번째로 인문대학 문화콘텐츠학과 3학년 이수진(18학번) 학우를 만났다.   18년도 인문체전에서 준우승 한 문화콘텐츠학과 단체사진 - 안녕하세요. ‘문화콘텐츠학과’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 주세요. “문화콘텐츠학과는 영화, 광고·홍보, 지역문화 개발, 엔터테인먼트, 스토리 등 다양한 문화콘텐츠산업 전반에 대한 기초와 콘텐츠 기획 및 제작에 관한 학문을 다루는 학과입니다. 문화콘텐츠산업 분야에서 활동할 전문인력의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문화콘텐츠산업의 토대가 되는 인문학적 상상력과 예술적 감수성을 배양하고, 시장의 흐름과 트렌드를 읽는 사회과학적 안목을 기르며, 문화콘텐츠의 개발 및 제작을 위한 능력 및 문화기획 능력을 갖추도록 교육하고 있습니다. 현재 문화콘텐츠학과에는 다양한 창의성을 가지고 있는 학우들이 재학 중에 있습니다.“ 축제에서 공연을 끝 마친 문화콘텐츠학과 소모임 철인28호 - 전공에 있어 주요 핵심 강의는 어떤 것 들이 있나요?   “아무래도 1학년 기초 전공인 ‘문화콘텐츠의 이해’가 아닐까 싶습니다. 문화콘텐츠의 범위가 넓고, 다양하기 때문에 학과 특성상 학생들마다 희망하는 진로 분야가 다양하며, 실제로 졸업 이후에도 각기 폭넓은 분야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문화콘텐츠의 이해’는 문화콘텐츠산업의 기초학문에 대해 다루는 강의로써, 모든 콘텐츠의 기본이 되는 스토리 전반에 대해 학습합니다. 이 수업은 이후 학과생들의 진로 분야 결정 혹은 전공 심화 과정의 발판이 되는 수업으로 주요한 핵심 강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문화콘텐츠기획론’, ‘현대사회와 광고’, ‘크리에이티브 발상법’, ‘스토리기획실습’ 등과 같은 스토리·광고·콘텐츠 등의 핵심 트랙 수업들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백가은 학우의 '문화콘텐츠 기획론' 공부자료-자신만의 전공 공부법이 있나요?  “소비자의 관점이 아닌 기획자, 제작자의 관점에서 최대한 많은 콘텐츠를 보고 분석하거나 적용하려고 노력하는 것 같아요. 문화콘텐츠학과는 특히 실습 수업에서 창의적인 아이디어들을 생각하고 고민하는데 많은 시간을 써요. 아이디어는 많은 것들을 보고 다양한 경험을 하며 공부한 뒤에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평소에도 분야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콘텐츠들을 경험하고 분석하며 적용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감을 주는 문구나 이미지 같은 것들을 스크랩해 놓기도 하구요. 이론의 경우에는 뻔할 수 있지만 수업내용을 바탕으로 저만의 노트를 만들어서 한 눈에 볼 수 있게 정리하면서 공부해요. 언제든 꺼내서 볼 수 있어 도움이 되고, 모르는 부분은 계속 읽고 이해하고 암기하면서 습득한 이론을 바탕으로 실습에도 적용해보면서 연관 지어 공부하고 있습니다.“   - ‘진로 및 취·창업 지원’과 관련하여 도움이 되는 강의나 교내 교육 프로그램이 있나요?   “전공 강의 중에서는 ‘문화산업현장 탐방’이라는 수업이 도움이 되었습니다! 문화콘텐츠산업 11개 분야의 전문가들을 모셔서 특강을 하는 형식으로 진행되는 강의였는데, 실제 산업구조가 어떻게 이루어져 있고, 또 구체적으로 어떤 일들을 하는 건지 생생하게 들을 수 있어서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진로를 정하지 못한 학우들에게는 다양한 분야의 산업에 대해 생생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 구체적으로 진로를 설정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또 ‘청년문화콘텐츠기획단’ 활동도 도움이 많이 되는 것 같습니다. 다양한 직무 경험이 가능하고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어 열심히 참여하면 포트폴리오를 쌓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실제로 저는 성북누리마실축제 홍보팀, CTS 라디오 음향팀 등에 참여해 의미 있는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문화콘텐츠학’을 전공하면 졸업 후 주로 어떤 분야나 직종으로 진출하나요?“엔터테인먼트, 웹툰, 시나리오, 광고, 지방자치단체, 게임, 방송산업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 자신의 진로나 미래를 위해서 어떤 공부나 노력을 하고 있나요? “3학년에 올라가기 전 진로와 관련해 전공 교수님과 면담을 했었는데요, 그때 받은 조언들을 귀담아 듣고 실천하고 있는 중입니다. 제가 생각하고 있는 진로는 공모전이나 대외활동 같은 스펙이 무엇보다 중요해서 되도록 많이 참여해 경험을 쌓고 이왕이면 좋은 성적을 거두는 것까지를 목표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시집, 소설, 전공 관련 서적 등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독서도 꾸준히 하려 하고 있고, 영어공부도 병행하고 있습니다.시험 전 마지막 튜터링 소모임을 하고 있는 문화콘텐츠학과 학우들  - ‘교육의 완성은 학생의 성공’ 이라는 말이 있는데, 이와 관련해 학과나 학교에 바라는 것이 있다면 말씀해 주십시오.“주변에서도 많이 들려오는 이야기인데 진로와 관련해서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체험, 실무 연계 프로그램이나 전문가 특강 등이 좀 더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면 좋겠다는 바람들이 가장 많은 것 같습니다. 다른 학과와의 협업을 통한 활동, 다양한 경험을 원하는 목소리도 들을 수 있었습니다.”  - 진로나 취업에 성공한 선배들의 꿀팁이 있다면 말씀해 주십시오. “졸업을 앞두고 취업에 성공하신 13학번 선배님께 조언을 구해봤는데요, 꿀팁이라고 하기엔 좀 뭐하지만 ‘기회가 왔을 때 꼭 잡아라!’ 라는 조언을 들었습니다. 이 말을 듣고 저는 “기회는 준비된 사람에게 찾아오는 것”이라는 말이 떠올랐어요. 기회가 왔을 때 놓치지 않고 잡기 위해서는 먼저 그 기회를 잡을 준비가 되어있는 사람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미리 준비하고 나의 경쟁력을 갖춰 놓는 것이 취업에 성공하는 꿀팁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홍보실=백가은 학생기자> 

    썸네일

    서경대학교, 2020년 대학혁신지원사업 설명회 개최

    서경대학교 대학혁신추진사업단(단장 이석형)은 7월 30일(목) 오후 1시 30분 교내 유담관 1408호에서 ‘2020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한 교직원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번 설명회는 지난해 추진한 1차년도 대학혁신지원사업의 결과를 분석, 진단하고 전반적인 보완 및 개선을 통해 2차년도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설명회는 이석형 서경대 대학혁신추진사업단 단장의 진행으로 △대학혁신추진사업단 및 구성원 소개 △대학혁신지원사업 개요 및 사업 소개 △대학혁신지원사업 운영계획 및 지침 설명 △대학혁신지원사업 성과 관리 △질의응답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2차년도 대학혁신지원사업은 대학의 중장기 발전전략에서 목표로 하고 있는 창의적 실용교육의 구현, 교육인프라 확산, 공동체 역량 강화를 주요 축으로 설정하고 실용적 전공교육과 창의역량 개발을 위한 교양교육, 융복합 교육체제 고도화 및 비교과 과정과 연계한 취·창업역량 강화를 추진전략으로 선정, 추진할 예정이다.   핵심사업은 크게 혁신 전공역량 강화, 혁신 교양약량 강화, 융복합 역량 강화, SKU-DNA 인프라 조성, 산학협력 등 5개 분야로 나뉘어 진행된다. 먼저 혁신 전공역량 강화는 산업체 수요조사를 통한 요구 역량을 분석해 산업수요 맞춤형 전공역량을 도출, 이를 교육과정에 반영해 운영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PBL(문제중심학습) 교육과정과 교육용 영상 콘텐츠를 개발해 학생 스스로의 문제해결능력 함양에 초점을 맞춘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또, 국제적 수준의 표준화된 뷰티테라피 교육운영을 중심으로 한 CIDESCO 학교 인증 및 자격증 과정을 도입해 Global Frontier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혁신 교양역량 강화는 SKU-6C 기반 혁신교양 교육과정 및 지원체제 개편, 비교과 프로그램 고도화 및 맞춤형 통합 상담 시스템 도입, 창의혁신교수법 지원체제 구축 등을 통해 학생들의 인문학적 소양과 사고, 교양, 인성 제고와 교육과정의 질 향상을 도모할 계획이다.   융복합역량 강화는 대학의 특성화 과목(공연예술, 미용예술)을 융합한 ‘Style Tech 융합전공을 신설하고 학생이 쇼(Show) 현장을 직접 제작할 수 있는 통합형 공연예술 창의인재 양성 프로그램(HUB)을 운영해 실무중심교육의 폭과 깊이를 더할 계획이다. 지난해 설립한 융합대학의 운영 확대와 함께 미래형 융복합 교육공간(Living Lab, Smart Class)을 조성해 혜화동 대학로에 운영 중인 융합예술특성화 캠퍼스인 서경대 공연예술센터와 함께 학생들의 융복합 역량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SKU-DNA 인프라 조성은 관련 산업계 데이터를 분석해 학생들의 사회진출 역량 증대와 진로지도를 지원하는 Medi Platform(학생역량 포트폴리오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창의교육공간인ID(Innovation Design) Lab, Smart Class, 능력 라운지(Faculty Lounge)’ 조성하며, 대학의 여유자원을 활용한 취창업 지원 플랫폼인 SKU 공유가치창출 Plaform을 구축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산학협력은 지역사회 및 산업과의 연계성 강화 및 상생 발전 플랫폼 구축, 산업수요 맞춤형 학생실무역량 강화, 전주기적 취창업 지원 구체화 등을 통해 구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가족기업 활성화, 지역사회 연계 및 봉사 활성화, 취·창업지원 프로그램 다양화 및 확대, 산업체 연계형 Capstone Design 활성화 등을 주요 사업으로 설정해 추진할 계획이다.   서경대학교 대학혁신추진사업단은 성과관리의 체계적인 관리 방안을 구축하고 규정 및 지침 등 제도를 보완하며, 사업 성과관리 공유 확산 노력의 강화 등의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 2차년도 대학혁신지원사업을 보다 더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영철 서경대 총장은 “이번 설명회는 대학의 발전과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 우리 대학의 대학혁신지원사업의 현주소를 점검하고, 더 나은 사업 운영을 위한 논의를 나누는 자리가 되었다”며 “대학혁신지원사업을 통해 대학시스템을 혁신함으로써 대학의 발전계획 성과를 확산시키고 4차 산업혁명에 적극 대응해 나가는 한편 국가혁신성장을 주도할 미래형 창의인재 양성체제 구축의 비전을 실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앞서, 서경대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 주관 대학혁신지원사업 1차년도 연차 평가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둬 규모는 작지만 경쟁력 있는 실용 중심 강소대학으로 인정받았다. 서경대는 1차년도 사업 성과로 사업 2차년도인 2020년에 41억 원의 사업비를 지원 받아 창의적 실용교육의 6대 핵심과제 추진을 중심으로 한 대학혁신(교육, 산학협력, 기타) 프로그램을 추진한다. 이번 평가는 핵심성과지표(재학생 충원율, 전임교원 확보율, 교육비 환원율 등)와 대학중장기발전계획을 토대로 한 자율성과지표 등에서 정량평가와 정성평가로 이뤄졌다. 2019년 대학기본역량진단 자율개선대학 및 대학혁신지원사업에 선정된 서경대는 지난해 3월 15일 ‘대학혁신사업단 출범식 및 설명회’를 갖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해 지난 1년간의 사업 실적을 평가한 결과, 이같은 성과를 올렸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평가의견을 통해 서경대가 대학의 중장기 발전계획과 혁신 전략과의 연계성, 적절한 재정투자계획 및 집행, 다양한 구성원 의견수렴 방안 마련, 차세대 신산업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진행 등에서 대학혁신 전략의 세부 프로그램 운영이 내실 있게 진행됐다”고 밝혔다.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3838334대학저널 http://www.dh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6489유스라인 http://www.usline.kr/news/articleView.html?idxno=15765베리타스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334307캠퍼스 잡앤조이 http://www.jobnjoy.com/portal/joy/life_view.jsp?nidx=416295&depth1=2&depth2=2&depth3=8 

    썸네일

    12개 대학서 뽑는 인문·자연계 특기자전형, 지원 전략은

    -2021학년도 서울권 대학서 총 697명 선발-이화여대 모집인원 165명으로 가장 많아 특기자전형은 특별한 재능을 가진 학생들에게만 지원 자격을 부여하는 입시 전형의 한 유형이다. 예체능계열 학생들의 전유물로 알고 있지만, 인문·자연계열 학생들도 특기자전형을 통해 대학에 들어갈 수 있다. 특히 자연계열 학생 가운데 수학 또는 과학, 인문계열 학생 중 어학 관련 재능을 갖춘 자라면 지원을 고려할만하다. 29일 입시전문업체 진학사에 따르면, 올해 서울권 12개 대학에서 인문·자연계열 특기자전형(정원내)으로 697명을 뽑는다. 학생을 가장 많이 선발하는 대학은 이화여대다. 어학, 과학, 국제학 특기자로 나눠 총 165명을 모집한다. 이어 연세대 국제인재전형(125명), 고려대 실기/실적전형(114명) 순이다.같은 특기자라도 대학별로 지원자격과 제출서류 등은 제각각이다. 국내 고교 또는 외국 고교 졸업 여부, 수상 내역 등에 따라 지원 가능 여부가 달라진다. 따라서 특기자전형을 눈여겨보는 수험생이라면 본인이 지원하려는 대학의 자격 요건을 꼼꼼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예를 들어 연세대 국제인재전형은 국내 고교 졸업자로 지원 자격을 제한한다. 외국 소재 고등학교 또는 국내 소재 외국교육기관(외국인학교 등) 출신자는 해당 전형에 지원할 수 없다. 동국대는 실기(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전형으로 23명의 학생을 모집하는데, 입상자와 일반 학생으로 나눠 지원자격을 설정하고 지원자격별로 뽑는 인원을 다르게 했다.수능 최저학력기준 설정 여부도 살펴야 한다. 대표적으로 서경대와 동덕여대는 다른 대학과 달리 특기자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설정해 두고 있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자기소개서를 내야 하는지도 확인해야 한다”며 “국민대와 명지대, 이화여대, 한양대는 자기소개서를 제출하지 않아도 되지만, 경희대와 성균관대에 지원할 때는 자기소개서를 필수로 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외국어 시험 성적증명서를 반드시 제출해야 하는 대학도 있으니 어떤 서류를 평가자료를 활용하는지도 하나하나 따져봐야 한다.특기자전형 합격자들의 교과 성적이 다른 학생부 중심 전형에 비해 낮은 편이라는 점도 언급했다. 우 소장은 “교과 성적이 아닌 어학, 수학, 과학, IT 등의 분야에서 특기를 가진 학생을 선발하는 전형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렇다고 해서 교과 성적이 낮은 학생이 특기자전형에 지원하면 무조건 합격한다는 보장은 없다”며 “국민대와 동국대 등에서는 교과 성적을 일부 반영하기도 하며 한양대의 경우 학생부 내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므로 한 분야에 대한 꾸준한 관심과 특별한 활동, 결과물까지 갖춘 학생들이 특기자전형에 지원할 때 합격 가능성까지 커진다”고 전했다. <원문 출처>조선일보 http://edu.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29/2020072901759.html

    썸네일

    군사지식과 실무능력 갖춘 군장교 양성 요람 서경대 ROTC 206학군단

    사관학교, 군사학과, 학사장교 등 군 장교가 되기 위해 밟아야 하는 과정들은 꽤 다양하다. 그중에서도 많은 대학생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것이 바로 ROTC다. ROTC란 '학생군사교육단(Reserve Officers' Training Corps)'을 말하며, 2년 간의 군사훈련 과정을 거쳐 졸업과 동시에 장교로 임관하는 제도이다. 학기 중 군장교로서 갖추어야 할 리더십과 전문 지식 및 역량을 배양하기 위한 교육 훈련을 받고 3, 4학년 동안 방학기간을 이용해 소정의 군사교육과정을 이수하면 졸업 후 소위로 임관하여 2년 4개월(28개월) 동안 장교의 신분으로 전공 분야의 실무를 터득할 수 있는 군생활을 시작하게 된다. 우리 대학의 경우, 2019년 기준 총 415명이 장교로 임관하였으며, 매 입영 훈련 때마다 우수한 성적을 내고 있는, 올해로 창립한 지 어느덧 14년이 된 서경대학교 ROTC에 대해 알아보자.ROTC 단체 사진2007년 6월 22일 하계 입영훈련 수류탄 과목에서 최우수 학군단을 수상할 정도로 뛰어난 인재들과 시작한 206학군단은 이후로도 꾸준히 2010년 하계 입영훈련 우수학군단 수상(108개 학군단 중 4위), 분대방어 과목 우수학군단 수상, 종합 우수 학군단 수상, 학군 49기 임관성적 우수 학군단 수상 등의 성과를 이루어냈다. 최근 5년간은 2015년 하계 입영훈련 종합우수 학군단 선정에 이어 2016년 종합우수 학군단 수상, 2017년 하계 입영훈련 사격우수 학군단 수상, 2018년 하계 입영훈련 경계우수 학군단 수상 등의 공적을 쌓아 서경대 ROTC의 이름을 알렸다. 학군사관 후보생 제도의 특징으로는 크게 3가지가 있다.1. 실질적 군복무 기간 단축 - 재학기간을 이용하여 군사훈련을 받기 때문에 실질적인 복무기간 단축   2. 다양한 교육 및 장학금 혜택 - 장교의 신분으로 전공분야의 실무를 터득할 수 있다. - 학군단 군장학생 지원 시 군장학금, 대학별 우수 후보생 장학금, ROTC 선배 장학금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 장기복무 지원 시 국내외 민간대학 위탁 교육, 미국 등 우방국 군사교육 등의 교육 혜택이 주어진다.   장학금 외에도 장교로 임관하게 되면 매달 약 180만 원의 월급을(기본급) 받게 되며, 여러 가지 수당을 합치면 200만 원 이상을 받기도 한다. ROTC로 군 생활을 하고 전역하게 되면(중위 전역) 보통 적으면 3,000만 원, 많이 모으면 6,000만 원 정도의 목돈을 모아 전역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좋은 조건이다.   3. 유리한 취업 및 급여 - 전역 후에도 일반 입대자보다 유리한 위치에서 취업이 보장된다.- 계급에 상응하는 급여 및 각종 혜택을 받을 수 있다. ROTC 후보생들의 교육은 크게 학기 중에 이루어지는 ‘교내교육’과 3~4학년 방학기간을 이용해 이루어지는 ‘입영훈련’ 2가지로 나뉜다. 학기 중에는 교내 학군단에 소속되어 학과공부에 충실하면서 초급간부로서 갖추어야 할 이론 위주의 군사교육을 받고 있으며, 대학생활과 학군단 과업을 병행한다. 3~4학년 방학기간에는 학생중앙군사학교에 입교하여 장교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실습 위주의 입영훈련을 받고 있다. 훈련이란 임관하여 장교로서 기본적으로 수행해야 할 능력을 기르는 과정이다. 59기 후보생부터는 선택적 훈련제도를 도입하였다. 2학년 겨울방학에 ‘기초군사훈련’을 실시하고 3학년 또는 4학년 여름방학 중 하계 입영훈련으로 ‘전투지휘자훈련’을, 4학년 졸업 전 겨울방학에 ‘야전지휘자훈련’을 이수한다. 후보생들의 교육은 크게 학기 중에 이루어지는 ‘교내교육’과 3~4학년 방학기간을 이용해 이루어지는 ‘입영훈련’ 2가지로 나뉜다.   1. 교내교육 - 학교교육은 주당 4시간, 학년 당 88시간 내외로 진행되며, 학기 중에 실시되는 특성 때문에 이론 위주의 교육으로 진행되고 있다.   - 지휘통솔, 정훈(교관능력 구비). 체력단련 등의 기초 군사훈련이 주를 이루고, 리더십과 관리능력을 배양하고 초급 간부로서 자질을 향상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또한 ROTC 후보생들이 대학생활과 조직생활을 조화롭게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전인교육도 실시하고 있다.   2. 입영훈련 - 3, 4학년 하계(4주) 및 동계 (2주) 방학을 이용해 학생중앙군사학교에 입교하여 병영교육을 이수하는 것을 말한다.   - 후보생들은 입영훈련기간을 통해 소대전투를 비롯한 장교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초전술 전기를 연마하고 있다. 학교와 집을 떠나 동료들과 내무반 생활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리더십과 협동심, 인내력, 담력 등 군인정신들을 배우게 된다. Q) 임관이란 ?- 2년 간의 교육과정을 통해 장교로서의 자질과 인격, 군사지식의 기본능력을 인정받은 후보생들이 장교로 임명되기 위해서 ‘임관 종합평가’라는 과정을 거치고, 소위계급장과 ROTC 출신들의 상징. 초록색 루비반지를 끼고 2년 4개월 동안의 대한민국 육군 소위(공무원 7급)로 임관하는 것을 말한다.<ROTC학생들이 임관할 때 수여받는 반지>* 소대장 생활이란 ?- 보통 장교(소위)로 임관하게 되면 소대장 직책을 부여 받게 되는데 ‘소대장’이란 한 소대의 장으로서, 기본적으로 소대원들의 병력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ROTC 활동의 이점이라고 할 수 있는 책임감과 리더십을 기르는 데 특화된 활동이다. 다른 장교제도가 3~10년을 복무해야 하는 것에 비해 ROTC 출신 장교들은 2년 4개월의 최단기 복무로 국방의 의무를 마칠 수 있다. ROTC 출신 장교들에게는 최단기 복무 외에도 다양한 혜택이 주어지는데, 가장 큰 장점은 전공과목에 따라 병과를 받기 때문에 군복무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전공공부를 계속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군생활 2년 4개월이 교육단절이 아니라 현장에서의 응용 실습기간이 되는 것으로, 전문가로서의 실력을 쌓아가는 ‘교육의 연장’이 되는 것이다.   ROTC 제도를 통해 ‘기혼자에게 군 숙소 지원, 국내외 민간대학원에 국비 취학 가능, 미국 및 우방국 군사교육, 주택 특별 분양, 군인자녀 기숙사 지원, 군인자녀 학비 지원, 의료보험 혜택, 국가기능 자격증 취득’ 등의 혜택을 부여함으로써 전역 후 취업 및 생활 안정에 기여하게 하고, 전역 후에도 군사연구 활동 사업에 종사하며 군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복지가 제공하고 있다.   이 외에도 일반 대학생활과 학군단 과업을 병행할 수 있다는 점이 학군단의 장점이며, 학군단 후보생 중, 군적금을 들 수가 있다. 연 5.5%의 이율을 가지고 있어, 일반 적금보다 높은 이자율로 목돈을 불릴 수 있다. 또한 장교로 제대하면 대기업이나 기업에서 특채로 모집하는 경우도 있어 군 생활 외의 새로운 직장생활을 하고자 할 때도 상대적으로 유리하다.ROTC 모집은 매년 3월~6월 임관일 기준 만 20세 이상 27세 이하의 대학교 1, 2학년의 남녀를 대상으로 모집하고 있다. <홍보실=백가은 학생기자>

    썸네일

    [2021 수시 입학정보] 서경대학교, 4차 산업혁명 시대 리더 양성 위한 대대적인 교육혁신 나서

    최근 신입생 입학률 1위, 졸업생 취업률 5위 기록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대학의 교훈인 지혜 · 인의 · 용기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저마다 자신의 역량을 최고수준에 다다르도록 잘 가르치는 대학 △글로벌 융복합 교육으로 미래사회를 선도하는 인재를 길러내는 대학 △실용을 최고 가치로 하는 취·창업에 강한 대학으로 새롭게 변화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 리더가 될 수 있는 사회맞춤형 융‧복합 인재 양성을 위해 학생 중심의 교육혁신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새롭고 실용적인 교육시스템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분야에서 최고가 될 수 있도록 능력과 자신감을 키워준다. 사회와 시대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고 국가발전의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대학이 가진 모든 역량을 집중적으로 지원함으로써 학생ㆍ교직원ㆍ학부모ㆍ동문 모두가 행복한 대학으로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서경대학교는 이를 위해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을 새롭게 수립하고 대학혁신지원사업을 통해 대대적인 교육혁신에 나서고 있다.   서경대학교는 학령인구의 감소, 4차 산업혁명의 도래 등 대학을 둘러싼 교육환경의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대학교육을 혁신하고 혁신성장의 토대가 되는 미래형 창의인재 양성 체제를 구축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대학 중장기 발전 계획을 수립했다. ‘서경비전 2025’인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에는 ‘CREOS형 인재를 양성하는 글로벌 실용교육 중심 대학’이라는 비전 제시와 함께 ‘창의·융합·실용 특성화 대학’, ‘교내외 및 사회 Network이 강한 대학’, ‘최적의 CREOS형 인재 양성 교육시스템을 구비한 대학’이라는 대학의 발전 목표가 제시되어 있다. 서경대는 발전 목표를 이루기 위해 3대 발전 전략을 세우고 이를 실행에 옮길 15대 핵심 과제와 55개 세부 실행계획을 수립해 시행에 들어갔다. 서경대학교는 대학 발전계획의 수립 및 시행과 함께 대학 발전계획의 목표와 방향에 부합하는 교육혁신 및 전략적 특성화를 위한 대학혁신지원사업을 추진, 대대적인 교육혁신에 나섰다. 서경대학교는 대학혁신지원사업의 목표를 ‘SKU-DNA 혁신을 통한 CREOS형 실용인재 양성’으로 설정하고 이를 위해 ‘SKU-DNA’ 전략을 수립했다. ‘SKU-DNA’ 전략이란 대학 중장기 발전전략에서 제시한 창의, 문제해결, 대인관계, 글로벌, 자기계발, 실무 등 6대 핵심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전략을 역량강화 프로그램(Development) 개발, 교육 인프라(Network) 구축, 실행 및 환류(Action) 등 3단계로 구체화한 것이다. 서경대는 이를 실현하기 위해 △창의적인 실용교육 △공동체 역량 강화 △교육 인프라 확산 등 3대 혁신전략을 마련했다. 구체적인 혁신 방안은 △혁신 전공역량 강화 △혁신 교양역량 강화 △융복합 역량 강화 △SKU-DNA 인프라 조성 △산학협력 및 지역사회 친화적 취창업 역량 강화 △혁신발전연구 강화 및 통합 성과관리체제 구축 등이다.   서경대는 대학혁신지원사업 추진 1차년도인 지난해 교양교육의 질 및 지원체제 획기적 개선, 6대 핵심역량 증진 교육 강화, S.E.T(Seokyeong Employment Training) 실시. SKU 디자인씽킹 창업캠프 개최, Save Your Heart 캠페인 실시, 미래형 교육 모형 및 혁신적 교수법 개발 및 운영, 개인별 맞춤형 취업·창업·진로심리에 관한 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해 적지 않은 성과를 올렸다. 그 결과 올해 5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으로부터 대학의 중장기 발전계획과 혁신 전략과의 연계성, 적절한 재정투자계획 및 집행, 다양한 구성원 의견수렴 방안 마련, 차세대 신산업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진행 등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아 기존 사업비에 추가 인센티브를 부여받았다.   서경대는 최근 몇 년간 각종 외부기관 평가와 지원사업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2017년과 2018년, 교육부 4주기 교원양성진단평가와 교육부 2주기 기본역량진단평가에서 최우수 등급을 받은 데 이어 2019 QS 아시아대학 순위 평가에서 500위권에 진입하였으며 한국기업평판연구소가 매년 실시하고 있는 브랜드 평판 분석에서도 상위권에 올랐다. 최근에는 평창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대회 개최(선수촌 미용실 운영 및 개폐회식 메이크업 담당)를 통해 국가체육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정부로부터 표창도 받았다. 또, GKS 주요 국가 학생초청 연수사업, 캠퍼스 CEO 육성사업, 캠퍼스타운 조성 사업, 문화기술개발 연구사업, 인생나눔교실 운영사업, 대학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 지역사회문화예술 지원사업 등 다양한 산학협력 사업을 수주해 운영하는가 하면 교육부 진로직업체험기관 인증 및 교육국제화역량 인증대학 선정 등의 실적을 올렸다. 지난해부터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학생들의 융복합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융합대학을 설립, 콘텐츠커머스 융합, 사이버드론학, 빅데이터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패션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핀테크 등 7개 융합전공을 개설, 운영하고 있으며 미래형 융복합 교육공간도 조성할 계획이다.   서경대는 최근 현장중심 교육을 전 분야로 확대하고 있다. 캠퍼스 안에 머물던 지식습득의 경계를 과감히 외부로 확장,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배양하고 있다. 대학과 기업 간 협력을 강화해 실무능력을 쌓을 수 있는 산학연계 교과목이 크게 늘었다. 학생들에게 현장에 즉시 투입해도 제몫을 해내고 세상에 없는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 ‘실무현장형’ 프로덕션 시스템을 교육과정에 적용하고 통합형 공연예술 창의인재(HUB)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또, VR미래융합센터 설치, 외부 프로덕션과의 다양한 산학협력, 서경크리에이티브센터 서경레코딩스튜디오 무대의상연구소 (사)서경뮤직스쿨 (사)서경뮤직소사이어티 서경 뷰티숍 등의 운영을 통해 현장중심 창작지향 교육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서경대학의 영화영상. 음악, 뮤지컬, 무용예술, 공연예술, 디자인, 미용예술 등 예술분야 관련 10개 학과는 단연 국내 최고 수준이다. 그 이유는 한류예술, 뷰티산업 관련 이른바 스타 학과가 많고 교육 또한 실무 현장과 동일한 프로덕션 시스템을 교육과정에 도입해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프로듀서나 감독 등 현장 전문가를 교수로 영입해 가르치고 첨단 고가 장비와 국내 최고 시설에서 전문지식과 실용능력을 키우는 명품교육을 하고 있는 것도 남다르다. 지난해 10월 혜화동 대학로에 설립한 서경대 공연예술센터에서는 정릉캠퍼스 예술대학 및 미용예술대학의 교육 프로그램 및 인프라와 연계해 예술분야의 인재 양성과 공급, 산학협력 그리고 취·창업 등에서  그 위상과 역할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서경대학교 공연예술센터는 대지 400평, 건물 연면적 1,900평 규모의 지하 5개 층, 지상 5개 층 등 총 10개 층에 연극, 뮤지컬, 전시, 음악회, 뷰티 등 각종 공연이 가능한 시설을 갖춘 문화예술공연 공간이다.   서경대는 학습 및 취업 종합지원센터인 CLC ZONE, 24개 취창업 비교과 프로그램, 학년별 취업역량 강화 캠프, 취업동아리, 실전창업캠프, 창업보육실, ‘SKU 창업 1-1-1’ 프로젝트 등 다양한 취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설치, 운영해 재학생들이 체계적으로 취창업 역량을 개발하고 취업에 유리하도록 경력을 쌓게 함으로써 학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이같은 노력에 힘입어 서경대는 2019년 졸업생 취업률이 70.2%로 성균관대(77%), 한양대(73.4%), 서강대(70.4%), 고려대 (70.3%)에 이어 서울지역 4년제 종합대학 중 5위를 기록했다. 유지취업률도 지속적으로 상승해 81.3%를 기록했다. 서경대는 앞으로 학생들이 재학 중 보다 더 폭넓은 지식과 경험을 쌓아 취업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양질의 취창업 관련 강의와 프로그램을 더욱 확대하고 국내외 스타트업 기업과 연계한 현장실습도 크게 늘릴 계획이다.   서경대학교는 올해 초 2020학년도 정시모집 경쟁률에서 평균 10.53대 1을 기록, 서울지역 4년제 종합대학 중 1위를 차지했다. 서경대학교가 학령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서울지역 4년제 대학 중 최상위권의 경쟁률을 기록한 것은 모집 인원은 작지만 실용학풍에 기반한 구조개혁과 학과개편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교육 수요자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특색있고 다양한 학과와 전공을 개설하고 운영해 왔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미래사회가 필요로 하고 사회 수요와 시대 요구에 부응하는 창의융합형 실용교육을 교육과정에 도입하고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끊임 없이 노력한 것도 수험생들이 서경대를 찾는 이유다.   ■ 수시 전형 829명 모집,  일부 학과 및 전공 명칭 · 정원 변경…모집단위별 수능 반영 영역 및 비율 꼼꼼히 살펴야   서경대학교는 2021학년도 수시모집에서 정원 내 모집인원 1,269명 중 829명을 선발한다.2021학년도 서경대 수시모집에서 달라진 점은 적성고사 선발인원을 입학정원의 24%인 306명으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확대한 것이다. 또, 사회과학대학 공공인적자원학과를 공공인재학부로 명칭을 변경하고 학부 내에 정원 40명의 공공인재와 20명의 경찰행정 전공을 신설했다. 그리고 미용예술대학 소속으로 정원 25명의 메이크업디자인학과를 신설했다. 이와 함께 정원 50명의 헤어·메이크업디자인학과를 정원 40명의 헤어디자인학과로, 정원 40명의 화학생명공학과와 정원 40명의 나노융합공학과를 정원 40명의 나노화학생명공학과로 그리고 국제비즈니스어학부를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로, 문화콘텐츠학과를 광고홍보콘텐츠학과로, 실용음악학과 연주작곡전공을 작곡전공으로 각각 명칭과 정원을 변경했다. 또, 선발인원을 아동학과는 60명에서 50명으로, 시각정보디자인전공은 30명에서 35명으로, 뷰티테라피&메이크업학과는 30명에서 25명으로, 생활문화디자인전공은 30명에서 35명으로, 무대패션전공은 20명에서 25명으로, 실용무용전공은 15명에서 20명으로 각각 조정했다.   아울러 모집단위 중 어학특기자 특별전형은 특기분야를 영어, 일어, 중어, 불어, 노어 등 5개 분야에서 영어, 일어, 중어 등 3개 분야로 축소했고. 군사학과는 전형 반영비율을 학생부 80%+면접 10%+체력 10%에서 학생부 60%+면접 20%+체력 20%로 변경해 선발키로 했다.   수능 성적은 백분위 점수를 적용한다. 탐구영역은 두 과목 평균을 반영하며 한국사영역은 등급에 따라 가산점을 부여한다. 이공대학의 경우 수능 수학 가형에 응시하거나 과학탐구 응시자에게 가산점을 부여하므로 참고하기 바란다. 총점이 동일할 때는 수능을 100% 반영하는 모집단위의 경우 영어영역 성적 우수자를 1순위로 선정한다. 군사학과는 수능과 면접, 체력고사 이외에도 신체검사, 인성검사, 신원조회를 실시해 기준에 미달할 경우 불합격 처리된다.   모집단위별로 ‘가’군, ‘나’군, ‘다’군에서 선발하므로 지원자 본인이 지원하고자 하는 학과(부)나 전공이 어느 군에서 선발하는지 확인하고, 모집단위별 수능 반영 영역 및 반영 비율을 꼼꼼히 살펴보고 지원해야 한다.     <원문 출처> 유스라인  http://www.usline.kr/news/articleView.html?idxno=15714

    썸네일

    코로나 19 펜데믹으로 언택트 문화 등 뉴노멀 시대 맞아 열리는 ‘2020 제6회 서경대학교 전국 뮤지컬 경연대회’, 무엇에 중점을 두고 어떻게 열리나

    □ 이종석 뮤지컬학과 교수 인터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의 펜데믹으로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사회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가 생겨나고 있으며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이 만들어지고 있다. 원격교육이 확산되고 있고 전자 상거래가 급속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가정에서 할 수 있는 스포츠 용품과 운동기구가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더불어 재택근무가 확산되면서 원격 근무가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새로운 기회로 부상하고 있다. 또, 온라인 학습을 하는 학생들을 위한 사이트 및 지원들도 크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양질의 온라인 콘텐츠가 계속해서 제작된다면 코로나 19 이후에 세상에서는 굳이 오프라인 대면 수업을 진행할 필요가 없어질 수도 있다는 일부 전문가의 견해도 있다. 대규모 관중이 모이는 공연, 예술, 스포츠도 코로나 19의 직격탄을 맞았다. 각종 뮤지컬 공연이 중단되거나 취소됐고 프로 농구와 야구 경기도 취소되거나 무관중으로 치러지고 있다. 특히 문화·예술계에서는 코로나로 인해 생겨난 비대면 문화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랜선으로 떠나는 문화 예술 프로그램 등을 기획, 지원하고 있다. 생중계로 만나는 공연부터, 온라인으로 즐기는 전시회까지 다양한 방법으로 대중들과 만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처럼 공연 예술이나 스포츠가 큰 변화를 겪으면서 사회 일각에서는 대규모의 관중이 한 곳에 모여 감상하는 방식은 코로나 19 이후의 세계에서도 바뀔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사진=중앙자살예방센터)이렇듯 전 세계를 뒤흔들고 있는 코로나 19 사태가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을 이전과는 다른 세상으로 바꿔 놓고 있는 가운데 우리 대학도 지난 1학기 내내 원격 수업이 이루어졌고 예술대학소속 학과들도 당초 계획되었던 공연이나 연극 등을 연기하거나 취소하는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한편,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단장 이석형 교수)과 뮤지컬학과(학과장 권혁준)는 코로나 19로 인해 사회경제적 구조와 삶의 방식 등이 거대한 변화를 맞고 있는 언택트, 뉴노멀 시대에 위기를 기회로 만들고자 전국 뮤지컬 경연대회를 새롭게 기획했다.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과 뮤지컬학과는 8월 1일(토) 오후 1시 교내 본관 8층 컨벤션홀에서 ‘2020 제6회 서경대학교 전국 뮤지컬 경연대회’ 본선대회를 공동으로 개최한다. 앞서, 주최 측은 7월 한 달간 본선대회에 진출할 참가자를 뽑는 예선대회를 치렀다. 예선은 코로나 19 확산 여파로 참가자들의 안전을 위해 연기내용을 담은 영상물 제출로 대신하였으며, 예선을 통과한 참가자 20명을 대상으로 실연심사 과정을 거쳐 이날 본선을 치를 예정이다. 서경대학교 전국 뮤지컬 경연대회는 우수한 뮤지컬 인재를 발굴, 육성하기 위한 실전경험 축적 및 예술인으로서의 자질함양을 위해 마련되었으며, 특히 이번 대회 개최를 통해 코로나 19로 위축된 예비 뮤지컬 전공생들이 스스로 갈고 닦은 자신의 기량을 검증받음으로써 참가자 개인의 실력향상은 물론 뮤지컬계 발전에 기여하길 기대하고 있다. 대회 주최 측은 이번 대회를 준비하고 치르는 동안 참가자들의 안전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며 코로나 19 감염 예방을 위한 방역조치에도 만전을 기해 참가자들이 안심하고 경연대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경연대회를 준비, 진행하고 있는 서경대 뮤지컬학과 이종석 교수를 캠퍼스에서 만나 코로나 19 사태로 학교 수업은 물론 공연, 학생 지도 등 모든 것이 달라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뮤지컬 경연대회를 무엇에 중점을 두고 어떻게 진행할 계획인지, 또 이번 뮤지컬 경연대회는 지난 경연대회와 어떻게 다른지 등에 대해 물어보았다.- 코로나 19 사태로 사회문화적으로 엄중한 상황에서 치러지는 이번 2020 전국 뮤지컬 경연대회가 지난 뮤지컬 경연대회와 비교해 달라진 점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예년과 달리 참가 학생, 심사위원, 대회 진행 요원들 모두의 안전과 건강을 최우선에 둔다는 점이 달라진 점입니다. 하여 기존 예선을 영상 심사로 대체해 참가 학생들 간 접촉의 횟수를 줄이고, 안전하게 응시할 수 있도록 콩쿨 형식에 변화를 주었습니다. 아쉬운 점은, 기존에는 예선을 통과한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마스터 클래스를 열어 우리 학교 뮤지컬학과의 수업 방식과 작업 방식을 경험할 수 있도록 했는데, 올해는 마스터 클래스 자체를 열지 못한 점이 아쉬운 점입니다.”- 본선 대회를 안전하게 치르고 코로나 19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대회 전후, 진행 과정에서 어떤 대응 조치와 방역 조치를 취할 계획인가요?“앞서 말씀 드린 바와 같이 예선을 기존의 대면 응시에서 영상을 통해 비대면 응시로 전화했습니다. 또한 본선은, 은주관 기존 스튜디오 1에서 우리 학교 컨벤션 홀로 경연장을 옮겨 진행합니다. 경연장을 옮긴 이유는, 참가자, 심사위원, 대회 진행요원들의 접촉을 최대한 줄이고, 방역당국이 권장하고 있는 사회적 거리두기보다 훨씬 더 넓게 개인 간의 공간을 분할하기 위함입니다. 그리하여 컨벤션 홀에서 경연하게 되는 모든 참가자들은 뮤지컬 공연과 같이 무선 마이크를 착용하게 되고 뮤지컬학과의 조명을 지원받게 됩니다. 아울러 방역을 위해 본선 경연 관람 및 참관의 형태를 기존 경연장 내 참관에서 온라인 생중계로 전환한 점이 크게 달라진 점입니다. 참가자뿐만 아니라 심사위원, 그리고 대회 진행요원 모두의 안전과 건강을 동시에 지켜야 하기 때문에 열화상 카메라, 마스크, 손 소독제 등의 기본 방역 용품을 준비했고 매 본선 경연 50분마다 10분의 환기와 소독제 살포 등 철저한 방역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번 2020 서경대학교 전국 뮤지컬 경연대회를 진행하면서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부분은 무엇인가요?“참가하는 모든 학생이 마음껏 자신의 기량을 펼칠 수 있도록, 방역과 안전에 역점을 두고 있습니다.”- 코로나 19로 인해 언택트 문화라는 뉴노멀 시대를 맞으면서 뮤지컬 경연대회도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방식으로 변화해 나가는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시대의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고 인재들을 발굴, 육성해 나가야 하는지 견해를 말씀해 주십시오.“뉴노멀을 피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미래의 꿈을 위축시키거나 매몰시켜서는 안 됩니다. 자신의 기량을 갈고 닦아야 함을 물론이고, 그 기량의 발전을 확인하고 더욱 진흥시켜 나가기 위해 같은 꿈을 꾸는 동시대 친구들과의 경연을 통해 자신의 현재를 파악하고 정립해야 합니다. 길이 없으면 새 길을 뚫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 학교 역시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위기를 기회로 만들고자 새롭게 진화한 뮤지컬 경연대회를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포스트 코로나, 뉴노멀 시대를 함께할 미래의 뮤지컬학과 인재들을 위해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꿈은, 지금 우리가 나아가는 만큼, 저 멀리 미래에서 현재의 우리에게 다가옵니다. 무엇도, 어떤 이유로도 스스로의 꿈을 멈춰 세우지 말고, 옳은 방향과 방법을 찾아 지속적으로 그 걸음을 걸어가야 합니다. 코로나 19는, 자연이 우리에게 주는 일종의 메시지와 같습니다. 나의 편의를 위해 나 아닌 다른 것을 해롭게 할 것인가, 아니면 나와 모두가 함께 살아가는 세상을 만들 것인가. 우리의 꿈이, 우리 스스로의 삶과 미래만 이롭게 하는 것이 아닌, 우리 모두의 삶과 미래를 이롭게 하는 새로운 방향으로 넓혀가길 소망합니다.” 이종석 서경대학교 뮤지컬학과 교수는 포스트 코로나, 뉴노멀 시대의 변화에 대응하여 새롭게 진화한 뮤지컬 경연대회를 준비하였다고 밝혔다. 이종석 교수는 또 미래의 뮤지컬학과 인재들을 향해 현재와 같은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꿈을 멈춰 세우지 말고, 보다 더 나은 삶과 미래를 위해 새로운 방향으로 넓혀 나아가길 소망한다고 전했다. 이종석 교수의 말대로 뉴노멀의 바람은 더 이상 피할 수 없다. 그러나 변화하는 세상에 위축되거나 멈추지 말고 지혜롭게 대응하며 나아간다면 긍정적이고 희망찬 미래를 맞이할 수 있을 것이다. <홍보실=최영원 학생기자>

    썸네일

    [2021 수시 입학정보] 서경대학교, 실용을 이끌고 혁신으로 앞서다

    전략적 특성화로 ‘CREOS형’ 실용 인재 양성서울 4년제 종합대학 중 신입생 경쟁률 1위 · 졸업생 취업률 5위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는 1947년 최초의 야간 대학인 한국대학으로 출발, 현 대학의 전신인 국제대학을 거쳐 73년의 오랜 역사 가운데 주경야독, 교육보국의 건학정신으로 홍익인간, 인류공영의 교시 아래 진리 탐구와 인재 양성의 소임을 다하며 사회 각계각층에 인재를 배출해 왔다.   서경대는 전문성을 바탕으로 도전해 나가는 ‘창의적인 사람’, 실용적 사고, 실용적 가치를 중시하는 ‘실용 중심의 사람’, 그리고 공동체와 소통하며 세계로 나가는 ‘함께하는 사람’을 키워내고 있다.   서경대는 실용을 이끌고 혁신으로 앞서가는 대학이다. ‘실용이 최고의 가치’라는 슬로건 아래 ‘학생들의 성공이 교육의 완성’이라는 교육철학을 가지고 학생들의 취업, 입직, 꿈의 성취에 초점을 맞추고 모든 커리큘럼을 실용 위주, 전문성 향상, 취·창업과 연계되도록 구성하고 운영 중이다.   ‘SKU-DNA’ 전략 수립…역량 강화 · 교육 인프라 구축 노력   서경대는 최근 대학교육을 혁신하고 혁신성장의 토대가 되는 미래형 창의인재 양성 체제를 구축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대학 중장기 발전 계획을 새롭게 수립했다.   이와 함께 교육혁신 및 전략적 특성화를 위한 대학혁신지원사업을 추진, 대대적인 교육혁신에 나섰다. 서경대는 대학혁신지원사업의 목표를 ‘SKU-DNA 혁신을 통한 CREOS형 실용 인재 양성’으로 설정하고 이를 위해 ‘SKU-DNA’ 전략을 수립했다.   ‘SKU-DNA’ 전략이란 대학 중장기 발전전략에서 제시한 창의, 문제해결 대인관계, 글로벌, 자기계발, 실무 등 6대 핵심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전략을 역량강화 프로그램(Development) 개발, 교육 인프라(Network) 구축, 실행 및 환류(Action) 등 3단계로 구체화한 것이다. 실현을 위한 3대 혁신전략(▲창의적인 실용교육 ▲공동체 역량 강화 ▲교육 인프라 확산)도 마련했다.   구체적인 혁신 방안은 ▲혁신 전공역량 강화 ▲혁신 교양역량 강화 ▲융복합 역량 강화 ▲SKU-DNA 인프라 조성 ▲산학협력 및 지역사회 친화적 취창업 역량 강화 ▲혁신발전연구 강화 및 통합 성과관리체제 구축 등이다. 인성 · 도덕 · 창의 갖춘 인재 양성아울러 학생들의 인성, 도덕적 소양, 창의적·통합적 사고능력을 총체적으로 키워주기 위한 기초교양교육을 위해 인성교양대학과 CREOS 인증센터를 신설, 운영하고 있다. 특히 인성교양대학은 교육의 목적을 ‘보편적 교양’을 보다 ‘특화된 방식’으로 실시함으로써 무한경쟁체제에 놓인 학생들의 학문 경쟁력을 키우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인문학과 이공 및 자연과학을 함께 공부하는 통섭형 교과교정 구성 ▲6대 핵심역량(창의, 문제해결, 대인관계, 글로벌, 자기계발, 실무) 개발 및 증진 ▲370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영어교육의 획기적 개선 및 원어민 외국인교원 확충 ▲강의품질관리제 시행 등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10월에는 혜화동 대학로에 대지 400평, 건물 연면적 1,900평 규모(지하 5층, 지상 5층)의 서경대 공연예술센터를 설립했다. 서경대 공연예술센터는 연극, 뮤지컬, 전시, 음악회, 뷰티 등 각종 공연이 가능한 시설을 갖춘 문화예술공연 공간으로서 음악, 뮤지컬, 무용예술, 공연예술, 디자인, 헤어, 메이크업 등 예술분야 10개 학과가 정릉캠퍼스의 교육 프로그램 및 인프라와 연계해 예술분야의 인재 양성과 공급, 산학협력, 취·창업 등에서 위상과 역할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4차 산업혁명 대비 융합대학 신설   또한 서경대는 대학혁신지원사업 1차년도 사업비로 약 33억 원을 지원받았다. 4차 산업혁명 등 미래 변화에 대응 가능한 대학 교육과 운영 시스템을 체질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혁신사업 목표 달성에 필요한 네 가지(교육, 연구, 산학, 기타) 혁신 전략, 5개 사업, 16개 세부 프로그램을 수립하고 추진했다.   그 결과 대학의 중장기 발전계획과 혁신 전략과의 연계성, 적절한 재정투자계획 및 집행, 다양한 구성원 의견수렴 방안 마련, 차세대 신산업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진행 등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아 기존 사업비에 추가 인센티브를 부여받는 성과를 거뒀다.   이와 함께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춘 융·복합 교육으로 미래를 준비 중이다. 지난 3월 융합대학을 개설하고, 서경대의 강점이자 특화 분야인 뷰티, 패션 및 문화예술 분야와 4IR 기술을 융합한 Style Tech 분야의 콘텐츠커머스융합, 화장품브랜드 매니지먼트, 사이버 드론학, 빅데이터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공연예술창작경영, 패션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핀테크 등 7개 융합전공을 운영하고 있다.   서경대는 탄탄한 기초교육과 융복합 실용교육으로 시대와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인 인재를 키워내고 있다. 직무현장에 꼭 맞도록 맞춤형 진로 취업 서비스를 진행한다. 1~2학년에게는 진로 교과목과 미래설계 캠프 등을 통해 자기 이해 및 진로 탐색의 기회를 제공한다. 3~4학년에게는 취업교과목, 취업특강, 취업캠프, 모의직무적성검사, 모의면접 프로그램 등을 지원해 학생들의 취업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이 같은 노력에 힘입어 최근 수년간 국가 공무원 시험과 교사 임용고시, 공인회계사·관세사 등 전문가 자격 고시에서 대거 합격자를 배출했다. 이공대학과 미용예술대학에서의 관련 학과 자격증 취득시험 100% 합격률을 달성한 성과도 단과대학별, 학과별 ‘맞춤형 진로교육’ 덕분이다.17개국 42개 해외대학과 교환학생 제도 운영   서경대는 전 세계 17개국 42개 해외대학과 교환학생 제도를 운영하며 활발한 교류를 진행하고 있다. 교환학생으로 선발되는 학생은 해외 교류 대학에서 취득한 학점을 본교의 학점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외국 대학에서 본인의 전공 또는 복수·부전공 분야의 교과목을 학기당 최대 18학점까지 인정받을 수 있으며 본교에 등록금을 납부하는 것으로 상대 학교의 등록금 면제도 가능하다. 서경 CREOS 장학금 지급 등의 혜택도 주어진다.   또한 서경대는 매우 높은 수준의 장학, 복지를 자랑한다. 성적 장학금 외에도 도전 장학금, 생활지원형 장학금 등 다양한 장학금이 많이 개설돼 있다. 국가와 공공기관, 독지가들의 기부 덕분에 장학 혜택은 갈수록 늘고 있다.   서경대는 올해 초 2020학년도 정시모집 경쟁률에서 평균 10.53대 1을 기록, 서울지역 4년제 종합대학 중 1위를 차지했다. 또한 2019년 졸업생 취업률이 70.2%로 성균관대(77%), 한양대(73.4%), 서강대(70.4%), 고려대 (70.3%)에 이어 서울지역 4년제 종합대학 중 5위를 기록했다.   학령인구 감소와 계속되는 취업난에도 불구하고 입학 경쟁률과 졸업생 취업률에서 우수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강소 대학으로서 계속해서 실용학풍에 기반한 구조개혁과 학과개편을 추진해 교육 수요자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특색 있고 다양한 학과와 전공을 개설, 운영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 우리 대학 이렇게 뽑는다 - 정한경 서경대학교 교무처장   정한경 교무처장“일부 학과 및 전공 명칭·정원 변경…모집단위별 요강 꼼꼼히 살펴야”   1,269명 중 829명 수시 모집   서경대학교는 2021학년도 수시모집에서 정원 내 모집인원 1,269명 중 829명을 선발한다. 2021학년도 서경대 수시모집에서 달라진 점은 적성고사 선발인원을 입학정원의 24%인 306명으로 확대한 것이다.   또한 사회과학대학 공공인적자원학과를 공공인재학부로 명칭을 변경하고 학부 내에 정원 40명의 공공인재와 20명의 경찰행정 전공을 신설했다. 그리고 미용예술대학 소속으로 정원 25명의 메이크업디자인학과를 신설했다.   이와 함께 정원 50명의 헤어·메이크업디자인학과를 정원 40명의 헤어디자인학과로, 정원 40명의 화학생명공학과와 정원 40명의 나노융합공학과를 정원 40명의 나노화학생명공학과로 변경했다. 국제비즈니스어학부를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로, 문화콘텐츠학과를 광고홍보콘텐츠학과로, 실용음악학과 연주작곡전공을 작곡전공으로 각각 명칭과 정원을 변경했다.   선발인원 역시 아동학과는 60명에서 50명으로, 시각정보디자인전공은 30명에서 35명으로, 뷰티테라피&메이크업학과는 30명에서 25명으로, 생활문화디자인전공은 30명에서 35명으로, 무대패션전공은 20명에서 25명으로, 실용무용전공은 15명에서 20명으로 각각 조정했다. 어학특기자 특별전형…특기 언어 축소   아울러 모집단위 중 어학특기자 특별전형은 특기분야를 영어, 일어, 중어, 불어, 노어 등 5개 분야에서 영어, 일어, 중어 등 3개 분야로 축소시켰다. 군사학과는 전형 반영비율을 학생부 80%, 면접 10%, 체력 10%에서 학생부 60%, 면접 20%, 체력 20%로 변경해 선발키로 했다.   수능 성적은 백분위 점수를 적용한다. 탐구영역은 두 과목 평균을 반영하며 한국사영역은 등급에 따라 가산점을 부여한다. 이공대학의 경우 수능 수학 가형에 응시하거나 과학탐구 응시자에게 가산점을 부여한다.   총점이 동일할 때는 수능을 100% 반영하는 모집단위의 경우 영어영역 성적 우수자를 1순위로 선정한다. 군사학과는 수능과 면접, 체력고사 이외에도 신체검사, 인성검사, 신원조회를 실시해 기준에 미달할 경우 불합격 처리된다.   모집단위별로 가군, 나군, 다군에서 선발하므로 지원하고자 하는 학과(부)나 전공이 어느 군에서 선발하는지 확인하고, 모집단위별 수능 반영 영역 및 반영 비율을 꼼꼼히 살펴보고 지원해야 한다.2020학년도 서경대 수시 모집 안내 <원문 기사>대학저널 http://www.dh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6077

    썸네일

    언택트(Untact) 시대, 대학교육의 변화

    지난 1월 말, 중국에서 시작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 19) 감염이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사회는 비대면, 비접촉의 언택트(Untact) 시대라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관중이 없는 스포츠 경기가 치러지고 락 페스티벌 등은 전면 취소되거나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해 모니터로 중계되었다. 계획 중이던 여행은 물거품이 되었고 가볍게 편의점에 갈 때에도 마스크를 쓰는 등 모든 것이 변화된 2020년, 대학들 또한 코로나 19를 피해갈 수는 없었다.코로나의 여파로 야구장이 비어있다.(사진 출처 = 세계일보)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에 따라 기존에 시행해 왔던 대면 방식의 수업이 어려워지자 각 대학들은 구글 플랫폼과 학교 포털 사이트 등에 녹화된 강의 영상을 올리거나 ZOOM과 같은 라이브 방송 플랫폼을 통해 수업을 실시했다. 대면 강의의 경우 수업 시간이 약 3시간 정도이지만 비대면 강의를 시행하면서 강의는 약 1시간 30분 정도로 분량이 축소되었다. 이처럼 상황이 변화되면서 학생들은 대면 방식의 수업에서 충족하지 못한 학습 내용에 대한 보완을 학교 측에 요구했고 학생들의 요구를 어떻게든 수용해야만 했던 대학들은 온라인으로 비교과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등 저마다의 해결책을 고안해 냈다.언택트 시대의 취업 프로그램 코로나 19의 확산으로 인해 대면 강의를 시행할 수 없었던 올 1학기, 많은 대학들은 기존에 실시했던 취업 프로그램이나 학생역량개발 사업 등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들을 온라인으로 새롭게 대체해 실시하였다.   명지대 대학일자리센터는 지난 4월 16일 비대면 방식으로 진로·취업 프로그램을 운영해 왔다고 밝혔다. 취업을 준비하는 학생들을 위해 1:1 자기소개서 컨설팅과 면접 클리닉을 실시했다. 약 한 달 전인 6월에는 ‘찾아가는 1:1 진로 및 취업 컨설팅’ 행사를 열었다.   인하대의 경우 2019년 이후 졸업생들의 취업을 위해 ‘미취업자 커리어 매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지난 5월에 시작되어 올해 9월까지 총 4개월에 걸쳐 진행되고 있다. 온라인 플랫폼 ‘코치잡’과 전화를 활용하여 온라인 상담 5회, 입사 지원 1회 등 모두 6차례에 걸쳐 취업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각 대학들, ‘코로나 블루’ 방역 실시   올 3, 4월 경에는 각 대학들이 ‘코로나 블루’ 방역에 나서기도 했다. ‘코로나 블루’란 ‘코로나19’와 ‘blue(우울감)’이 합쳐진 신조어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일상이 급격히 변화함에 따라 우울감이나 심리적 무력감을 겪게 되면서 생겨난 신조어다. 심리 상담의 주요 대상은 들뜬 마음으로 입학을 앞두고 있던 신입생들이었다.   서경대학교 진로·심리상담센터는 대면으로 이루어지던 진로, 심리 및 취업 상담 프로그램을 코로나 19 여파로 중단하였다. 이후, 안전한 상담을 제공하기 위해 전화로 상담을 신청한 후 최초 1회의 상담은 대면으로 진행하되 그 이후의 상담은 전화 통화로 진행되었다. 또 대면상담의 경우 철저한 방역 절차를 통해 감염 위험을 최소화시켰다.서경대학교 상담 운영 변경 안내삼육보건대는 코로나 블루를 예방하기 위해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리 상담을 지원했다. 교내 학생상담센터에서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ZOOM과 자체 SNS 채널을 이용해 학생들의 불안감을 덜어주었다. 삼육보건대는 성격유형 탐색, 자기이해 증진, 마음건강 검진으로 구성된 총 3가지 단계로 구성된 무료 심리검사를 제공하였다.   호서대는 심리상담 프로그램 ‘어깨동무’를 운영하며 학생들이 서로의 문제를 들어주며 우울감과 불안감을 해소하는 기회를 만들었다. 상담프로그램은 전문 상담가가 배치되어 또래 상담자를 훈련시키고 관리하였으며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비대면으로 진행되어 학생들의 감염에 대한 걱정을 덜었다.심리상담센터에서 보낸 간식꾸러미를 받은 학생들(사진 출처 = 호서대)달라진 전공 실습비대면 강의가 진행되면서 많은 학생들이 우려했던 것들 중 하나가 실습 위주의 전공 강의였다. 실험이나 실습의 경우 현장에서 교수에게 직접 지도를 받아야 하는데 온라인으로는 이와 관련한 피드백이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각 대학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분 대면 강의를 실시하는 등의 대안을 모색했다.   서경대학교의 경우 1학기 중간고사까지는 모든 수업을 비대면으로 진행하였다. 교수들은 강의 영상을 녹화해 구글 드라이브에 게시하였으며 학생들의 질문은 메일을 통해 답변이 이루어졌다. 중간고사 이후에는 실습이 필요한 강의에 한하여 부분적으로 대면 강의를 실시하였다. 문화콘텐츠학과 박세리(17학번) 학생은 “비대면 강의의 경우 즉각적인 피드백이 어려운데 대면 강의로 전환된 후부터 교수님께서 지도해 주시는 점이 좋았다.”며 이전까지 실시되었던 비대면 강의에 대한 아쉬움을 전했다. 또 연기 전공 이정주 학생(15학번)은 “중간고사 이후에라도 연기와 관련된 지도를 받을 수 있어 다행이었다.”고 말했다.   졸업 작품전 또한 코로나 19로 인해 이색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화여대의 건축학 전공과 조형예술대학 디자인학부는 각각 지난 7월 10일(건축)과 7월 15일(디자인)부터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한 전시회를 진행하였다. 이화여대 디자인학부 졸업작품전(http://2020ewhadesign-mayday.com/)2학기, 대학들의 결정은?우여곡절 끝에 맞이한 1학기 종강과 여름방학, 상당수의 대학들은 이미 대면·비대면 강의를 병행하는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형태의 수업 방식을 취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코로나 19의 확산 속도를 예상할 수 없는 미래에 대비한 것이다.   중앙대학교는 지난 7월 9일 공식 홈페이지에 2학기 학사운영과 관련된 안내문을 게시했다. 2학기에는 일일 확진자 수에 따라 대면·비대면 방식의 수업 운영이 달라진다. 성적의 경우 1학기와 동일하게 절대평가 원칙을 적용한다. 중앙대학교 2학기 학사운영 방향(출처 = 중앙대학교)서울대는 교과목 특성에 따라 실험 및 실습 강의(A·B군)와 이론 강의(B·C군)로 전체 과목을 분류하고 있다. 또 각 강의 군에 따라 A군은 대면 강의를 15주, D군은 비대면 강의 15주를 실시하는 등 각기 다른 형태의 수업을 실시한다.서울대학교 2학기 수업운영방식 방안(출처 = 대학저널)연세대는 대면·비대면·혼합 수업 등 세 가지 방식으로 강의를 운영하기로 했다. 수강생이 50명을 초과하는 강의는 전체 비대면 수업으로 한다. 한양대와 경희대는 수강생 20명을 기준으로 두고 20명 이하는 대면 수업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나머지는 온라인 수업으로 한다는 방침을 발표했다.   삼육대도 수업 인원 규모에 따라 △25~50명 △51명 이상 등으로 구분해 20명 내외는 대면 수업을 원칙으로 하고, 25~50명 수업은 주마다 대면·온라인 수업을 혼합해 최소 6주 이상 대면 수업이 가능하도록 방침을 정했다. 51명 이상 강의는 모두 비대면 방식이다.   2학기 평가방식은 대부분 학교가 대면 평가를 권장하겠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지난 1학기 온라인 시험을 통한 각종 부정행위 등의 논란이 일어난 데 따른 것이다. 경희대와 삼육대 등은 중간·기말 시험은 대면 평가를 원칙으로 한다고 밝혔다. 서울대와 이화여대도 대면 시험을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대학들의 움직임 속에서 서경대학교는 어떠한 결정을 내릴지에 대해 학생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홍보실=민경범 학생기자>   <관련 기사>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0072698361

    썸네일

    ‘임수정’ 제1회 KMA키즈스타모델선발대회 대상…여의도를 달궜다

     영예의 대상을 차지한 임수정 어린이. 임수정 어린이는 “노력하는 모델이 되고 싶다”는 소감을 피력했다.“참가번호 41번 임수정!” 제1회 KMA키즈스타모델선발대회의 수상자 이름이 서울 여의도의 밤을 뜨겁게 달궜다.   25일 오후 5시 서울 여의도 더파티움에서 개최된 이번 키즈스타모델선발대회는 국적에 제한 없이 끼와 재능을 갖춘 영ㆍ유아, 어린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행사이다.   미래 한류(韓流) K스타 발굴 프로젝트, KMA키즈스타모델선발대회는 잠재력을 가진 꿈나무를 발굴해 모델로서 마음껏 재능을 펼치고 건강하게 자랄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모델협회(회장 임주완)가 주최하고, KMA키즈스타모델선발대회조직위원회(집행위원장 주정은)가 주관, 아시아모델페스티벌조직위원회(회장 양의식)과 한국모델콘덴츠학회(회장 김동수)가 후원했다.샤이니스타 최우수상을 수상한 강서연 어린이행사의 총괄 디렉터는 톱모델이자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학부장인 강신 교수가 맡았다.   슈퍼모델 김태연과 개그맨 이상호ㆍ상민 형제의 공동MC로 진행된 이날 대회는 RENOMA KIDS, PERIMITZ, MODA CARINA의 오프닝 패션쇼로 포문을 열었다.   오프닝 패션쇼에 이어 본대회 시작을 알리는 임주완 회장의 개회사. 임 회장은 “세계적인 우환에도 불구하고 제1회 키즈스타모델선발대회를 문제없이 개최하게 돼 기쁩니다”며 “참가한 모든 어린이와 가족에게 꿈과 희망 그리고 행복한 미래를 선사하는 대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고 전했다.■ 주정은 “키즈스타모델대회, 모델산업의 발전 위한 초석”트윙클스타 최우수상을 수상한 하주아 어린이주정은 집행위원장은 환영사를 통해 “한국모델협회는 다양한 분야와의 콜라보를 통해 모델산업의 육성을 위한 노력을 경주해왔습니다. 어린이들의 미래를 위한 행복한 도전, 키즈스타모델대회가 더 나은 모델 산업의 발전을 위한 초석이 될 것입니다. 참가자 어린이들의 열정과 끼 그리고 노력을 응원해주시길 바랍니다”고 말했다.   유명 인플루언서 이자 한국모델협회 홍보대사인 양쥐언니도 심사위원을 대표해 “참가자 어린이 한명 한명이 너무 이쁘고 어찌나 재능이 많은지, 같은 엄마로서 참가자 어머님들께 존경을 드리고 싶습니다. 이 아이들이 성장해가면서 세계적인 모델이 되도록 힘찬 응원을 드립니다”고 했다. 큐티스타 최우수상을 수상한 박주언 어린이이어진 이날의 하이라이트는 패션쇼ㆍ드레스 심사. 경쾌하면서 감성적인 음악을 배경 삼아 시작된 예비키즈스타 모델 44명의 런웨이, ‘행복한 도전’이라는 이 대회의 슬로건 답게 마치 아장아장 총총 걷는 아기 고양이들의 행진과도 같았다. 질서정연한 동선 속에 감춰진 44개 끼와 재능이 폭발하는 무대였다.   영화배우 한지일(심사위원장), 미소미 대표 이노도, 동안미소한의원 본부장 신찬수, 대게나라 대표 최양희, 서울시 숲유치원협회 부회장 한정이, 우루루 대표 박태웅, 인풀루언서 경맑음, 크리스탈드레스 대표 강현주, 시니어모델 이운우, 인플루언서 양쥐언니, 아이디워 대표 하재호, 더파티움 대표 박재홍, 한국프로듀서연합 사무총장 박상주, 도전 슈퍼모델 코리아 정하은, 지져스모델아카데미 대표 황지연, 슈퍼모델 권은진, 슈퍼모델이자 모델계 대표 자선봉사단체인 아름회 회장 송은지, 한국모델협회 이사이자 모델 박재훈이 심사를 맡아 큐티스타 15명, 트윙클스타 15명, 샤이니스타 14명 등 부문 별로 채점했다.■ 임수정 “노력하는 모델이 되고 싶어요”   그 결과 수상자는 다음과 같이 결정됐다.   케이팝댄스마스터 상은 참가번호 43번 큐티스타 주하연 어린이, 오픈오디션네티즌 상은 참가번호 33번 큐티스타 박라엘 어린이, 더파티움 상은 참가번호 38번 큐티스타 이연수 어린이, 포토제닉 상은 참가번호 37번 큐티스타 오은솔 어린이가 차지했다.   지져스 베이비스타 최우수상은 우하율 어린이, FMS 큐티스타 최우수상은 참가번호 34번 박주언 어린이, 미소미 트윙클스타 최우수상은 27번 하주아 어린이, 동안미소 샤이니스타 최우수상은 참가번호 1번 강서연 어린이 그리고 참가번호 41번 큐티스타의 임수정 어린이가 대게나라 대상을 수상하며, 영광의 주인공이 됐다.베이비스타 최우수상을 받은 우하율 어린이임수정 어린이는 “너무너무 좋고 행복해요. 앞으로 노력하는 모델이 되고 싶어요”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한편 코로나19 생활방역 준수에 따라 진행된 이날 대회의 축하공연자로 불후의 명곡ㆍ보이스트롯으로 대한민국 최고의 키즈스타로 도약한 국악신동 김태연, 개그맨 이상호ㆍ상민 형제가 나서 눈길을 끌었다.이렇게 길고 긴 3개월의 대장정이 갈채 그리고 아쉬운 여운 속에 끝을 맺었다.바쁜 일정에도 불구 대회를 성공적으로 이끈 조직위원회의 모델들, 수장인 슈퍼모델 주정은 집행위원장를 비롯해 임주완 한국모델협회장, 서경대학교 공연예술학부 강신 학부장, 서울예술실용전문학교 박재훈 교수, 아름회 송은지 회장, 아시아 27개국 엘리트패션모델 경연장인 페이스 오브 아시아의 2017 페이스 오브 코리아 우승자 안샘, 서울디지털문화예술대 안시현 교수 그리고 참가자 전원에게 박수를 보낸다.<원문 출처>무비스트 http://www.movist.com/movist3d/view.asp?type=76&id=atc000000003969

    썸네일
    1 226 227 228 229 230 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