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경대학교

서브페이지 백그라운드 이미지

서경 TODAY

SKU Today

서경대학교의 새로운 소식과 이벤트를 매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메뉴 | 검색 | 퀵메뉴

    서경대학교의 모든 것, 여기서 검색하세요!

    • 작게
    • 보통
    • 조금 크게
    • 크게
    • 가장 크게

    서경 TODAY

    3978

    진세근 서경대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칼럼:[아침광장] 욕망의 행진을 멈추라

    진세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사무총장·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미국 가수 사이먼과 가펑클이 1970년 발표한 ‘엘 콘도르 파사’(EL Condor Pasa·콘도르는 날아가고)를 기억하는 독자가 적지 않을 것이다. 플루트 소리를 내는 잉카의 피리 연주에 두 가수의 아름다운 보컬이 얹어진 곡이다. 원래는 페루 원주민 민요다. 콘도르는 매과에 속하는 맹금류다. 맹금류 가운데 가장 크다. 날개를 활짝 펴면 2미터를 훌쩍 넘긴다. 안데스 고산지대에 마추픽추라는 고대 도시를 건설했던 잉카인들은 콘도르를 신처럼 숭배했다. 잔인한 스페인 정복자 코르테스의 가혹한 탄압에 저항하면서 그들은 콘도르에서 자유와 승리를 보았을 것이다. 잉카인들이 축제 때 콘도르를 ‘귀빈’으로 모신 후에 다시 날려 보낸 이유다. 문제는 이 귀빈을 모시는 게 여간 어렵지 않다는 점이다. 콘도르는 큰 몸집 탓에 쉽게 날아오를 수 없다. 자연 경계심이 강하다. 웬만해서는 땅 가까이에 잘 오지도 않는다. 방법은 있다. 사실 매우 간단하다. 콘도르의 욕망을 이용하는 것이다.   먼저 한적한 고지대를 선택한다. 풍족한 먹이를 이곳저곳에 배치한다. 그리고 숨어서 끈기 있게 기다린다. 시력이 5.0이나 되는 눈 밝은 콘도르는 풍성한 먹이를 한눈에 알아본다. 다소 미심쩍어도 그는 결국 착륙한다. 먹이의 유혹을 이길 수 있는가.   안전을 확인한 콘도르는 허리띠를 풀고 포식한다. 위험 발생 시 즉각 날아오르려면 적당히 먹어야 한다는 것을 알지만 한 입만, 두 입만 하다가 결국 과식한다.  욕망의 ‘절친’은 재앙이다. 배가 산처럼 부푼 콘도르는 사냥꾼들이 다가오는 것을 뻔히 보면서도 날아오르지 못하고 허무하게 생포된다.   중국 남부 지방의 원숭이 생포 요령도 콘도르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다. 목이 잘록한 유리병 속에 사탕 몇 개를 넣어두기만 하면 된다. 원숭이는 병 속에 손을 넣어 사탕을 한 움큼 집는다. 주먹 쥔 손을 빼낼 수는 없는 법. 사냥꾼이 다가온다. 이때라도 사탕을 놓으면 손을 빼내 도망칠 수 있으련만 절체절명의 순간에도 상당수의 원숭이는 주먹을 펴지 못한다. 사탕의 유혹을 어찌 이기겠는가. 콘도르는 생고생하는 정도로 끝나지만 잡힌 원숭이들은 죽음으로 욕망의 대가를 치러야 한다. 과욕은 공자도 싫어했다. 제자 자장(子張)과 자하(子夏)를 평가하면서 지나친 자장보다는 못 미치는 자하가 낫다고 말한다. 과유불급(過猶不及)이란 말이 여기서 나왔다. 과욕은 대개 재물이 대상이다. 성경도 “돈을 사랑함이 일만 악의 뿌리가 되나니”라고 가르친다. “재물은 스스로 날개를 내어 하늘을 나는 독수리처럼 날아간다”고도 경고한다. 중국 현자(賢者)들은 욕속(欲速)이란 표현을 썼다. 욕심의 많고 적음이 아니라, 욕심을 이루는 속도에 주목한 것이다. “욕심이 급하면 이르지 못한다(欲速而不達)”고 경계한다.   LH사태로 온 나라가 소란하다. 이들의 욕망은 실로 끝이 없다. 내부정보를 악용한 투기도 모자라 묘목 심기, 필지 쪼개기 등의 ‘고난도 기술’을 동원해 부수입까지 챙기는 성실함(?)을 보였다. LH 직원들뿐이겠는가. 단체장, 국회의원 등 상당수의 정치인도 연루됐다. ‘염일방일(拈一放一)’이란 말이 있다. 하나를 얻으려면 하나를 놔야 한다는 얘기다. 보리 한 줌을 움켜쥔 사람은 쌀가마를 들 수 없다. 욕망 한 줌을 움켜쥐면 인생이란 쌀가마는 놓치고 만다. 인생을 날린 사람들의 뒤늦은 탄식 소리가 들린다. 우리 모두의 반면교사들이다. 욕망의 행진을 멈추자. <원문출처> 경북일보 https://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1677

    썸네일

    서경대 '교육국제화 인증대학' 선정

    서경대(총장 최영철)는 교육부가 주관한 '2020년도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IEQAS)' 평가에서 인증대학으로 선정됐다고 17일 밝혔다. 인증기간은 2022년 2월까지다.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IEQAS)는 대학의 국제학생 유치와 관리 역량을 평가해 우수 대학에 인증을 부여함으로써 외국인 유학생 유치 확대 및 대학의 국제화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제도다. 평가지표로는 불법체류율, 중도탈락률 등의 기본지표와 외국인 유학생 등록금 부담률, 의료보험 가입률, 공인 언어능력, 유학생 만족도 등의 각종 세부지표 등이 있으며 교육부에서 매년 모니터링해 평가한다.   인증대학은 인증기간 동안 '비자발급 절차 간소화' '대학원 외국인 유학생 선발 자율화' '정부초청장학생(GKS) 수학대학 선정 가산점 부여' '해외 한국유학박람회 참여 우대' 등의 혜택을 받는다. 또 교육부 공식 사이트 및 언론, 법무부, 외국정부에 공개돼 유학생들이 대학 선택 시 공신력 있는 정보로도 활용된다.   또한 서경대는 이번 평가에서 학위과정 인증과 함께 어학연수과정 인증 대학으로도 선정됐다. 어학연수과정의 경우 학위과정 인증대학이거나 학위과정 인증대학에 신청한 대학에 한해 신청이 가능하다. 과정별로 인증을 받기 위해 불법체류율을 비롯한 학위·어학연수과정 사업계획 및 인프라, 학생 선발·입학 적절성, 등록금 부담률 등을 평가한다.   서경대 관계자는 "앞으로 외국인 유학생 유치 확대와 국제화지표, 재정 건전성 향상 등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서경대는 현재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어 과정, 교환학생 프로그램, 복수학위과정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교육국제화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국제협력 프로그램 개발 및 외국대학과의 교류확대에 노력하고 있다.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4013949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pan/site/data/html_dir/2021/03/17/2021031701067.html 한국대학신문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506080 베리타스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360598 한경잡앤조이 https://magazine.hankyung.com/job-joy/article/202103173093d 내일신문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380087 스마트경제 http://www.dailysmart.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613 뉴스웍스 http://www.newswork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4982 세이프 타임즈 http://www.safe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3160

    썸네일

    전규열 서경대 경영학부 겸임교수 칼럼:[세계는 창업 중 (1)] 시계 강국에서 스타트업 천국이 된 스위스

    글로벌 혁신지수 8년 연속 세계 1위, 글로벌 기업가정신 지수 세계 2위, 매출액 또는 종업원 수 3년 연속 평균 20% 이상 고성장하는 ‘가젤형 기업’이 많고, 창업 기업의 82%가 1인 기업인 나라. 진출기업에 대한 차별이 없고, 낮은 법인세(14%) 정책지원으로 친기업적인 환경을 조성한 유럽의 기술 강국. 4차 산업혁명의 선두주자로 떠오른 알프스의 나라 스위스 이야기다. 스위스 추크시 블록체인의 메카 크립토밸리스위스 스타트업은 지난 2015년 유로화 대비 환율 하한제를 폐지하면서 스위스프랑화 가치가 30% 이상 급등하는 등 급격한 경제 침체를 겪으면서 시작됐다. 스타트업 활성화는 디지털 허브화를 위해 기업 및 대학과 비정부기구(NGO), 지방정부 등 150여 회원사가 모여 만든 ‘디지털스위스’의 영향이 컸다.정부 주도가 아닌 지형적 특성을 활용해 자연스럽게 성장한 22개의 클러스터도 도움이 됐다. 대표적인 것이 가상화폐인 블록체인 성지로 떠오른 ‘크립토밸리(Crypto Valley·암호화폐 도시)’다. 암호화폐를 뜻하는 ‘cryptocurrency’와 마을을 의미하는 ‘valley’의 합성어다. 미국의 실리콘밸리가 스타트업 성지라면 스위스 크립토밸리는 블록체인 메카다. 스위스가 처음부터 블록체인 클러스터를 표방한 것은 아니었다. 스위스는 가상화폐인 이더리움 등이 추크시에 들어올 때 신속한 행정지원으로 그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암호화폐 장려정책으로 전 세계 개발자들이 모여들면서 그로부터 4년 후 추크시는 세계적인 블록체인 메카로 성장하게 된 것이다. 시골이었던 이곳은 이제 글로벌 블록체인 회사 300여개가 들어서면서 세계적인 블록체인의 중심지로 탈바꿈했다. 기업 친화적인 지방정부가 우수한 산업 여건으로 전 세계의 블록체인 기업들을 이곳으로 끌어들이면서 인구 3만의 작은 도시에 수많은 일자리가 창출되고 있다. 특히 스위스가 금융 분야 감시가 매우 높은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일관된 혁신 및 블록체인 산업 조성을 위한 정책이 많은 블록체인 관련 기업들을 스위스로 몰려들게 했다. 플라이어빌리티가 자사 드론을 소개하는 사진 마인드메이즈의 재활 치료용 AR·VR 솔루션 소개 사진 세계 최고수준의 공과대학 스위스의 대표적 스타트업인 ‘마인드메이즈’ ‘아바’ ‘베스트마일’ ‘가마야’ ‘플라이어빌리티’ ‘비키퍼’ ‘어드배넌’의 로고. 글로벌 투자은행 크레디트 스위스 보고서에 따르면, 연간 약 4만개의 창업 기업 중 82%가 1인 기업이다. 또한 이들 기업 중에 약 400개는 매출액이나 종업원(10명 이상) 수가 3년 연속 평균 20% 이상 고성장하는 ‘가젤형 기업’이다. 스위스의 스타트업 생태계가 그만큼 우수하다는 것을 알려주는 통계다. 이 같은 영향으로 ‘Swiss VC Report 2019’ 자료를 보면 스위스 스타트업 대상 투자는 2018년 기준 대비 31.8% 증가한 약 12억3600만스위스프랑(약 1조4000억원)이 이루어졌다. 그중에서 정보통신기술(ICT) 및 핀테크 분야가 전체 자금 규모의 55%를 차지했다. 특히 2018년 기준 ICT 투자 비중은 2015년 19%, 2016년 30%, 2017년 32%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산업 규모도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4.5%, 종사자도 20만명이 넘는 주요 산업으로 성장했다.취리히공대(9위), 로잔공대(18위) 등 세계 최고수준의 공과대학과 글로벌 ICT 기업이 다양하게 포진하고 있어 인재풀이 풍부한 것도 스위스 스타트업 성장의 기반이 됐다. 스위스의 혁신성·확장성·글로벌화도 창업에 유리했다. 혁신성 덕분에 웨어러블, AR(증강현실)·VR(가상현실), 자율주행 등 최신 및 미래 트렌드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다. 확장성은 고기능성 제품의 제조에 그치지 않고 하나의 서비스 또는 종합 솔루션 제공업체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며 기반을 넓히게 했다. 글로벌화는 사업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해외로 나가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잡게 했다. 스위스 최초의 유니콘 기업 마인드메이즈(Mindmaze)는 글로벌화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다. 중풍 등 뇌질환 환자의 재활치료용 AR·VR 솔루션을 만드는 마인드메이즈는 2011년 스위스에서 창업했다. 2014년 기업의 장기 전략 차원에서 AR·VR 시장이 발달한 미국의 실리콘밸리로 제품 개발 장소를 옮겼다.이 같은 노력 덕분에 스위스는 기업가정신의 질과 그 생태계를 평가하는 글로벌 기업가정신 지수에서 2018년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에 올랐다. 또한 80개의 평가기준을 토대로 국가경제의 창의성 및 혁신성을 측정하는 지표로서, 유엔 산하기구인 세계지식재산권기구에서 매년 발표하는 글로벌 혁신지수(GII)에서 8년 연속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스위스의 대표적인 스타트업으로는 중소기업의 소액파이낸싱을 위한 핀테크 플랫폼 어드배넌(Advanon), 웨어러블을 통해 여성이 임신이 가능한 배란기를 알려주는 AVA, 실내비행이 가능한 산업 및 보안용 드론 플라이어빌리티(Flyability)가 있다. 또 PC 사용이 어려운 현장 근로자용 메신저 앱 비키퍼(Beekeeper), 소규모 사업체를 위한 비즈니스 소프트웨어 벡시오(bexio), 고해상도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으로 농작물을 촬영하고 전용 소프트웨어로 농작물 상태를 분석하는 솔루션 가마야(Gamaya)도 스위스 스타트업이다. 무인 미니버스 운영 시스템인 베스트마일(Bestmile)도 많이 알려진 스타트업이다.전규열 서경대 경영학부 교수, 취·창업센터부센터장 <원문 출처 > 주간경향 신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3/0000042363?sid=104

    썸네일

    여성 정치가·어머니였던 조선의 왕비…명성황후 평전

    명성왕후 평전  조선을 망하게 한 권력의 화신. 시아버지 대원군과 권력투쟁을 한 여성. 일본의 칼에 생을 마감한 비운의 왕비. 몰락해가는 조선을 마지막까지 살려보려 헌신한 애국자. 명성황후(1851~1895)의 삶은 격동의 시대, 위기 속에서 출렁였던 조선왕조의 운명과 궤를 함께했다. 파란만장했던 그의 삶이 그러해서일까. 그를 향한 역사적 평가는 엇갈려 왔다.‘권력에 집착해 휘두르고, 끝내 조선을 망하게 한 여성’이라는 가혹한 이미지는 1990년대를 거쳐 오며 상당 부분 벗겨졌지만 여전히 부정적 편견이 남아 있고 긍정적 이미지조차 표피적이다. 이희주 서경대 교수(문화콘텐츠학부)가 명성황후의 삶을 재조명한 연구서 ‘명성황후 평전’을 내놓은 이유다.저자는 그동안 명성황후에 대한 왜곡된 평가가 객관적 자료가 부족한 가운데 조선 내부 분열을 원했던 일본의 여론 조작에서 기인됐다고 주장한다. 그런 입장에서 기존 자료 비판과 외국인 기록, 황후의 편지글 등 객관적 자료의 방대한 고증을 통해 실체적 접근을 시도했다. 명성황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중심에 있는 ‘대원군과의 갈등 구도’에 대해 당시 두 사람이 주고받은 편지글을 분석한 결과 사실과 다르다고 입증하는 식이다.저자는 무엇보다 명문가 출신의 준비된 왕비로서 명성황후의 행적과 삶을 재조명했다. 여성이었으나 왕조의 중심에 있던 왕비의 삶이 가져야 했던 정치적 역할을 전면에 내보이는가 하면 일본의 칼에 생을 마감한 그의 죽음이 한국 근대사 최초의 ‘죽음의 정치’였다는 측면을 무게감 있게 분석한다. 이와 함께 자식을 지켜내고자 조선의 생존을 위해 치열하게 항거했던 어머니로서의 그의 삶을 자료를 통해 보여준다.이 책을 바탕으로 한 소설 겸 대중 교양서 ‘어머니 명성황후 조선을 품다’(다사리·1만5000원)도 함께 나왔다.유튜브 소개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F8d8_GIpnRE<원문 출처> 국민일보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5591157 <관련 기사>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3996083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0220/105507475/1월간중앙 http://jmagazine.joins.com/monthly/view/333509 국민일보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180990&code=13150000&cp=nv 한국대학신문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505850 내일신문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375339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984582.html

    썸네일

    [김구선의 골프사이언스] 디봇의 방향은 왼쪽인데, 공은 오른쪽으로 날아가네?

    ▲사진은 2019년 PGA 투어 아놀드 파머 인비테이셔널 골프대회 3라운드 3번 홀에서 세컨드 샷을 한 마쓰야마 히데키가 디봇을 살펴보는 모습이다. 스윙디렉션(Swing Direction)은 <그림 1>과 같이 골프 클럽이 임팩트 이전의 무릎 높이와 임팩트 이후의 무릎 높이 사이를 지나간 방향이며, 클럽패스(Club Path)는 전체적인 클럽의 움직임 중 한 지점에서의 움직임을 의미한다. 즉, 스윙디렉션은 클럽헤드가 움직이는 실시간 좌표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좌표 한 개 한 개 의 움직임이 클럽패스인 것이다. 하지만 스윙분석에서 클럽패스라는 용어는 ‘임팩트 좌표를 기준으로 한 클럽헤드의 움직임 즉, 임팩트 시의 클럽헤드의 움직임’이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그림 1> 많은 골퍼들은 타겟라인에서 벗어나는 샷을 하게 되면 뒤로 와서 디봇의 방향을 살펴본다. 하지만 사실 이와 같은 행동은 큰 의미가 없다. 디봇은 스윙아크 하단부의 움직임 즉, 스윙디렉션만을 확인할 수 있을 뿐, 정작 볼의 출발 방향이나 구질에 영향을 미치는 페이스앵글, 클럽패스, 어텍앵글, 라이앵글, 볼의 휘어짐 등은 알려주지 않기 때문이다.스윙디렉션 보다는 클럽패스가 볼의 구질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클럽패스는 어텍앵글의 영향을 받는다. ▲<그림 2> 다운블로우(‘-’어텍앵글) 스윙에서는 <그림 2>와 같이 스윙디렉션이 타겟라인으로 지나가도 클럽패스는 오른쪽으로 시프트 된다. ▲<그림 3>  반대로 <그림 3>과 같이 어퍼블로우(‘+’어텍앵글) 스윙에서는 스윙디렉션이 타겟라인으로 지나가도 클럽패스는 왼쪽으로 시프트 된다. ▲<그림 4> <그림 4>의 트랙맨 데이터를 보면 스윙디렉션은 -2.7도로 아웃사이드-인(Outside-In) 방향으로 지나갔다. 즉, 디봇은 타겟라인에서 왼쪽 방향으로 벗어났을 것이다. 하지만 어텍앵글이 -5.7도(다운블로우) 이다보니 클럽패스는 타겟라인 보다 오히려 오른쪽으로 1.3도 벗어났다. 결국 페이스앵글(Face Angle)이 6.7도, 페이스투패스(Face to Path)가 5.4도가 되어 디봇은 타겟라인 대비 왼쪽으로 만들어졌지만 실제 볼은 오른쪽으로 출발하여 오른쪽으로 휘는 구질이 만들어졌다 (페이스앵글과 페이스투패스는 이후 연재되는 칼럼에서 자세히 설명 예정임).이처럼 스윙디렉션과 클럽패스는 비슷한 개념인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많은 골퍼들이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볼의 구질을 좌우하는 것은 스윙디렉션보다는 클럽패스이기 때문에 좋은 구질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클럽패스에 신경을 써야 한다.→추천 기사: 임성재, 1978년 이후 나오지 않은 '혼다클래식 2연패' 도전→추천 기사: 저스틴 토마스, 스폰서 로고 없이 출전한 이유 [PGA]*칼럼니스트 김구선: 이학박사/MBA. 미국 위스콘신주립대에서 국제경영학을 전공했다. 현재는 서경대학교 경영문화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골프학회 부회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원문 출처> 골프한국  https://golfhankook.hankooki.com/01_news/NewsView.php?category=13&gsno=10244124&s_ref=nv

    썸네일

    [대학, 새로운 시작] 100년을 내다보고 혁신 … ‘미래형 대학’으로 도약

    서경대학교인공지능 기반 학업지원 체제학생의 사회 진출 전폭 지원교양·전공 교육과정 전면 혁신서경 교육플랫폼 ‘SEP’ 구축 서경대는 순환형 학사과정, 미래형 교양 전공교육과정, 통합연계형 비교과 운영, 토털 교육질관리, 교수역량 지원, 스마트 스페이스 등 6가지 분야의 셉(SEP)으로 명명된 교육플랫폼을 운영하며 미래형 대학으로 거듭나고 있다. 서경대학교가 4차 산업혁명과 인구구조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미래형 혁신대학으로 거듭난다. 국내 대학의 위기 상황과 맞물려 이 같은 서경대 혁신사례가 전국적으로 확대될 수 있을지 관심을 받고 있다.서경대 관계자는 “서경대 혁신사례가 눈에 띄는 것은 국내 대학의 위기 상황과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 대학이 ‘벚꽃 피는 순서대로 문을 닫는다’는 말이 현실화될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영국의 대학평가기관 QS가 지난 3일(현지시각) QS 주제별 세계 대학 순위(QS World University Rankings by Subject 2021)를 평가한 결과에서는 한국 대학 가운데 아시아 상위 10위에 든 대학은 한 곳에 불과했다. 이런 결과를 보면 국내 대학이 사회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데 게을렀고, 국제경쟁력 하락에 대한 대응도 부족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환경이 급변하는데도 국내 대학들은 3차 산업혁명 시대의 낡은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구자억 서경대 혁신부총장은 “세계 각국이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해 혁신에 사활을 걸고 있지만, 한국 대학은 아직도 과거의 대학 운영 패러다임에 빠져 있다”며, “3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내용, 방법, 시설, 재원조달체제에 얽매여서는 생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학생미래설계센터에서 학생 성공 지원미용예술대학 메이크업전공 학생들의 수업 장면.서경대는 미래사회에 필요한 인재 양성을 위해 어떤 혁신 노력을 하고 있을까. 먼저 학생 성공 지원을 위해 학생미래설계센터를 설치하고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하는 학생 학업지원 체제를 구축해 학생의 사회 진출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또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교육방법 도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육 과정·내용·방법·시설 등을 미래형으로 변화시키고, 대학에서 배운 내용이 현실과 유리되지 않게 실습중심·토론중심·문제해결중심 학습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서경대는 미래사회에 필요한 소양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해 역량중심·미래기술중심 패러다임, 디지털 네이티브에 맞게 교양과 전공 교육과정을 전면 혁신하고 있다. 특히 교양과목을 현대사회에 꼭 필요한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과목중심으로 재편했다. ‘인간이란 무엇인가’ 같은 과목은 철학·생물학·심리학 전공교수의 협업수업으로 수업효과를 높이고 있다. 미래기술을 만드는 법을 교육하는 패러다임으로 전환도 꾀했다.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기초교양교육을 강화하고, 기업가정신과 코딩교육을 강화함은 물론 미래사회 수요에 기반한 맞춤형 전공을 신설하고 전공기초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또 디지털 네이티브 등장에 부응한 교양교육과정의 획기적 전환과 함께 교양과목을 전면 개편한 교육방식의 도입으로 대면과 비대면의 적정한 조화를 이루도록 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대비 교육방법 혁신 실용음악학과 학생들이 합주실에서 함께 연습하는 모습.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교육방법의 획기적 혁신도 돋보인다. 학생 스스로 찾고 학습하는 법을 교육하는 패러다임의 모색, 학습자 중심의 학습법 도입, 무크 확대, AI 기반 개별 학습체제 구축, PBL 등을 통해 학생중심 학습 환경을 구축한 것이 대표적 사례다. 수업을 체험과 활동 중심으로 변경한 것도 혁신 노력 중 하나다. 학생이 강의내용을 숙지한 후 그것을 체험하고, 활동함으로써 수업에서 배운 지식이 개인의 역량으로 체화되도록 하자는 취지로 수업을 체험과 활동 중심으로 혁신했다. 강의실도 3면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개선했다. 서경대는 역량별 비교과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설하고, 이런 프로그램들이 교양·전공과 연계되도록 운영한다. 이런 연계를 통해 교양·전공에서 배운 역량이 비교과 프로그램을 통해 심화되도록 하고 있다. 교육성과관리시스템 구축도 대표적 혁신 사례다. ▶교양 ▶전공 ▶비교과 ▶캠프의 네 영역으로 구성된 ‘졸업인증제’ 도입에 머물지 않고 학생이 입학부터 졸업 때까지 핵심역량검사를 의무적으로 받게 하고, 실제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까지 개발했다. 이는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해 4년간 학생의 역량발달 수준을 추적하는 제도로 검사 결과는 학생과 학과에 제공해 개인발달 및 학과운영에 참고하게 하고 매년 그린 페이퍼로 발간한다. 다면적 인증제로 교육의 질 관리레코딩스튜디오에서 실습을 하고 있는 실용음악학과 학생들 모습.서경대는 교육 내용과 방법의 변화에 맞게 학습공간을 미래형 교육공간으로 혁신하는 일에도  역량을 쏟고 있다. PBL·플립러닝 수업공간 확대, 가상현실·증강현실을 활용한 수업공간 설치, 이노베이션 스페이스 등 다양한 혁신적 교육공간을 확보·운영하고 있다. 특히 교육의 질 관리 중요성을 인식하고 종합적인 인증체제를 도입했다. 졸업 인증만이 아니라 교육과정 인증, 비교과프로그램 인증, 국제표준 교육과정 인증, 우수수업 인증, 행정질 인증 등이 포함된 다면적 인증제를 운영 중이다. 이 외에 ▶국제화 대학 캠퍼스 체제 및 지역사회 연계 열린 캠퍼스 구축 ▶대학 특성화 플랜 추진 ▶산학협력 활성화 플랜 추진 등을 진행하고 있다. 구자억 혁신부총장은 “서경대는 세계 수준의 교육력을 갖추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며, “특히 순환형 학사과정, 미래형 교양 전공교육과정, 통합연계형 비교과 운영, 토털 교육질관리, 교수역량 지원, 스마트 스페이스 등 6가지 분야의 셉(SEP·SKU Education Platform)으로 명명된 국내 최초 교육플랫폼을 운영해 미래형 대학으로 거듭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현재 넥스트 유니버시티(Next University) 연구를 추진 중이며, 미래 100년의 사회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걸맞은 서경대만의 고유한 대학 모델을 만들어 한국을 이끌 선도대학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원문 출처>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4013502 

    썸네일

    「신입생을 위한 대학생활 백서」 기획시리즈 #2 2021학년도 교내외 장학금

    2020년에 이어 올해도 코로나 19의 확산 및 장기화로 인해 비대면 수업이 진행되는 등 정상적인 대학생활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처음으로 대학에 입학해 모르는 것이 많은 신입생과 비대면 수업 속에서 원활한 정보 습득이 어려웠던 20학번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신입생을 위한 대학생활 백서」 기획시리즈를 마련, △국가장학금 신청 방법 △교내외 장학제도 △교내 중앙동아리 △ 학교 시설 등을 차례로 소개한다. 기획시리즈 두 번째로 2021학년도 교내외 장학제도에 대해 알아봤다.   대부분의 강의가 온라인으로 실시되고 있지만, 장학금과 같은 학생들에 대한 지원은 여전히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서울시에서 다양한 종류의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고 교외의 여러 장학재단에서도 자체 장학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니 지원자격, 신청 방법 및 기간 등을 확인한 후 신청해 대학생활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1. 서경대학교 교내 장학금   2021년 서경대학교에서는 성적우수 장학금, 글로벌인재 장학금, 서경가족사랑 장학금 등과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장학금이 학생들을 위해 운영되고 있다. 서경대학교 교내장학금 중 신청마감기간이 임박한 순서대로 소개한다. 어떤 장학금 제도가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자.   ▶ 근로장학금   서경대학교에서 근무하는 근로장학생들에게 지급되는 장학금이다. 장학생을 선발한 후 선발된 학생들의 근로시간에 따라 장학금이 지급된다. 장학생 선발은 2월과 8월 중 학기가 시작되기 전과 12월과 6월 중 동계·하계 방학 전에 공지되고 있다. 자격 요건은 아래와 같고, 아래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학생에게 장학금이 주어진다.   가. 성적기준 : 직전학기 12학점 및 백분위 70점(평점 1.6) 이상 나. 소득분위 : 소득분위 8분위 이하의 학생 다. 학년 및 이수학기 : 2∼8학기 라. ‘국가근로장학생 교내신청서‘를 제출한 대상자 중 국가근로우선순위 또는 소득분위가 조회되는 학생   2021학년도 2차 국가근로장학금 신청기간은 21. 2. 3(수) 9시∼3. 16(화) 18시까지이다. ※ 2차 신청을 할 경우 방학 중 근로만 가능 ※ 주말 및 공휴일 24시간 신청 가능(단, 마감일 제외)   이 외에 자세한 사항은 아래 주소의 공지사항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skuniv.ac.kr/index.php?mid=notice&search_keyword=%EA%B7%BC%EB%A1%9C%EC%9E%A5%ED%95%99&search_target=title&document_srl=187150   ▶형제 장학금   형제 또는 자매가 동시에 재학할 경우 지급되는 장학금이다. 매 학기 신청이 가능하며, 선발기준은 직전학기 성적 평점 1.6 이상이고, 입학 첫 학기는 성적기준 해당이 없다. 정규학기(8학기) 이내에 형제, 자매가 동시에 서경대학교에 재학 중일 경우 신청 가능하다. 3월, 9월 중 공지된 일정에 맞춰 서경대학교 포털사이트 장학관리 메뉴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지급 예1) 형제1은 3학기 재학 중, 형제2는 휴학 중일 경우 재학 중인 형제1에게만 지급된다. 지급 예2) 형제1은 3학기 재학 중, 형제2는 평생교육원 재학일 경우 형제1에게만 지급된다. 2021학년도 1학기 형제장학금 신청기간은 2021. 3. 15(월)∼3. 28(일) 23:59분까지이다.   이 외에 자세한 사항은 아래 주소의 공지사항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skuniv.ac.kr/index.php?mid=notice&search_keyword=%ED%98%95%EC%A0%9C&search_target=title&document_srl=189948   ▶서경가족사랑 장학금   부 또는 모가 본교(학부) 졸업생인 학생에게 지급되는 장학금이다. 학년 상관없이 1회에 한하여 적용되며 선발기준은 직전학기 성적 평점 1.6 이상이고, 입학 첫 학기는 성적기준 해당이 없다. 3월, 9월 중 공지된 일정에 맞춰 장학과 메일로 관련 서류를 제출하여 신청하면 된다.   2021학년도 1학기 서경가족사랑 장학금 신청기간은 2021. 3. 15(월)∼3. 28(일) 23:59분까지 이다.   이 외에 자세한 사항은 아래 주소의 공지사항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skuniv.ac.kr/index.php?mid=notice&search_keyword=%EA%B0%80%EC%A1%B1%EC%82%AC%EB%9E%91&search_target=title&document_srl=189945   ▶서경 CREOS 장학금 (희망플러스 장학금)   장애학생으로 확인되는 학생을 대상으로 지급되는 장학금이다. 정규학기(8학기) 이내 재학생 중 장애학생에게 지급된다. 선발기준은 직전학기 성적 평점 1.6 이상이고, 입학 첫학기는 성적기준 해당은 없다. 3월, 9월 중 공지된 일정에 맞춰 서경대학교 포털사이트 장학관리 메뉴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제출서류는 장애인증명서 1부(최근 1개월 이내에 발급된 서류만 가능)이다.   2021학년도 1학기 서경 CREOS 장학금 (희망플러스 장학금) 신청기간은 2021. 3. 15(월)∼ 3. 28(일) 23:59분까지이다.   이 외에 자세한 사항은 아래 주소의 공지사항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skuniv.ac.kr/index.php?mid=notice&search_keyword=creos&search_target=title&document_srl=189942   ▶ 서경 CREOS 장학금 (해피하우스 장학금)   정규학기(8학기) 이내 재학생 중 다문화가정 학생에게 지급되는 장학금이다. 선발기준은 직전학기 성적 평점 1.6 이상, 이수학점 12학점 이상이고, 입학 첫학기는 성적기준 해당이 없다. 3월, 9월 중 공지된 일정에 맞춰 장학과 메일로 관련서류를 제출하여 신청할 수 있다. 제출서류는 가족관계증명서 또는 주민등록등본 1부와 부 또는 모의 외국인등록증 1부이다(최근 1개월 이내에 발급된 서류만 가능).   2021학년도 1학기 서경 CREOS 장학금 (해피하우스 장학금) 신청기간은 2021. 3. 15(월)∼ 3. 28(일) 23:59분까지이다.   이 외에 자세한 사항은 아래 주소의 공지사항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skuniv.ac.kr/index.php?mid=notice&search_keyword=creos&search_target=title&document_srl=189942   ▶서경엘리트(글로벌 인재) 장학금   토익과 평점 성적이 우수한 학생을 대상으로 지급되는 장학금이다. 3월, 9월 중 공지된 일정에 맞춰 서경대학교 포털사이트 장학관리 메뉴를 통해 신청할 수 있고, 제출서류는 토익 성적표 1부이다. 아래의 가, 나 항목이 동시에 충족되는 학생만 신청이 가능하다.   가. 직전학기 이수학점 - 1∼6학기 이수학점 15학점 이상(7학기에는 12학점), 평점 4.0 이상   나. 토익점수 900점 이상 ※ 토익성적유효기간 : 교내 모의토익: 2019년도 2학기 시행한 토익 외부토익(YBM) : 2019년 4월∼2021년 3월에 시행한 토익   2021학년도 1학기 서경엘리트(글로벌인재) 장학금 신청기간은 2021. 3. 15(월)∼3. 28(일) 23:59분까지이다.   이 외에 자세한 사항은 아래 주소의 공지사항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skuniv.ac.kr/index.php?mid=notice&search_keyword=%EC%84%9C%EA%B2%BD%EC%97%98%EB%A6%AC%ED%8A%B8&search_target=title&document_srl=189954   ▶ 서경 엘리트(국가고시) 장학금   정규학기 이내 재학 중 국가고시 또는 국가자격시험에 합격한 학생을 대상으로 지급되는 장학금이다. 행정고시 및 일반공무원 시험의 국가고시와 공인회계사, 변리사, 세무사, 관세사의 국가자격증이 인정된다. 수혜기간은 최초 1회에 한한다. 신청기준은 직전학기 평점 1.6 이상, 정규학기(8학기) 이내의 재학생(현재 휴학생 신청 불가능)이다. 공지된 신청기간에 맞춰 학과(부)장을 통해 국가공무원 임용시험 합격증명서 1부를 제출하면 된다.   2021학년도 1학기 서경엘리트(국가고시) 장학금 신청기간은 2021. 3. 15(월)∼3. 28(일) 23:59분까지이다.   이 외에 자세한 사항은 아래 주소의 공지사항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skuniv.ac.kr/index.php?mid=notice&search_keyword=%EC%84%9C%EA%B2%BD%EC%97%98%EB%A6%AC%ED%8A%B8&search_target=titl&document_srl=189951   ▶ 보훈장학금   국가유공자 (손)자녀 및 북한이탈주민자녀에게 지급되는 장학금이다. 국가유공자 손자, 손녀의 경우는 독립유공자에 한한다. 선발기준은 직전학기 평점 1.6 이상이고 입학 첫학기는 성적기준 해당이 없다. 3월, 9월 중 공지된 일정에 맞춰 관런서류를 장학과 메일로 제출하여 신청할 수 있다. 제출서류는 아래와 같다.   가. 국가유공자 : 대학수업료 등 면제대상자 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각 1부 나. 북한이탈주민자녀 : 졸업증명서, 북한이탈주민확인서, 교육지원대상자 증명서 각 1부   ▶ 면학 A형 장학금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을 위하여 지급되는 면학A형(기초생활수급자)장학금이다. 해당 학기 국가장학금 신청 후 소득구간이 0구간으로 확인되는 학생에게 지급된다. 동계방학과 하계방학 중 공지된 일정에 맞춰 서경대학교 포털사이트 장학관리 메뉴를 통해 신청할 수 있고 신청 기준은 직전학기 12학점 이상 이수(정규 8학기 이내), 직전학기 평점 1.6 이상이다. 면학 A 장학금은 전액(공동학위비 제외)이므로 타 장학금과 이중수혜가 불가하다.   ▶ 면학 B형 장학금   해당 학기 국가장학금 신청 후 소득구간이 0~8구간으로 확인되는 학생에게 지급되는 장학금이다. 신청기준은 직전학기 평점 2.0 이상, 직전학기 이수학점 12학점 이상이다. 2020년도 1학기 신·편입생의 경우 성적기준 해당이 없다. 면학 B형은 장학대상자 선정 후 금액이 배정된다. 4월 말, 10월 말에 공지된 일정에 맞춰 서경대학교 포털사이트 장학관리 메뉴를 통해 신청이 가능하다.   ▶ 성적우수 장학금   매 학기 학(부)과별, 학년별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장학금이다. 별도의 신청 없이 해당 학기 성적 공시 이후에 장학금이 지급된다. 장학생은 등록금 고지서에 장학금을 제외한 금액이 납부할 등록금으로 표기된다. 성적이 나온 이후 공지사항에서 명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전 학기 성적우수장학금 대상자 중 미등록 휴학자의 경우에는 복학 학기에 장학금 수혜가 가능하다. 정규 토익 시험을 치렀을 경우 장학과에 성적표를 제출하면 성적 반영이 가능하다. 교내에서 치러진 정기모의토익의 경우에는 성적표를 제출할 필요가 없고, 토익성적을 제출하지 않은 학생의 경우에는 교과성적만 반영이 된다. 선발기준은 직전학기 성적 평점 3.0 이상, 1~6학기 15학점 이수(7학기 12학점)이다. 장학금액은 성적 순위별로 다르므로 아래 사항을 참고하기 바란다. (법인장학생, 성적우수(학과수석)장학생, 면학A형 장학생, 보훈장학생은 고지서에 0원으로 표기된다.)   성적 1위 – 등록금의 60% 성적 2위 – 등록금의 50% 성적 3위 – 등록금의 40% 성적 4위 – 등록금의 30% 성적 5위 이하 등수 – 등록금의 20%   ▶성적향상 장학금   직전학기와 비교하여 평점이 0.5 이상 향상된 학생에게 지급되는 장학금이다. 직전학기 학사경고자의 경우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진행한 학사경고자 맞춤형 프로그램 이수자만 신청이 가능하다. 선발기준은 직전학기 및 현재학기 평점 1.6 이상, 직전학기와 현재학기 12학점 이수한 자, 정규 학기(8학기) 이내의 재학생(현재 휴학생 신청 불가능)이다. 하계방학, 동계방학 중 공지된 일정에 맞춰 서경대학교 포털사이트 장학관리 메뉴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어학성정 향상 장학금   기존 제출된 어학성적보다 해당 학기 어학성적이 일정수준 향상된 학생에게 지급되는 장학금이다. 선발기준은 직전학기 평점 1.6 이상, 정규 학기(8학기) 이내의 재학생(현재 휴학생 신청 불가능)이다. 하계방학, 동계방학 중 공지된 일정에 맞춰 서경대학교 포털사이트에서 장학관리메뉴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성적표는 장학과 메일을 통해 제출한다. 현재 재학 중인 자로 제출된 본인의 최고 어학성적보다 성적이 아래와 같이 향상된 학생에게 지급된다.   1) 토익 – 50점 2) jpt – 50점(최저 450점) 3) HSK – 급수(5급 이상) 4) DELF – 급수(A1->A2->B1->B2) 5) TORFL – 급수(기본->1단->2단)   ※ 단, 등록금 범위 안에서 이중수혜 가능 ※ 자동 적용된 교내모의토익 포함 2. 교외장학금 ▶ 서울 우수인재 장학금   자신의 전공분야에 재능과 학업 의지를 가진 대학생에게 장학금 지원을 통해 전공역량을 강화하여 서울의 우수 인재로 성장하도록 지원하는 장학금 제도이다.   신청자격 -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 3, 4학년 재학생 또는 서울 시민으로서 비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 3, 4학년 재학생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 본인의 전공분야에 대한 학업 의지가 강하며, 전공교수의 추천을 받은 자   이 외에 자세한 사항은 아래 주소의 공지사항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hissf.or.kr/Programs/user/scholarship/university/outstanding.asp   ▶서울 희망 플러스 장학금   코로나 19로 인한 경제침체 상황에서 아르바이트 중단 등 취업 준비 및 학업 지속을 위한 생활비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대학교 졸업예정자(정규학기 재학생) 대상 학업장려금을 지원하는 장학금이다.   신청자격 - 서울 소재 대학교 또는 서울 시민(자녀) 중 비서울 소재 대학 졸업 예정자 (정규학기 기준 21년 8월, 22년 2월 졸업 예정자)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이 외에 자세한 사항은 아래 주소의 공지사항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hissf.or.kr/Programs/user/scholarship/university/plus.asp   이외의 서울시에서 운영 중인 장학금 제도에 대한 정보를 알고 싶다면 아래 주소에서 장학금의 종류와 모집기간, 신청자격 등을 확인하길 바란다. https://www.hissf.or.kr/Programs/user/scholarship/university/guide.asp   ▶수림재단 – 수림재단 신규 장학생 선발   수림재단에서 2021학년도 3월 현재 국내 4년제 이상 대학의 1학년 또는 2학년 재학생(단, 전공이 최초로 확정되는 학년이 대상이 됨)을 대상으로 장학금을 지원한다. 선발부문은 4개 자연과학 부문 전공자로 물리학, 화학, 생물생명과학, 의학(의예과)이고 총 10명을 선발한다. 서류전형(1차) 및 면접(2차)을 통해 선발이 진행되며 2021년 4월 30일까지 신청이 가능하다.   지원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장학금 지급 – 학기당 최고 200만 원 나. 생활지원금 지급 – 연간 240만 원 다. 해외역사문화탐방 – 일본과 중국   신청 및 자세한 사항은 아래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http://www.surim.or.kr/index/s2/s2_02.php   ▶사단법인 맑고 향기롭게 - '맑고 향기롭게 - 대학생 장학생' 선발 사단법인 맑고 향기롭게에서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을 대상으로 장학금을 지원한다. 지원자격은 법인 선정 대학교 17곳 (경희대, 고려대, 광운대, 국민대, 동국대, 상명대, 서경대, 서울과학기술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한국외대, 한성대, 한양대, 동덕여대, 서울여대, 성신여대, 배화여대의 전문대 2~3학년 학생 또는 일반대 2~4학년 학생이다. 대구, 경남, 광주 모임의 추천 대학교의 전문대 2~3학년, 일반대 2~4학년 학생도 포함된다. 선발은 서류심사(소득, 성적, 학생역량 등 종합적 심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금액은 최대 2,000,000원을 지원해 준다. 신청기간은 2021년 4월 1일부터 2021년 4월 16일 우편소인 접수까지이다.   신청자격은 다음과 같고 가, 나, 다, 라를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   가. 대한민국 국적의 청년으로 (사)맑고 향기롭게 발원 취지에 공감하며, 잠재적 성장 가능성 을 지닌 2년제 이상 대학생   나. 본인 또는 부모(보호자)가 사찰&불교단체 소속 신도(회원)임을 확인할 수 있는 증빙서류 제출 가능자(예: 신도증, 추천서, 확인서 등) * 단 ‘한국불교종단협의회'에 등록된 종단의 사찰, 단체에 한함   다. 법정 저소득층 및 소득구간 5구간 이하   라. 직전 학기 평균학점 B학점 이상인 학생   - 학점 4.5 만점의 경우 총 평점 3.5 이상 - 학점 4.3 만점의 경우 총 평점 3.3 이상   - 기초생활수급자, 법정차상위계층 - 2021년 1학기 한국장학재단 소득 0~4분위 - 소득 0~4분위 이외의 자   신청 및 자세한 사항은 아래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http://www.clean94.or.kr/Menu.do?MenuID=1031&mode=view&bbsNo=1&no=88666&home=&searchCondition=&searchKeyword=&pageIndex=1   <홍보실=최호기 학생기자>

    썸네일

    서경대학교, 코로나 19 위기 속 지역사회 학교예술교육 지속발전 위한 노력 이어가

    원격교육 플랫폼 등 대학 내 다양한 자원 적극 활용,교육공백 해소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초등학교 방과 후 오케스트라 온라인 정기연주회 교육 현장 서경대학교(총장 최영철) 예술교육센터(센터장 한정섭 교수)는 2020년 코로나 19의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등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가능한 범위 내에서 대학의 자원을 적극 활용해 학교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했다. 코로나 사태의 장기화로 학교 교육현장의 예술 교육 활동이 축소 또는 중단된 상황에서 원격교육 플랫폼 등 다양한 채널을 활용해 예술교육의 공백을 메우고자 노력하였다.    구체적으로, 비대면 환경의 교수법 및 지도안 개발과 적용을 위한 강사 연수, 대학의 자원을 활용한 학교별 맞춤형 운영방안 컨설팅, 학생들의 교육환경을 고려한 블렌디드(Blended) 방식의 예술교육 등을 실시해 단위학교 현장의 예술교육 정상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오고 있다. 올해는 서울월곡초등학교를 비롯해 서울대학교사범대학 부설 초등학교, 서울 중현초등학교 등 관내 학교와 연계한 오케스트라 교육 및 방과후학교 예술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예술강사 채용과 연수회 실시 등을 진행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다. 이밖에 뮤지컬, 합창, 방송댄스 등 대학의 다양한 예술적 자원과 결합한 학교예술교육 활동이 예정되어 있으며, 새로운 교육환경에 맞춰 신설 교육 커리큘럼을 개발하는 등 코로나 19 확산 및 장기화 속, 일선학교 예술교육 정상화를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학교예술교육 사업의 책임을 맡고 있는 심해빈 교수(인성교양대학·예술교육센터 위원)는 “코로나 사태를 겪으면서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인간의 정서와 공감 능력을 다루는 문화예술의 향유 및 역량 배양은 의무교육 현장에서 시작되어야 한다.”며 “고등교육기관인 지역 대학이 초중고 단위학교의 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해 지식을 환원하며 사회공헌에 앞장서는 것은 미래의 주인공인 아이들이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진로를 모색하는데 큰 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pan/site/data/html_dir/2021/03/12/2021031201630.html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4010643 대학저널 http://www.dh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8020 교수신문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62920 베리타스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360097 스마트경제 http://www.dailysmart.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409 뉴스웍스 http://www.newswork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3983

    썸네일

    서경대학교, 「최근 신설 및 변경된 학과(부) · 전공 알아보기」 기획시리즈 <2> 사회과학대학 ‘공공인재학부 경찰행정전공’

    서경대학교는 최근 사회적 트렌드를 반영하고 대학 특성화에 맞는 창의융합형 혁신교육을 통해 우수한 학생을 유치하고 사회 수요와 시대 요구에 부응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일부 학과(부) 및 전공의 명칭을 신설하거나 변경했다.   이에, 「최근 신설 및 변경된 학과(부) · 전공 알아보기」 기획시리즈를 마련, 지난 3년 동안 학과(부) 및 전공이 신설되었거나 변경된 학과(부) 및 전공의 학과(부)장 교수님을 만나 그 배경과 학과(부) 및 전공 소개, 교육 과정 및 내용, 졸업 후 진로 및 취업 전망 등에 대해 들어보았다. 기획시리즈 두 번째로 사회과학대학 ‘공공인적자원학과’에서 ‘공공인재학부’로 학과 명칭이 바뀌고 학부 내에 새로 신설된 ‘경찰행정전공’의 주임교수인 이준복 교수님을 만났다. - 전공이 새로 신설됐는데, 그 배경이 궁금합니다.   “우리 경찰행정전공에서는 사회와 국가를 훌륭하게 이끌고 국민의 기본권을 보호하며, 공공복리를 잘 구현해야만 하는 사명을 실천에 옮기고자 새로운 모습으로 출범하게 되었습니다. 즉, 민주적이고 청렴하며 정의로운 경찰공무원의 양성을 교육목표로 공공인재학부 내에 새로운 전공이 생겼습니다.   특히,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2022년부터는 경찰공무원시험을 포함하여 각 직렬의 공무원시험 과목이 전면적으로 개편, 시행될 예정입니다. 개편안의 공통적인 사항은 고교과목이 폐지되고 헌법, 형법, 행정법 등 법학과목이 주된 영역이 되고 그동안 공통과목이었던 국어, 영어, 국사는 토익이라든가 한국사능력시험 등의 점수로 대체될 것입니다. 따라서 결국 실질적으로 준비해야 할 시험과목은 법학과목이고 여기에서 당락이 좌우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새롭게 시작하는 우리 경찰행정전공에서 시대적 사명감을 갖고 국민에게 신뢰를 받으며, 범죄예방 및 봉사정신을 실천에 옮기는 경찰공무원으로 거듭나시길 바랍니다.” - 신설된 전공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 주세요.   “우리 경찰행정전공은 순경 시험과 경찰간부후보생 시험을 실질적으로 대비함으로써 국가와 국민에게 봉사하는 경찰공무원을 양성하기 위해 신설되었습니다. 경찰공무원은 다른 직렬의 공무원과는 달리 범죄를 예방하고 질서를 유지하여 국민 전체의 봉사자로서의 역할을 다하는 것이 주된 임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경찰(警察)’이라는 단어가 의미하듯, 주변을 잘 살피고 국민들의 민원을 경청하며 매사에 공무원으로서 마음가짐을 올바르게 하여 국민으로부터 신뢰를 확보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대학 교육과정 4년 동안 공무원 시험을 준비해 나가면서 ‘수기치인(修己治人)’이라는 사자성어의 의미를 되새겼으면 좋겠습니다. 즉, 스스로 수양하고 세상을 다스린다는 뜻을 금과옥조로 삼아 이를 몸소 실천에 옮기는 것이 우리 경찰행정전공의 교육 목표 및 이념을 달성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실용중심 교육에서 민주 경찰로 거듭나는 전당! 바로 여기! ‘서경대학교 경찰행정전공’입니다.   우리 학과의 슬로건과 같이 바로 우물 안 개구리식의 교육이 아니라, 수요자 중심의 교육, 실용 중심의 교육, 국가와 사회에 이바지하는 공직자 양성이 우리 경찰행정전공만의 특별한 비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주요 교육 과정 및 내용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 주세요.   “전국에는 크고 작은 규모의 수많은 경찰행정 관련 학과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 서경대학교 경찰행정전공은 타 학교의 커리큘럼과는 다르게 ‘실용이 최고의 가치다!’라는 학교의 슬로건에 부합하고, 실질적으로 공무원시험에 치밀하게 대비해 나갈 수 있도록 공무원 시험과목에 맞춰서 설계되었습니다.   “기초이론과목은 기본으로 하고 기출문제를 함께 풀어보고 분석하며, 예상문제를 출제자의 입장에서 만들어보고 다 함께 공유해봄으로써 살아있는 수업을 지향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색입니다. 다시 말해서, 실용 중심 교육을 실천으로 옮기기 위해 기초이론에 대한 정리가 끝나면 기출 및 예상 문제 풀이와 분석에 비중을 두어 수업이 진행되고 교육과정도 거기에 맞춰서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영어, 한국사 등 공무원시험 공통과목을 매학기 정규과목으로 개설하고 현직 학원강사를 초빙하여 강의를 진행하고 있는 것도 차별화된 특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부족한 부분을 채우기 위해 학교 차원에서 공신력 있는 공무원 학원과 계약을 체결하여 동영상강의를 여러분께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장기간 휴학을 하고 노량진 학원가로 굳이 가지 않더라도 학교 안에서 여러분들의 목표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 우리 서경대학교 경찰행정전공만의 특색이라고 자부합니다. 이 외에도 학생들에게 ‘나도 할 수 있다!’라는 자신감과 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우리 학과 출신의 공무원시험 합격자를 초빙하여 ‘합격자와의 간담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고, 공무원 시험 합격자에게 ‘공무원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아직 시작 단계라서 갖춰나가야 할 것이 많지만, 학과에 소속되어 있는 모든 교수님들이 끊임없이 고민하고 이를 교육에 적용해 나가고 있기 때문에 머지 않아 일류 학과로 거듭날 것이라고 굳게 믿고 있습니다.” - 졸업 후 진로 및 취업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세요.   “경찰행정전공 내에 구성된 교육과정을 모두 이수하게 되면 순경, 경찰간부후보생 등 경찰공무원이 되기 위해 꼭 갖춰야만 하는 공무원 시험 과목을 모두 대비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시대적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향후 공무원범죄학, 공무원수사학, 공무원면접 등 학생들을 위한 전공과목을 끊임없이 신설하고 개편해 나갈 계획입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경찰행정전공을 졸업하게 되면 순경 및 간부후보생 등 경찰공무원이 되는 것이 주된 방향이라고 할 수 있으나, 감사원, 국가정보원 등 공직분야로 진출할 수도 있고, 이 외에도 주요 정부기관 및 공기업 등 공공분야와 국책연구기관의 연구직으로도 진출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여러분들이 목표로 하는 방향으로 곧게 나아갈 수 있도록 서경대학교 경찰행정전공은 가시적인 목표 제시와 함께 지속적으로 동기부여를 할 것이며, 견고한 통로가 되어 줄 것입니다.”   <관련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fxzo2DmpgQ8   <홍보실=백가은 · 최호기 학생기자>

    썸네일

    서경대학교, 「최근 신설 및 변경된 학과(부) · 전공 알아보기」 기획시리즈 <1> 인문과학대학 ‘광고홍보콘텐츠학과’

    서경대학교는 최근 사회적 트렌드를 반영하고 대학 특성화에 맞는 창의융합형 혁신교육을 통해 우수한 학생을 유치하고 사회 수요와 시대 요구에 부응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일부 학과(부) 및 전공의 명칭을 신설하거나 변경했다.   이에, 「최근 신설 및 변경된 학과(부) · 전공 알아보기」 기획시리즈를 마련, 지난 3년 동안 학과(부) 및 전공이 신설되었거나 변경된 학과(부) 및 전공의 학과(부)장 교수님을 만나 그 배경과 학과(부) 및 전공 소개, 교육 과정 및 내용, 졸업 후 진로 및 취업 전망 등에 대해 들어보았다. 기획시리즈 첫 번째로 인문과학대학 ‘문화콘텐츠학과’에서 ‘광고홍보콘텐츠학과’로 학과 명칭이 변경된 ‘광고홍보콘텐츠학과’ 학과장인 김문기 교수님을 만났다.   - 명칭이 변경된 배경이 궁금합니다.   “모든 시대에는 그 시대의 앞선 기술과 미디어가 있었고 광고홍보산업은 이를 가장 먼저 수용하여 광고주와 소비자에게 선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업의 특성으로 삼아왔습니다. 이제 사람의 생활과 만나는 콘텐츠 혹은 문화로, 또는 트렌드로 진화하여 광고는 조금은 평범해진, 혹은 작아진 상업성의 틀을 탈피하고 있습니다.   세상이 모든 것에서 크리에이티브의 중요성이 굳이 강조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중요한 개념이 되었습니다. 많은 상품과 서비스의 수준이 평준화 되어가는 이 시대에 소비자에게 더 주목받고 그들을 설득할 수 있는 길은 그리 많지 않으며, 특히 광고홍보콘텐츠분야는 크리에이티브 없이는 존재하기 힘들어졌기 때문에 지금 우리가 맞닥뜨린 디지털 시대에 가장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크리에이티브의 해법과 실무적 방법론의 교육이 절실해졌습니다. 따라서 광고를 콘텐츠의 하나라는 관점에서 다루며 새로운 기술 및 미디어와 함께 광고·홍보 전문가뿐 아니라 콘텐츠 개발 전문가, 디지털 마케터 등의 분야에서도 실무중심 교육이 필요하다는 게 시대의 요청입니다.”   - 학과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 주십시오.   “광고홍보콘텐츠학과는 4차 산업혁명의 스마트시대가 요구하는 소비자 시장과 디지털 미디어를 포함한 매체 환경의 급격한 변화의 시대에 소비자와 ‘소통’하고 ‘공감’될 수 있는 전략적인 광고, 홍보와 같은 설득 커뮤니케이션과 콘텐츠를 융복합적으로 교육하는 데 그 목표를 두고 있는 학과입니다.   또한 기업의 광고와 홍보, 그리고 콘텐츠 산업 분야에서 20년 이상 풍부한 현장 경험과 학문적 배경을 갖춘 교수진들이 다양한 미디어 마케팅 플랫폼 및 영상 콘텐츠, 모바일과 온라인 비즈니스, 광고 기획 및 제작, 광고 크리에이티브, 마케팅, 트랜스 미디어와 스토리텔링 연구, 뉴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등의 다양한 과목을 편성하여 광고·홍보·콘텐츠 분야에서 최고의 실무중심 교육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광고홍보콘텐츠학과는 디지털시대 뉴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분야로서 실무가 중시되는 응용학문인 만큼 본 학과에서는 광고, 홍보, 콘텐츠의 기초전공 교육을 바탕으로 전공핵심 교육과정과 프로젝트 중심 실무교육 등의 교육과정을 통해 교육의 질적, 양적 개선을 통한 전문인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기업의 광고와 홍보, 콘텐츠 산업 분야에서 몸소 기획하고 만들며 20년 이상 풍부한 현장경험과 학문적 배경을 갖춘 교수진들이 전공을 세분화하여 전공별 교육전문성을 확보하고, 실무현장과 연계성을 높이며 교육하고자 합니다.”   - 주요 교육 과정 및 내용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 주세요.   “다양한 미디어 마케팅 플랫폼 및 영상 콘텐츠, 모바일과 온라인 비즈니스, 광고 기획 및 제작, 광고 크리에이티브, 마케팅, 트랜스미디어와 스토리텔링 연구, 뉴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등의 다양한 과목을 편성하여 광고·홍보·콘텐츠 분야에서 최고의 실무중심 교육을 합니다.   광고홍보콘텐츠학과는 디지털시대 뉴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분야로서 실무가 중시되는 응용학문인 만큼 본 학과에서는 광고, 홍보, 콘텐츠의 기초전공 교육을 바탕으로 전공핵심 교육과정과 프로젝트 중심 실무교육 등의 교육과정을 통해 교육의 질적, 양적 개선을 통한 전문인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졸업 후 진로 및 취업 전망에 대해 말씀해 주세요.   “광고홍보콘텐츠학과를 졸업하면 주로 커뮤니케이션 전문가, 광고 카피라이터, 광고회사 기획 전문가, PR회사 기획전문가, 기업체 마케팅 전문가, CF감독, CM플래너, 지자체 및 공공기관 홍보담당자, 기업체 홍보담당자, 영상기획자, 미디어 플래너,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 디지털마케터, 브랜드마케터, 콘텐츠 개발자, 콘텐츠 스타트업 전문가, 콘텐츠분석 전문가, 콘텐츠 컨설턴트 등의 분야로 진출해 활동하게 됩니다.”   <홍보실=백가은 · 최호기 학생기자>  

    썸네일
    1 203 204 205 206 207 398